한국   대만   중국   일본 
대(臺) 파우스티나 -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본문(本文)으로 이동(移動)

대(臺) 파우스티나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대(臺) 파우스티나
로마 황후(皇后)
재위(在位) 138년(年) ? 140년(年)
이름
존호(尊號) 안니나 갈레리아 파우스티나 아우구스타(打)
Annia Galeria Faustina Augusta
신상정보(身上情報)
출생일(出生日) 100년경(年頃) 2월(月) 16일(日)
사망일(死亡日) 140년(年) 10월(月) 혹은(或은) 11월(月) (40세(歲))
사망지(死亡地) 이탈리아 로마 인근(隣近)
가문(家門) 네르바-안토니누스 왕조(王朝)
부친(父親) 마르쿠스 안니우스 베루스
모친(母親) 루(壘)필리아 파우스티나
배우자(配偶者) 안토니누스 피우스
자녀(子女)
  •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풀비우스 안토니누스 (138년(年) 이전(以前) 사망(死亡))
  • 마르쿠스 갈레리(리)우스 아우렐리우스 안토니누스 (138년(年) 이전(以前) 사망(死亡))
  • 아우렐리아(兒) 파딜라 (135년(年) 사망(死亡))
  • 안니아 갈레리아 파우스티나 미(美)노르 혹은(或은) 소 파우스티나
묘소(墓所) 하드리아누스 영묘(靈廟)

안니아 갈레리아 파우스티나 ( 라틴어(語) : Annia Galeria Faustina Major ) 혹은(或은) 파우스티나 1세(歲) 또는 파우스티나 마이오르 [1] (100년경(年頃) [2] 2월(月) 16일(日) [3] [4] - 140년(年) 10월(月) 혹은(或은) 11월(月) [5] [6] )는 로마 황제(皇帝) 안토니누스 피우스 의 아내이자 황후(皇后)이다.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황제(皇帝)는 그녀(그女)의 조카였고 이후(以後)에는 황제(皇帝) 루(壘)키우스 베루스 와 함께 양아들(養아들)이 되었다. 그녀(그女)는 안토니누스 피우스 재위(在位) 초기(初期)에 사망(死亡)했으나, ' 여신(女神) '으로서 지속적(持續的)으로 대단히 받들어졌고, 사후(死後)에도 남편(男便)의 재위(在位) 기간(期間) 주요(主要)한 상징적(象徵的) 존재(存在)로서 역할(役割)을 했다. [7]

초기(初期) 생애(生涯) [ 편집(編輯) ]

파우스티나는 집정관(執政官) 마르쿠스 안니우스 베루스 와 그의 아내 루(壘)필리아 파우스티나 사이에서 태어난 것으로 유일(唯一)하게 알려진 딸이다. [8] 그녀(그女)의 형제(兄弟)들은 집정관(執政官) 마르쿠스 안니우스 리보 그리고 법무관(法務官) 마르쿠스 안니우스 베루스 가 있었다. 외가(外家)쪽 이모(姨母)들에는 로마 황후(皇后) 비비아(非非我) 사비나 마티디아 미(美)노르 등(等)이 있었다. 조부(祖父)는 아버지와 같은 이름의 마르쿠스 안니우스 베루스이며, 외조부모(外祖父母)는 보좌(補佐) 집정관(執政官)을 지냈던 루(壘)키우스 스크리보(洑)니우스 리보 프루기(機) 보(步)누스 와 그의 아내로 추정(推定)되는 비(非)텔리아(兒) 이다. [9] [10] 파우스티나는 로마 에서 태어나고 자랐다.

