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대한민국(大韓民國) U-20 축구(蹴球) 국가대표(國家代表)팀 -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본문(本文)으로 이동(移動)

대한민국(大韓民國) U-20 축구(蹴球) 국가대표(國家代表)팀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대한민국(大韓民國) U-20
별칭(別稱) 아주청소년축구(靑少年蹴球) [1]
태극전사(太極戰士) , 아시아 호랑이(虎狼이)
협회(協會) 대한축구협회
대륙(大陸) 연맹(聯盟) 아시아 축구(蹴球) 연맹(聯盟)
감독(監督) 이창원
최다(最多) 출전자(出戰者) 조영욱 (45경기(競技))
최다(最多) 득점자(得點者) 조영욱 (21골)
FIFA 코드 KOR
첫 국제(國際) 경기(競技) 출전(出戰)
파라과이 3 ? 0 대한민국(大韓民國)
FIFA U-20 월드컵
출전(出戰) 횟수(回數) 16회(回) ( 1979년(年) 에 처음 출전(出戰))
최고(最高) 성적(成跡) 준우승(準優勝) ( 2019년(年) )
AFC U-20 아시안컵
출전(出戰) 횟수(回數) 38회(回) ( 1959년(年) 에 처음 출전(出戰))
최고(最高) 성적(成跡) 우승(優勝) (12회(回))
1959년(年) ? 1960년(年) ? 1963년(年) ? 1978년(年) ? 1980년(年)
1982년(年) ? 1990년(年) ? 1996년(年) ? 1998년(年) ? 2002년(年)
2004년(年) ? 2012년(年)

대한민국(大韓民國) U-20 축구(蹴球) 국가대표(國家代表)팀 대한민국(大韓民國) 을 대표(代表)하는 20세(歲) 이하(以下) 축구(蹴球) 국가대표(國家代表)팀이다.

역사(歷史) [ 편집(編輯) ]

FIFA U-20 월드컵 [ 편집(編輯) ]

1979년(年) 대회(大會) 첫 출전(出戰)을 시작(始作)으로 현재(現在)까지 16번(番)의 U-20 월드컵 본선(本選)에 출전(出戰)하여 이 중(中) 2019년(年) 대회(大會) 에서 준우승(準優勝)을 차지하며 종전(從前) 최고(最高) 성적(性的)인 1983년(年) 대회(大會) 4강(講)을 뛰어넘어 FIFA 주관(主管) 남자(男子) 대회(大會) 역대(歷代) 최고(最高) 성적(成跡)을 거두었고 그 다음 대회(大會)인 2023년(年) 대회(大會) 본선(本選)에도 출전(出戰)하여 2회(回) 연속(連續)이자 FIFA 주관(主管) 남자(男子) 대회(大會) 통산(通算) 5번째(番째) 4강(强) 신화(神話)를 만들었다.

AFC U-20 아시안컵 [ 편집(編輯) ]

39번(番)의 AFC U-20 아시안컵 본선(本選) 가운데 불참(不參)을 선언(宣言)했던 1975년(年) 대회(大會)를 제외(除外)한 38번(番)의 대회(大會)에 모두 출전(出戰)하여 이 중(中) 무려(無慮) 12번(番)의 대회(大會)에서 우승컵(優勝컵)을 들어올렸고 5번(番)의 대회(大會)에서 준우승(準優勝)을 차지하면서 현재(現在)까지도 이 대회(大會) 최다(最多) 우승(優勝) 기록(記錄)을 가지고 있다.

대회별(大會別) 주요(主要) 성적(成績) [ 편집(編輯) ]

대륙(大陸) 선수권(選手權) 대회(大會) [ 편집(編輯) ]

우승(優勝) (12, 최다(最多) 기록(記錄)) : 1959 , 1960 , 1963 , 1978 , 1980 , 1982 , 1990 , 1996 , 1998 , 2002 , 2004 , 2012
준우승(準優勝) (5) : 1962 , 1971 , 1972 , 1992 , 2018
3위(位) (9) : 1968 , 1970 , 1973 , 1974 , 1976 , 2006 , 2008 , 2010 , 2023
4위(位) (1) : 1964

세계(世界) 선수권(選手權) 대회(大會) [ 편집(編輯) ]

2위(位) (1) : 2019
4위(位) (2) : 1983 , 2023

대회별(大會別) 기록(記錄)과 통계(統計) [ 편집(編輯) ]

대륙(大陸) 선수권(選手權) 대회(大會) [ 편집(編輯) ]

AFC U-20 아시안컵 [ 편집(編輯) ]

AFC U-20 아시안컵 FIFA U-20 월드컵 아시아 지역(地域) 예선(豫選) 역할(役割)을 한다. 우승(優勝)* 은 공동(共同) 우승(優勝)을 나타낸다.

