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김동조 -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본문(本文)으로 이동(移動)

김동조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김동조
출생(出生) 1918년(年) 8월(月) 14일(日) ( 1918-08-14 ) (105세(歲))
일제강점기(日帝强占期) 조선(朝鮮) 경상남도(慶尙南道) 김해군(金海郡)
사망(死亡) 2004년(年) 12월(月) 9일(日) ( 2004-12-09 ) (86세(歲))
성별(性別) 남성(男性)  위키데이터에서 편집하기
국적(國籍) 대한민국(大韓民國)

김동조 (金東祚, 1918년(年) 8월(月) 14일(日) ~ 2004년(年) 12월(月) 9일(日) [1] , 김해시(金海市) )는 대한민국(大韓民國) 의 정치인(政治人), 외교관(外交官), 공무원(公務員)이다. 본관(本貫)은 언양 이며, 주(週) 일본(日本) 공사(公使), 초대(初代) 주(駐) 일본(日本) 대사(大使)와 대한민국(大韓民國) 의 외무부(外務部) 장(長)·차관(次官)을 지냈고, 1965년(年) 체결(締結)된 한일회담(韓日會談) 의 수석대표(首席代表)였다. 브루스 커밍스 는 《한국현대사(韓國現代史)》라는 그의 책(冊)에서, 김동조를 일제(日帝) 강점기(强占期) 때 일본(日本)에 협력(協力)한 한국인(韓國人)의 한 사람으로 지목(指目)하기도 했다. 체육인(體育人) 겸(兼) 정치인(政治人) 정몽준(鄭夢準) 과 허광수 회장(會長)의 장인(丈人)이며 영화배우(映畫俳優) 남궁원 가문(家門), 독립운동가(獨立運動家) 손정도(孫貞道) , 손원일 가문(家門)과도 사돈간(査頓間)이다.

생애(生涯) [ 편집(編輯) ]

1918년(年) 8월(月) 14일(日) 경상남도(慶尙南道) 김해군(金海郡) 좌부면(左部面) 부원리(不原理) (現 김해시(金海市) 부원동 )에서 출생(出生)하였다.

1943년(年) 일본(日本) 규슈제국대학(帝國大學) 법학과(法學科)를 졸업(卒業)하였다. 1951년(年) 외무부(外務部) 정무국장(政務局長)을 거쳐 외무부(外務部) 차관(次官)을 지냈다. 1960년(年) 2월(月), 한국(韓國) 정부(政府)는 동남아(東南亞) 각국(各國)과의 우호(友好) 증진(增進)을 위한 정책(政策)의 일환(一環)으로 중화민국(中華民國) , 말레이시아 , 필리핀 , 타이 , 남베트남 등(等) 5개국(個國)에 김동조를 단장(團長)으로 하는 친선사절단(親善使節團)을 파견(派遣)하기로 결정(決定)했다. 친선사절단(親善使節團)은 단장(團長) 외(外)에 차균희 (車均禧) 부흥부 경제계획관(經濟計劃館), 최광수 외무부(外務部) 삼등서기관(三等書記官)으로 구성(構成)되었다. [2] 1960년(年) 2월(月) 23일(日), 친선사절단(親善使節團)은 말레이시아와의 외교(外交) 관계(關係) 수립(樹立)을 발표(發表)하였다. [3] 1965년(年) 6월(月), 재일거류민단(在日居留民團), 상공인연합회(商工人聯合會), 부인회(婦人會)는 공동명의(共同名義)로 김동원 대사(臺詞)를 경질(更迭)해달라고 국회(國會)에 진정서(陳情書)를 보냈다.

