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김해군(金海郡) -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본문(本文)으로 이동(移動)

김해군(金海郡)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기(基)

김해군(金海郡) (金海郡)은 경상남도(慶尙南道) 에 있었던 행정(行政) 구역(區域)으로, 1995년(年) 김해시(金海市) 와 통합(統合)하여 도농복합도시(都農複合都市)가 되었다. [1]

행정구역(行政區域) 변경(變更)이 없던 1906년(年)까지의 김해군(金海軍)은 현재(現在)의 김해시(金海市) , 부산(釜山) 강서구(江西區) (가락동·녹산동·명지동·강동동)일대(一帶)에 해당(該當)한다. [2]

역사(歷史) [ 편집(編輯) ]

  • 680년(年) (문무왕(文武王) 20년(年)), 금관군(金官郡)(金官郡)을 금관소경(金官小京)(金官小京)으로 승격(昇格)하였다.
  • 757년(年)(경덕왕(景德王) 16년(年)), 김해소경(金海小京)(金海小京)으로 개칭(改稱)하여 양주(洋酒)(良州, 현(現) 양산시(梁山市) )에 속(屬)했다.
  • 940년(年) : 김해부(金海府)로 강등(降等)되었다. 임해현(臨海縣)으로 강등(降等)되었다가 임해군(臨海郡)으로 승격(昇格)하였다.
  • 971년(年)  : 김해부
  • 995년(年) : 영동도(嶺東道)(嶺東道) 김해안동도호부(金海安東都護府)(金海安東都護府)로 개칭(改稱)하였다.
  • 1012년(年) : 김해군방어사(金海郡防禦使)로 강등(降等)되었다.
  • 1018년(年) : 의안군 · 함안군(咸安郡) · 칠원현(縣) · 웅신현(縣) 을 속군(軍)·속현(屬縣)으로 삼았다.
  • 1270년(年) : 금녕도호부(都護府)(金寧都護府)로 승격(昇格)하였다.
  • 1293년(年) : 금녕현(金寧縣)으로 강등(降等)되었다.
  • 1308년(年) : 금주목(金注目)(金州牧)으로 승격(昇格)하였다.
  • 1310년(年) : 김해부로 강등(降等)되었다.
  • 1413년(年) : 김해도호부(金海都護府)(金海都護府)로 승격(昇格)하였다.
  • 1895년(年) ( 조선(朝鮮) 고종(高宗) 32년(年)) 6월(月) 23일(日) (음력(陰曆) 윤(尹)5월(月) 1일(日)) : 진주부 김해군(金海郡)(金海郡)으로 개편(改編)되었다. [3]
  • 1896년(年) (건양(建陽) 원년(元年)) 8월(月) 4일(日)  : 경상남도(慶尙南道) 김해군(金海郡)으로 개편(改編)되었다. [4]
  • 1906년(年)  : 양산군(梁山郡) 대상면(對象面)·대(對)하면 이 김해군(金海郡)에 편입(編入)되고, [2] 대산면 창원부 로 이관(移管)되었다. [5]

1914년(年) 이후(以後) [ 편집(編輯) ]

