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종상(大鐘賞)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대종상(大鐘賞)
주최(主催) 한국영화인총연합회(韓國映畫人總聯合會)
나라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大韓民國)
첫 시상(施賞) 1962년(年)
웹사이트 공식(公式)사이트

대종상(大鐘賞) (大鐘賞, Grand Bell Awards)은 대한민국(大韓民國) 의 영화상(映畫賞)이다. 한국영화인총연합회(韓國映畫人總聯合會) 가 주최(主催)한다. 원래(元來) 대한민국(大韓民國) 정부(政府)가 주관(主管)하였다가, 1992년(年)에 민간(民間)으로 이관(移管)되었다. 대종상(大鐘賞) 트로피는 영화(映畫) 시상식(施賞式)을 상징(象徵)하는 에밀레종(에밀레鐘) 을 두 남녀(男女)가 떠받치고 있는 모양(模樣)으로 조각됐다. 대종상(大鐘賞) 영화제(映畫祭)이나 대종상(大鐘賞) 시상식(施賞式)이 합당(合當)한 표기(表記)라는 주장(主張)이 있다.

발자취 [ 편집(編輯) ]

대한민국(大韓民國)의 대표적(代表的)인 영화(映畫) 시상식(施賞式)으로 1962년(年) 제(第)1회(回)를 개최(開催)하여 지금(只今)까지 이어지고 있다. 70~80년대(年代)에는 반공(反共)과 국가(國家) 정책(政策)을 홍보(弘報)하는 성향(性向)이 주류(主流)을 이루었던 영화(映畫)가 주로(主로) 수상(水上)되었다. 이후(以後) 다양한 영화(映畫) 장르의 등장(登場)과 더불어 많은 변화(變化)를 가져왔는데, 특히(特히) 1992년(年) 정부(政府) 주도(主導)에서 민간(民間) 주도(主導)로 바뀌며 진정(眞正)한 영화인(映畫人)의 축제(祝祭)로 자리잡게 되었다. 또한 과거(過去)에는 심사(審査) 기준(基準)이 작품성(作品性)에 치중(置重)되었으나, 점차(漸次) 매스컴과 일반(一般) 관객(觀客)의 다양한 관점(觀點)이 많이 반영(反映)되었다. [1]

다음은 대종상(大鐘賞)의 간략(簡略)한 역사(歷史)이다. [2]

  • 1958년(年) 당시(當時) 문교부 (현(現) 교육부(敎育部) )에서 "국산(國産) 영화상(映畫上)"이(李) 제정(制定)되었다.
  • 1961년(年) 주관(主管) 기관(機關)을 공보부(公報部) (현(現) 문화(文化)관광부 )로 옮기면서 1961년(年) "대종상(大鐘賞)"으로 명칭(名稱)을 변경(變更)하였다.
  • 1962년(年) 제(第)1회(回) 대종상(大鐘賞) 시상식(施賞式)이 열렸다.
  • 1969년(年) 제(第)8회(回), 시상식(施賞式) 명칭(名稱)을 "대한민국(大韓民國) 문화(文化) 예술상(藝術賞) (영화(映畫) 부문(部門))"으로 변경(變更)하였다.
  • 1971년(年) 제(第)10회(回), 다시 "대종상(大鐘賞)"으로 명칭(名稱)을 변경(變更)하였다.
  • 1998년(年) IMF 경제(經濟) 위기(危機)로 인해 열리지 못하고, 이듬해 4월(月)에 36회(回) 시상식(施賞式)이 열렸다. [3]
  • 2013년(年) 영화발전공로상(映畫發展功勞賞) 수상자(受賞者)에게는 각(各) 3백만(百萬)원씩, 신인감독상(新人監督賞) 수상자(受賞者)에게는 창작지원(創作支援) 및 격려금(激勵金)으로 1천만(千萬)원의 시상금(施賞金)이 전달(傳達)됐다. [4]
  • 2016년(年) 대종상(大鐘賞)은 KBS2에서 중계(中繼)를 안 하고 케이블채널인 K-STAR 에서 방송(放送)되었다.
  • 2017년(年) 케이블 종합편성(綜合編成)채널인 TV조선 에서 방송(放送)되었다.
  • 2019년(年) 영화(映畫) 시상(施賞) 방식변경(方式變更)으로 인해 이듬해 2~3월(月)에 개최(開催)될 예정(豫定)이다.
  • 2020년(年) 신종(新種) 코로나바이러스 범유행(汎流行)으로 인(因)해 시상식(施賞式) 연기(延期)