평범(平凡)한 시민(市民)일 때, 그녀(그女)는 110년(年)과 115년(年) 사이 안토니누스 피우스 와 혼인(婚姻)했다. 파우스티나는 아들 둘과 딸 둘 등(等) 피우스 사이에서 자녀(子女) 넷을 낳았다. [11] 이들은 다음과 같다:

  •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풀비우스 안토니누스 (138년(年) 이전(以前) 사망(死亡)) - 그의 장례(葬禮) 추도(追悼) 비문(非文)이 로마 하드리아누스 영묘(靈廟) 에서 발견(發見)되었다. [8] [12]
  • 마르쿠스 갈레리(리)우스 아우렐리우스 안토니누스 (138년(年) 이전(以前) 사망(死亡)) - 그의 장례(葬禮) 추도(追悼) 비문(非文)이 로마 하드리아누스 영묘(靈廟) 에서 발견(發見)되었다. [8] [12] 그는 그리스어로 적혀 있으나, 로마에서 주조(鑄造)된 것으로 추정(推定)되는 고품질(高品質)의 청동(靑銅) 주화(鑄貨)에서 기념(記念)되어 있다. [13]
  • 아우렐리아(兒) 파딜라 138년(年) 사망(死亡)) - 그녀(그女)는 아(亞)일리우스 라미아 실바누스와 혼인(婚姻)했다. 그녀(그女)는 남편(男便) 사이에서 자녀(子女)는 없던 것으로 보이며 그녀(그女)의 추도(追悼) 비문(非文)이 이탈리아 에서 발견(發見)되었다. [8] [12]
  • 안니아 갈레리아 파우스티나 미(美)노르 혹은(或은) 소 파우스티나 (125?130년(年)에서 175년(年) 사이) - 미래(未來)의 로마 황후(皇后)로, 외가(外家) 친척(親戚)이자 미래(未來)의 로마 황제(皇帝)인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와 혼인(婚姻)했다. 그녀(그女)는 안토니누스와 파우스티나가 황제(皇帝) 자리에 오른 것을 본 유일(唯一)한 자녀(子女)였다. [8] [12]

신뢰도(信賴度)가 떨어지는 ' 히스토리아 아우구스타(打) '에 의(依)하면, 안토니누스가 아시아 속주(屬州) 의 프로콘술로 있던 동안 파우스티나가 과(過)하게 솔직(率直)하고 경솔(輕率)하게 굴었다는 여러 루머들이 존재(存在)한다. [14]

황후(皇后) [ 편집(編輯) ]

카피톨리노 박물관(博物館)의 파우스티나 흉상(胸像) (측면(側面) 시점(時點), 독특(獨特)한 머리 모양(模樣) 참조(參照))

138년(年) 7월(月) 10일(日), 숙부(叔父)이자 황제(皇帝)인 하드리아누스 가 죽고 남편(男便)이 새로운 황제(皇帝)가 되었는데, 안토니누스가 하드리아누스의 양자(兩者)이자 후계자(後繼者)였기 때문이었다. 파우스티나는 로마 황후(皇后)가 되었고 원로원(元老院)은 그녀(그女)에게 ' 아우구스타(打) ' 칭호(稱號)를 부여(附與)하였다. [8] 황후(皇后)로서, 파우스티나는 상당히(相當히) 존경(尊敬)받았고 미모(美貌)와 지혜(智慧)로 유명(有名)했다. 살아 생전(生前)에, 일반(一般) 시민(市民) 그리고 황후(皇后)로서, 파우스티나는 빈곤(貧困)한 자(者)들을 돕고 로마의 아동(兒童)들 그 중(中)에서도 여자(女子) 아이들의 교육(敎育)을 후원(後援)하고 지원(支援)하는 일들에 관여(關與)했었다. 프론토 안토니누스 피우스 간(間)의 서신(書信)에서 가끔식(式) 안토니누스의 아내에 대(對)한 헌신(獻身)의 내용(內容)들이 있다. [15]

안토니누스 피우스의 황제(皇帝) 계승(繼承) 이후(以後), 부부(夫婦)는 이탈리아를 결코(決코) 떠나지 않았다. 대신(代身)에 이들은 로마, 안토니누스가 가장 좋아하던 사유지(私有地)인 로리움(리움) , 그리고 그 밖에 라누비움 , 투스쿨룸 , 시(時)그니아 등(等)을 돌아다니며 시간(時間)을 보냈다. [16]

파우스티나의 패션 스타일은 명백(明白)하게 상당히(相當히) 높은 평가(評價)를 받았고 모방되었다. 머리 옆이나 뒤쪽으로 머리를 땋아 올려 쪽찐 머리를 한, 그녀(그女)의 독특(獨特)한 머리 모양(模樣)은 로마에서 두 혹은(或은) 세 세대(世代)에 걸쳐 모방되었다. [17]