세부(細部) 내용(內容)
조선총독부령(朝鮮總督府令) 제(第)111호(號)
구(舊) 행정구역(行政區域) 신(神) 행정구역(行政區域)
김해군(金海郡) 좌부면(左部面)(左部面) 강(江)창리 일부(一部), 동상리/다전리(多電離) 일부(一部)/부원리(不原理) 일부(一部), 다전리(多電離) 일부(一部)/강(江)창리 일부(一部)/(우부면(右部面))고서리 일부(一部), 북(北)내리/(우부면(右部面))고서리 일부(一部)/능동리 일부(一部) 좌부면(左部面) 강(江)창리(江倉里), 동상동, 부원동, 북내동
김해군(金海郡) 활천면(千面)(活川面) 남역리(驛吏) 일부(一部), 마마리, 불암리/(가락면(面))식만리(式萬里) 일부(一部)/(하동면)수안리 일부(一部), 삼방리, 어방리/남역리(驛吏) 일부(一部), 지내리 남역리(驛吏)(南驛里), 마마리(馬麻里), 불암리, 삼방리, 어방리, 지내리
김해군(金海郡) 우부면(右部面)(右部面) 내동리, 답곡리/북외리(北外吏)/삼산리 일부(一部), 삼계리/두곡리, 매정리/삼산리 일부(一部), 외동리/봉곡리, 전(前)하리/(좌부면(左部面))강(江)창리 일부(一部), 회현리/고서리 일부(一部)/(좌부면(左部面))강(江)창리 일부(一部), 흥동리(리) 일부(一部)/(칠산면(七山面))화목리 일부(一部) 우부면(右部面) 내동리, 답곡리(畓谷里), 삼계리, 삼산리(三山里), 외동리, 전(前)하리, 회현리(會峴里), 흥동리(리)
김해군(金海郡) 칠산면(七山面)(七山面) 음법리(音法理), 이동리, 풍유리(風有利)/(우부면(右部面))흥동리(리) 일부(一部), 화목리 일부(一部) 음법리(音法理)(陰法里), 이동리, 풍유리(風有利), 화목리
김해군(金海軍) 장유면(長有面) 화촌리/관동리 일부(一部)/(유(留)하면)신문리 일부(一部), 대청리 일부(一部), 삼문리 일부(一部), 수가리, 응달리, 율하리 일부(一部)/관동리 일부(一部), 장유리/율하리 일부(一部) 장유면 관동리, 대청리, 삼문리, 수가리, 응달리, 율하리, 장유리
김해군(金海郡) 유(留)하면(柳下面) 내덕리 일부(一部)/유하리 일부(一部), 무계리 일부(一部)/내덕리 일부(一部)/(장유면)삼문리 일부(一部), 무계리 일부(一部), 내덕리 일부(一部)/신문리(新聞里) 일부(一部)/(장유면)삼문리 일부(一部), 유하리 일부(一部)/무계리 일부(一部) 내덕리, 무계리, 부곡리, 신문리(新聞里), 유하리
김해군(金海郡) 하계면(下溪面)(下界面) 여래리 일부(一部), 우동리 일부(一部), 진영리/여래리 일부(一部), 방동리 일부(一部), 우동리 일부(一部)/방동리 일부(一部), 좌곤리 일부(一部), 좌곤리 일부(一部) 하계면(下溪面) 여래리, 우동리, 진영리, 방동리, 하계리, 좌곤리, 사산리
김해군(金海郡) 중북면(重北面)(中北面) 내룡리, 본산리/(상북면)가동리 일부(一部)/(하계면(下溪面))여래리 일부(一部), 신용리, 설창리, 죽곡리 일부(一部), 죽곡리 일부(一部)/의전리 일부(一部) 내룡리, 본산리, 신용리, 설창리, 죽곡리, 의전리
