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기황후 (드라마) -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본문(本文)으로 이동(移動)

기황후 (드라마)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기황후
장르 팩션 사극(史劇) , 대하사극(大河史劇)
방송(放送) 국가(國家)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大韓民國)
방송(放送) 채널 MBC
방송(放送) 기간(期間) 2013년(年) 10월(月) 28일(日) ~ 2014년(年) 4월(月) 29일(日)
방송(放送) 시간(時間) 월(月) , 화(禍) 10시(時) ~ 11시(時) 5분(分)
방송(放送) 분량(分量) 65분(分)
방송(放送) 횟수(回數) 51부작(部作)
추가(追加) 채널 MBC 드라마넷 , 스카이 드라마 , MBC ON
기획(企劃) MBC 드라마본부(本部)
제작사(製作社) 이김프로덕션
연출(演出) 한희 , 이성준
조연출(助演出) 남성우 , 한진선, 이영태
극본(劇本) 장영철 , 정경순
출연자(出演者) 하지원 , 지창욱 , 주진모 , 백진희
HD 방송(放送) 여부(與否) HD 제작(製作) · 방송(放送)
외부(外部) 링크  기황후 홈페이지

기황후 》(奇皇后)는 2013년(年) 10월(月) 28일(日) 부터 2014년(年) 4월(月) 29일(日) 까지 방영(放映)된 문화방송(文化放送) 월화(月火)드라마 이다.

등장(登場) 인물(人物) [ 편집(編輯) ]

주인공(主人公) [ 편집(編輯) ]

  • 하지원  : 기승냥(氣勝兩) 역(驛) (아역(兒役) 현승민 ) - 고려출신(高麗出身) 원나라(元나라) 황후(皇后). 어린시절, 공녀(貢女)로 끌려가지 않기 위해 남장(男裝)을 하며 살아왔다. 자신(自身)의 어머니를 죽게 한 친원파(親元派) 거두(巨頭) 왕고(王考)에게 복수(復讐)하기 위해 신분(身分)을 숨기고 그의 수하(手下)에 들어 있던 중(中), 악소(惡少)배 두령(頭領)으로 방탕(放蕩)을 일삼던 고려왕(高麗王)과 만나게 된다. 이후(以後), 고려왕(高麗王)의 밀명(密命)을 받아 대청도에 유배(流配)를 오게 된 원나라(元나라) 황태제(皇太弟)를 감시(監視)하던 중(中) 고려(高麗)를 위해하려는 원나라(元나라)의 음모(陰謀)에 휘말리게 되고.. 우여곡절(迂餘曲折) 끝에 황태제(皇太弟)(타(他)환)를 구(救)하고 살아나오지만 여자(女子)임이 밝혀지며 공녀(貢女)로 원나라(元나라)에 끌려간다. 대청도(大淸島) 시절(時節), 승냥이는 타(他)환에게 연민(憐憫)을 지니고 있었다. 그러나 타환의(他換衣) 배신(背信)으로 아버지까지 죽게 되자 복수(復讐)를 다짐한다. 황실(皇室) 무수리가 되어 호시탐탐(虎視眈眈) 타환의(他換衣) 목숨을 노리던 중(中)에 원나라(元나라) 황후(皇后)인 타나실리(實利)의 계락(界樂)에 휘말리며 고려(高麗) 출신(出身) 궁녀(宮女)들의 죽음을 목격(目擊)한다. 구사일생(九死一生)으로 목숨을 건진 그녀(그女)는 자신(自身)에게 닥친 운명(運命)과 정면(正面)으로 맞서 싸우기로 마음먹는데...

원(元) 제국(帝國) [ 편집(編輯) ]

황실(皇室) [ 편집(編輯) ]