일부(一部) 지방(地方) 사람들은 근가(近可) 황후(皇后)였던 당시(當時)에 그녀(그女)를 숭배(崇拜)하기로 했는데 에페소스 의 한 무리는 그녀(그女)의 이름을 따 자신(自身)들을 지칭(指稱)했고, [18] 푸테올리의 한 목탁종(木鐸種) 연주자(演奏者) 무리는 그녀(그女) 생전(生前)에 그녀(그女)를 위한 제단(祭壇)을 만들기도 했다. [19]

죽음과 유산(遺産) [ 편집(編輯) ]

올림피아에 있는 헤로데스 아티쿠스 의 님파에움에 위치(位置)한 대(臺) 파우스티나 조각상(彫刻像).

파우스티나는 140년(年) 로마 인근(隣近) 로리움(리움) 에 있는 안토니누스의 사유지(私有地)로 추정(推定)되는 곳에서 사망(死亡)했다. [20] 안토니누스는 파우스티나의 죽음에 큰 충격(衝擊)을 받았고 그녀(그女)에 대(對)한 기억(記憶)을 기리기 위한 조치(措置)들을 취(取)했다. 그는 원로원(元老院)에 그녀(그女)를 신격화(神格化) (그녀(그女)에 대(對)한 신격화(神格化) 기념(記念) 원주(原州) 에 묘사(描寫)되어 있다)하도록 하고 포룸 로마눔 파우스티나 신전(神殿) 을 헌정(獻呈)하도록 했다. [8] 이 때문에, 파우스티나는 포룸 로마눔에 그 존재(存在)를 영원히(永遠히) 갖게 된 최초(最初)의 로마 황후(皇后)였다. [21] 원로원(元老院)은 그녀(그女)의 모습을 한, 금(金)과 은(銀)으로 만든 상(像)들을 키르쿠스 에 등장시키는 것을 인가(認可)했으며, [22] 이곳에서 이것들은 '카르펜툼'(carpentum, 이륜마차(二輪馬車))이나 '쿠르루스 엘레판토룸'(currus elephantorum, 코끼리가 끄는 수레) 등(等)에 나타나 있었을 것이다. [23] 안토니누스는 또한 DIVA FAVSTINA ("여신(與信) 파우스티나")라고 새겨지고 정교(精巧)하게 장식(裝飾)된, 그녀(그女)의 초상(肖像)을 담고 있는 여러 주화(鑄貨)들을 발행(發行)했다. 또한 그는 로마의 고아(孤兒) 소녀(少女)들을 돕기 위한 '푸엘라이 파우스티니아나이'(Puellae Faustinianae, 파우스티나의 여식(女息)들)이라는 자선(慈善) 단체(團體)를 설립(設立)했고 새로운 '알리멘타(打)' (Alimenta, 로마의 곡물(穀物) 공급(供給) )를 만들었다. [24] 그녀(그女)의 유해(遺骸)는 하드리아누스 영묘(靈廟) 에 안장(安葬)되었다. [25] [26] 어떤 도시(都市)들은 "여신(與信) 파우스티나" ( ΘΕΑ ΦΑΥ?ΤΕΙΝΑ ); [27] 를 기념(記念)하는 주화(鑄貨)들을 발행(發行)했으며, 이 중(中)에 가장 유명(有名)한 도시(都市)들에는 델포이 , 알렉산드리아 , 보스트라 , 니코폴리스 등(等)이 있었다. [28] Martin Beckmann은 니코폴리스의 주화가 로마에서 주조(鑄造)되어 악(惡)티아 제전(祭典) 에서 황실(皇室)의 기부금(寄附金)으로서 유통(流通)된 것일 수 있다고 하였다. [29] 파우스티나의 장례(葬禮) 행사(行事)에 따라 발행(發行)된 주화(鑄貨)들은 그녀(그女)의 호화스러운 화장용(化粧用) 장작더미(長斫더미)를 묘사(描寫)하고 있으며, 이는 이후(以後) 사설(私設) 영묘(英妙)들의 디자인에 영향(影響)을 미쳤을 수 있다. [30] 다른 신격(神格) 존재(存在) 중(中)에서도 피에타스 , 아이테르니타스 등(等)의 신(神)들이 그러하며 [31] 그리고 CONSECRATIO (천상(天上)으로 파우스티나의 승천(昇天))라는 문구(文句)와 함께 인물상(人物像)을 높게 붙들고 있는 독수리(禿수리) (또는 빈도(頻度)는 덜하지만 날개 달린 게니우스)에도 영향(影響)을 미쳤다. [32] 파우스티나의 주화는 가끔식(式) 보석류(寶石類)로 포함(包含)되었고 애뮬럿 으로서도 걸쳐졌다. [33]