김해군(金海郡) 상북면(上北面) 가산리, 가동리 일부(一部), 시산리/가동리 일부(一部)/(밀양군(密陽郡) 하남면)명례리 일부(一部), 장방리 이북면(以北面) 가산리, 가동리, 시산리, 장방리
김해군(金海郡) 하북면(下北面) 용덕리 일부(一部)/명동리 일부(一部), 병동리 일부(一部), 신천리(新川里) 일부(一部), 안곡리, 용덕리 일부(一部)/(생림면)생림리 일부(一部), 신천리(新川里) 일부(一部)/용덕리 일부(一部), 퇴래리/병동리 일부(一部)/명동리 일부(一部) 명동리, 병동리, 신천리(新川里), 안곡리, 안하리, 용덕리, 퇴래리
김해군(金海郡) 진례면 (進禮面) 청천리/(중북면(重北面))의전리 일부(一部), 시례리, 송정리, 신당리/조전리 일부(一部), 조전리 일부(一部)/(중북면(重北面))의전리 일부(一部), 조전리 일부(一部) 진례면 청천리, 시례리, 송정리, 신월리, 조전리, 신안리
김해군(金海郡) 율리면(栗里面) 고모리/고령리(高齡리)/상석리/(중북면(重北面))죽곡리 일부(一部), 개동리/담안리 일부(一部)/(중북면(重北面))의전리 일부(一部), 산본리/관동리/성법리/송현리 일부(一部), 송현리 일부(一部)/담안리 일부(一部) 고모리, 담안리, 산본리, 송현리
김해군(金海郡) 가락면(面)(駕洛面) 봉림리 일부(一部)/죽림리 일부(一部)/(덕도면(面))제도리 일부(一部), 식만리(式萬里) 일부(一部)/죽림리 일부(一部), 죽림리 일부(一部)/봉림리 일부(一部), 죽동리 가락면(面) 봉림리, 식만리(式萬里), 죽림리, 죽동리
김해군(金海郡) 덕도면(面)(德道面) 대사리 일부(一部)/상덕리 일부(一部)/북정리(北整理) 일부(一部), 상덕리 일부(一部)/제도리 일부(一部)/제도리 일부(一部), 제도리 일부(一部) 대사리, 북정리(北整理), 상덕리, 제도리
김해군(金海郡) 대상면(對象面)(大上面) 대지리 일부(一部)/출두리(出頭리) 일부(一部)/평강리(平康리) 일부(一部), 사덕리 일부(一部)/대지리 일부(一部)/출두리(出頭리) 일부(一部), 출두리(出頭리) 일부(一部)/사덕리 일부(一部)/대지리 일부(一部), 평강리(平康리) 일부(一部)/대지리 일부(一部)/(대(對)하면)사두리 일부(一部)/(덕도면(面))효(孝)울리 일부(一部) 대저면(大抵面) 대지리, 사덕리, 출두리(出頭리), 평강리(平康리)
김해군(金海郡) 대(對)하면(大下面) 덕(德)두리 일부(一部)/맥도리(道理) 일부(一部), 도도리 일부(一部)/소(小)덕리 일부(一部)/덕(德)두리 일부(一部)/맥도리(道理) 일부(一部), 맥도리(道理) 일부(一部), 사(社)두리 일부(一部)/소(小)덕리 일부(一部), 설만리(萬里)/사(社)두리 일부(一部)/(덕도면(面))효(孝)울리 일부(一部)/제도리 일부(一部) 덕(德)두리, 도도리, 맥도리(道理), 사(社)두리, 소(小)덕리, 울만리(蔚萬里)
김해군(金海郡) 녹산면(菉山面)(菉山面) 녹산리, 화전리, 송정리/(마산부(馬山部) 웅동면(熊東面))가동리 일부(一部) 녹산면(菉山面) 녹산리, 화전리, 송정리