1965년(年) 10월(月) 26일(日), 외무부(外務部)에 대(對)한 국정감사(國政監査)에서 김동조는 그 후(後) 재일교포(在日僑胞)들이 그와 같은 진정서(陳情書)를 제출(提出)한 것은 교포(僑胞)와 재일교포(在日僑胞) 사이의 오해(誤解)에 기인(起因)했던 것이고, 그 후(後) 그 오해(誤解)는 풀렸다고 설명(說明)했다. 또 이동원 외무부장관(外務部長官)은 김대사(金大使)가 본부(本部) 훈령(訓令)에 충실(充實)치 아니한 점(點)은 없다고 답변(答辯)했다. 그러나, 같은 날 국회(國會) 외무분과위원회(外務分課委員會)는 위원장(委員長) 김동환(金東煥)을 비롯하여 공화당(共和黨)의 변종봉 , 민병기 , 박현숙 , 박준규(朴浚圭) , 이만섭 의원(議員), 야당(野黨)의 나용균 , 유진산 , 강문봉 의원(議員)은 위 진정서(陳情書)를 검토(檢討)한 결과(結果), 김대사(金大使)가 (1) 교포보호(僑胞保護)에 소흘하고 (2) 본부(本部)의 훈령(訓令)에 충실(充實)치 못하며 (3)특정(特定) 재벌(財閥)을 편애(偏愛)하므로 정부(政府)가 김대사(金大使)를 될수록 조속(早速)한 시일(時日) 안에 해임(解任)할 것을 만장일치(滿場一致)로 정부(政府)에 건의(建議)하였다. [4] 1965년(年) 12월(月) 18일(日) 상오(上午) 10시반(時半) 중앙청(中央廳) 제(第)1회의실(會議室)에서 열린, 대한민국(大韓民國)과 일본(日本) 양국(兩國)의 국교정상화(國交正常化)를 최종적(最終的)으로 매듭짓는 기본조약(基本條約) 및 협정(協定)에 의(依)한 비준서(批准書) 교환(交換)에 김동조는 한일회담수석대표(韓日會談首席代表)로서 참석(參席)했다. [5] 1965년(年) 12월(月) 말(末), 한국(韓國) 정부(政府)가 주일(駐日) 대사(大使)에 김동조를 내정(內定)하자, 12월(月) 23일(日), 민중당의 김대중(金大中) 의원(議員)은 국회(國會) 본회의(本會議)에서 "국회(國會) 외무(外務)위가 만장일치(滿場一致)로 그 해임(解任)을 건의(建議)했으며 재일교포단체(在日僑胞團體)에서도 소환(召喚)을 건의(建議)한 바 있는 김동조 대사(大使)를 재임명(再任命)할 수 있는가"를 추궁(追窮)했다. [6] [7] 그러나, 12월(月) 24일(日) 한국정부(韓國政府)는 일본정부(日本政府)에 대(對)해 정식(正式)으로 김대사(金大使)에 대(對)한 아그레망을 요청(要請)했다. [8] 1966년(年) 1월(月) 14일(日), 주한(駐韓) 초대(初代) 대사(大使) 김동조는 일본(日本) 일왕(日王)에 신임장(信任狀)을 제정(制定)하였다. [9] 1965년(年)~1967년(年) 주(週) 일본(日本) 대사(大使)를 지냈다.

1967년(年) 9월(月) 16일(日), 대한민국(大韓民國) 정부(政府)는 김동조를 주미(駐美) 대사(大使)에 임명하여, [10] 김동조는 1967년(年) 11월(月) 9일(日), 백악관(白堊館)에서 존슨 대통령(大統領)에게 신임장(信任狀)을 제정(制定)하였다. [11] 1967년(年) 부터 1973년(年) 까지 주(週) 미국(美國) 대사(大使), 1973년(年) 부터 1975년(年) 까지 외무부장관(外務部長官), 석유개발공사장(石油開發公社腸)을 역임(歷任)하고 1981년(年) 변호사(辯護士)를 개업(開業)하였다. 외무부장관(外務部長官)으로서 김동조는 1975년(年) 3월(月) 초(初), 말레이시아 를 방문(訪問)하여 압둘 라자크 후세인 총리(總理)와 아마드 리(리)라우덴 외무장관(外務長官)을 만났다. [12] 2004년(年) 12월(月) 9일(日) , 숙환(宿患) 으로 향년(享年) 87세(歲)로 별세(別世)했다.

