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대목왕후 -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본문(本文)으로 이동(移動)

대목왕후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대목왕후
大穆王后
고려(高麗) 광종(光宗)의 황후(皇后)
이름
이칭(異稱) 태목왕후(王后)(太穆王后)
시호 안정선명의정신경공평정예대목왕후
(安靜宣明懿正信敬恭平靜睿大穆王后)
신상정보(身上情報)
출생일(出生日) 미상(未詳)
사망일(死亡日) 미상(未詳)
가문(家門) 황주(黃州) 황보씨(皇甫氏)
부친(父親) 태조(太祖) 왕건(王建)
모친(母親) 신정왕후 황보씨(皇甫氏)
배우자(配偶者) 광종(光宗)
자녀(子女) 2남(男) 3녀(女)
경종(警鐘) , 효화태자(孝火太子) , 천추전부인(否認)
보화궁부인(寶貨宮夫人) , 문덕왕후
능묘(陵墓) 미상(未詳)

대목왕후 황보씨(皇甫氏) (大穆王后 皇甫氏, 생몰년(生沒年) 미상(未詳))는 고려(高麗) 의 제(第)4대(代) 국왕(國王)인 광종(光宗) 황후(皇后) 이다. 태조(太祖) 왕건(王建) 신정왕후 의 딸이며, 제(第)5대(代) 왕(王) 경종(警鐘) 의 모후(母后)이다. 성(姓)과 본관(本貫)은 외가(外家)를 따라 황주(黃州) 황보씨(皇甫氏)(黃州 皇甫氏)이며, 정식시호(正式諡號)는 안정선명의정신경공평정예대목왕후 (安靜宣明懿正信敬恭平靜睿大穆王后)이다. 태목왕후(王后) (太穆王后)라고도 한다 [1] .

생애(生涯) [ 편집(編輯) ]

태조(太祖) (太祖)와 신정왕후 (神靜王后)의 딸로 태어났으며, 이복(異腹)오빠인(人) 광종(光宗) (光宗)와 혼인(婚姻)한 뒤 그가 형(兄)인 정종(定宗) (定宗)의 선(線)위를 받아 보위(寶位)에 오르자 왕후(王后)가 되었다. 956년(年) , 광종(光宗) (光宗)이(李) 노비안검법(奴婢按檢法) (奴婢按檢法)을 만들어 노예제도(奴隸制度)의 폐단(弊端)을 시정(是正)하려 할 때 노예(奴隸)들이 주인(主人)을 멸시(蔑視)하고 배반하는 일이 자주 일어나자 노비안검법(奴婢按檢法) (奴婢按檢法)의 실시(實施)를 중지(中止)할 것을 광종(光宗) (光宗)에게 건의(建議)했으나 거부되었다. 사후(事後) 대목왕후라는 시호(諡號)가 추상(追上)되었고 광종(光宗) (光宗)의 사당(祠堂)에 합사(合祀)되었다.

이후(以後) 목종(穆宗) (穆宗) 5년(年) 4월(月)에 안정(安定)(安靜)이라는 시호(諡號)가 추상(追上)되었으며, 현종(顯宗) (顯宗) 5년(年) 3월(月)에는 선명(鮮明)(宣明), 18년(年) 4월(月)에는 의정(議政)(懿正)과 신경(神經)(信敬), 문종(文宗) (文宗) 10년(年) 10월(月)에는 공평(公平)(恭平), 고종(高宗) (高宗) 40년(年) 10월(月)에는 정예(精銳)(靜睿)라는 시호(諡號)가 추상(追上)되었다.

가족(家族) 관계(關係) [ 편집(編輯) ]

본가(本家)

대목왕후가 등장(登場)하는 작품(作品) [ 편집(編輯) ]

출처(出處) [ 편집(編輯) ]

  1. 《개성왕씨(開城王氏) 족보(族譜)》, 2009년(年) 10월(月) 18일(日) KBS《한국사(韓國史) 傳-천추태후(遷推太后)》편(篇)에서 확인(確認).

외부(外部) 링크 [ 편집(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