  • 지창욱  : 타(他)환 역(驛) - 원나라(元나라) 황제(皇帝). 명종황제(明宗皇帝)의 장남(長男)으로 태어났지만 권신(權臣)들의 득세(得勢) 속에서 황위(皇位)를 동생에게 빼앗기고 고려(高麗)의 대청도(大淸島)로 유배(流配)를 떠난다. 황태제(皇太弟)의 신분(身分)이지만, 의문사(疑問詞)한 아버지처럼 언제 죽을지 몰라 스스로 몸을 낮추고 멍청이를 자처(自處)하고 있었다. 그러나 그의 내면(內面)에는 뜨거운 분노(憤怒)와 슬픔이 있었다. 대청도(大淸島)에서 사사건건(事事件件) 자신(自身)을 감시(監視)하는 승냥이에게 묘(妙)한 우정(友情)을 느낀다. 승냥(勝兩)의 도움으로 목숨을 건졌지만 자신(自身)이 살기위해 거짓말을 하게 되고.. 결국(結局) 원나라(元나라)로 돌아가 황제(皇帝)의 지위(地位)에 오르게 되지만 마음 한 구석에 있는 승냥(勝兩)에 대(對)한 미안(未安)함에 괴로워한다. 승냥이 공녀(貢女)로 황궁(皇宮)에 끌려와 있다는 사실(事實)을 알게되고는 그녀(그女)와의 우정(友情)은 사랑의 감정(感情)으로 발전(發展)하게 되는데... 훗날(後날) 승냥(勝兩)의 도움으로 황제(皇帝)의 위용(威容)을 찾아가며 자신(自身)을 억압(抑壓)하는 권신(權臣)들과 맞서 싸우게 된다.
  • 정재민  : 이린질반(半) 역(驛) - 타환의(他換衣) 동생. 명종황제(明宗皇帝)의 차남(次男). 연철(鍊鐵)에 의(依)해 유배(流配)간 타(他)환 대신(代身) 황제(皇帝)가 되지만 얼마 안되어 병(病)으로 죽는다.
  • 김서형(金瑞亨)  : 황태후(皇太后) 역(驛) - 타환의(他換衣) 숙모(叔母). 몽골의 명문(名文), 옹기라트 가문(家門) 출신(出身)으로 문종황제(文宗皇帝)의 정실황후(正室皇后)다. 연철일가(鍊鐵一家)의 권력(權力)과 반대(反對) 속에서도 유배(流配)된 타환(他圜)을 불러다가 황제(皇帝)의 자리에 앉혔고, 계속(繼續)하여 타환(他圜)을 감싸며 보호(保護)했다. 그 때문에 타환(他圜)은 그녀(그女)의 말이라면 쉽게 거역하지 못한다. 황궁(皇宮) 내(內)에 여러번(番) 권력(權力)이 바뀌는 동안에도 황태후(皇太后)의 입지(立地)는 늘 변(變)함이 없었다. 그만큼 그녀(그女)는 고요한 가운데 움직였고, 움직이는 가운데에도 동요(動搖)가 없는 정치적(政治的)인 고수(高手)였다.
  • 백진희  : 타나실리(實利) 역(驛) - 연철(軟鐵)의 딸, 타환의(他換衣) 정실황후(情實皇后). 원나라(元나라) 최고(最高)의 명문가(名門家) 딸로, 뛰어난 미색(米色)이나 시기(時期)와 질투(嫉妬)가 대단하다. 아버지 때문에 타(他)환과 정략(政略) 결혼(結婚)을 하게 되지만, 타환(他圜)을 사랑하지는 않는다. 그러면서도 타(他)환이 자신(自身)을 사랑하지 않는다는 사실(事實)에 참을 수 없는 수치심(羞恥心)을 느낀다. 정실(情實) 황후(皇后)로서, 원자(原子)를 생산(生産)해내야겠다는 강(剛)한 일념(一念)을 가지고 있다. 후궁(後宮) 박씨(朴氏)의 회임소식(懷妊消息)에 특유(特有)의 시기질투(時期嫉妬)로 모략(謀略)을 꾸민다. 결국(結局), 박씨(朴氏)와 그녀(그女)를 따르는 측근(側近) 궁녀(宮女)들까지 모두 죽이는데...
  • 임주은  : 바얀 후투그 역(驛) - 백안장군(白眼將軍)의 조카. 후궁전(後宮殿)의 평화(平和)를 지키키 위(爲)해 기승냥(氣勝兩)한테 모든 것을 양보(讓步)하고 조용히 살지만, 속으로는 야심(野心)을 품고 있다.
  • 김진우  : 아유시리다라 역(驛) (아역(兒役) 이시우 ) - 타(他)환과 승냥(勝兩)의 아들. 마하의 실체(實體)가 밝혀져 황태자(皇太子) 작위(爵位)를 넘겨받는다.
  • 박하나  : 우희 역(驛) - 타환의(他換衣) 후궁(後宮)
  • 한혜린  : 박씨(朴氏) 역(驛) - 황태후(皇太后)의 간택(揀擇)을 받아 타환의(他換衣) 후궁(後宮)으로 들어간 기구(崎嶇)한 고려(高麗) 여인(女人).
  • 전세현  : 오씨(吳氏) 역(驛) - 황태후(皇太后)의 간택(揀擇)을 받아 타환의(他換衣) 후궁(後宮)으로 들어간 기구(崎嶇)한 고려(高麗) 여인(女人).
  • 최현(崔晛)  : 발라첩목아(帖木兒) 역(驛) - 원나라(元나라) 태공왕(太公王). 승냥(勝兩)의 황후(皇后) 책봉(冊封) 소식(消息)을 듣고 타(他)환에게 배신감(背信感)을 느낀 황태후(皇太后) 일파(一派)에 의(依)해 황제(皇帝)로 옹립될뻔 한다.

무관(無關) [ 편집(編輯) ]