파우스티나 마이오르를 기념(記念)하여 주조(鑄造)된 데나리우스로, AED DIV FAVSTINAE (‘파우스티나 여신(女神)의 신전(神殿)’)을 뜻하는 축약(縮約)된 문구(文句)와 그녀(그女)의 신전(神殿) 을 묘사(描寫)하고 있다
날개 달린 인물(人物)의 등 위로 타고 있는 피우스와 파우스티나에 대(對)한 묘사(描寫) ( 안토니누스 피우스 원주(原州) 의 하단(下端)).

파우스티나에 대(對)한 사후(事後) 숭배(崇拜)는 전례(前例)가 없을 정도(程度)로 널리 퍼졌으며, 파우스티나의 형상(形象)은 안토니누스 피우스 집권기(執權期) 내내 어디에서나 계속(繼續) 있게 되었다. [34] 파우스티나의 것으로 여겨지고 2008년(年)에 발견(發見)된, [35] 거대(巨大)한 대리석상(大理石像)의 머리 부분(部分)은 오늘날 터키 사갈라소스 유적지(遺跡地)에서 중요(重要)한 황제(皇帝) 일가(一家)의 조각상(彫刻像) 중(中) 하나이다. 올림피아에서, 헤로데스 아티쿠스 는 님파(派)에움을 지었는데 이곳에서는 파우스티나와 그 외(外)의 안토니누스 일가(一家)들과 더불어 아티쿠스의 선조(先祖)들의 조각상(彫刻像)이 전시(展示)되어 있었다. [36] 파우스티나는 또한 황가(黃哥) 일가(一家)를 기념(記念)하는, 에페소스의 파르티아 기념물(記念物) 에도 등장(登場)한다. [37] Bergmann과 Watson은 파우스티나의 기념물(記念物)을 안토니누스 피우스의 정치적(政治的) 모습이라 보았다. [7] [36] 로마의 테르미니 역(驛) 인근(隣近) 위치(位置)에서 발견(發見)된, 실물(實物)보다 큰 한 조각상(彫刻像)은 파우스티나를 파테라 와 코르누코피아(彼我)를 든 콩코르디아 로서 묘사(描寫)한 것으로 보인다. 이 조각상(彫刻像)은 개인(個人)이 소유(所有)했으나 대중(大衆)들에게도 개방(開放)된, 목욕탕(沐浴湯) 디아나 루키페라 그리고 아폴로 - 조각상(彫刻像)과 같이 전시(展示)되어 있었을 것이다. [38]

안토니누스와 파우스티나는 부부(夫婦) 화합(和合)의 본보기(本보기)로 공식적(公式的)으로 제시(提示)되어 신혼부부(新婚夫婦)들은 안토니누스와 파우스티나의 제단(祭壇)에서 그들이 황제(皇帝) 부부(夫婦)의 모범(模範)에 부응(副應)할 수 있도록 기도(祈禱)하라는 지시(指示)를 받았다. [39] 이는 오스티아 지역(地域)에서 명백히(明白히) 그랬고, [40] 로마 지역(地域)에서도 그랬을 것이다. [41]