김해군(金海郡) 태야면(野面)(台也面) 범방리(汎方里)/탑동리, 구랑리/소압리(小押吏) 일부(一部), 미음리(米飮리)/상룡리, 지사리/소압리(小押吏) 일부(一部), 생활리(生活리)/중곡리(里) 범방리(汎方里), 구랑리, 미음리(米飮리), 지사리, 생곡리
김해군(金海郡) 명지면(名紙綿)(鳴旨面) 조동리 일부(一部)/중리 일부(一部)/동리(洞里) 일부(一部)/신전리 일부(一部), 평성리/조동리 일부(一部), 중리(中里) 일부(一部), 신전리 일부(一部), 동리(洞里) 일부(一部), 진목리/(덕도면(面))제도리 일부(一部), 신전리 일부(一部) 명지면(名紙綿) 조동리, 평성리, 중리, 신전리, 동리(洞里), 진목리, 신호리
김해군(金海郡) 하동면(下東面) 수안리 일부(一部), 주중리/주동리 일부(一部), 주동리 일부(一部)/초정리(超整理) 일부(一部), 시례리/초정리(超整理) 일부(一部), 초정리(超整理) 일부(一部), 괴정리, 조눌리, 대감리, 덕산리 일부(一部), 월당리/평촌리/덕산리 일부(一部) 하동면 수안리, 주중리, 주동리, 예안리(禮安里), 초정리, 괴정리, 조눌리, 대감리, 덕산리, 월촌리
김해군(金海郡) 상동면 (上東面) 여차리, 감로리, 매리(罵詈), 대감리, 묵방리, 우계리 상동면 여차리, 감로리, 매리(罵詈), 대감리, 묵방리, 우계리
김해군(金海郡) 주촌면 (酒村面) 외선리(外善理)/원지리 일부(一部), 천곡리/연지리/망덕리 일부(一部), 망덕리 일부(一部), 농소리, 내삼리, 양동리/상가리, 덕암리 일부(一部), 원지리 일부(一部)/덕암리 일부(一部) 주촌면 선지리, 천곡리, 망덕리, 농소리, 내삼리, 양동리, 덕암리, 원지리
김해군(金海郡) 생림면 (生林面) 금곡리 일부(一部), 사촌리 일부(一部), 나전리/사촌리 일부(一部), 봉림리/생림리 일부(一部), 생철리/도요리 일부(一部), 도요리 일부(一部), 도요리 일부(一部), 마사리/(밀양군(密陽郡) 하동면)삼랑리 일부(一部), 금곡리 일부(一部)/생림리 일부(一部)/(하북면)용덕리 일부(一部) 생림면 금곡리, 사촌리, 나전리, 봉림리, 생철리, 도요리, 안양리, 마사리, 생림리
14면(面) - 가락면(面), 좌부면(左部面), 우부면(右部面), 진례면, 장유면, 이북면(以北面), 하계면(下溪面), 대저면(大抵面), 녹산면(菉山面), 주촌면, 상동면, 하동면, 생림면, 명지면(名紙綿)
경남(慶南) 김해군(金海郡) 대저읍(大抵邑) 중촌리의 비닐하우스 (1974년(年))
법률(法律) 제(第)3014호(號)
구(舊) 행정구역(行政區域) 신(神) 행정구역(行政區域)
대저읍(大抵邑) 일원(一圓) 부산직할시 북구(北區) 대저(大抵)1동(棟), 대저(大抵)2동(棟)
가락면(面) 대사리, 북정리(北整理), 상덕리, 제도리 강동동
명지면(名紙綿) 일원(一圓)(신호리 제외(除外)) 명지동
명지면(名紙綿) 신호리 녹산면(菉山面) 신호리