  • 전국환  : 연철(軟鐵) 역(驛) - 원나라(元나라)의 최대(最大) 권신(權臣). 명종(明宗)을 암살(暗殺)한 주범(主犯). 명종(明宗)이 죽었으니 당연히(當然히) 장남(長男)인 타(他)환이 황위(皇位)를 계승(繼承)해야 했지만 타(他)환에게 대권(大權)을 물려주기는 싫었다. 타환(他圜)을 고려(考慮)에 유배(流配) 보내고, 대신(代身) 그의 동생을 황제(皇帝)로 앉히며 무소불위(無所不爲)의 권력(權力)을 휘두른다. 자신(自身)을 위협(威脅)하는 정적(靜寂)은 수단(手段)과 방법(方法)을 가리지 않고 제거(除去)한다. 고려왕(高麗王)에 대(對)해서도 경계(警戒)를 한다. 어릴 적부터 전장(戰場)에 참전(參戰)하여 많은 정복전을 벌였던 연철(鍊鐵)이지만 고려(考慮)만큼 강력(强力)한 저항(抵抗)을 했던 나라는 없었다. 그가 경계(警戒)하는 것은 바로 그런 기질(氣質)의 고려(考慮)였다.
  • 김정현  : 당기세(黨氣勢) 역(驛) - 연철(軟鐵)의 장남(長男). 성정(性情)이 포악(暴惡)하고 다혈질(多血質)이다. 황제(皇帝) 앞에서 칼을 차고 거들먹거릴 정도(程度)로 타환(他圜)을 업신여긴다. 맘에 들지 않으면 늙은 대신(大臣)들에게 매질도 서슴지 않을 정도(程度)로 무례(無禮)하다. 타나실리(實利)의 고자질(告者질)에 분기탱천(憤氣撐天)하여 승냥(勝兩)을 잡아 죽이겠다며 액정궁(液晶宮)에 군사(軍士)들을 이끌고 갔다가 독(毒)만이 이끄는 환관(宦官)들과 칼을 맞댄 적도 있다. 연철(鍊鐵)의 심복(心腹)인 백안(伯顔) 장군(將軍)에게 라이벌 의식(意識)을 지니고 있어 핍박(逼迫)하고 괴롭히며 자신(自身)의 우월감(優越感)을 내보이려 한다.
  • 차도진  : 탑자해(塔自害) 역(驛) - 연철(軟鐵)의 차남(次男). 휘정원사. 황태후(皇太后)(순제(順帝)의 숙모(叔母))의 재정기구(財政機構)인 휘정원을 담당(擔當)하고 있다. 돈과 여자(女子)를 밝히며 특히(特히) 고려(高麗) 여인(女人)들을 닥치는 대로 취(醉)하여 악명(惡名)이 높다. 형(兄) 당기세(黨氣勢)가 황제(皇帝)가 되어야 한다고 굳게 믿고 있으며 훗날(後날)의 모반(謀反)을 위해 휘정원을 관리(管理)하면서 많은 정치자금(政治資金)을 모으는 중(中)이다. 아버지와 형(兄)을 믿고 고려(高麗) 출신(出身) 환관궁녀(宦官宮女)들에게 갖은 악행(惡行)을 서슴지 않는다. 다소(多少) 망나니 같은 희극적(喜劇的)인 캐릭터다.
  • 성민수  : 방진(防塵) 역(驛) - 원나라(元나라) 추밀사(樞密司). 연철(鍊鐵)과 오랫동안 정복전쟁(征服戰爭)을 함께한 충복(忠僕)이다. 권력욕(權力慾)이 많아 연철(鍊鐵)이 쓰러진 틈을 타 원 조정(調整) 1인자(人者) 자리를 차지하려고 반란(叛亂)을 일으킨다.
  • 정병호  : 주국청(駐鞠廳) 역(驛) - 원나라(元나라) 차미정사(社). 머리가 비상(非常)하고 언변(言辯)이 좋아 연철(軟鐵)의 신임(信任)을 얻었다. 방진(防塵)과 같이 권력욕(權力慾)이 많은 사람이다.
  • 서범식  : 원진 역(驛) - 대(臺)도 도성수비대(都城守備臺) 군관(軍官).
  • 김영호(金映豪)  : 백안(伯顔) 역(驛) - 원나라(元나라) 태사우승상(太史右丞相)(太師右丞相). 몽고초원(蒙古草原)의 명문(名門)인 메르키트 가문(家門) 출신(出身)으로, 열렬(熱烈)한 몽골민족(民族) 지상주의자(至上主義者)다. 몽골의 옛 영화(英華)를 되찾고자 하는 원대(遠大)한 꿈을 꾸며 연철(鍊鐵)을 주인(主人)으로 삼고 충성(忠誠)을 하지만, 개인적(個人的) 영달(榮達)만을 쫓는 연철(鍊鐵)에게 많은 실망(失望)을 한다. 또한 당기세(黨氣勢)와 사사건건(事事件件) 갈등(葛藤)을 빚자 강(强)한 불만(不滿)을 갖게 된다. 백안(白眼)은 고려왕(高麗王)과 손을 잡고 연철(軟鐵) 일가(一家)를 역모(逆謀)로 몰아 멸족(滅族)시켜 버린다. 승냥이와 백안(白眼)은 동지(同志)가 되는 듯 했으나 타(他)환이 승냥이를 제 1황후(皇后)에 올리려 하자 백안이(安易) 반대(反對)를 하고 나서며 동지(同志)에서 적(敵)으로 마주선다.
  • 진이(珍異)한  : 탈탈 역(驛) - 백안(伯顔)의 조카. 승상(丞相). 일찍부터 한문학(漢文學)을 공부(工夫)했고, 문인(文人)들과의 교류(交流)가 잦았다. 백안(白眼)은 조카의 뛰어난 학문적(學問的) 소양(素養)과 지혜(智慧)를 귀(貴)하게 여겨 최측근(最側近)에 두고 책사(策士)로 삼았다. 연철(鍊鐵)을 몰아낼 때도 특유(特有)의 명석함으로 백안(白眼)을 도와 혁혁(赫赫)한 공(功)을 세운다. 백안이(安易) 실권(實權)을 장악(掌握)하고 승냥이와 대립(對立)할 때도 탈탈은 뛰어난 계략(計略)으로 승냥이를 위기(危機)에 빠뜨린다. 곱상한 외모(外貌)에 신중하고 집요(執拗)한 성격(性格)이나 선비 기질(氣質) 뒤에 서슬 퍼런 단호(斷乎)함과 대담(大膽)함을 지니고 있다.

