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남정임 -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본문(本文)으로 이동(移動)

남정임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남정임
南貞妊
본명(本名) 이민자(移民者)
李珉子
출생(出生) 1945년(年) 7월(月) 21일(日) ( 1945-07-21 )
일제(日帝) 강점기(强占期) 경기도(京畿道) 광주군(廣州郡) (현(現) 경기도(京畿道) 광주시(光州市)
사망(死亡) 1992년(年) 9월(月) 2일(日) ( 1992-09-02 ) (47세(歲))
대한민국(大韓民國) 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 종로구(鍾路區) 연건동 서울대학교 부속(附屬) 병원(病院)
국적(國籍) 대한민국(大韓民國)
직업(職業) 영화배우(映畫俳優)
활동(活動) 기간(期間) 1966년(年) ~ 1978년(年)
학력(學歷) 한양대학교 연극영화학과(演劇映畫學科) 학사(學士) (졸업(卒業))
부모(父母) 김순희 (모(某))
배우자(配偶者) 노승주 (재혼(再婚))
임방광(膀胱) (이혼(離婚))
자녀(子女) 노은미 (딸)

남정임 ( 한국(韓國) 한자(漢字) : 南貞妊, 본명(本名) 이민자(移民者), 한국(韓國) 한자(漢字) : 李珉子, 1945년(年) 7월(月) 21일(日) ~ 1992년(年) 9월(月) 2일(日) )은 대한민국(大韓民國) 의 유명(有名) 영화(映畫) 배우(俳優) 였다. 윤정희, 문희와 함께 1960년대(年代) 여자(女子) 배우(俳優) 트로이카의 한 사람으로 유명(有名)하다.

생애(生涯) [ 편집(編輯) ]

활동(活動) [ 편집(編輯) ]

1964년(年) 성신여자고등학교(聖神女子高等學校)를 졸업(卒業)하고 한양대학교(學校) 연극영화과(演劇映畫科)에 입학(入學)하였다. 1965년(年) 5월(月) KBS 5기(期) 탤런트로 입사(入社)하였고, 그 해 11월(月)에 연방영화사의 이광수 원작(原作)의 유정(惟政) 공모전(公募展)에서 여주인공(女主人公) '남정임'역(役)으로 영화계(映畫界)에 화려(華麗)하게 데뷔하였다.역할명이 곧 예명(藝名)이 된 셈. 1966년(年) 데뷔작(데뷔作) '유정(惟政)'이(李) 흥행(興行)에 크게 성공(成功)하여, 순식간(瞬息間)에 인기(人氣) 배우(俳優)가 되었다. 당시(當時) 대학생(大學生)이 드물고 특히(特히) 여대생(女大生)은 더더욱 드물던 시절(時節)이라, 여대생(女大生)이라는 조건(條件)은 그녀(그女)의 인기(人氣)에 상당(相當)한 플러스 요인(要因)이 되었으며 고은아, 문희와 함께 톱스타로 성장(成長)하게 된다. 영화계(映畫界) 데뷔 초(初)에는 비슷한 시기(時期)에 데뷔한 고은아와 경쟁(競爭)하였고[4] 이후(以後) 문희가 인기(人氣)를 얻게 되고 뒤이어 윤정희가 데뷔하면서 본격적(本格的)으로 '트로이카' 시대(時代)를 열게 된다. 트로이카 중(中) 윤정희는 선역(腺疫)과 악역(惡役)을 아우르는 만능미(萬能美)를 보여주고, 문희가 눈물연기(演技)를 중심(中心)으로 버림받는 여자(女子)를 연기(演技)하는 비련미(悲戀美)를 주로(主로) 보여주었다면, 남정임은 예쁜 얼굴과 특유(特有)의 발랄(潑剌)함을 무기(武器)로 명랑미(明朗美)를 과시(誇示)하였다. 데뷔 초(初) 역할(役割)들을 보면 밝고 명랑(明朗)한 역할(役割)들이 대부분(大部分)이었다. 1971년(年)에 재일교포(在日僑胞) 사업가(事業家)와 결혼(結婚)하였다. 당시(當時) 민주(民主)공화당의 당의장(黨議長)이었던 백남억 의원(議員)이 주례(主禮)를 서려 했으나 불발(不發)하고 대신(代身) 모교(母校)인 한양대학교(學校)의 총장(總長)인 김연준 박사(博士)가 주례(主禮)를 섰다. 당시(當時) 결혼식(結婚式)의 장면(場面)은 남정임의 은퇴작(隱退作)인 '첫 정(情)'의 장면(場面)으로 쓸 예정(豫定)이었다. 많은 연예인(演藝人)들이 하객(賀客)으로 참여(參與)했는데, 신영균의 경우(境遇)에는 뒤늦게 오던 중(中) 수많은 인사(人士)들로 옷이 찢겨졌다고 한다. 그러나 남편(男便)의 사업(事業) 문제(問題)로 이혼(離婚) 후(後) 1976년(年) '나는 고백(告白)한다'로 복귀(復歸)를 했으며 영화(映畫)보다는 드라마를 위주(爲主)로 출연(出演)했다. 그 중(中) 하나가 한국(韓國) 최초(最初)의 옴니버스 드라마라 불리는 '여고(女高) 동창생(同窓生)'. 복귀(復歸) 이듬해에 애인(愛人)(이후(以後) 결혼(結婚))의 폭행(暴行)을 오빠의 폭행(暴行)으로 바꾸려고 하다가 들통나고 사회적(社會的)으로 지탄(指彈)을 받게 되자 음독(飮毒)을 시도(試圖)하는 등(等) 시련(試鍊)이 있었고, 이 사건(事件)으로 인해 출연(出演) 정지(停止)를 받았다. 재판(裁判)을 받는 와중(渦中)에 연인(戀人)과의 결혼(結婚)을 발표(發表)하였으며 1978년(年)에 재혼(再婚)하면서 자연스럽게 영화계(映畫界)에서 은퇴(隱退)했다. 이후(以後) 1989년(年) 6월(月) 유방암(乳房癌) 판정(判定)을 받고 1992년(年) 유방암(乳房癌)으로 사망(死亡)하였다. 죽기 전(前) 자신(自身)의 일생(一生)을 다룬 영화(映畫)를 찍고 싶어 했다고 한다. 중학생(中學生) 시절(時節) 소풍(逍風)을 갔다가 영화(映畫) 촬영(撮影) 중(中)이던 김지미와 마주친 적이 있는데 이 때 중학생(中學生) 남정임을 본 김지미는 “예쁘게 생겼다. 커서 배우(俳優)가 되면 좋겠다.” 라며 칭찬(稱讚)했다 1966년(年) 춘원(春園) 이광수 원작(原作)인 영화(映畫) '유정(惟政)'의 주인공(主人公)으로 스크린에 데뷔하여 [1] 데뷔하였으며 수전지대(地帶), 고원(高原), 순정(純情), 극동(極東)의 무적자(無籍者), 꽃네, 까치 소리, 남자(男子) 미용사(美容師), 나는 고백(告白)한다, 행복(幸福)한 이별(離別), 결혼교실(結婚敎室), 성녀(聖女)와 마녀(魔女) 등(等)에 출연(出演)하였다.

