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김일해 -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본문(本文)으로 이동(移動)

김일해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김일해
본명(本名) 김정석
출생(出生) 1906년(年) 12월(月) 20일(日)
사망(死亡) 2004년(年) 7월(月) 11일(日)
대한민국(大韓民國)

김일해 (金一海, 1906년(年) 12월(月) 20일(日) ~ 2004년(年) 7월(月) 11일(日) )는 한국(韓國) 영화(映畫) 배우(俳優) 이다. 본명(本名)은 김정석(金正錫)이다.

생애(生涯) [ 편집(編輯) ]

소년기(少年期)에 일본(日本) 으로 가서 교토 에서 중학교(中學校)를 졸업(卒業)한 뒤 스무살 무렵 데이코쿠키네마 에서 영화배우(映畫俳優)로 일하기 시작(始作)했다. 운동(運動) 실력(實力)이 뛰어나 스포츠맨 배역(配役)을 많이 맡았으며 이때 일본(日本) 여성(女性)과 결혼(結婚)하여 자녀(子女)도 얻었다.

1935년(年) 박기채 의 《춘풍(春風)》, 방한준 의 《살수차(撒水車) (포도(葡萄)의 이단자(異端者))》에 출연(出演)하며 한국(韓國)에서도 배우(俳優)로 데뷔하였고, 나운규 연출(演出)의 문예영화(文藝映畫) 《오몽녀》(1937)에 이어 함대훈 의 장편소설(長篇小說)을 영화화(映畫化)한 신경균 의 감독(監督) 데뷔작(데뷔作) 《순정해협(純情海峽)》(1937)에 주인공(主人公) 영철역(英哲逆)으로 출연(出演)하는 등(等) 미남(美男) 배우(俳優)로 인기(人氣)를 얻었다. 《순정해협(純情海峽)》에 함께 출연(出演)한 김영옥 등(等) 여러 여배우(女俳優)들과 염문(艶聞)도 있었다.

무성(無聲) 영화(映畫) 에서와 같은 과장(誇張)된 연기(演技)가 필요(必要) 없는 발성(發聲) 영화(映畫) 에 좀 더 적합한 섬세하고 미묘(微妙)한 연기(演技)라는 평(評)을 들었다. 일본(日本)에서 오래 연기(演技) 경력(經歷)을 쌓은 김일해의 연기(延期)는 호평(好評)을 받았다. 특히(特히) 조연(助演)으로 출연(出演)한 《살수차(撒水車)》에서는 조선(朝鮮)에서 처음 보는 특이(特異)한 분장(扮裝)과 화장(化粧)으로 성격파(性格派) 연기(演技)를 선보이며 "사색(思索)의 배우(俳優)"로 불리기도 했다.

일제강점기(日帝强占期) 말기(末期)에는 어용(御用) 영화(映畫)에 출연(出演)했다. 극(劇)의 전개(展開)와는 동떨어져 있지만 주인공(主人公)들이 일장기(日章旗) 를 게양(揭揚)하고 〈황국신민(皇國臣民)의 서사(敍事)〉를 외우며 일본(日本) 에 대(對)한 충성(忠誠)을 다짐한다는 내용(內容)이 들어 있는 《집없는 천사(天使)》(1941) [1] 에 출연(出演)한 것을 시작(始作)으로, 같은 해 지원병제(志願兵制)를 홍보(弘報)하는 《지원병(志願兵)》에 출연(出演)했다.

이후(以後) 인삼(人蔘) 재배(栽培)를 다룬 《흙에 산다》(1942년), 《우러르라 창공( 일본어(日本語) : 仰げ大空 )》 (1943년(年)), 《 병정(兵丁)님 》과 《거경전(經典)》 (이상(異常) 1944), 《우리들의 전쟁(戰爭)( 일본어(日本語) : 我れらの戰爭 )》 (1945년(年))에 잇따라 출연(出演)했다. 모두 국책(國策) 영화(映畫)이며 이 가운데 《지원병(志願兵)》이나 《병정(兵丁)님》은 참전(參戰)할 것을 직접(直接) 종용(慫慂)하고 있다. 2008년(年) 민족문제연구소(民族問題硏究所)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收錄豫定者) 명단(名單) 연극(演劇)/영화(映畫) 부문(部門)에 포함(包含)되었다.

1959년(年) 이후(以後)로 20년(年)이 넘는 오랜 공백기(空白期)를 가졌다가, 1984년(年) 78세(歲)의 나이로 이두용 의 《장남(長男)》에 아버지역(役)으로 출연(出演)하여 한국(韓國) 영화(映畫) 최고령(最高齡) 주연(主演) 배우(俳優) 기록(記錄)을 갖고 있다. [2]

수상(受賞) [ 편집(編輯) ]

각주(各州) [ 편집(編輯) ]

  1. 오정연 (2005년(年) 3월(月) 2일(日)). “한국영화사(韓國映畫史) 다시 쓴다, 영상자료원(映像資料院) 〈특별(特別) 발굴(發掘) 상영(上映)〉 - 지난해 중국(中國)·일본(日本)에서 인수(引受)한 1930∼40년대(年代) 작품(作品) 9편(篇) 첫 공개(公開)” . 씨네21. 2007년(年) 9월(月) 29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08년(年) 5월(月) 21일(日)에 확인(確認)함 .  
  2. 문석 (2003년(年) 2월(月) 6일(日)). “스크린 진기록(眞記錄) 대행진(大行進) (7) - ˝늬들이 한국(韓國) 영화사(映畫史)를 알아?˝” . 씨네21. 2007년(年) 9월(月) 27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08년(年) 5월(月) 21일(日)에 확인(確認)함 .  

참고(參考) 문헌(文獻) [ 편집(編輯) ]

  • 강옥희; 이영미; 이순진; 이승희(李承姬) (2006년(年) 12월(月) 15일(日)). 《식민지시대(植民地時代) 대중예술인(大衆藝術人) 사전(事前)》. 서울: 소도. 60~62쪽. ISBN   9788990626264 .  
  • 김남석 (2003년(年) 11월(月) 15일(日)). 《한국(韓國) 문예영화(文藝映畫) 이야기》. 서울: 살림. 41~42쪽. ISBN   8952201531 .  

외부(外部) 링크 [ 편집(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