행정(行政) 구역(區域) [ 편집(編輯) ]

1914년(年)의 행정구역(行政區域) [14] 과 현재(現在)의 행정구역(行政區域) 비교(比較)
1914년(年) 현재(現在)
면(面) 리(리) 구(區)·읍(邑)·면(麵) 동(桐)·리(里)
좌부면(左部面)
(左部面)
[15]
남역리(驛吏), 어방리, 삼방리, 마마리, 지내리, 불암리, 동상리, 북내동, 부원리(不原理), 강(江)창리 김해시(金海市) 삼정동, 어방동, 삼방동, 안동(安東), 지내동, 불암동, 동상동, 서상동, 부원동, 강동(江東)
우부면(右部面)
(右部面)
[16]
화목리, 풍유리(風有利), 음법리(音法理), 이동리, 삼계리, 삼산리, 답곡리, 외동리, 내동리, 회현리, 흥동리(리), 전(前)하리 화목동(和睦童), 풍유동, 명법동, 이동(移動), 삼계동, 구산동, 대성동, 외동, 내동, 봉황동, 흥동, 전하동
장유면
(長有面)
[17]
유하리, 내덕리, 신문리(新聞里), 부곡리, 무계리, 대청리, 삼문리, 관동리, 율하리, 장유리, 응달리, 수가리 유하동, 내덕동, 신문동, 부곡동, 무계동(桂洞), 대청동, 삼문동, 관(管)동동, 율하동, 장유동, 응달동(桐), 수가동(稼動)
하계면(下溪面)
(下界面)
[18]
신용리, 내룡리, 설창리, 죽곡리, 의전리, 본산리, 여래리, 우동리, 진영리, 방동리, 하계리, 좌곤리, 사산리 김해시(金海市)
진영읍(進永邑)
신용리, 내룡리, 설창리, 죽곡리, 의전리, 본산리, 여래리, 우동리, 진영리, 방동리, 하계리, 좌곤리, 시산리
이북면(以北面)
(二北面)
[19]
가산리, 가동리, 장방리, 시산리, 신천리(新川里), 용덕리, 명동리, 안곡리, 퇴래리, 병동리, 안하리 김해시(金海市)
한림면
가산리, 가동리, 장방리, 시산리, 신천리(新川里), 용덕리, 명동리, 안곡리, 퇴래리, 병동리, 안하리
생림면
(生林面)
금곡리 금곡리
사촌리, 나전리, 봉림리, 생철리, 도요리, 안양리, 마사리, 생림리 김해시(金海市)
생림면
사촌리, 나전리, 봉림리, 생철리, 도요리, 안양리, 마사리, 생림리
상동면
(上東面)
여차리, 감로리, 매리(罵詈), 대감리, 묵방리, 우계리 김해시(金海市)
상동면
여차리, 감로리, 매리(罵詈), 대감리, 묵방리, 우계리
하동면
(下東面)
수안리, 주중리, 주동리, 예안리(禮安里), 초정리, 괴정리, 조눌리, 대감리, 덕산리, 월촌리 김해시(金海市)
대동면
수안리, 주중리, 주동리, 예안리(禮安里), 초정리, 괴정리, 조눌리, 대감리, 덕산리, 월촌리
주촌면
(酒村面)
선지리, 천곡리, 망덕리, 농소리, 내삼리, 양동리, 덕암리, 원지리 김해시(金海市)
주촌면
선지리, 천곡리, 망덕리, 농소리, 내삼리, 양동리, 덕암리, 원지리
진례면
(進禮面)
[20]
고모리, 담안리, 송현리, 산본리, 청천리, 시례리, 송정리, 신월리, 조전리, 신안리 김해시(金海市)
진례면
고모리, 담안리, 송현리, 산본리, 청천리, 시례리, 송정리, 신월리, 조전리, 신안리
가락면(面)
(駕洛面)
[21]
식만리(式萬里), 죽동리, 죽림리, 봉림리 부산(釜山)
강서구(江西區)
식만동 , 죽동동 , 죽림동, 봉림동
대사리, 북정리(北整理), 제도리, 상덕리 강동동
대저면(大抵面)
(大渚面)
[22]
출두리(出頭리), 사덕리, 대지리, 평강리(平康리) 대저1동(洞)
덕(德)두리, 소(小)덕리, 도도리, 사(社)두리, 맥도리(道理), 울만리(蔚萬里) 대저2동(洞)
명지면(名紙綿)
(鳴旨面)
조동리, 평성리, 중리, 신전리, 동리(洞里), 진목리 명지동
신호리 신호동
녹산면(菉山面)
(菉山面)
[23]
범방리(汎方里), 구랑리, 미음리(米飮리), 지사리, 생곡리, 녹산리, 화전리, 송정리 범방동, 구랑동, 미음동, 지사동, 생곡동, 녹산동, 화전동(花田洞), 송정동

