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노벨 생리학(生理學)·의학상(醫學賞) -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본문(本文)으로 이동(移動)

노벨 생리학(生理學)·의학상(醫學賞)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노벨 생리학(生理學)·의학상(醫學賞)
수상대상(受賞大賞) 생리학(生理學) , 의학(醫學)
주최(主催) 카롤린스카 연구소(硏究所)
장소(場所) 스톡홀름
나라 스웨덴의 기 스웨덴
첫 시상(施賞) 1901년(年)
웹사이트 공식(公式) 홈페이지

노벨 생리학(生理學)·의학상(醫學賞) ( - 生理學·醫學賞, 스웨덴어(語) : Nobelpriset i fysiologi eller medicin , 영어(英語) : Nobel Prize in Physiology or Medicine )은 생리학(生理學) 또는 의학(醫學) 에서 뛰어난 업적(業績)을 보인 사람에게 수여(授與)하는 노벨상(노벨賞) 이다. 대한민국(大韓民國)에서는 줄여서 ‘노벨 생리의학상(生理醫學賞)' 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알프레드 노벨 은 유언(遺言)에서 "생리학(生理學) 또는 의학(醫學) 분야(分野)에서 가장 중요(重要)한 발견(發見)을 한 사람"을 이 상(賞)의 수상자(受賞者)로 지정(指定)했는데, 노벨이 생리학(生理學)과 의학(醫學)을 따로 구분(區分)한 것은 중요(重要)한 의미(意味)가 있다. 노벨이 살던 시대(時代)에는 생리학(生理學)이 오늘날의 여러 생물학(生物學) 분야(分野)를 지칭(指稱)했던 용어(用語)였기 때문이다. 따라서 노벨의 유언(遺言)에 담긴 뜻을 살리는 방향(方向)으로 해석(解釋)한다면, 이 상(賞)의 시상기관(施賞機關)은 광범위(廣範圍)한 생물학(生物學) 분야(分野) 전반(全般)의 발견(發見)에 대(對)해서도 상(賞)을 수여(授與)할 수 있다고 할 것인데, 실제로(實際로)도 시상기관(施賞機關)은 이 상(賞)의 수상(受賞) 분야(分野) 범위(範圍)를 아주 넓게 해석(解釋)왔음이 명백(明白)하다. 가령(假令) 1973년(年)에는 꿀벌 의 춤을 연구(硏究)한 카를 폰 프리슈 , 거위 오리 각인(刻印) 현상(現象)에 대(對)한 연구(硏究)로 유명(有名)한 콘라트 로렌츠 , 조류학자(藻類學者) 인(人) 니콜라스 틴베르헌 이 이 상(賞)을 공동수상(共同受賞)했는데, 이들의 수상(受賞) 업적(業績)은 동물행동학(動物行動學) 분야(分野)의 연구(硏究)였다. 또한 1983년(年)에는 옥수수 유전학(遺傳學)의 독보적(獨步的) 존재(存在)인 바버라 매클린톡 이 수상(受賞)했는데, 그녀(그女)의 수상(受賞) 업적(業績)은 식물유전학(植物遺傳學) 분야(分野)였다. [1]

수상자(受賞者) [ 편집(編輯) ]

같이 보기 [ 편집(編輯) ]

각주(各州) [ 편집(編輯) ]

  1. 아그네타(打) 발린 레비노(老)비츠 (2002). 《노벨상(노벨賞) 그 100년(年)의 역사(歷史)》. 164쪽. ISBN   8984351237 .  

외부(外部) 링크 [ 편집(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