브루스 커밍스 는 《한국현대사(韓國現代史)》라는 그의 책(冊)에서, 김동조를 일제(日帝) 강점기(强占期) 때 일본(日本)에 협력(協力)한 한국인(韓國人)의 사례(事例)로 기술(記述)하였다. [13] 일본(日本) 후생성(厚生省) 보험국(保險局)과 일본(日本) 내무성(內務省) 산하(傘下) 교토부 부청(府廳) 내무국(內務局) 지방(脂肪)과 및 경찰국(警察局)에 근무(勤務)한 경력(經歷)으로 인해, 2008년(年) 민족문제연구소(民族問題硏究所) 친일인명사전 에 수록(收錄)하기 위해 정리(整理)한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收錄豫定者) 명단(名單) 에 포함(包含)되었다.

가족(家族) 관계(關係) [ 편집(編輯) ]

관계(關係) 이름 출생일(出生日) 활동(活動) 사항(事項)
아내 송두만 1922년(年)
장녀(長女) 김영애 1945년(年) 모건스탠리 부사장(副社長). 최융호(號)( 1943년(年) ~, 제너럴 마리타임 사장(社長))과 결혼(結婚).
차녀(次女) 김영숙(金英淑) 1947년(年) 손원일 의 장남(長男) 손명원(孫明源, 1941년(年) ~, 현대미포조선·쌍용자동차(自動車) 사장(社長), 스카이웍스솔루션코리아 고문(拷問))과 결혼(結婚). 김영숙의 딸은 손정희(孫貞姬)이고 사위는 홍정욱(洪政旭) .
장남(長男) 김대영 1948년(年) 해오실업(解悟失業) 사장(社長). 박봉(薄俸)인(1953년~ )과 결혼(結婚).
삼녀(三女) 김영자 (金寧慈) 1950년(年) 6월(月) 20일(日) 허정구 의 셋째 아들 허광수(1946년(年)~, 전(前) GS칼텍스정유(精油) 부회장(副會長), 현(現) 삼양(三養)인터내셔널 회장(會長))와 결혼(結婚). 첫째 딸 허유정(1974년(年)~ )은 방상훈 의 아들 방준오( 1974년(年) ~ )과 결혼(結婚).
차남(次男) 김민영 1958년(年) 한국외국어대학교(韓國外國語大學校) 교수(敎授). 정다미와 결혼(結婚).
사녀(士女) 김영명 1959년(年) 9월(月) 13일(日) 현대중공업(現代重工業)그룹 대주주(大株主). 정몽준(鄭夢準) 과 결혼(結婚).

각주(各州) [ 편집(編輯) ]