역대(歷代) 수상작(受賞作) [ 편집(編輯) ]

시상식(施賞式) 목록(目錄) [ 편집(編輯) ]

기타 [ 편집(編輯) ]

  • 지하철(地下鐵) 3, 4호선(號線) 충무로역(忠武路驛) 안에는 대종상(大鐘賞) 도안(圖案)과 수상자(受賞者)의 사진(寫眞)이 있다.
  • 1966년(年) 제(第)5회(回)부터 반공(反共) 관련(關聯) 영화상(映畫上) (우수(優秀) 반공(反共) 영화상(映畫上), 반공(反共) 영화(映畫) 각본상(脚本賞) 등(等))을 수여(授與)하였는데, 1985년(年) 제(第)24회(回)를 마지막으로 더 이상(以上) 수여(授與)하지 않았다. [5]
  • 1966년(年) 부터 외화(外貨) 수입(輸入) 자유화(自由化)가 된 1980년(年) 대(臺)까지 대종상(大鐘賞)을 타면 부상(負傷)으로 외화(外貨) 수입(輸入) 쿼터를 주었다. [6]
  • 1988년(年) 은 주최측(主催側) 사정(事情)으로 인해 연기(延期)되었다.
  • 1998년(年) 대종상(大鐘賞) 시상식(施賞式)은 협찬사(協贊社) 쌍방울의 법정(法定) 관리(管理)로 인하여 개최(開催)하지 못하였다.
  • 2019년(年) 은 시상일정(施賞日程)의 변경(變更)으로 개최(開催)되지 못했다.
  • 2020년(年) 은 코로나바이러스 여파(餘波)로 무관중(無觀衆)으로 대체(代替)되었다.

논란(論難) [ 편집(編輯) ]

대종상(大鐘賞) 명칭(名稱) 논란(論難) [ 편집(編輯) ]

"대종상(大鐘賞) 시상식(施賞式)"을 "대종상(大鐘賞) 영화제(映畫祭)"라 공식(公式) 표기(表記)하는 데에 문제(問題)가 지적(指摘)되어 오고 있다. "영화제(映畫祭)"(Film Festival)와 "영화(映畫) 시상식(施賞式)"(Film Award)은 엄연히(儼然히) 다른 개념(槪念)임에도 불구(不拘)하고, 영어(英語)로는 "Award"로 제대로 표기(表記)하면서 한국어(韓國語)로는 명칭(名稱) 말미(末尾)에 "영화제(映畫祭)"를 붙여 오고 있다. 대신(代身) 2007년(年) 44회(回) 대종상(大鐘賞) 때는 "대종상(大鐘賞) 영화(映畫) 축제(祝祭)"(Daejongsang Film Festival)라는 명칭(名稱)으로 시상식(施賞式)과는 상관없는, 별도(別途)의 행사(行事)를 다른 장소(場所)에 마련해 오고 있기도 하다. [7] [8]

2015년(年) 대종상(大鐘賞) 논란(論難) [ 편집(編輯) ]

최근(最近) 대종상(大鐘賞) 투표(投票)어플이 새로 생겨났는데 건당(件當) 200원의 유료(有料) 수수료(手數料) 투표(投票)와 본상(本賞) 수상(受賞) 인기(人氣)몰이 투표(投票) 또한 논란(論難)이 되고있다. 1차투표(次投票) 당시(當時) 후보(候補)에 들지 못했던 배우(俳優)가 2차투표(次投票)에서 갑자기 투표율(投票率)이 상승(上昇)하는듯 조작(造作)의 여지(餘地)가 있다. 2015년(年) 대종상(大鐘賞)의 경우(境遇) 대리수상(代理首相)을 인정(認定)하지 않겠다고 하자 남녀(男女) 주연상(主演賞) 후보(候補)들 전부(全部)가 불참선언(不參宣言)을 했었고, 결국(結局) 수상(受賞) 자체(自體)는 이루어졌지만 대부분(大部分)이 대리수상(代理首相)이 되어버렸으며, 결국(結局) 파행운영(跛行運營)이라는 문제제기(問題提起)가 되고 있다. [9]

