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대덕구(大德區) -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본문(本文)으로 이동(移動)

대덕구(大德區)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대덕구(大德區)
대덕구청
대덕구청(區廳)
기(基)
대덕구의 위치
대덕구의 위치(位置)
행정(行政)
국가(國家) 대한민국(大韓民國)
법정동(法定洞) 26 동(桐)
청사(廳舍) 소재지(所在地) 대전광역시(大田廣域市) 대덕구(大德區) 대전(大戰)로1033번길 20
단체장(團體長) 최충규 ( 국민의힘(國民의힘) )
국회의원(國會議員) 박정현(朴政賢) ( 더불어민주당(더불어民主黨) )
지리
면적(面積) 68.4km 2
인문(人文)
인구(人口) 175,264명(名) (2022년(年) 3월년(越年))
세대(世代) 79,934세대(世代) (2021 [1] 년(年))
지역(地域) 부호(富豪)
웹사이트 http://www.daedeok.go.kr/

대덕구(大德區) (大德區)는 대한민국(大韓民國) 대전광역시(大田廣域市) 북동부(北東部)에 있는 구(區) 이다. 대덕(大德)이라는 지명(地名)은 대전(大戰) 의 대(臺)(大)와 대전(大田)의 옛 지명(地名)인 회덕 의 덕(德)(德)을 합친 것이다. 이는 1935년(年) 대전읍(大戰邑) 이(二) 부(部)로 승격(昇格)됨에 따라 대전군 대덕군 으로 개편(改編)한 것에서 유래(由來)되었다.

대덕구(大德區)에는 경부선(京釜線) 호남선(湖南線) 이 분기(分岐)하는 대전조차장역(大戰操車場驛) [2] 이 위치(位置)해 있고, 금강(錦江) 이 흐르는 대전(大田)의 관문(關門)으로 신탄진역(驛) 이 있으며, 경부고속도로(京釜高速道路) 대전(大戰) 나들목 , 신탄진 나들목 경부고속도로(京釜高速道路) 호남고속도로지선(湖南高速道路地選) 의 분기점(分岐點)인 회덕 분기점(分岐點) 이 위치(位置)해 있는 교통(交通)의 중심지(中心地)이다.

대덕구의 동쪽(東쪽)에는 대청댐 이 위치(位置)하여 대전(大田)과 주변(周邊) 지역(地域)에 용수(用水)를 공급(供給)한다. KT&G , 한국수자원공사 등(等)의 본사(本社)가 위치(位置)하고, 대전(大田) 산업단지(産業團地)가 조성(造成)되어 있다. 주요(主要) 행정기관(行政機關)으로는 대전지방국세청(大田地方國稅廳) 이 있다. 구청(區廳) 소재지(所在地)는 오정동 이다.

역사(歷史) [ 편집(編輯) ]

