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대홍단군(大紅湍郡) -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본문(本文)으로 이동(移動)

대홍단군(大紅湍郡)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대홍단군(大紅湍郡)
대홍단군의 위치
대홍단군(大紅湍郡)의 위치(位置)
현황(現況)
국가(國家)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면적(面積) 680.9 km 2
총인구(總人口) 35,596 [1] 명(名) (2008)
읍(邑) 1개(個)

대홍단군(大紅湍郡) (大紅湍郡)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량강도(兩江道) 의 동북단(東北端)에 위치(位置)하는 군(郡)이다.

지리 [ 편집(編輯) ]

두만강(豆滿江) 상류(上流)에 위치(位置)한다. 서쪽(西쪽)으로 삼지연군(三池淵郡) , 남쪽(南쪽)으로 운흥군(雲興郡) · 백암군(白巖郡) , 동남쪽(東南쪽)으로 갑산군(甲山郡) 과 경계(境界)를 접(接)한다.

백무고원(百無高原)의 북서쪽(北西쪽) 가장자리에 위치(位置)하고 최고봉(最高峯)은 장청산(1,526m)이다. 전체(全體) 면적(面積)의 91%가 산림(山林)이다. 내륙(內陸)에 위치(位置)해 있어 겨울이 추운 대륙성(大陸性) 기후(氣候)를 띤다.

역사(歷史) [ 편집(編輯) ]

일제강점기(日帝强占期) 에는 함경북도(咸鏡北道) 무산군 의 일부(一部)였다. 대홍단군(大紅湍郡)은 1978년(年)에 신설(新設)된 행정(行政) 구역(區域)이다.

1939년(年), 김일성(金日成) 이 인솔(引率)하는 동북항일연군 의 한 부대(部隊)는 만주(滿洲) 로부터 이 곳에 잠입(潛入)해, 6월(月)에 대홍단(大紅段)에서 일본(日本) 군부대(軍部隊)와 교전(交戰)했다고 한다. 북조선(北朝鮮)에서는 이것을 '무산지구전투(巫山地區戰鬪)'라 부르고 있다. 이 전투(戰鬪)는 김일성이 지도(指導)하는 조선인민혁명군(朝鮮人民革命軍) 의 승리(勝利)로 여겨져 '무산지구전투(巫山地區戰鬪) 승리(勝利) 기념탑(記念塔)'이 세워졌다. 또 김일성이 거점(據點)을 둔 '청봉 숙영지(宿營地)'주변(周邊)에는 1961년(年)에 당시(當時)의 선전문구(宣傳文句)가 기록(記錄)된 서있는 나무가 발견(發見)되었다고 여겨져, 이것을 유리(琉璃) 케이스로 보호(保護)해 보존(保存)하는 등(等), 백두산(白頭山) 주변(周邊)의 '혁명(革命)의 성지(聖地)'의 하나로서 축조(築造)·정비(整備)가 행(行)해지고 있다.

  • 1978년(年) 8월(月) - 량강도(兩江道) 5호(號) 지구(地球), 량강도(兩江道) 삼지연군(三池淵郡)의 대(臺)홍단로동지구(同志求), 함경북도(咸鏡北道) 연사군(延社郡) 의 일부(一部)를 아울러 대홍단군(大紅湍郡)이 편성(編成)되었다.
  • 1990년(年) 6월(月) - 원봉로동자구(元俸勞動者區)가 백암군(白巖郡)에 편입(編入)되었다.

산업(産業) [ 편집(編輯) ]

대홍단군(大紅湍郡)은 감자 로 유명(有名)한 곳이며 감자의 산지(山地)이다. 1998년(年) 김정일(金正日)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방위원장(國防委員長)의 현지지도(現地指導) 에 의(依)해서 감자연구소(硏究所)가 설립(設立)되었고 [2] , 감자 품종(品種)의 육종(肉腫)을 거듭하면서 심각(深刻)한 식량(食糧) 문제(問題)를 해결(解決)하기 위한 감자 생산법인(生産法人) '대(臺)홍단식 과학농법(科學農法)'이(李) 확립(確立)되었다. [3] [4] 그밖에 보리 , , 이 재배(栽培)되고 돼지 등(等) 가축(家畜) 또한 사육(飼育)된다. 벌목(伐木) 또한 지역(地域)의 중요(重要)한 산업(産業)이다.

교통(交通) [ 편집(編輯) ]

2008년(年) 말(末) 현재(現在) 혜산시 와 이어지는 버스 가 1일(日) 1회(回) 2004년(年) 부터 운행(運行)하고 있으며, 버스 요금(料金)이 1인당(人當) 북한(北韓) 돈 1만(萬) 2천(千)원 정도(程度)이므로 주민(住民)들은 잘 이용(利用)하지 못한다고 전(傳)해진다. [5] 도로(道路) 는 비포장도로(非鋪裝道路)가 많다. 철도(鐵道)는 없다.

문화(文化) [ 편집(編輯) ]

대홍단군(大紅湍郡)에서 생산(生産)되는 감자와 관련(關聯)된 《 대홍단(大紅團) 감자 》라는 《동요(童謠) 가 있으며, 그 노래를 부른 아이가 총살당하였다는 루머가 돈 적이 있다. [6] 김정일의 영향(影響)으로 군내(郡內)에는 '대홍(大紅)이'와 '홍단(紅短)이'라는 이름을 가진 소년소녀(少年少女)들이 많다고 한다. [7]

행정(行政) 구역(區域) [ 편집(編輯) ]

1읍(邑) 9구(句)로 구성(構成)된다.

  • 대홍(大紅)단읍 (大紅湍邑)
  • 삼장로동자구(三藏勞動者區) (三長勞動者區)
  • 삼봉로동자구(三峯勞動者區) (三峰勞動者區)
  • 신덕로동자구(勞動者區) (新德勞動者區)
  • 서두로동자구(書頭勞動者區) (西頭勞動者區)
  • 농사로동자구(農事勞動者區) (農事勞動者區)
  • 신흥로동자구(新興勞動者區) (新興勞動者區)
  • 홍암로동자구(弘巖勞動者區) (紅岩勞動者區)
  • 유곡로동자구(幽谷勞動者區) (楡谷勞動者區)
  • 개척로동자구(開拓勞動者區) (開拓勞動者區)

같이 보기 [ 편집(編輯) ]

각주(各州) [ 편집(編輯) ]

외부(外部) 링크 [ 편집(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