  1. “‘한국외교(韓國外交) 산증인(산證人)’ 김동조 전(前) 외무부장관(外務部長官) 별세(別世)” . 한겨레신문(新聞) . 2004년(年) 12월(月) 9일(日). 2005년(年) 5월(月) 5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07년(年) 10월(月) 23일(日)에 확인(確認)함 .  
  2. “團長에金東祚氏”. 동아일보(東亞日報). 1960년(年) 2월(月) 12일(日).  
  3. “外交使節을 交換... 韓國?馬來兩國間 合意” . 동아일보(東亞日報). 1960년(年) 2월(月) 24일(日). 석간(夕刊)1면(面). 韓國과 馬來聯邦은 二十三日 經濟 및 文化面에서의 緊密한 協調에 合意하는 한편(한便) 共産主義에 對한 兩國의 鞏固한 立場을 確認하였다. 韓國과 馬來兩國은 馬來政府官吏들과 韓國親善使節團(團長=金東祚氏)間에 있은 協商에 뒤이어 二十三日밤 聲明書를 發表하였다. 兩國은 또한 共同聲明書에서 外交使節을 交換할 것이라고 發表하였다.  
  4. “金大使解任건의(建議)” . 동아일보(東亞日報). 1965년(年) 10월(月) 26일(日).   [ 깨진 링크 ( 과거(過去) 내용(內容) 찾기 )]
  5. “오늘부터 韓日國交正常化” . 경향신문(京鄕新聞). 1965년(年) 12월(月) 18일(日).   [ 깨진 링크 ( 과거(過去) 내용(內容) 찾기 )]
  6. “獨島領有權따져” . 경향신문(京鄕新聞). 1965년(年) 12월(月) 23일(日).   [ 깨진 링크 ( 과거(過去) 내용(內容) 찾기 )]
  7. “어떻게對處할것인가” . 동아일보(東亞日報). 1965년(年) 12월(月) 23일(日).   [ 깨진 링크 ( 과거(過去) 내용(內容) 찾기 )]
  8. “金東祚大使任命” . 경향신문(京鄕新聞). 1965년(年) 12월(月) 25일(日).   [ 깨진 링크 ( 과거(過去) 내용(內容) 찾기 )]
  9. “日誌1年” . 경향신문(京鄕新聞). 1966년(年) 12월(月) 17일(日).   [ 깨진 링크 ( 과거(過去) 내용(內容) 찾기 )]
  10. “12國大使任命의결(議決)” . 동아일보(東亞日報). 1967년(年) 9월(月) 16일(日). 國務會議는 16일(日) 駐美·駐英·駐日·駐獨大使를 포함(包含)해서 12개(個)國駐在大使를 새로 任命키로 議決했다. 이날 議決된 大使級의 大幅移動은 朴大統領의 決裁가 나는대로 月內에 發令케 되었다. … ▲駐美 大使〓金東祚(49·外務次官·駐日大使)   [ 깨진 링크 ( 과거(過去) 내용(內容) 찾기 )]
  11. “金東祚 駐美大使 존슨에信任狀제정” . 동아일보(東亞日報). 1967년(年) 11월(月) 10일(日).   [ 깨진 링크 ( 과거(過去) 내용(內容) 찾기 )]
  12. “金外務 말聯에 도착(到着)...오늘 라자크와 會談” . 동아일보(東亞日報). 1975년(年) 3월(月) 4일(日). 金東祚外務長官이 4일간(日間)의 「말레이지아」방문(訪問)을 위해 3일(日)밤 「쿠알라룸푸르」에 도착(到着)했다. 19일간(日間)에 걸쳐 「아시아」각국(各國)을 순방중(巡訪中)인 金長官은 도착후(到着後) 기자(記者)들에게 자기(自己)는 4일(日) 「압둘 라자크」「말레이지아」首相 및 「아마드 리(리)라우덴」公報相 겸(兼) 外相과 공동관심사(共同關心事)를 토의(討議)할 것이라고 말했다.  
  13. “정몽준(鄭夢準) 장(張)인 김동조 전(前) 외무장관(外務長官) ‘친일전력(親日前歷)’ 논란(論難)” . 일요시사(日曜示唆). 2002년(年) 9월(月) 30일(日). 2007년(年) 4월(月) 15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07년(年) 10월(月) 23일(日)에 확인(確認)함 . 대선(大選) 출마(出馬)를 공식(公式) 선언(宣言)한 정몽준 의원(議員)의 장인(丈人) 김동조 전(前) 외무장관(外務長官)의 친일의혹(親日疑惑) 부문(部門)은 브루스 커밍스의 ‘한국현대사(韓國現代史)’(2001년(年)·창작과비평사)에서 등장(登場)한다.  

참고(參考) 자료(資料) [ 편집(編輯) ]

전임(前任)
조정환
제(第)6대(代) 외무부(外務部) 차관(次官)
1957년(年) 5월(月) 3일(日) ~ 1959년(年) 9월(月) 12일(日)
후임(後任)
최규하
전임(前任)
(초대(初代))
초대(招待) 주(週) 일본(日本) 대사(大使)
1965년(年) 12월(月) ~ 1967년(年) 10월(月)
후임(後任)
엄민영
전임(前任)
김현철
제(第)8대(代) 주(週) 미국(美國) 대사(大使)
1967년(年) 10월(月) ~ 1973년(年) 12월(月)
후임(後任)
함병춘
전임(前任)
김용식
제(第)16대(代) 외무부(外務部) 장관(長官)
1973년(年) 12월(月) 3일(日) ~ 1975년(年) 12월(月) 18일(日)
후임(後任)
박동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