원(元) 제국(帝國) 행성(行星) 주(週) [ 편집(編輯) ]

  • 차광수  : 오광 역(驛) - 원나라(元나라) 운남행성주(雲南行星州). 고려(高麗) 출신(出身)이며, 재인오씨(在寅吳氏)의 아버지이다.
  • 이계영  : 부사기(府使機) 역(驛) - 원나라(元나라) 영북행성주(英北行星州).
  • 장순국  : 설도간(泄道間) 역(驛) - 원나라(元나라) 사천행성주(泗川行星州).
  • 박통일(朴統一) : 적공(積功) 역(驛) - 원나라(元나라) 섬서행성주(徐行星州).
  • 한창호  : 주가(株價)소 역(驛) - 원나라(元나라) 강서행성주(星州).
  • 유병준  : 이귀숙 역(驛) - 원나라(元나라) 강절행성주(江節行星州).
  • 나기수  : 행성주(行星州) 역(驛) - 원나라(元나라) 감숙행성주(酣熟行星州).

환관(宦官) 및 상궁(尙宮)들 [ 편집(編輯) ]

  • 송경철  : 막생(幕生) → 적호(適好) 역(驛) - 고려(高麗) 출신(出身)이다. 명종황제(明宗皇帝)와 문종황제(文宗皇帝), 이린질반(半)의 환관(宦官). 이후(以後) 고려(高麗) 촌(寸) 촌장(村長)이 된다.
  • 신승환  : 꾀보 역(驛) - 여몽전쟁(旅夢戰爭) 때 원나라(元나라)에 간 고려인(高麗人)들 중(中) 한명(名)의 후손(後孫). 타(他)환 대신(代身) 죽는다.
  • 이원종  : 독(毒)만 역(驛) - 액정궁(液晶宮) 총(總) 책임자(責任者). 궁녀(宮女)들의 감옥(監獄)으로 불리며 악명(惡名)이 높은 액정궁(液晶宮)을 책임(責任)지는 태감(太監)자리에 있다. 액정궁(液晶宮)에 소속(所屬)된 수백(數百) 명(名)의 궁녀(宮女)들은 모두 황제(皇帝)의 소유(所有)다. 그곳에서 일어나는 크고 작은 사건(事件)들을 해결(解決)하는 독(毒)만의 모습은 피도 눈물도 없는 저승사자(저승使者)와도 같다. 승냥이가 진정(眞情)으로 고려인(高麗人)들의 한(恨)을 풀어줄 여걸(女傑)임을 알게 된 이후(以後)부터는 모든 것을 다 바쳐 승냥이를 보필(輔弼)한다.
  • 최무성  : 박불화 역(驛) - 고려출신(高麗出身) 환관(宦官). 승냥이를 도와 숱한 정적(政敵)들을 없애며 원나라(元나라) 권력(權力)의 핵심(核心)으로 부상(浮上)한다. 특히(特히) 최고(最高)의 군사조직(軍事組織)인 추밀원(樞密院)의 수장(首長), 동지추밀원사(東知樞密院事)(同知樞密院使)에 까지 오르며 원나라(元나라)의 군권(軍權)을 휘어잡는다. 승냥이에 대(對)한 충성심(忠誠心)은 절대적(絶對的)이다. 특히(特히) 연철(鍊鐵)을 몰아내고 백안이(安易) 권력(權力)을 잡았을 때, 무력충돌(武力衝突)도 불사(不辭)하며 승냥이를 위해 백안(白眼)과 맞선다. 원나라(元나라) 대신(大臣)들도 함부로 맞서지 못할 정도(程度)로 기질(氣質)과 배짱이 대단한 호걸(豪傑)타입이다.
  • 정윤  : 국수 역(驛) - 타(他)환 호위무사(扈衛武士).
  • 이응경  : 노상궁(盧尙宮) 역(役)
  • 서이숙  : 서상궁(西尙宮) 역(役)
  • 윤아정  : 연화 역(驛) - 무수리. 고려(高麗) 출신(出身). 승냥이처럼 공녀(貢女)로 끌려와 무수리가 된다. 신분상승(身分上昇)의 야망(野望)이 있다. 타나실리(實利)의 측근(側近)이 되어 승냥이를 음해(陰害)한다. 후궁(後宮)이 된 뒤에도 승냥이를 끝까지 괴롭힌다.
  • 이지현  : 홍단(紅短) 역(驛) - 고려출신(高麗出身) 무수리. 깍쟁이 같은 외모(外貌)와 다르게 의리(義理)가 강(剛)한 성격(性格)으로 무수리 천하(天下)를 누리는 연화 때문에 홍단(紅短) 역시(亦是) 숨죽인채 그녀(그女)의 눈치를 보면서 비위(脾胃)를 맞추고 지내야만 했지만 오직 승냥(勝兩) 하나만 믿고 따른 덕분(德分)에 무수리에서 상궁(尙宮)으로 신분상승(身分上昇)을 한다.

매박 상단(上段) [ 편집(編輯) ]

  • 조재윤  : 골타(骨朶) 역(驛) - 타(他)환에게 구박(驅迫)을 받지만 타환(他圜)을 걱정하는 환관(宦官).

