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블로그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네이버 블로그
영리여부(怜悧與否)
사이트 종류(種類) 블로그 서비스
회원(會員) 가입(加入) 필요(必要)
(단순(單純) 글 조회시(照會時) 불필요(不必要))
사용(使用) 언어(言語) 한국어(韓國語) (공식(公式))
소유자(所有者) 네이버
제작자(製作者) 네이버
시작(始作)일 2003년(年) 5월(月) 20일(日)
수익(收益) 서비스 내 광고(廣告) 삽입(揷入)
현재(現在) 상태(狀態) 온라인

네이버 블로그 (Naver Blog)는 대한민국(大韓民國) 포털 사이트 인(人) 네이버 블로그 서비스이다. 2003년(年) 10월(月) 13일(日)에 서비스를 처음으로 개시(開始)했다. [1]

역사(歷史) [ 편집(編輯) ]

네이버 페이퍼 [ 편집(編輯) ]

네이버 블로그 서비스는 2003년(年) 6월(月) 4일(日) '페이퍼'라는 이름으로 개시(開始)됐다. [2] 페이퍼는 "블로그 서비스를 처음 접(接)하는 네티즌들을 위해 운영(運營), 관리(管理) 방법(方法)을 쉽고 편리(便利)하게 제공(提供)"하며, "웹에 대(對)한 특별한 지식(知識)이 없어도 손쉽게 자신(自身)의 개성(個性)을 드러낼 수 있도록 구현(具現)"했다고 소개(紹介)됐다. [2]

네이버 페이퍼에는 글 게시(揭示)와 타인(他人)의 답변(答辯)을 받을 수 있는 '포스트', 다른 정보(情報)를 자신(自身)의 페이퍼로 옮겨올 수 있는 '스크랩', 친구(親舊)가 되고 싶은 이용자(利用者)를 자신(自身)의 페이퍼와 연결(連結)시키는 '프렌드'가 있었는데 이들은 현재(現在) 네이버 블로그의 기반(基盤)을 이루는 포스트, 스크랩, 이웃이나 서로이웃하기 기능(機能)과 동일(同一)했다. 또한 특정(特定) 카테고리만을 바로 볼 수 있는 북마크 기능(機能) 등(等)도 지원(支援)했다고 전(傳)해진다. [2] 페이퍼는 그해 8월(月) 누적방문자수(累積訪問者數) 48만(萬) 명(名)을 기록(記錄)했고, [3] 개시(開始) 4개월(個月) 만인 2003년(年) 10월(月) 경(頃)에는 일간접속자수(日刊接續子數) 55,000여명(餘名)을 기록(記錄)하여, 당시(當時) 존재(存在)하던 블로그 서비스 중(中)에서 싸이월드 미니홈피, 세이클럽 홈피, 같은 회사(會社)인 NHN 엔토(吐)이 에 이어 4위(位)를 차지했다. [4] 페이퍼를 이용(利用)하는 연령대(年齡帶)는 25세(歲) 이상(以上)의 비교적(比較的) 고연령(高年齡) 이용자(利用者)가 높은 비중(比重)을 차지했었다. [3]

블로그로 개편(改編) [ 편집(編輯) ]

2003년(年) 10월(月) 13일(日) 네이버는 페이퍼를 원래(元來)의 블로그 기능(機能)에 충실(充實)한 '네이버 블로그'로 개편(改編)해 처음으로 서비스에 들어갔다. [1] 당시(當時) 국내(國內) 포털 사이트로는 처음으로 트랙백 , RSS , 퍼머링크 기능(機能)을 제공(提供)했으며, 단순(單純) 게시(揭示)글 및 공유(共有) 서비스에 불과(不過)했던 페이퍼에서 벗어나 여러 블로그 기능(機能)을 추가(追加)했다는 점(點)이 특징(特徵)이었다. [1] 네이버 회원(會員)이라면 모두 하나씩 제공(提供)되었다. 그 링크는 'blog.naver.com/회원(會員)아이디'로 통일(統一)되었는데 [1] 이는 현재(現在)까지도 유지(維持)되고 있으며, 2010년(年)부터는 '회원(會員)아이디.blog.me'를 추가(追加) 지원(支援)하다가 2020년(年)에 blog.naver.com으로 통합(統合)하면서 지원(支援)을 종료(終了)했다. [5] 이후(以後) 게시(揭示)글 용량(容量)을 무제한(無制限)으로 제공(提供)하고, 배경화면(背景畵面) 스킨을 무료(無料)로 제공(提供)하는 등(等)의 개편(改編)이 이뤄졌다. [1]

