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금요일(金曜日) -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본문(本文)으로 이동(移動)

금요일(金曜日)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요일(曜日)
월요일(月曜日) 화요일(火曜日) 수요일(水曜日) 목요일(木曜日) 금요일(金曜日) 토요일(土曜日) 일요일(日曜日)

금요일(金曜日) (金曜日, Friday)은 요일(曜日) 중(中)의 하나로, 목요일(木曜日) 의 뒤의 날, 토요일(土曜日) 의 앞의 날이다. 월요일(月曜日)을 우선(優先)으로 하는 국가(國家)에서는 ISO 8601 의 권고(勸告)에 따라 한 주의(注意) 5번째(番째) 날이다. [1] 일요일(日曜日)을 우선(優先)으로 하는 국가(國家)에서는 한 주의(注意) 6번째(番째) 날이다.

전통적(傳統的) 기독교(基督敎) 달력(달曆)에서는 일요일(日曜日) 을 기준(基準)으로 한 주(週)의 여섯째 날로 보는데, 대한민국(大韓民國) 의 일상(日常)에서 쓰이는 달력(달曆)에서는 기독교(基督敎) 일본(日本) 의 영향(影響)으로 목요일(木曜日) 에 이어 여섯번째(番째)에 배치(配置)된다. [ 출처(出處) 필요(必要) ]

이름 [ 편집(編輯) ]

많은 유럽어권(語圈)에서 금요일(金曜日)은 ' 프리그 의 날'( 영어(英語) : Friday , 네덜란드어(語) : Vrijdag ) 또는 ' 베누스 의 날'( 프랑스어(프랑스語) : vendredi , 카탈루냐어(語) : divendres )을 어원(語源)으로 하고 있는데, 프리그와 베누스 모두 금성(金星) 을 상징(象徵)하는 신(神)이므로, 한국(韓國) 일본(日本) 에서는 '금요일(金曜日)'로 불린다.

중국(中國) [ 편집(編輯) ]

  • 중국(中國) 에서는 금요일(金曜日)을 한 주(週)의 다섯째 날이라는 의미(意味)로 '星期五'라고 한다.

행사(行事)와 문화(文化) [ 편집(編輯) ]

특징(特徵) [ 편집(編輯) ]

일반적(一般的)으로 이슬람교(이슬람敎) 를 믿는 무슬림 이 많이 사는 국가(國家) 들이 밀집(密集)한 아랍 세계(世界) 에서는 금요일(金曜日)이 공휴일(公休日) 로 지정(指定)되어 있다. 일요일(日曜日) 에 쉬는 여타(餘他) 국가(國家)들과는 달리 터키 , 이스라엘 , 북아프리카(北아프리카) 를 제외(除外)한 대부분(大部分)의 중동지역(中東地域)에서는 이날이 쉬는 날이 되며 이는 종교적(宗敎的) 의식(意識)이라는 의미(意味)를 두고 있다.

같이 보기 [ 편집(編輯) ]

각주(各州) [ 편집(編輯) ]

  1. 국립국어원(國立國語院) 표준국어대사전(標準國語大辭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