그 외(外) 신하(臣下) [ 편집(編輯) ]

  • 김명국  : 장순용 역(驛) - 타환의(他換衣) 황실사부(皇室師父). 어릴 때부터 타환(他圜)을 교육시키고 그림자처럼 보필(輔弼)하며 돌보던 충복(忠僕)이다. 황태후(皇太后)와 함께 타환(他圜)을 연철(軟鐵) 세력(勢力)으로부터 보호(保護)하는데 앞장선다.
  • 윤복성  : 병부시랑(兵部侍郞) 역(驛)
  • 염정구  : 병부(兵部) 소속(所屬) 관리(官吏) 역(驛)
  • 윤영목  : 겁설대장(怯薛大將) 역(役)

고려(高麗) [ 편집(編輯) ]

고려(高麗) 왕실(王室) [ 편집(編輯) ]

  • 주진모  : 왕유(王維) [1] 역(驛) (아역(兒役) 안도(安堵)규 ) - 고려(高麗) 말(末)의 국왕(國王). 세자시절(世子時節) 악소(惡少)배와 어울려 노는 방탕(放蕩)한 탕아(蕩兒)로 왕실(王室)의 골칫거리였다. 하지만 사실(事實)은 자신(自身)을 견제(牽制)하는 왕고(王考)를 속이기 위한 눈속임일 뿐이다. 힘을 키우도(右島) 때를 기다리기 위해 몸은 바짝 낮추고 기다리던중에 승냥(勝兩)을 만나게 된다. 타환(他圜)을 죽이려는 음모(陰謀)에 휩싸이며 폐위(廢位)를 당(當)하고 원나라(元나라)에 유배(流配)를 가게 된다. 그 과정(過程)에서 승냥이 여자(女子)임을 알게 되고... 그녀(그女)를 보호(保護)하겠다는 일념(一念)에서 시작(始作)된 감정(感情)은 점점(漸漸) 사랑으로 발전(發展)하기 시작(始作)한다. 승냥이 황실(皇室)에서 쫓겨나 모진 고초(苦楚)를 겪을 때 보이지 않게 그녀(그女)를 도우며 후궁(後宮)으로 다시 황궁(皇宮)으로 돌아오는데 일조(一助)한다. 훗날(後날), 고려(高麗)의 왕(王)으로 복위(復位)하여 악소(惡少)배들을 앞세워 전국(全國)의 무역권(貿易權)과 상권(商圈)을 휘어잡는다. 승냥(勝兩)을 사이에 두고 타(他)환과 연적(戀敵)으로 맞서게 된다.
  • 권태원  : 부왕(父王) 역(驛) - 왕유(王維)의 아버지
  • 류현경  : 공주(公州) 역(驛) - 왕유(王維)의 어머니
  • 이재용(李在鎔)  : 왕고(王考) 역(驛) - 왕족출신(王族出身)의 권신(權臣), 친원파(親元派)의 거두(巨頭). 요동(搖動), 심양(瀋陽) 일대(一帶)에 흩어져 사는 고려(高麗) 유민(遺民)들을 다스렸던 전력(戰力)으로 심양왕(瀋陽王)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왕(王)이란 호칭(呼稱)이 자연스러울 정도(程度)로 권세(權勢)가 대단하다. 도탄(塗炭)에 빠진 백성(百姓)들을 구(救)하기 위(爲)해서라면 고려(高麗)가 원나라(元나라)에 편입(編入)이 되어야 한다는 입성론(入城論)을 강력히(强力히) 신봉(信奉)하고 있다. 개혁(改革)을 시도(試圖)하는 고려왕(高麗王)과 사사건건(事事件件) 부닥치며 대권(大權)에 대(對)한 욕심(欲心)을 끝내 포기(抛棄)하지 않는다.
  • 조우진  : 왕덕수 역(驛) - 왕고(王考)의 아들이자 부관(副官)
  • 최정원  : 강릉대군(江陵大君) 역(驛) - 왕유(王維)의 동생
  • 미상(未詳) : 덕흥군 역(驛)

왕유(王維)의 측근(側近) [ 편집(編輯) ]

