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네스토르 마흐노 -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본문(本文)으로 이동(移動)

네스토르 마흐노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네스토르 이바노비치 마흐노
Нестор ?ванович Махно
제(第)2대(代) 군사혁명평의회(軍事革命評議會) 주석(主席)
임기(任期) 1919년(年) 7월(月) 27일(日)~1919년(年) 9월(月) 1일(日)
전임(前任) 이반 체르녹니즈니
후임(後任) 프셰볼로트 아이헨바움

신상정보(身上情報)
출생일(出生日) 1934년(年) 7월(月) 25일(日) ( 1934-07-25 )
출생지(出生地) 러시아 제국(帝國) 예카테리노(盧)슬라프현(縣) 훌리아이폴레
사망일(死亡日) 1934년(年) 7월(月) 25일(日) ( 1934-07-25 ) (46세(歲))
사망지(死亡地) 프랑스 제(第)3공화국(共和國) 파리
부모(父母) 이반 로디오노비치(懊惱備置) 미흐넨코
에브도키아(兒) 마트베브나 페레데리
형제자매(兄弟姊妹) 흐리호리(리) 마흐노
배우자(配偶者) 할리나 쿠즈멘코
자녀(子女) 옐레나 미흐넨코
묘소(墓所) 페르 라셰즈 묘지(墓地)
군사(軍事) 경력(經歷)
복무기간(服務期間) 1918년(年) ? 1921년(年)
소속군(所屬郡) 우크라이나 혁명반역군(革命半役軍)
최종계급(最終階級) 아타만
주요(主要) 참전(參戰) 우크라이나 독립전쟁(獨立戰爭)

네스토르 이와노위치(位置) 마흐노 ( 우크라이나어(語) : Нестор ?ванович Махно [?n?stor i?w?now?t? m?x?n?] [ * ] , 1888년(年) 11월(月) 7일(日)[ 구력(球歷) 10월(月) 26일(日)] ? 1934년(年) 7월(月) 25일(日)) [1] [2] 우크라이나 의 아나키스트 혁명가(革命家)로, 러시아 내전(內戰) 와중(渦中)인 1917년(年)에서 1921년(年) 사이 우크라이나에서 독자적(獨自的)인 아나키즘 군벌(軍閥)을 거느렸다. 아버지 마흐노 ( 우크라이나어(語) : батько Махно )라는 별명(別名)으로 불렸는데, 여기서 "아버지"라 함은 자포리자 코자크 시절(時節)부터 우크라이나에서 선출(選出)된 군사지도자(軍事指導者)를 의미한다. [3]

마흐노는 우크라이나 혁명반역군(革命半役軍) , 통칭(通稱) 마흐노우슈치나 (마흐노 운동(運動))의 사령관(司令官)이었다. 농민(農民) 운동(運動)으로서 대중사회운동(大衆社會運動)으로 비화(飛火)한 마흐노 운동(運動)은 마흐노(爐)의 고향(故鄕)인 훌리아이폴레 를 중심(中心)으로 시작(始作)되었고, 러시아 내전(內戰) 중(中) 한때는 남우크라이나 대부분(大部分)의 영역(領域)을 석권(席卷)했다. 마흐노(櫓)를 비롯한 운동(運動) 지도부(指導部)는 아(亞)나르코공산주의자 였고, 이 운동(運動)을 자신(自身)들의 이념노선(理念路線)에 따라 유도(誘導)하려고 노력(努力)했다. 마흐노는 남우크라이나에 각자(各自) 자기(自己) 권위(權威)를 세우려는 다른 모든 정파(政派)들을 공격적(攻擊的)으로 거부(拒否)했다. 이에 따라 우크라이나 인민공화국(人民共和國) , 브레스트-리토프스크 조약(條約) 이후(以後) 개입(介入)한 독일군(獨逸軍) 및 오스트리아군(軍)과 그 괴뢰국(傀儡國)인 우크라이나국(國) , 러시아 백군(白軍) , 볼셰비키 적군(敵軍) 과 모두 전투(戰鬪)를 벌였다. 전쟁(戰爭) 중(中) 마흐노는 중기관총(重機關銃) 을 마차(馬車)에 실은 타찬(打撰)카 를 고안(考案)하기도 했다. [4] 마흐노(勞)와 그 지지자(支持者)들은 아나키즘 노선(路線)에 따라 사회경제적(社會經濟的) 생활(生活)을 재조직(再組織)하기 위(爲)해, 과거(過去)의 봉건영지(封建領地)들에 코뮌들을 설치(設置)하고, 농민(農民)들에게 평등(平等)하게 토지(土地)를 재분배(再分配)했으며, 지역(地域) 평의회(評議會)(소비에트) 와 지방회의(地方會議)들을 통한 자유선거(自由選擧)를 조직(組織)했다. 그러나 내전(內戰)의 경과(經過)로 인해 이들의 아나키즘적(的) 사회실험(社會實驗)은 안정(安定)된 영토적(領土的) 기반(基盤)을 지속적(持續的)으로 확보(確保)하지 못했다.

마흐노는 볼셰비키를 우크라이나 마흐노우슈치나 의 발전(發展)에 위협(威脅)이 된다고 간주(看做)했지만, 백군(白軍)과 싸우기 위해 두 차례(次例) 적군(敵軍)과 동맹(同盟)을 맺었다. 1920년(年) 11월(月) 크림반도(크림半島) 에서 백군(白軍)이 패퇴(敗退)하자 볼셰비키는 마흐노(櫓)를 공격(攻擊)하기 시작(始作)했다. 마흐노는 적군(敵軍)과 맞서 싸우다 결국(結局) 1921년(年) 8월(月) 루마니아 로 망명(亡命)했다. 마흐노는 아내 할리나와 딸 발레나와 함께 프랑스 파리 에 정착(定着)했다. 파리에서 마흐노는 회고록(回顧錄)을 작성(作成)하고 혁명파(革命派) 신문(新聞)에 기사(記事)를 기고(寄稿)했다. [5] 마흐노는 정강주의 의 발전(發展)에도 중요(重要)한 역할(役割)을 했으며, 아나키스트총연합조직정강(總聯合組織政綱) 초안(草案)을 둘러싼 1926년(年) 논쟁(論爭)에도 참여(參與)했다. [6] 마흐노는 1934년(年) 파리에서 결핵(結核) 으로 사망(死亡)했다. 향년(享年) 45세(歲).

같이 보기 [ 편집(編輯) ]

각주(各州) [ 편집(編輯) ]

  1. Skirda 2004 , 285쪽.
  2. Gilley, Christopher (2014). “Makhno, Nestor Ivanovich”. 《 1914-1918-online 》. doi : 10.15463/ie1418.10117 .  
  3. Skirda 2004 , 9쪽.
  4. Michael Malet, Nestor Makhno in the Russian Civil War , Macmillan, 1982, 85. For the pioneering use of tachanki by Makhno and a statement to the effect that the Red Army "copied" the Makhnovist tachanki see, Leon Trotsky, How the Revolution Armed: The Military Writings and Speeches of Leon Trotsky , London: New Park Publications, 1981, 295 (note).
  5. Nestor Makhno, [1927] The Russian Revolution in Ukraine , Edmonton: Black Cat Press, 2007; [1936] Under the Blows of the Counterrevolution , Edmonton: Black Cat Press, 2009; [1937] The Ukrainian Revolution , Edmonton: Black Cat Press, 2011; The Struggle Against the State and Other Essays , Oakland: AK Press, 2001.
  6. Organizational Platform of the General Union of Anarchists (Draft) , trans. Nestor McNab,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