파우스티나 신전(神殿) 은 144년(年)에 세워진 것으로 생각된다. [42] 이 신전(神殿)은 코린토스 양식(樣式) [43] 을 갖춘 거대(巨大)한 [44] 헥사스타일 건축물(建築物) [45] 로, [43] 본래(本來)는 케레스 신전(神殿)으로 설계(設計)되었을 수 있다. [46] 주화(鑄貨)들에서의 묘사(描寫)는 왕좌(王座)에 앉아 있고 왼손에 기다란 지팡이를 쥐고 있는 파우스티나의 우상(偶像)을 보여주고 있다. [47] 이 시기(時期) 주화(鑄貨)에서 파우스티나의 초상(肖像)은 자주 왕관(王冠)을 쓰고 있을 뿐만아니라 베일을 하고 있는데, 이는 파우스티나의 교단(敎團) 모습의 특징(特徵)을 상기시키는 것일 수도 있다.. [48]

본래(本來) 케레스와 파우스티나의 성소(聖所)로 지어진, 로마 인근(隣近) 산투르바노 알라 카파렐라

신격화(神格化) 된 파우스티나는 특히(特히)나 케레스 와 밀접(密接)한 관련(關聯)이 있었는데, 케레스는 파우스티나의 주화(鑄貨)에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몇 년간(年間), 횃불을 든 케레스가 파우스티나 금화(金貨)의 주된 주제(主題)였다. [49] 헤로데스 아티쿠스는 파우스티나를 그가 로마 외곽(外郭)에 설치(設置)한 개인(個人) 성소(聖所)이자 현재(現在)는 산투르바노 교회(敎會)에서 새로운 데메테르 로서 숭배(崇拜)해다. [50] 케레스 외(外)에도, 베스타 유노 등(等)도 파우스티나의 주화(鑄貨)에 눈에 띄게 등장(登場)했다. [51] 그녀(그女)는 또한 대(大)지모신 과도(過度) 연관(聯關)되었고 키레나이카에서는 이시스 와도 관련(關聯)되었으며, 사르디스 에선 아르테미스 와 결합(結合)되어 숭배(崇拜)됐다. [52]

초상(初喪)과 아이테르니타스를 나타내는 파우스티나 마이오르의 세스테르티우스

파우스티나가 사망(死亡)하고 10년(年) 뒤, 새로운 기념(記念) 주화(鑄貨)가 발행(發行)되었는데, 아이테르니타스 ('불멸(不滅)')이라는 문구(文句)를 담고 있었다. 이런 주화(鑄貨)들은 그녀(그女)를 기리기 위해 민간(民間) 행사(行事)에서 배포(配布)되어 도입(導入)되었을 수 있다. [53]

안토니누스 피우스가 죽은 뒤, 그의 양아들(養아들)이자 후계자(後繼者)들인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그리고 루(壘)키우스 베루스 안토니누스 피우스 원주(原州) 를 지었는데, 이 원주(原州)는 안토니누스와 파우스티나가 날개 달린 존재(存在)의 등에 타 함께 천상(天上)으로 올라가는 모습을 극적(劇的)으로 묘사(描寫)하고 있다. [54]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는 또한 그리스 엘레프시나 에 파우스티나 신전(神殿)을 세웠다. [55]

파우스티나는 특정(特定) 르네상스 시대(時代)의 묘사물(描寫物)에서 '이상적(理想的) 아내'로서 기념(記念)되기를 계속(繼續)했다. [56]

각주(各州) [ 편집(編輯) ]