AFC U-20 아시안컵 기록(記錄)
연도(鳶島) 결과(結果) 순위(順位) 경기(京畿) 승(勝) 패(牌) 득점(得點) 실점(失點) 승점(勝點)
말라야 연방 1959년(年) 결선(決選)리그 우승(優勝) 4 4 0 0 8 3 12
말라야 연방 1960년(年) 결승전(決勝戰) 우승(優勝) 4 4 0 0 16 4 12
태국 1961년(年) 조별(組別)리그 6위(位) 5 1 3 1 9 6 6
태국 1962년(年) 결승전(決勝戰) 준우승(準優勝) 5 3 1 1 14 2 10
말라야 연방 1963년(年) 결승전(決勝戰) 우승(優勝)* 6 4 2 0 16 6 14
베트남 공화국 1964년(年) 준결승전(準決勝戰) 4위(位) 4 2 0 2 4 9 6
일본 1965년(年) 조별(組別)리그 9위(位) 4 1 0 3 4 5 3
필리핀 1966년(年) 8강전(强戰) 7위(位) 3 1 1 1 5 2 4
태국 1967년(年) 조별(組別)리그 9위(位) 3 1 1 1 8 7 4
대한민국 1968년(年) 준결승전(準決勝戰) 3위(位) 7 5 2 0 18 4 17
태국 1969년(年) 8강전(强戰) 5위(位) 4 2 0 2 9 4 6
필리핀 1970년(年) 준결승전(準決勝戰) 3위(位) 6 4 0 2 11 3 12
일본 1971년(年) 결승전(決勝戰) 준우승(準優勝) 6 2 3 1 8 5 9
태국 1972년(年) 결승전(決勝戰) 준우승(準優勝) 6 4 1 1 8 3 13
이란 1973년(年) 준결승전(準決勝戰) 3위(位) 6 3 2 1 5 1 11
태국 1974년(年) 준결승전(準決勝戰) 3위(位) 6 5 0 1 11 7 15
쿠웨이트 1975년(年) 대회(大會) 불참(不參)
태국 1976년(年) 준결승전(準決勝戰) 3위(位) 6 3 1 2 7 3 10
이란 1977년(年) 8강전(强戰) 6위(位) 4 1 3 0 3 0 6
방글라데시 1978년(年) 결승전(決勝戰) 우승(優勝)* 6 3 3 0 12 3 12
태국 1980년(年) 결선(決選)리그 우승(優勝) 4 3 1 0 9 3 10
태국 1982년(年) 결선(決選)리그 우승(優勝) 3 2 1 0 7 2 7
아랍에미리트 1985년(年) 예선(豫選) 탈락(脫落)
사우디아라비아 1986년(年) 조별(組別)리그 5위(位) 3 1 1 1 9 2 10
카타르 1988년(年) 조별(組別)리그 5위(位) 3 1 1 1 3 2 4
인도네시아 1990년(年) 결승전(決勝戰) 우승(優勝) 5 2 3 0 3 1 9
아랍에미리트 1992년(年) 결승전(決勝戰) 준우승(準優勝) 6 4 0 2 18 10 12
인도네시아 1994년(年) 조별(組別)리그 5위(位) 4 1 2 1 7 6 5
대한민국 1996년(年) 결승전(決勝戰) 우승(優勝) 6 6 0 0 18 3 18
태국 1998년(年) 결승전(決勝戰) 우승(優勝) 6 4 2 0 12 6 14
이란 2000년(年) 조별(組別)리그 5위(位) 4 2 1 1 11 3 7
카타르 2002년(年) 결승전(決勝戰) 우승(優勝) 6 5 1 0 13 1 16
말레이시아 2004년(年) 결승전(決勝戰) 우승(優勝) 6 3 2 1 11 7 11
인도네시아 2006년(年) 준결승전(準決勝戰) 3위(位) 6 5 1 0 19 3 16
사우디아라비아 2008년(年) 준결승전(準決勝戰) 3위(位) 5 3 0 2 7 3 9
중국 2010년(年) 준결승전(準決勝戰) 3위(位) 5 3 1 1 6 4 10
아랍에미리트 2012년(年) 결승전(決勝戰) 우승(優勝) 6 4 2 0 11 4 14
미얀마 2014년(年) 조별(組別)리그 11위(位) 3 1 1 1 7 2 4
바레인 2016년(年) 조별(組別)리그 9위(位) 3 2 0 1 6 4 6
인도네시아 2018년(年) 결승전(決勝戰) 준우승(準優勝) 6 4 1 1 12 6 13
우즈베키스탄 2020년(年) 예선(豫選) 통과(通過)했으나 코로나19 범유행(汎流行) 으로 인하여 대회(大會)가 취소(取消)됨
우즈베키스탄 2023년(年) 준결승전(準決勝戰) 3위(位) 5 3 2 0 9 1 11
합계(合計) 39회(回) 진출(進出) (39/41) 우승(優勝) (12회(回)) 190 112 46 32 376 150 382

