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김춘수(金春洙) -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본문(本文)으로 이동(移動)

김춘수(金春洙)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김춘수(金春洙)
작가(作家) 정보(情報)
출생(出生) 1922년(年) 11월(月) 25일(日) ( 1922-11-25 )
일제강점기(日帝强占期) 조선(朝鮮) 경상남도(慶尙南道)
사망(死亡) 2004년(年) 11월(月) 29일(日) ( 2004-11-29 ) (82세(歲))
국적(國籍) 대한민국(大韓民國)
장르 시(時)

김춘수(金春洙) (金春洙, 1922년(年) 11월(月) 25일(日) ~ 2004년(年) 11월(月) 29일(日) )는 대한민국(大韓民國) 시인(是認) 이다. 본관(本貫)은 광산(鑛山) 이다. 21세기(世紀) 의 한국(韓國) 시단(詩壇)을 이끈 시인중(詩人中) 한 명(名)으로 평가(評價)받으며, 대한민국(大韓民國)의 제(第)11대(代) 국회의원(國會議員)을 역임(歷任)했다.

생애(生涯) [ 편집(編輯) ]

1922년(年) 경상남도(慶尙南道) 통영(統營) 에서 태어났다. 1941년(年) 부터 1943년(年) 까지 니혼 대학교(大學校) 에서 공부(工夫)를 했다. 이 때에 그는 일본(日本) 제국(帝國)에게 대항(對抗)해야 한다는 주장(主張) 때문에 퇴학(退學)당하고 교도소(矯導所)에 7달동안 수감(收監)되었다. 석방(釋放)된 후(後) 귀국(歸國)한 김춘수는 고등학교(高等學校)와 중학교(中學校) 교사(敎師)로 일했다. 1946년(年) 에 시(時) <애가>를 발표(發表)하면서 공식적(公式的)으로 시(詩)를 발표(發表)하기 시작(始作)했고, 1965년(年) 경북대학교 학부(學府)에 가입(加入)했다. 1978년(年) 에는 영남대학교 문학부(文學部) 학장(學長)으로 지냈다.

광복(光復) 후(後) 종래(從來)의 서정적(抒情的)인 바탕 위에 주지적(主知的)인 시풍(詩風)을 이루는 데 힘썼다. 1948년(年) 대구(大邱)에서 발행(發行)되던 동인지(同人誌) <죽순(竹筍)(竹筍)>에 <온실(溫室)(溫室)> 외(外) 1편(篇)을 발표(發表)하여 문단(文壇)에 데뷔했다. 이어 첫 번째(番째) 시집(詩集) <구름과 장미(薔薇)>를 발간(發刊)하고 <산악(山岳)(山嶽)> <사(社)(蛇)> <기(基)(旗)> <모나리자에게> <꽃> 등(等)을 발표(發表)하여 시인(詩人)으로서의 기반(基盤)을 굳혔다. 그의 작품세계(作品世界)는 한마디로 사물(事物)(事物)의 사물성(事物性)(事物性)을 집요(執拗)하게 탐구(探究)하였다. 시(詩)에서의 언어(言語)의 특성(特性)을 다른 어떤 시인(詩人)보다 날카롭게 응시(凝視)하며 존재론적(存在論的) 세계(世界)를 이미지로 노래하였다. 시집(詩集)으로 <구름과 장미(薔薇)> <늪> <기(基)(旗)> <부다페스트에서의 소녀(少女)의 죽음> <타령조(타령調) 기타> <처용(處容)(處容)> <남천> <비에 젖은 달> 등(等)이 있으며 시론집도(詩論集度) 다수(多數) 있다. 1958년(年) 한국시인협회상(賞) , 1959년(年) 아시아자유문학상(自由文學賞) 을 수상(受賞)했다. [1]

민주정의당(民主正義黨) 소속(所屬)으로 제(第)11대(代) 비례대표(比例代表) 국회의원(國會議員) 을 역임(歷任)했다. 이 시기(時期)를 두고 훗날(後날) 김춘수는 “한마디로 100% 타의(他意)에 의(依)한 것이었다”면서 “처량(凄凉)한 몰골로 외톨이가 되어, 앉은 것도 선 것도 아닌 엉거주춤한 자세(姿勢)로 어쩔 줄 모르고 보낸 세월(歲月)”이었다고 회고(回顧)했다. [2]

2004년(年) 11월(月) 29일(日) , 향년(享年) 83세(歲)로 별세(別世)했다. [2]

학력(學歷) [ 편집(編輯) ]

명예(名譽) 박사(博士) 학위(學位) [ 편집(編輯) ]

인간(人間) 관계(關係) [ 편집(編輯) ]

같이 보기 [ 편집(編輯) ]

참고(參考) 자료(資料) [ 편집(編輯) ]

각주(各州) [ 편집(編輯) ]

  1. 글로벌 세계(世界) 대백과사전(大百科事典) 》〈 김춘수(金春洙)
  2. 최윤필 (2008년(年) 11월(月) 29일(日)). “김춘수(金春洙) 시인(詩人) 별세(別世)” . 한국일보(韓國日報) . 2013년(年) 2월(月) 2일(日)에 확인(確認)함 .   [ 깨진 링크 ( 과거(過去) 내용(內容) 찾기 )]

외부(外部) 링크 [ 편집(編輯) ]

이 문서(文書)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 (현(現) 카카오 )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配布)한 글로벌 세계(世界)대백과사전 의 내용(內容)을 기초(基礎)로 작성(作成)된 글이 포함(包含)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