2018년(年) 대종상(大鐘賞) 논란(論難) [ 편집(編輯) ]

신인(新人) 감독상(監督賞)을 비롯해, 남우주연상(男優主演賞), 여우주연상(女優主演賞), 여우조연상(女優助演賞), 조명상, 음악상(音樂賞), 편집상(編輯賞), 촬영상(撮影賞) 등(等) 다수(多數)의 수상자(受賞者)가 시상식(施賞式)에 불참(不參)해 관계자(關係者)가 대리수상(代理受賞)하는 모습이 연출(演出)되었다. 특히(特히) 음악상(音樂賞) 부문(部門)에서 《 남한산성(南漢山城) 》의 사카모토 류이치 가 수상자(受賞者)로 호명(呼名)됐을 때는 영화(映畫)와 관련(關聯) 없는 가수(歌手) 한사랑이 무대(舞臺)에 오르기도 했다. 그는 “가수(歌手) 겸(兼) 배우(俳優) 한사랑입니다”라고 인사(人事)하며 대리수상(代理受賞)을 했다. [10]

시청률(視聽率) [ 편집(編輯) ]

회차(廻車) 방송(放送)일 AGB 시청률(視聽率) [11]
1부(部) 2부(部)
46회(回) 2009년(年) 7.6% 10.2%
47회(回) 2010년(年) 7.9% 11.6%
48회(回) 2011년(年) 8.8% 11.7%
49회(回) 2012년(年) 5.4% 9.3%
50회(回) 2013년(年) 7.0% 6.2%
51회(回) 2014년(年) 9.4% 7.1%
52회(回) 2015년(年) 6.9% 5.1%

참고(參考) 자료(資料) [ 편집(編輯) ]

이 문서(文書)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 (현(現) 카카오 )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配布)한 글로벌 세계(世界)대백과사전 의 내용(內容)을 기초(基礎)로 작성(作成)된 글이 포함(包含)되어 있습니다.

같이 보기 [ 편집(編輯) ]

각주(各州) [ 편집(編輯) ]

  1. 예술(藝術)·스포츠·취미(趣味)/영화(映畫)/영화(映畫)의 감상(鑑賞)/세계(世界)의 주요영화제(主要映畫祭)/대종상(大鐘賞), 《글로벌 세계(世界) 대백과(大百科)》
  2. ““개혁(改革)은 조용히, 소리소문(所聞)없이” : 기사(記事) : 씨네21” . 2016년(年) 3월(月) 4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10년(年) 1월(月) 9일(日)에 확인(確認)함 .  
  3. 대종상(大鐘賞) 영화제(映畫祭) 4월(月) 8일(日) 국립(國立) 극장(劇場)서 개최(開催) [ 깨진 링크 ( 과거(過去) 내용(內容) 찾기 )] , 일간스포츠, 1999년(年) 2월(月) 12일(日).
  4. 최나영 (2013년(年) 11월(月) 3일(日)). “대종상(大鐘賞), 외관(外觀)과 내면 성숙(成熟)..의미(意味)있는 새출발(出發)” . 오센.  
  5. “대종상(大鐘賞) 역대(歷代) 수상작(受賞作)” . 2007년(年) 8월(月) 24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07년(年) 9월(月) 1일(日)에 확인(確認)함 .  
  6. “대종상(大鐘賞)의 역사(歷史)” . 2007년(年) 8월(月) 26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07년(年) 9월(月) 1일(日)에 확인(確認)함 .  
  7. 마흔번째(番째) 대종상영화제(大鐘賞映畫祭) 개막(開幕) 팡파르 : 기사(記事) : 씨네21 [ 깨진 링크 ( 과거(過去) 내용(內容) 찾기 )]
  8. “세계일보(世界日報) 기사(記事) - 아카데미 시상식(施賞式), 대종상(大鐘賞) 시상식(施賞式)” . 2007년(年) 5월(月) 20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10년(年) 1월(月) 9일(日)에 확인(確認)함 .  
  9. [1]
  10. 대종상(大鐘賞) 영화제(映畫祭), 올해도 줄줄이 대리수상(代理受賞)…남녀(男女) 주연상(主演賞) 수상자(受賞者)도 불참(不參)
  11. AGB 닐슨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 참조(參照). 유료(有料)플랫폼 가입(加入) 가구(家口) 기준(基準).

외부(外部) 링크 [ 편집(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