  • 이문식  : 방신우 역(驛) - 고려(高麗)의 환관(宦官). 어릴 적에 환관(宦官)이 되어 충선왕(忠宣王) 때부터 충숙왕을 걸쳐 지금(只今)의 고려왕(高麗王)까지 삼대(三代)를 모시는 중(中)이다. 고려왕(高麗王)이 폐위(廢位) 당(當)하고 원나라(元나라)로 끌려가 갖은 고초(苦楚)를 겪는 중(中)에도 묵묵히(默默히) 고려왕(高麗王) 곁에 머물며 온갖 궂은일은 다한다. 무역(貿易)으로 번 돈으로 군사(軍士)들을 양병(佯病)하고 국력(國力)을 키우며 대업(大業)을 꿈꾸는 고려왕(高麗王)을 보며 남몰래 기쁨의 눈물을 짓기도 한다. 고려왕(高麗王)을 위해서라면 자신(自身)의 목숨도 내놓는, 죽어서도 왕(王)을 모시는 진정(眞正)한 환관(宦官)이었다.
  • 권오중  : 최무송 역(驛) - 고려왕(高麗王)의 심복(心腹). 대대로(代代로) 무인(武人)집안 출신(出身)으로 할아버지가 삼별초(三別抄) 항쟁(抗爭)에 참여(參與)했다가 전사(戰死)했다. 어린 시절(時節) 무예수련(武藝修鍊)을 하며 원나라(元나라)에 대(對)한 증오심(憎惡心)을 키워나간다. 게릴라 전술(戰術)에 능통(能通)하다. 고려왕(高麗王)을 위해서는 자신(自身)의 목숨을 깃털같이 버릴 준비(準備)가 되어있다. 훗날(後날) 원나라(元나라)에서 별초대(別招待)를 결성(結成)할 때 핵심인물(核心人物)이 된다.
  • 윤용현  : 점박이(點박이) 역(驛) - 고려왕(高麗王)의 심복(心腹). 악소(惡少)배 두령(頭領) 출신(出身)으로 고려왕(高麗王)과 처음 만났다. 원나라(元나라)에 끌려와 여러 사건(事件)에 개입(介入)하며 고려왕(高麗王)과 승냥이를 돕는다. 힘이 장사고 이북(以北) 사투리를 쓰는 희극적(喜劇的)인 캐릭터다.

그 외(外) 인물(人物) [ 편집(編輯) ]

  • 김명수(金命洙)  : 기자오 역(驛) - 순군(巡軍) 만호부(萬戶府)의 수장(首長)이며 승냥(勝兩)의 아버지.
  • 김예령  : 이씨부인 역(役) - 승냥(勝兩)의 어머니 (특별출연(特別出演))
  • 김진성 : 마하 역(驛) (아역(兒役) 설우형(愚兄) ) - 왕유(王乳)와 승냥(勝兩)의 아들.
  • 정웅인  : 염병수 역(驛) - 원나라(元나라)의 앞잡이. 천민(賤民) 출신(出身)으로 고려(高麗)의 말직(末職) 병졸(兵卒)에 있으면서 늘 출세(出世)를 꿈꾸었다. 오직 자신(自身)의 부귀영화(富貴榮華)에만 관심(關心)이 있다. 원나라(元나라)에서 고려촌(高麗村) 수탈(收奪)을 담당(擔當)하며 유민(流民)들을 괴롭히고 갖은 악행(惡行)을 저지른다. 연철(鍊鐵)의 비자금(祕資金)을 관리(管理)하며, 부정(不正)으로 축재(蓄財)한 엄청난 재산(財産)을 바탕으로 호사스런 생활(生活)을 한다. 원나라(元나라)에 귀화(歸化)하여 스스로 칭기즈칸의 후예(後裔)라고 공언(公言)을 하면서도 고려(高麗)의 음식(飮食)으로 몰래 밥상(밥床)을 차려먹는 웃기는 풍경(風景)을 연출(演出)하기도 한다.
  • 김형범  : 조참 역(驛) - 염병수의 최측근(最側近).
  • 이정성  : 김순조 역(驛) - 고려(高麗)의 참지정사(參知政事).
  • 김건호  : 기삼만 역(驛) - 고려(高麗)의 부원(部員)배.
  • 손선근  : 기철 역(驛) - 고려(高麗)의 부원(部員)배.
  • 손경업  : 자객(刺客) 막손 역(驛)

돌궐(突厥) [ 편집(編輯) ]

그 외(外) [ 편집(編輯) ]

시청률(視聽率) [ 편집(編輯) ]