2004년(年)에는 피처폰 환경(環境)에서 모바일 웹 을 거쳐 블로그에 사진(寫眞)을 게시(揭示)할 수 있는 'Phone to Web' 기능(機能)을 도입(導入)하였으며, 2009년(年)에는 스마트폰 환경(環境)에서의 블로그 이 출시(出市)되었다. 2015년(年) 에는 기존(旣存) 블로그 글쓰기 기능(機能)을 모바일 환경(環境)에 맞게 개선(改善)한 '스마트 에디터 3.0'를 출시(出市)하였다. [6]

2017년(年) 12월(月) 12일(日) 네이버 블로그가 개편(改編)되어 비(非)로그인 기능(機能)이 사라졌다. 2018년(年) 10월(月) 16일(日)부터 중국(中國) 에서는 네이버 블로그의 접속(接續)이 되지 않고 있다. [7] [8]

그 외(外) [ 편집(編輯) ]

네이버 블로그는 통상적(通常的)으로 일상(日常)에서 검색(檢索)하게 될 때 외국어(外國語) 한글 로 표기(表記)되어 있는 체계(體系)를 따르기 위해 해당(該當) 영어(英語) 검색(檢索)을 네이버 블로그 검색(檢索)에 사용(使用)된다고 하더라도 블로그에 올라온 우수(優秀)한 문서(文書)나 포스트들 중(中) 한글 표기(表記)도 눈엣가시처럼 쉽게 표현(表現)되는 경우(境遇)도 있다. 그래서 외국(外國)의 인명(人名)이나 지명(地名) 등(等)을 한글로 표기(表記)하게 되는 체계(體系)를 쉽게 대응(對應)할 수 있는 것 외(外)에도 학명(學名)은 학술적(學術的)으로 쓰이는 번역(飜譯) 용어(用語)가 전문적(專門的)인 수준(水準)에 이르는 것과 비교(比較)하더라도 미묘(微妙)하게 차이(差異)가 날 수도 있고 일부(一部)는 불일치(不一致)한 표현(表現)인 경우(境遇)가 있어 이를 토대(土臺)로 하여 한글 표기(表記)를 좀 더 섬세하게 적용(適用)될 수 있도록 위키데이터 까지 연결(連結)되는 경우(境遇)도 있다.

같이 보기 [ 편집(編輯) ]

일반(一般) 주제(主題) [ 편집(編輯) ]

관련(關聯) 커뮤니티 [ 편집(編輯) ]

각주(各州) [ 편집(編輯) ]

  1. “네이버, 정통(正統) 블로그 서비스 오픈” . 아이뉴스24 . 2003년(年) 10월(月) 13일(日) . 2016년(年) 10월(月) 20일(日)에 확인(確認)함 .  
  2. “[기업(企業)] 네이버, 블로그 서비스 '페이퍼' 오픈” . 머니투데이 . 2003년(年) 6월(月) 4일(日) . 2016년(年) 10월(月) 20일(日)에 확인(確認)함 .  
  3. “국내(國內) 블로그 사용자(使用者) 1천만명(千萬名) 돌파(突破)” . 아이뉴스24 . 2003년(年) 8월(月) 12일(日) . 2016년(年) 10월(月) 20일(日)에 확인(確認)함 .  
  4.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01&aid=0000479906
  5. “[7월(月)-3주(週)] 주간(週間) 포털 브리핑” . 《블로터》. 2010년(年) 7월(月) 18일(日). 2010년(年) 7월(月) 22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19년(年) 11월(月) 19일(日)에 확인(確認)함 .  
  6. 네이버 블로그 (2023). “네이버 블로그 20주년(周年) 캠페인” . 네이버 블로그 . 2024년(年) 2월(月) 21일(日)에 확인(確認)함 .  
  7. 신경진(신경진) (2018년(年) 10월(月) 22일(日)). “중국(中國), 느닷없이 네이버 차단(遮斷) … 블로그·카페 엿새째 먹통” . 중앙일보(中央日報) . 2019년(年) 1월(月) 27일(日)에 확인(確認)함 .  
  8. 단(單) blog.me와 개인(個人)도메인 제외(除外)

외부(外部) 링크 [ 편집(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