참고(參考) 문헌(文獻) [ 편집(編輯) ]

각주(各州) [ 편집(編輯) ]

  1. 법률(法律) 제(第)4948호(號) 경기도(京畿道)평택시와 5개도농복합형태의시설치등에관한법률 ( 1995년(年) 5월(月) 10일(日) )
  2. 부산(釜山) 강서구(江西區) 대저(大抵)1동(洞)과 대저(大抵)2동(洞)은 1906년(年) 이전(以前)에는 부산(釜山) 북구(北區) 와 함께 양산군(梁山郡) 에 속(屬)해 있었고, 1906년(年) 에 대상면(對象面)(현(現) 대저(大抵)1동(洞))과 대(對)하면(현 대저(大抵)2동(棟))이(李) 김해군(金海郡)에, 좌(座)이면(부산 북구(北區))이(李) 동래군 에 편입(編入)되었다.
  3. 칙령(勅令) 제(第)98호(號) 지방제도의개정(地方制度醫改正)에관한안건
  4. 칙령(勅令) 제(第)36호(號) 지방제도와관제개정에관한안건 ( 1896년(年) 8월(月) 4일(日) )
  5. 칙령(勅令) 제(第)49호(號) 지방구역(脂肪區域) 정리(整理) 건
  6. 경상남도령(慶尙南道令) 제(第)2호(號) ( 1928년(年) 1월(月) 28일(日) )
  7. 조선총독부령(朝鮮總督府令) 제(第)132호(號) ( 1931년(年) 10월(月) 20일(日) )
  8. 조선총독부령(朝鮮總督府令) 제(第)243호(號) ( 1942년(年) 9월(月) 30일(日) )
  9. 조선총독부령(朝鮮總督府令) 제(第)7호(號) ( 1943년(年) 1월(月) 18일(日) )
  10. 대통령령(大統領令) 제(第)6543호(號) 읍설치(邑設置)에관한규정 ( 1973년(年) 3월(月) 12일(日) )
  11. 법률(法律) 제(第)3014호(號) 구미시설치(龜尾市設置)및부산시(釜山市)·경상남도간관할구역조정(慶尙南道間管轄區域調整)에관한법률 (1977년(年) 12월(月) 19일(日))
  12. 법률(法律) 제(第)3425호(號) 광명시등시설치와군관할구역변경에관한법률 ( 1981년(年) 4월(月) 13일(日) )
  13. 법률(法律) 제(第)4051호(號) 부산직할시강서구설치(江西區設置)및시(時)·도의관할구역변경(道義管轄區域變更)에관한법률 ( 1991년(年) 12월(月) 30일(日) )
  14. (신구대조(新舊大棗)) 조선(朝鮮) 전도부군면리동(顚倒夫君面理洞) 명칭(名稱) 일람(一覽) ( 1917년(年) )
  15. 좌부면(座部面)은 좌부면(左部面)과 활천면(千面)(活川面)의 합면(合面)이다.
  16. 우부면(禹部面)은 우부면(右部面)과 칠산면(七山面)(七山面)의 합면(合面)이다.
  17. 장유면은 장유면과 유(留)하면(柳下面)의 합면(合面)이다.
  18. 하계면(下界面)은 하계면(下溪面)과 중북면(重北面)(中北面)의 합면(合面)이다.
  19. 이북면(北面)은 상북면(上北面)과 하북면(下北面)의 합면(合面)이다.
  20. 진례면은 진례면과 율리면(栗里面)의 합면(合面)이다.
  21. 가락면(面)은 가락면(面)과 덕도면(面)(德道面)의 합면(合面)이다.
  22. 대저면(大抵面)은 대상면(對象面)(大上面)과 대(對)하면(大下面)의 합면(合面)이다.
  23. 녹산면(菉山面)은 녹산면(菉山面)과 태야면(野面)(台也面)의 합면(合面)이다.
이전(移轉) 현재(現在) 문서(文書) 다음
조선시대(朝鮮時代) 1895년(年) ~ 1981년(年) ~ 1995년(年) ~
김해도호부(金海都護府) 김해군(金海郡) 김해시(金海市) 김해시(金海市)
김해군(金海郡)
('89) 부산(釜山) 강서구(江西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