최저(最低) 시청률(視聽率) 최고(最高) 시청률(視聽率) 시청률(視聽率) 조사회사(調査會社)와 지역별(地域別)로 시청률(視聽率)에 차이(差異)가 있을 수 있습니다.
2013년(年)
회차(廻車) 방송(放送)일 TNmS 시청률(視聽率) [2] AGB 시청률(視聽率) [3]
대한민국(大韓民國)(전국(全國)) 서울(수도권(首都圈)) 대한민국(大韓民國)(전국(全國)) 서울(수도권(首都圈))
1 10월(月) 28일(日) 10.1% 12.3% 11.1% 13.3%
2 10월(月) 29일(日) 12.0% 14.6% 13.6% 15.8%
3 11월(月) 4일(日) 11.7% 14.9% 12.8% 14.5%
4 11월(月) 5일(日) 12.7% 15.4% 14.5% 16.6%
5 11월(月) 11일(日) 14.0% 17.3% 14.5% 16.1%
6 11월(月) 12일(日) 14.6% 18.6% 16.3% 18.7%
7 11월(月) 18일(日) 15.2% 18.4% 15.5% 17.6%
8 11월(月) 19일(日) 16.5% 20.1% 16.9% 18.6%
9 11월(月) 25일(日) 15.4% 19.1% 17.2% 19.5%
10 11월(月) 26일(日) 16.2% 19.5% 18.1% 19.6%
11 12월(月) 2일(日) 17.7% 20.8% 17.8% 20.5%
12 12월(月) 3일(日) 18.4% 21.7% 19.0% 21.0%
13 12월(月) 9일(日) 19.1% 23.6% 20.2% 23.5%
14 12월(月) 10일(日) 18.4% 23.3% 19.5% 21.9%
15 12월(月) 16일(日) 17.7% 21.7% 18.8% 21.5%
16 12월(月) 17일(日) 18.1% 21.9% 18.8% 21.4%
17 12월(月) 23일(日) 17.3% 20.5% 17.3% 20.1%
18 12월(月) 24일(日) 17.3% 20.5% 17.5% 19.9%
2014년(年)
19 1월(月) 6일(日) 17.0% 21.8% 17.9% 20.4%
20 1월(月) 7일(日) 18.5% 23.8% 19.1% 21.3%
21 1월(月) 13일(日) 18.2% 23.7% 19.6% 22.9%
22 1월(月) 14일(日) 19.0% 23.9% 20.3% 22.1%
23 1월(月) 20일(日) 19.5% 23.6% 20.8% 23.6%
24 1월(月) 21일(日) 20.7% 24.7% 22.6% 26.2%
25 1월(月) 27일(日) 21.4% 27.0% 22.8% 26.8%
26 1월(月) 28일(日) 22.0% 26.3% 24.9% 28.6%
27 2월(月) 3일(日) 24.2% 29.8% 23.9% 27.7%
28 2월(月) 4일(日) 24.0% 29.3% 25.3% 29.1%
29 2월(月) 10일(日) 20.8% 25.3% 22.7% 25.3%
30 2월(月) 17일(日) 25.3% 30.9% 26.5% 29.6%
31 2월(月) 18일(日) 25.6% 30.9% 26.6% 29.4%
32 2월(月) 24일(日) 24.4% 31.0% 25.3% 28.8%
33 2월(月) 25일(日) 27.9% 33.6% 28.6% 31.3%
34 3월(月) 3일(日) 26.1% 32.4% 26.2% 29.7%
35 3월(月) 4일(日) 26.5% 32.3% 28.3% 31.4%
36 3월(月) 10일(日) 26.0% 31.4% 26.9% 30.8%
37 3월(月) 11일(日) 27.1% 32.4% 29.2% 32.4%
38 3월(月) 17일(日) 25.6% 30.7% 27.7% 31.3%
39 3월(月) 18일(日) 25.0% 29.3% 26.5% 29.7%
40 3월(月) 24일(日) 22.4% 27.5% 24.4% 27.9%
41 3월(月) 25일(日) 24.0% 29.8% 26.0% 28.8%
42 3월(月) 31일(日) 23.5% 27.2% 25.0% 28.8%
43 4월(月) 1일(日) 24.1% 27.4% 25.0% 27.9%
44 4월(月) 7일(日) 23.9% 27.8% 24.3% 27.2%
45 4월(月) 8일(日) 23.5% 28.7% 25.5% 28.7%
46 4월(月) 14일(日) 23.9% 28.0% 25.3% 28.3%
47 4월(月) 15일(日) 23.8% 28.9% 26.1% 28.8%
48 4월(月) 21일(日) 22.7% 25.6% 22.9% 24.9%
49 4월(月) 22일(日) 23.9% 27.2% 26.6% 29.4%
50 4월(月) 28일(日) 25.7% 30.6% 26.2% 28.7%
51 4월(月) 29일(日) 28.3% 33.9% 28.7% 31.7%
평균(平均) 시청률(視聽率) 20.7% 25.1% 21.9% 24.7%

수상(受賞) 경력(經歷) [ 편집(編輯) ]

시상식(施賞式) 후보(候補) [ 편집(編輯) ]

결방(決放) 사유(思惟) 및 연장(延長) [ 편집(編輯) ]

역사(歷史) 왜곡(歪曲) 논란(論難) [ 편집(編輯) ]

기황후 제작진(製作陣)은 공식(公式) 홈페이지의 기획의도(企劃意圖)에서 이제 700년(年)이 지난 오늘날, 사랑과 권력(權力)을 향(向)한 그녀(그女)의 파란만장(波瀾萬丈)한 삶을 드라마를 통해 새롭게 복원(復元)하려 한다 [7] 고 밝혔다.

그러나 드라마 제작(製作) 이전(以前)부터 역사(歷史) 왜곡(歪曲) 논란(論難)이 일었다. MBC 관계자(關係者)는 2013년(年) 8월(月) 28일(日) "그것을 다르게 보는 관점(觀點)도 있다. 두 일간지(日刊紙) 인터넷 판에 실린 '서울대(서울大) 이강한 교수(敎授)'의 주장(主張)을 읽어보라" [8] 고 말했다. 반면(反面) 스포츠경향(傾向)과의 인터뷰에 응(應)한 이강한 교수(敎授)는 "기황후는 긍정적(肯定的)으로 평가(評價)할 수 없다. 처음 듣는 이야기", "충혜왕도(度) 긍정적(肯定的)으로 평가(評價)할 수 없다. 궁궐(宮闕) 내(內) 방직(紡織) 공장(工場)을 차려서 여종(餘種)을 끌고 와서 말 안들으면 때려 죽였다", 기황후(奇皇后)와 충혜왕(忠惠王)을 긍정적(肯定的)으로 봤다는 자신(自身)의 논문(論文) 관련(關聯) 보도(報道)에 "내 논문(論文)에 그런 평가(評價) 없다. 그 사람들 내 논문(論文)을 읽어보기는 했다는 거냐"고 되물었다. [8]

한편(한便) 장영철 작가(作家)는 제작발표회(製作發表會)에서 "특히(特히) 자료(資料)가 적어서 많은 부분(部分)을 창작(創作)할 수밖에 없었고 70%이상(以上)은 허구(虛構)의 인물(人物)들로 만들 수밖에 없었다." [9] 라고 밝혔다. 그럼에도 불구(不拘)하고, 방영(放映) 기간(期間) 동안 일부(一部) 시청자(視聽者)들은 "아무리 드라마라고 해도 역사적(歷史的) 사실(事實)과 동떨어진 설정(設定)은 보는 이들로 하여금 잘못된 역사(歷史) 인식(認識)을 심어줄 수 있다" [10] 고 성토(聲討)하였다.