대덕구의 중심(中心)인 회덕 부근(附近)
회덕읍지(邑誌)
  • 고려초기(高麗初期)에는 회덕현(縣)이라는 이름이 사용(使用)되었다. 고려(高麗) 현종(顯宗) 9년(年)(1018) 이후(以後)에는 공주(公主)의 속현(屬縣)으로 귀속(歸屬)되었다.
  • 조선초기(朝鮮初期) 태종(太宗) 13년(年)(1413)에 행정구역(行政區域) 개편(改編)에 따라 회덕은 충청도(忠淸道) 공주(公州)목에 속(屬)하는 회덕현(縣)이 되었다.
  • 1895년(年) 5월(月) 26일(日) 고종(高宗) 이 전국(全國)을 23부(部)로 나누면서 공주부 산하(傘下)에 회덕군 을 설치(設置)하였다.
  • 1914년(年) 4월(月) 1일(日) 회덕군, 진잠군, 공주군(公州郡) 유성면을 대전군 으로 통합(統合)하였다.
  • 1935년(年) 10월(月) 1일(日) 대전군 대전읍(大戰邑)이 대전부(大戰部)로 승격(昇格)되어 분리(分離)되고, 대전군을 대덕군 으로 개칭(改稱)하였다.
  • 1963년(年) 1월(月) 1일(日) 충청남도(忠淸南道) 대덕군 유천면, 회덕면 대화리, 오정리 및 용전리와 산내면 옥계리, 가오리, 삼정리 및 호동리가 대전시(大田市) 로 편입(編入)되었다. [3]
  • 1973년(年) 7월(月) 1일(日) 대덕군 북면(北面)이 신탄진읍(邑)으로, 유성면(儒城面)이 유성읍(柳城邑)으로 각각(各各) 승격(昇格)하였다. [4]
  • 1983년(年) 2월(月) 15일(日) 대덕군 유성읍(柳城邑) 일원(一圓), 구즉면 원촌리·문지리·전민리(前閔理) 및 용산리 일부(一部), 탄동면 신성리·가정리·도룡리·장동리·내동리·화암리·덕진리(德眞理)·하기리, 기성면 관저리(官邸리)·도안리·가수원리(歌手原理), 대덕군 진잠면(面) 내동리·교촌리·대정리·용계리·학하리가 대전시(大田市) 중구(中區) 에 편입(編入)되었고, 회덕면 일원(一員)이 동구(東區) 에 편입(編入)되었다. [5]
  • 1989년(年) 1월(月) 1일(日) 대전시(大田市)가 대전직할시(大田直轄市) 로 승격(昇格)하였다. 1읍(邑) 6면(面) 81법정리(法整理) 중(中) 진잠면(面) 남선리를 제외(除外)한 대덕군(大德軍)이 신설(新設)된 서구(西區), 중구(中區), 동구(東區), 대덕구(大德區), 유성구에 편입(編入)되어, 대덕군은 폐지(廢止)되었다. 기존(旣存)의 대전시(大田市) 동구(東區)에 속(屬)해 있던 대화동, 오정동과 회덕1동(棟), 회덕2동(棟), 신탄진 지역(地域)의 4개동(個棟)을 관할(管轄)하는 대덕구(大德區)를 설치(設置)하였다. [6] 동구(東區) 홍도동에 있던 대덕군청사(廳舍)가 대덕구청사(大德區廳舍)로 승계되었다. [7]
  • 1990년(年) 1월(月) 1일(日) 회덕2동(棟)을 회덕2동(洞)과 중리동(中里洞)으로 분동(分洞)하여 9개(個) 행정동(行政洞)이 됨. [8]
  • 1990년(年) 8월(月) 1일(日) 대덕구청사(大德區廳舍)를 비롯한 동구(東歐) 홍도동 일부지역(一部地域)이 대덕구 오정동으로 편입(編入)되었다. [9]
  • 1991년(年) 9월(月) 1일(日) 중리동(中里洞)을 중리동(中里洞)과 법동(法棟)으로 분동(分洞)하여 10개(個) 행정동(行政洞)이 됨. [10]
  • 1995년(年) 1월(月) 1일(日) 대전직할시(大田直轄市) 대덕구(大德區)를 대전광역시(大田廣域市) 대덕구(大德區)로 개칭(改稱). [11]
  • 1996년(年) 1월(月) 1일(日) 법동(法棟)을 법(法)1동(洞)과 법(法)2동(洞)으로 분동(分洞)하여 11개(個) 행정동(行政洞), 25개(個)의 법정동(法定洞)을 관할(管轄)함. [12]
  • 1997년(年) 12월(月) 26일(日) 신탄진동사무소(事務所) 관할구역내(管轄區域內)의 석봉동을 신탄진동으로 법정동(法定洞) 명칭변경(名稱變更). [13]
  • 2003년(年) 1월(月) 16일(日) 회덕1동(棟)을 회덕동으로 변경(變更), 회덕2동(棟)을 송촌동과 비래동으로 분동(分洞)하여 12개(個) 행정동(行政洞), 26개(個)의 법정동(法定洞)이 됨. [14]
  • 2007년(年) 8월(月) 13일(日) 세계(世界) 최초(最初)로 주민참여감사제(住民參與感謝祭)를 시행(施行)함.

행정(行政) 구역(區域) [ 편집(編輯) ]

대덕구의 행정(行政) 구역(區域) 은 12개(個) 행정동(行政洞), 25개(個) 법정동(法定洞)으로 구성(構成)되어 있다. 대덕구의 면적(面積)은 68.47km 2 이며, 2013년(年) 12월(月) 31일(日) 기준(基準) 인구(人口)는 77,420세대(世代), 206,391명(名)이다. [15]