은퇴(隱退) [ 편집(編輯) ]

1971년(年) 1월(月) 11일(日) 세종호텔 의 해금강(海金剛) 홀에서 김연준 의 주례(主禮)로 재일동포(在日同胞) 임방광(膀胱) 과 결혼(結婚)하면서 은퇴(隱退)했다. 당초(當初)에는 민주(民主)공화당 의장(議長) 서리(署理)인 백남억 박사(博士)의 주례(主禮)로 결혼식(結婚式)을 올릴 예정(豫定)이었으나 부득이(不得已)한 사정(事情)으로 남정임의 모교(母校)인 한양대학교(學校)의 총장(總長) 김연준 박사(博士)로 주례(主禮)가 바뀌게 됐다. [1]

신랑(新郞) 신부(新婦) 뒤편(뒤便)에는 미리 마련한 라이트가 동원(動員)되어 남정임의 결혼(結婚)과 함께 은퇴(隱退) 기념(記念) 작품(作品)인 감독(監督) 장영국 의 <첫 정(情)> 예고편(豫告篇)을 위한 촬영(撮影)도 진행(進行)되었다. [1]

복귀(復歸)와 만년(萬年) [ 편집(編輯) ]

1970년(年) 감독(監督) 정인엽 의 <결혼교실(結婚敎室)>에서 윤정희, 문희와 출연(出演)하여 화제(話題)가 됐던 그는 3년간(年間)의 짧은 결혼생활(結婚生活)을 청산(淸算)하고 이혼(離婚)하였다. 이혼(離婚) 뒤 다시 영화계(映畫界)에 복귀(復歸), < 나는 고백(告白)한다 >와 < 웃음소리 >, < 외길가게 하소서 > 등(等)에 출연(出演)했다. [1]

1989년(年) 6월(月) 유방암(乳房癌)을 진단(診斷)받고 외로운 투병생활(鬪病生活) 끝에 1992년(年) 9월(月) 2일(日) 서울대학교(서울大學校) 대학병원(大學病院)에서 48세(歲)의 나이로 세상(世上)을 떠났다. [1] 250여(餘) 편(篇)의 영화(映畫)에 출연(出演)했다. [1]

학력(學歷) [ 편집(編輯) ]

출연(出演) 작품(作品) [ 편집(編輯) ]

에피소드 [ 편집(編輯) ]

임방광(膀胱)과의 결혼식(結婚式) 때 식장(式場)에는 약(約) 1천여(千餘) 명(名)의 하객(賀客)들이 몰렸는데, 고은아 , 윤정희 , 방성자 , 태현실 , 전양자 , 신영균(申榮均) 등(等)도 방문(訪問)하였다. 신영균(申榮均)은 늦게 식장(式場)에 들어오다가 식장(式場) 밖에 몰려든 인파(人波)들로 인(因)해 양복(洋服)이 찢겨 되돌아가기도 했다. [1] 임방광(膀胱)과 이혼(離婚)하고 1977년(年) 학원(學院) 이사장(理事長) 출신(出身)인 노승주와 결혼(結婚)하였다. 노승주는 남정임과 결혼(結婚)하기 전(前) 말다툼 끝에 남정임을 칼로 찔러 구속(拘束)되기도 하였으나 이후(以後) 결혼(結婚)을 발표(發表)하고 결혼(結婚)에 이르렀다. 노승주는 후(後)에 대한도시가스(大韓都市가스) 대표이사(代表理事)를 역임(歷任)했다. 1969년(年) 아카데미극장(劇場)에서 개봉(開封)된 영화(映畫) "내 생애(生涯) 한 번(番)만"이라는 영화(映畫)에서 주연(主演)으로 가수(歌手) 조영남과 함께 출연(出演)하여 키스 신을 찍었다고 한다.

수상(受賞) [ 편집(編輯) ]

같이 보기 [ 편집(編輯) ]

각주(各州) [ 편집(編輯) ]

외부(外部) 링크 [ 편집(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