세계(世界) 선수권(選手權) 대회(大會) [ 편집(編輯) ]

FIFA U-20 월드컵 [ 편집(編輯) ]

FIFA U-20 월드컵 기록(記錄)
연도(鳶島) 결과(結果) 순위(順位) 경기(京畿) 승(勝) 패(牌) 득점(得點) 실점(失點) 승점(勝點)
튀니지 1977년(年) 대회(大會) 불참(不參)
일본 1979년(年) 조별(組別)리그 9위(位) 3 1 1 1 1 3 4
오스트레일리아 1981년(年) 조별(組別)리그 11위(位) 3 1 0 2 4 5 3
멕시코 1983년(年) 준결승전(準決勝戰) 4위(位) 6 3 0 3 8 9 9
소련 1985년(年) 예선(豫選) 탈락(脫落)
칠레 1987년(年)
사우디아라비아 1989년(年)
포르투갈 1991년(年) 남북(南北) 단일팀(單一팀)으로 참가(參加)
8강전(强戰) 8위(位) 4 1 1 2 3 7 4
오스트레일리아 1993년(年) 조별(組別)리그 10위(位) 3 0 3 0 4 4 3
카타르 1995년(年) 예선(豫選) 탈락(脫落)
말레이시아 1997년(年) 조별(組別)리그 22위(位) 3 0 1 2 5 14 1
나이지리아 1999년(年) 조별(組別)리그 19위(位) 3 1 0 2 5 6 3
아르헨티나 2001년(年) 예선(豫選) 탈락(脫落)
아랍에미리트 2003년(年) 16강전(强戰) 16위(位) 4 1 0 3 3 5 3
네덜란드 2005년(年) 조별(組別)리그 17위(位) 3 1 0 2 3 5 3
캐나다 2007년(年) 조별(組別)리그 18위(位) 3 0 2 1 4 5 2
이집트 2009년(年) 8강전(强戰) 6위(位) 5 2 1 2 9 6 7
콜롬비아 2011년(年) 16강전(强戰) 13위(位) 4 1 1 2 3 4 4
튀르키예 2013년(年) 8강전(强戰) 8위(位) 5 1 3 1 8 8 6
뉴질랜드 2015년(年) 예선(豫選) 탈락(脫落)
대한민국 2017년(年) 16강전(强戰) 10위(位) 4 2 0 2 6 5 6
폴란드 2019년(年) 결승전(決勝戰) 준우승(準優勝) 7 4 1 2 9 8 13
아르헨티나 2023년(年) 준결승전(準決勝戰) 4위(位) 7 3 2 2 10 10 11
합계(合計) 16회(回) 진출(進出) (16/23) 준우승(準優勝) (1회(回)) 67 22 16 29 84 104 82
  • 전적(全的) 우세(優勢): 아르헨티나(3승(勝)), 말리(2승(勝)), 독일(獨逸), 남아프리카공화국(각(各) 1승(勝) 1무(無)), 캐나다, 이탈리아, 멕시코, 호주(濠洲), 쿠바, 기니, 에콰도르(각(各) 2승(勝))
  • 전적(全的) 호각세(互角勢): 미국(美國)(1승(勝) 2무(無) 1패(敗)), 우루과이, 나이지리아, 일본(日本)(각(各) 1승(勝) 1패(敗)), 아일랜드, 터키, 스페인, 이라크, 세네갈(각(各) 1무(無))
  • 전적(全的) 열세(劣勢): 파라과이(1승(勝) 2패(敗)), 포르투갈(2무(無) 4패(敗)), 폴란드, 콜롬비아, 잉글랜드(각(各) 1무(無) 1패(敗)), 브라질(6패(敗)), 프랑스(1승(勝)2패(敗)), 루마니아, 스코틀랜드, 스위스, 카메룬, 가나, 우크라이나(각(各) 1패(敗))

코칭스태프 [ 편집(編輯) ]

2023년(年) 6월(月) 12일(日) 기준(基準)

직위(職位) 이름 비고(備考)
감독(監督) 이창현 (임시(臨時))
수석(首席) 코치 김태민
코치 이창현
골키퍼 코치 차상광
피지컬 코치 이거성

같이 보기 [ 편집(編輯) ]

각주(各州) [ 편집(編輯) ]

  1. “선수(選手) 34명(名) 선발(選拔) 아주청소년축구(靑少年蹴球)” . 경향신문(京鄕新聞). 1958년(年) 12월(月) 18일(日).  

외부(外部) 링크 [ 편집(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