  1. 리구리아에서 출토(出土)된 한 비문(鼻紋) (《 CIL V, 07617 )은 그녀(그女)를 속격(俗格) 형태(形態)로 DIVAE FAVSTINAE MAIORIS이라 나타내었다.
  2. Levick (2014) , 169쪽, estimates Faustina the Elder's birth year as c.  97 CE, while noting the estimate of c.  105 in D. Kienast (1990). 《Romische Kaisertabelle: Grunzuge einer romischen Kaiserchronologie》. Darmstadt: Wissenschaflische Gesellschaft.   .
  3. Levick (2014) , 137쪽, citing the Feriale Duranum 3.7.
  4. Inscriptiones Italiae 13 (02): 43 .
  5. Birley, Anthony. Marcus Aurelius , Routledge, p. 243. Routledge, 2000. ISBN   0-415-17125-3
  6. According to S. Vidman's interpretation of the Fasti Ostienses (1982, p. 122; cited by Beckmann (2012) , 22쪽), Faustina died sometime in the range 21?23 October, while her funeral occurred sometime between 6 and 12 November. See Beckmann (2012), p. 22.
  7. Bergmann & Watson (1999) , 6쪽: “Antoninus’s ideological program was based upon his pietas (loyalty to family, state, and the gods) and the most concerted expression of Antoninus’s piety was Faustina’s consecration.”
  8. 사(社) “Faustina I” . 《Livius.org》. 2013년(年) 7월(月) 2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15년(年) 9월(月) 21일(日)에 확인(確認)함 .  
  9. Rupilius . Strachan stemma.
  10. Settipani, Christian (2000). 《Continuite gentilice et continuite familiale dans les familles senatoriales romaines a l'epoque imperiale: mythe et realite》. Prosopographica et genealogica (이탈리아어(語)) 2 illurat판(版). Unit for Prosopographical Research, Linacre College, University of Oxford. 278쪽. ISBN   9781900934022 .  
  11. K.L.M. (1996). “Draped bust of Faustina the Elder (aureus of Antoninus Pius)” . 《Bearers of Meaning: The Ottilia Buerger Collection of Ancient and Byzantine Coins at Lawrence University》 . 2015년(年) 9월(月) 21일(日)에 확인(確認)함 .  
  12. “Faustina Senior” . 《FORVM ANCIENT COINS》 . 2015년(年) 9월(月) 21일(日)에 확인(確認)함 .  
  13. Beckmann (2012) , 83쪽. 그의 이름은 이 주화(鑄貨)들에 ΓΑΛΕΡΙΟ? ΑΝΤ?ΝΙΝΟ? (갈레리오스 안토니오스)라 나타나 있다.
  14. Historia Augusta : Antoninus Pius 3.7 (the original phrase is nimiam libertatem et uiuendi facilitatem ). Levick (2014) , 79?80쪽, analyzes this passage with some scepticism. The Historia Augusta ’s reliability as a historical source is considered to be patchy (see the caveats in, for example The Cambridge History of Classical Literature: Volume 2, Latin Literature, Part 5, The Later Principate , E. J. Kenney, Wendell Vernon Clausen, pp. 43, 45, 케임브리지 대학교(大學校) 출판부(出版部) , 1983, ISBN   0521273714 ; or at Jona Lendering. “Historia Augusta” . 2016년(年) 11월(月) 16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15년(年) 9월(月) 21일(日)에 확인(確認)함 .   ).
  15. 안토니누스 피우스는 파우스티나 없이 팔라티노 언덕에서 사는 것보다 기아(起亞)로스섬 에서 그녀(그女)와 같이 귀양살이를 하는 게 낫다고 천명(闡明)한 바 있다. 하지만 Fronto의 ad Antoninum Pium 2.2. 에서 '친애(親愛)하는 파우스티나'는 피우스의 딸 을 나타낸 것 일 수 있다. Levick (2014) , 60?61쪽.
  16. Levick (2014) , 57쪽.
  17. Bergmann & Watson (1999) , 10, 16쪽.
  18. Levick (2014) , 122쪽.
  19. Levick (2014) , 122쪽. The inscription in question is 《 CIL X, 1643 .
  20. Beckmann (2012) , 22쪽.
  21. Claire Rowan, ‘Communicating a consecratio: the deification coinage of Faustina I’, in: N. Holmes (ed.), Proceedings of the XIV International Numismatic Congress Glasgow, vol. 1 , Glasgow (2012), 991.