동시간대(同時間帶) 드라마 [ 편집(編輯) ]

미래(未來)의 선택(選擇) 》 (2013년(年) 10월(月) 14일(日) ~ 2013년(年) 12월(月) 3일(日))
총리(總理)와 나 》 (2013년(年) 12월(月) 9일(日) ~ 2014년(年) 2월(月) 4일(日))
태양(太陽)은 가득히 》 (2014년(年) 2월(月) 17일(日) ~ 2014년(年) 4월(月) 8일(日))
빅맨 》 (2014년(年) 4월(月) 28일(日) ~ 2014년(年) 6월(月) 17일(日))
수상(殊常)한 가정부(家政婦) 》 (2013년(年) 9월(月) 23일(日) ~ 2013년(年) 11월(月) 26일(日))
따뜻한 말 한마디 》 (2013년(年) 12월(月) 2일(日) ~ 2014년(年) 2월(月) 24일(日))
신(神)의 선물(膳物) - 14일(日) 》 (2014년(年) 3월(月) 3일(日) ~ 2014년(年) 4월(月) 22일(日))

각주(各州) [ 편집(編輯) ]

  1. 고려(高麗) 의 제(第)28대(代) 국왕(國王) 충혜왕 을 모티브로 했다.
  2. TNmS 멀티미디어 홈페이지
  3. “AGB닐슨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 . 2014년(年) 6월(月) 19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13년(年) 10월(月) 30일(日)에 확인(確認)함 .  
  4. " 한류(寒流)를 알리는 또 다른 방법(方法)" 서울드라마어워즈 2014 수상작(受賞作) 9월(月) 4일(日) 발표(發表)” . 2014년(年) 8월(月) 11일(日). 2014년(年) 8월(月) 12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14년(年) 8월(月) 11일(日)에 확인(確認)함 .  
  5. MBC 기황후 이틀 연속(連續) 결방(決放)… 시청자(視聽者)들은 ‘애탄다’ Archived 2014년(年) 2월(月) 22일(日) - 웨이백 머신 국민일보(國民日報) 김민석 기자(記者) 2013년(年) 12월(月) 31일(日) 작성(作成)
  6. 기황후, MBC 연기대상(演技大賞)·MBC 가요대제전(歌謠大祭典) 생방송(生放送)으로 이틀 연속(連續) 결방(決放) 경인일보 이상(異常)은 기자(記者) 2013년(年) 12월(月) 30일(日) 작성(作成)
  7. “기획의도(企劃意圖)” . MBC . 2017년(年) 1월(月) 31일(日)에 확인(確認)함 .  
  8. 강주일 기자(記者), 김진원 인턴 기자(記者) (2013년(年) 8월(月) 30일(日)). “[속보(速報)]MBC새월화극(月火劇) ‘기황후’ 왜곡(歪曲) 논란(論難), 역사학자(歷史學者)들도 "잘못 " . 《경향신문(京鄕新聞)》 (경향(傾向)미디어) . 2017년(年) 1월(月) 31일(日)에 확인(確認)함 .  
  9. 박주연 기자(記者) (2013년(年) 10월(月) 24일(日)). “‘기황후’ 제작진(製作陣), “70%가 허구, 팩션 사극(史劇)으로 봐 달라”” . 《리뷰스타》. 2017년(年) 2월(月) 3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17년(年) 1월(月) 31일(日)에 확인(確認)함 .  
  10. 권남영 기자(記者) (2014년(年) 4월(月) 30일(日)). “주원장(朱元璋)에게 정복(征服), 북원(北元) 건국(建國)?… ‘기황후’ 역사왜곡(歷史歪曲) 논란(論難) 의식(意識)한 마무리 ‘눈길’” . 《쿠키뉴스》 . 2017년(年) 1월(月) 31일(日)에 확인(確認)함 .  

외부(外部) 링크 [ 편집(編輯) ]

문화방송(文化放送) 월화(月火)드라마
이전(以前) 작품(作品) 작품명(作品名) 다음 작품(作品)
불의 여신(女神) 정(情)이
(2013년(年) 7월(月) 1일(日) ~ 2013년(年) 10월(月) 22일(日))
기황후
(2013년(年) 10월(月) 28일(日) ~ 2014년(年) 4월(月) 29일(日))
트라이앵글
(2014년(年) 5월(月) 5일(日) ~ 2014년(年) 7월(月) 29일(日))
한국방송공사 , 문화방송(文化放送) 고려말기(高麗末期) 드라마
이전(以前) 작품(作品) 작품명(作品名) 다음 작품(作品)
무신
(2012년(年) 2월(月) 11일(日) ~ 2012년(年) 9월(月) 15일(日))
기황후
(2013년(年) 10월(月) 28일(日) ~ 2014년(年) 4월(月) 29일(日))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