대덕구의 행정구역(行政區域)
행정동(行政洞) 한자(漢字) 면적(面積) (km 2 ) 세대(世代) 인구(人口) (명(名))
오정동 梧井洞 3.08 7,872 18,040
대화동 大禾洞 3.16 3,930 9,306
회덕동 懷德洞 16.80 6,585 16,946
비래동 比來洞 3.35 6,859 18,828
송촌동 宋村洞 1.92 10,346 31,662
중리동(中里洞) 中里洞 1.50 10,118 23,297
신탄진동 新灘津洞 22.98 5,268 13,147
석봉동 石峰洞 1.23 4,631 12,875
덕암동 德岩洞 6.23 6,418 16,815
목상동 木上洞 5.78 2,983 7,452
법(法)1동(棟) 法1洞 0.77 5,612 14,140
법(法)2동(棟) 法2洞 1.86 6,978 19,545
대덕구(大德區) 大德區 68.66 77,600 202,053

인구(人口) [ 편집(編輯) ]

연도(鳶島) 총인구(總人口) ;
1990년(年) 162,113명(名)
1995년(年) 202,265명(名)
2000년(年) 233,227명(名)
2005년(年) 221,469명(名)
2010년(年) 203,410명(名)
2015년(年) 198,463명(名)

구청(區廳) [ 편집(編輯) ]

교육(敎育) [ 편집(編輯) ]

  
  
  • 특수학교(特殊學校)
  
  • 대전원(大全員)명학교

문화(文化)·관광(觀光) [ 편집(編輯) ]

관광(觀光) 명소(名所) [ 편집(編輯) ]

주요(主要) 기관(機關) [ 편집(編輯) ]

공기업(公企業) [ 편집(編輯) ]

준공기업(竣工企業) [ 편집(編輯) ]

국세청(國稅廳) [ 편집(編輯) ]

우체국(郵遞局) [ 편집(編輯) ]

경찰서(警察署) [ 편집(編輯) ]

소방서(消防署) [ 편집(編輯) ]

공공기관(公共機關) [ 편집(編輯) ]

도서관(圖書館) [ 편집(編輯) ]

공영(共營) 도매시장(都賣市場) [ 편집(編輯) ]

철도역(鐵道驛) [ 편집(編輯) ]

종교기관(宗敎機關) [ 편집(編輯) ]

우호교류(友好交流) 도시(都市) [ 편집(編輯) ]

지역(地域) & 국가(國家) 도시(都市)
튀르키예의 기 튀르키예 이스탄불주(週) 이스탄불

각주(各州) [ 편집(編輯) ]

  1. “2021년(年) 12월(月) 주민등록(住民登錄) 인구(人口)” . 《행정안전부(行政安全部)》.  
  2. 여객열차(旅客列車)는 정차(停車)하지 않음
  3. 시(時)·군관할구역변경및면의폐치에관한법률 (제정(制定) 1962년(年) 11월(月) 21일(日) 법률(法律) 1175호(號))
  4. 읍설치(邑設置)에관한규정 (제정(制定) 1973년(年) 3월(月) 12일(日) 대통령령(大統領令) 6543호(號))
  5. 시(時)·군(郡)·구(區)·읍(邑)·면의관할구역변경및면설치등에관한규정 (제정(制定) 1983년(年) 1월(月) 10일(日) 대통령령(大統領令) 제(第)11027호(號)) 제(第)4조(條)
  6. 법률제(法律制)4049호(號)로 대전직할시(大田直轄市) 편입(編入)과 대덕구(大德區) 설치(設置)
  7. “보관(保管)된 사본(寫本)” . 2021년(年) 5월(月) 10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21년(年) 5월(月) 10일(日)에 확인(確認)함 .  
  8. 대덕구(大德區) 조례(條例) 제(第)107호(號)
  9. 대통령령(大統領令) 제(第)13046호(號)(1990. 7. 9 공포(恐怖))
  10. 대덕구(大德區) 조례(條例) 제(第)171호(號)
  11. 법률(法律) 제(第)4789호(號), 지방자치법(地方自治法) 개정(改正)
  12. 대덕구(大德區) 조례(條例) 제(第)296호(號)
  13. 대덕구(大德區) 조례(條例) 제(第)271,372호(號)로
  14. 대전광역시(大田廣域市) 조례(條例) 제(第)574호(號)(2003.1.16 공포(恐怖))
  15. “2013년(年) 4/4분기(分期) 주민등록인구통계보고서(住民登錄人口統計報告書)” . 2013년(年) 10월(月) 29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14년(年) 1월(月) 22일(日)에 확인(確認)함 .  

외부(外部) 링크 [ 편집(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