  22. HA Pius 6.7.
  23. Beckmann (2012) , 32?33쪽.
  24. Richard D. Weigel. “Antoninus Pius” . 《De Imperatoribus Romanis: An Online Encyclopedia of Roman Emperors》 . 2015년(年) 9월(月) 21일(日)에 확인(確認)함 .  
  25. James Grout (n.d.). “Mausoleum of Hadrian” . 《Encyclopædia Romana》 . 2015년(年) 11월(月) 12일(日)에 확인(確認)함 .  
  26. Paul von Rohden (1894). 〈Annius 120〉 . 《 Realencyclopadie der Classischen Altertumswissenschaft 》.  
  27. “Faustina I (138?141, and later deification coins)” . 《Roman Provincial Coinage Online》. 2015. 2013년(年) 3월(月) 5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15년(年) 9월(月) 21일(日)에 확인(確認)함 .  
  28. Beckmann (2012) , 75쪽. ΦΑΥΣΤΙΝΑ이라는 철자(綴字)가 알렉산드리아에서 사용(使用)되었으며, 동방(東方) 에서는 ΦΑΥΣΤΕΙΝΑ가 쓰였다. 델포이에서는 두 철자(綴字)가 모두 발견(發見)된다.
  29. Beckmann (2012) , 81쪽.
  30. Beckmann (2012) , 23?27쪽.
  31. Beckmann (2012)은 피에타스와 아이테르니타스 등(等)을 파우스티나의 신격화(神格化)에서 영적(靈的) 측면(側面)을 연상시키는 것이라고 생각했다 (p. 19).
  32. Beckmann (2012) , 23, 28?30쪽.
  33. Bergmann & Watson (1999) , 17?18쪽.
  34. Bergmann & Watson (1999) , 6쪽.
  35. “Head of Roman empress unearthed” . 《BBC News》. 2008년(年) 8월(月) 14일(日) . 2015년(年) 9월(月) 24일(日)에 확인(確認)함 .  
  36. Bergmann & Watson (1999) , 11쪽.
  37. Beckmann (2012) , 91쪽.
  38. Beckmann (2012) , 85?86쪽. 현재(現在)는 카피톨리노 박물관(博物館)에 전시(展示) 중(中)이다 .
  39. Freisenbruch (2010) , 209쪽.
  40. 따라서 Beckmann (2012) , 36?37쪽은 오스티아의 비문(碑文)에서 입증(立證) (《 CIL XIV, 5326 ).
  41. Beckmann (2012) , 37쪽에서는 카시우스 디오 ( Roman History 72.31.1)가 베누스와 데아 로마 신전(神殿) 지구(地球)에서 행(行)해지던 로마의 관습(慣習)이 안토니누스 피우스와 대 파우스티나보다는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소 파우스티나 와 관련(關聯)이 있다고 설명(說明)한 것이 실수(失手)였을 수도 있다고 한다.
  42. Beckmann (2012) , 19쪽.
  43. Beckmann (2012) , 46쪽.
  44. Levick (2014) , 123?124쪽.
  45. Beckmann (2012) , 44쪽.
  46. Beckmann (2012) , 48쪽.
  47. Beckmann (2012) , 67쪽.
  48. Beckmann (2012) , 50쪽.
  49. Beckmann (2012) , 62쪽.
  50. Levick (2014) , 127쪽.
  51. Beckmann (2012) , 71쪽.
  52. Bergmann & Watson (1999) , 14쪽.
  53. Beckmann (2012) , 63?64쪽.
  54. Freisenbruch (2010) , 210쪽.
  55. Archaeological Site of Eleusis-Temple of Faustina
  56. Bergmann & Watson (1999) , 12?13쪽.

참고(參考) 문헌(文獻) [ 편집(編輯) ]

틀:Americana Poster

  • Beckmann, Martin (2012). 《Diva Faustina: coinage and cult in Rome and the provinces》. New York: American Numismatic Society.  
  • Bergmann, Bettina; Watson, Wendy M. (1999). 《The Moon and the Stars: Afterlife of a Roman Empress》. South Hadley, Massachusetts: Mount Holyoke College Art Museum.  
  • Freisenbruch, Annelise (2010). 《The First Ladies of Rome: The Women Behind the Caesars》. London: Jonathan Cape.  
  • Lendering, Jona (2015) [2007]. “Faustina I” . 《Livius.org》. 2013년(年) 7월(月) 2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15년(年) 9월(月) 21일(日)에 확인(確認)함 .  
  • Levick, Barbara (2014). 《Faustina I and II: Imperial Women of the Golden Age》.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537941-9 .  
  • Weigel, Richard D. (1998). “Antoninus Pius” . 《De Imperatoribus Romanis: An Online Encyclopedia of Roman Emperors》 . 2015년(年) 9월(月) 21일(日)에 확인(確認)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