냄새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프라도 미술관(美術館) 에 전시(展示)된 얀 브뤼헐 더 아우더 의 작품(作品) 《냄새》(Smell). Allegory of the Senses에서

냄새 는 일반적(一般的)으로 매우 낮은 농도(濃度)의 하나 이상(以上)의 휘발성(揮發性) 화합물(化合物) 에 의(依)해 발생(發生)되어, 사람이나 다른 짐승이 후각(嗅覺) 에 의(依)해 지각(知覺)하는 것을 말한다. 여기서 악취(惡臭)는 황화수소(黃化水素) , 메르캅탄류(類) , 아민류 , 기타(其他) 자극성(刺戟性) 있는 기체류(機體類)가 인간(人間)의 후각(嗅覺)을 자극(刺戟)하여 주는 불쾌감(不快感), 혐오감(嫌惡感)을 주는 냄새로 정의(定義)된다. [1]

용어(用語)

사전적(辭典的) 문맥(文脈)으로는 코로 맡을 수 있는 기운을 뜻한다. [2] 간단(簡單)히 내(內) 라고도 하며, 향(香) 등(等)에서 나는 좋은 냄새는 향기(香氣) (香氣), 향냄새(香냄새) (香- ), 방향(方向) (芳香), 향(香) (香)이라고 하며, 불쾌(不快)함을 유발(誘發)시키는 고약하거나 나쁜 냄새는 악취(惡臭) (惡臭)라고 부른다.

한국어(韓國語)에서 냄새는 사물(事物)이나 분위기(雰圍氣)에서 느껴지는 "낌새"를 의미할 수 있다.

측정(測定)

냄새의 측정(測定)은 향(香)의 규제(規制)와 통제(統制)에 필수적(必須的)이다. [3] 냄새의 발산(發散)은 수많은 방향(方向) 화합물(化合物)들이 복합적(複合的)으로 작용(作用)하여 이루어진다.

농도(濃度) 측정(測定)

냄새의 농도(濃度)는 냄새가 얼마나 침투(浸透)할 수 있는가를 의미(意味)한다. 냄새의 느낌을 측정(測定)하려면, 냄새를 인지(認知) 한계점(限界點)까지 도달(到達)할 정도(程度)의 양(量)으로 희석(稀釋)시켜야 한다. 이 감응(感應) 한계점(限界點)은 공기(空氣) 속 냄새의 농도(濃度)로, 인구(人口) 중(中) 50%가 냄새 견본(見本)과 냄새가 없는 상태(狀態)를 구별(區別)할 수 있는 정도(程度)이다. 냄새 한계점(限界點)의 인지는 보통(普通) 감지(感知) 한계점(限界點)의 2~5배(倍) 이상(以上)이다. [4]

같이 보기

참고(參考) 문헌(文獻)

  • Spengler, John D.; McCarthy, John F; Samet, Jonathan M. (2000). 《Indoor Air Quality Handbook》. New York, NY, USA: McGraw-Hill Professional Publishing. ISBN   978-0-07-445549-4 .  

각주(各州)

  1. “음식물(飮食物)쓰레기 처리설비(處理設備)에서 발생(發生)되는 악취성분(惡臭成分) 분석(分析) 및 적정(適正) 처리방안(處理方案) 연구(硏究)”. 《부산광역시(釜山廣域市) 보건환경연구원보(保健環境硏究院步)》 13 (2): 18. 2003.  
  2. “냄새 : 네이버 국어사전(國語辭典)” . 2016년(年) 11월(月) 6일(日)에 확인(確認)함 .  
  3. Ueno, H; Amano, S; Merecka, B; Ko?mider, J (2009). “Difference in the odor concentrations measured by the triangle odor bag method and dynamic olfactometry” (PDF) . 《Water Science & Technology》 59 (7): 1339?42. doi : 10.2166/wst.2009.112 . PMID   19380999 . 2016년(年) 11월(月) 5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PDF)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16년(年) 11월(月) 5일(日)에 확인(確認)함 .  
  4. Spengler, p. 483

외부(外部)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