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니케아 제국(帝國) -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본문(本文)으로 이동(移動)

니케아 제국(帝國)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로마 제국(帝國)
Βασιλε?α τ?ν ?ωμα?ων

1204년(年) ~ 1261년(年)
요안니스 3세가 사망한 1254년의 니케아 제국
요안(腰眼)니스 3세(世)가 사망(死亡)한 1254년(年)의 니케아 제국(帝國)
수도 니케아 ( 데 유(有)레 )
님페온 (데 팍토)
정치(政治)
정치체제(政治體制) 전제군주제(專制君主制)
황제(皇帝)
1204년(年) ~ 1222년(年)
1222년(年) ~ 1254년(年)
1254년(年) ~ 1258년(年)
1258년(年) ~ 1261년(年)
1259년(年) ~ 1261년(年)

테오도로스 1세(歲) (초대(初代))
요안(腰眼)니스 3세(歲)
테오도로스 2세(歲)
요안(腰眼)니스 4세(歲)
미하일 8세(歲) (말대)
역사(歷史)
시기(時期) 중세(中世) 중기(中期)
 ? 설립(設立) 1204년(年)
 ? 멸망(滅亡) 1261년(年) 7월(月)
인문(人文)
공용어(公用語) 중세(中世) 그리스어
종교(宗敎)
종교(宗敎) 동방(東方) 정교회(正敎會)

니케아 제국(帝國) ( 그리스어 : Βασ?λειον τ?? Ν?καια? )은 제(第)4차(次) 십자군(十字軍) 이후(以後) 동(東)로마 황제(皇帝) 의 딸을 아내로 맞이한 테오도로스 라스카리스 가 로마 황제(皇帝)를 자칭(自稱)하며 계승(繼承)한 국가(國家)였다. 니케아 제국(帝國)은 동(東)로마 제국(帝國) 을 계승(繼承)한 국가(國家)들 중(中)에 가장 큰 계승국이었으며, 1204년(年)부터 1261년(年)까지 존속(存續)했다.

역사(歷史) [ 편집(編輯) ]

성립(成立) [ 편집(編輯) ]

제(第)4차(次) 십자군(十字軍) 콘스탄티노폴리스 를 점령(占領)하고 라틴 제국(帝國) 이 성립(成立)되었다. 도망(逃亡)친 황제(皇帝) 알렉시오스 3세(歲) 의 사위인 테오도로스 라스카리스 비(非)티니아 니케아 로 도망치고 그곳에서 비잔티움의 뒤를 잇는 국가(國家)를 만들었다. 이 니케아 후계국(後繼國) 말고도 두 개(個)의 강력(强力)한 비잔티움 계승국가(繼承國家)가 있었는데 에페이로스 공국(公國) 트라페주스 제국(帝國) 이었다. 그러나 두 나라 모두 콘스탄티노폴리스와 거리(距離)가 멀어 실질적(實質的)인 영향력(影響力)은 니케아에 못미쳤다.

니케아 제국(帝國)은 에게해(에게海) 에서 흑해(黑海) 까지 아나톨리아 서부(西部)의 넓은 지역(地域)의 띠 모양(模樣)의 영토(領土)를 차지했다. 처음에 테오도로스는 라틴 제국(帝國)에 도전(挑戰)했으나 패(敗)하고 1206년(年)에서야 황제(皇帝)에 올랐다.

테오도로스는 자신(自身)의 지위(地位)를 강화(强化)하기 위해 1208년(年) 총대주교좌(總大主敎座) 를 니케아에 설치(設置)하고 1219년(年)에는 라틴 제국(帝國)의 여제(女帝)(女帝) 플랑드르의 욜란다 의 딸 마리아와 결혼(結婚)했다. 1222년(年) 테오도루스가 죽자 제위(帝位)는 사위인 요안(腰眼)니스 두카스 바타체스 에게 넘어갔다.

확장(擴張) [ 편집(編輯) ]

1230년(年) 에페이로스 공국(公國)이 불가리아 에게 복속(復屬)되고 트라페주스 제국(帝國)이 힘을 잃게 되자 실질적(實質的)인 비잔티움 계승국가(繼承國家)는 니케아 하나만 남게 되었다. 요안(腰眼)니스 3세(世)는 영토(領土)를 확장(擴張)하고 1235년(年) 불가리아의 이반 아센 2세(歲) 와 동맹(同盟)을 맺어 테살로니카 와 에페이로스를 손에 넣었다.

1245년(年) 요안(腰眼)니스는 프리드리히 황제(皇帝) 의 딸과 결혼(結婚)하여 동맹(同盟)을 맺고 라틴 제국(帝國)을 압박(壓迫)했다. 1254년(年) 요안(腰眼)니스 3세(世)가 죽고 아들 테오도로스 2세(歲) 가 즉위(卽位)하여 불가리아와 싸웠다. 1258년(年) 테오도루스 2세(世)가 죽고 어린 아들 요안(腰眼)니스 4세(歲) 두카스 라스카리스가 제위(帝位)에 올랐는데 유능(有能)한 장군(將軍) 미하일 팔레올로고스 가 섭정(攝政)을 맡았다. 같은해 12월(月) 25일(日)에 정적(政敵)들을 제거(除去)한 미하일 팔레올로고스는 요안(腰眼)니스 4세(世)와 공동황제(共同皇帝)로 즉위(卽位)함으로써 니케아 제국(帝國)을 완전히(完全히) 장악(掌握)했다.

비잔티움의 부활(復活) [ 편집(編輯) ]

미하일 팔레올로고스은 시칠리아의 공격(攻擊)과 라틴 제국(帝國)의 공격(攻擊)을 잘 방어(防禦)하고 자신(自身)의 권력(權力) 기반(基盤)을 다진 후(後) 1260년(年)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수복(收復)을 천명(闡明)하고 공격(攻擊)에 들어갔다. 미하일은 베네치아 공화국(共和國) 의 적(的)인 제노바 와 동맹(同盟)을 맺고 콘스탄티노폴리스를 공격(攻擊)하여 1261년(年) 7월(月) 수도(首都)를 점령(占領)하고 라틴인(人)들을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몰아내는 데 성공(成功)했다. 그는 미카일 8세(歲) 로 등극(登極)하여 동(東)로마 제국(帝國)의 부활(復活)을 선포(宣布)했다.

니케아 제국(帝國)의 동(東)로마 황제(皇帝) [ 편집(編輯) ]

같이 보기 [ 편집(編輯) ]

참고(參考) 문헌(文獻) [ 편집(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