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김상옥 (1920년(年)) -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본문(本文)으로 이동(移動)

김상옥 (1920년(年))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김상옥
작가(作家) 정보(情報)
출생(出生) 1920년(年) 5월(月) 3일(日) ( 1920-05-03 )
일제(日帝) 강점기(强占期) 경상남도(慶尙南道) 통영읍(統營邑) 항남동64번지(番地)
사망(死亡) 2004년(年) 10월(月) 31일(日) ( 2004-10-31 ) (84세(歲))
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 성북구 안암동 고려대학교 안암병원(安岩病院)
국적(國籍) 대한민국(大韓民國)
직업(職業) 시인(是認)(시(詩), 시조(時調)), 서예가(書藝家), 서화가(書畫家), 수필가(隨筆家)
학력(學歷) 통영공립보통학교졸업(統營公立普通學校卒業)(1933)
필명(筆名) 아호(雅號)(雅號)는 초정(楚亭)(草汀), 초정(楚亭)(艸丁), 초정(楚亭)(草丁), 초초시실등(視室等) 30여개(餘個)
활동기간(活動期間) 1936년(年) ~ 2004년(年)
장르 시(時), 시조(時調), 서예(書藝), 서화(書畫), 수필(隨筆), 전각(殿閣), 디자인
수상(受賞) 1974년(年) 제(第)1회(回) 노산시조문학상(老産始祖文學賞) 1982년(年) 제(第)1회(回) 중앙시조대상(中央始祖對象) 1994년(年) 제(第)2회(回) 충무(忠武)(통영(統營))시(市) 문화상(文化相) 1995년(年) 정부(政府)의 문화훈장(文化勳章) 보관장(保管場) 거절(拒絶) 1997년(年) 제(第)9회(回) 삼양문화상(三養文化相) 2001년(年) 가람시조문학상(嘉藍時調文學賞)
자녀(子女) 2녀(女) 1남(男), 장녀(長女) 김훈정(패션 디자이너), 차녀(次女) 김훈아, 아들 김홍우(전(前) 부장판사(部長判事), 변호사(辯護士))
주요(主要) 작품(作品)
<봉선화(鳳仙花)>, <백자부(白瓷部)>, <옥저(沃沮)>, <다보탑(多寶塔)>, <사향(麝香)>, <먹을 갈다가> 등(等) 작품집(作品集). 시조시집(時調詩集) <초적(草笛)>, 시집(詩集) <고원(高原)의 곡(曲)>, <이단(異端)의 시(時)>, 동시집(童詩集) <석류꽃(石榴꽃)>, 시집(詩集) <의상(衣裳)>, <목석(木石)의 노래>, <삼행시(三行詩) 65편(篇)>, <먹을 갈다가>, <향기(香氣)남은 가을>, <느티나무의 말>, 산문집(散文集) <시(市)와 도자(道字)> 등(等)

김상옥 (金相沃, 1920년(年) 5월(月) 3일(日) ~ 2004년(年) 10월(月) 31일(日) )은 대한민국(大韓民國) 의 시조(時調) 시인(詩人), 서예가(書藝家), 서화가(書畫家), 수필가(隨筆家)이다. 1920년(年) 경상남도(慶尙南道) 통영시(統營市) 항남동에서 출생(出生)하였다. [1]

생애(生涯) [ 편집(編輯) ]

1938년(年) 에는 김용호 , 함윤수 등(等)과 함께 <맥> 동인(同人)으로 활동(活動)함과 동시(同時)에 시조(時調) 《봉선화(鳳仙花)》를 《문장》지(誌)에 발표(發表)함으로써, 문단(文壇)에 등장(登場)하였다. 1941년(年)에는 《 동아일보(東亞日報) 》 신춘문예(新春文藝)에 시조(時調) 《낙엽(落葉)》으로 등단(登壇)하여 본격적(本格的)인 작가(作家) 활동(活動)을 하였다.

1956년(年) 부터 마산고등학교(馬山高等學校) , 부산여자고등학교(釜山女子高等學校) , 경남여자고등학교(慶南女子高等學校) 에서 교편생활(敎鞭生活)을 하였다. 1980년(年) 에는 대한민국(大韓民國)에서 제(第)1회(回) 노산문학상(老産文學賞)을 수상(受賞)하였다.

그는 시조(時調) 외(外)에 동시(同時)·시(詩) 등(等) 여러 분야(分野)에 뛰어난 재질(才質)을 발휘(發揮)하였다. 섬세하고 영롱(玲瓏)한 언어(言語) 구사(驅使)가 특징(特徵)이다. 시조집(時調集)으로 《고원(高原)의 곡(曲)》, 시집(詩集)으로 《이단(異端)의 시(時)》 《의상(衣裳)》, 동시집(童詩集)으로 《석류꽃(石榴꽃)》 《꽃 속에 묻힌 집》 등(等)이 있다.

2004년(年) 10월(月) 30일(日)에 26일(日) 사망(死亡)한 부인(夫人)의 유택(幽宅)을 보고온 후(後) 쓰러져 10월(月) 31일(日) 병원(病院)에서 별세(別世)하였다. 슬하(膝下)에 2녀(女) 1남(男)을 두고 있다. [2]

가족(家族) 관계(關係) [ 편집(編輯) ]

  • 장녀(長女) 김훈정(패션 디자이너)
  • 차녀(次女) 김훈아
  • 막내남 김홍우(변호사(辯護士))

상훈(賞勳)과 추모(追慕) [ 편집(編輯) ]

  • 1974년(年) 노산문학상(老産文學賞)
  • 1982년(年) 중앙시조대상(中央始祖對象)
  • 1994년(年) 충무시문화상(文化相)
  • 1995년(年) 보관문화훈장(寶冠文化勳章) 거절(拒絶)
  • 1997년(年) 삼양문화상(三養文化相)

같이 보기 [ 편집(編輯) ]

각주(各州) [ 편집(編輯) ]

  1. 전혜원 (2009년(年) 6월(月) 23일(日)). “김춘수(金春洙)ㆍ박경리 등(等) 기리는 통영문학제(統營文學祭) 열려” . 아시아투데이 . 2010년(年) 2월(月) 11일(日)에 확인(確認)함 .  
  2. 최윤필 (2004년(年) 11월(月) 1일(日)). “원로(元老) 시조시인(時調詩人) 김상옥씨(金相玉氏) 별세(別世)” . 한국일보(韓國日報) . 2010년(年) 2월(月) 11일(日)에 확인(確認)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