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그리스 독립(獨立) 전쟁(戰爭) -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본문(本文)으로 이동(移動)

그리스 독립(獨立) 전쟁(戰爭)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그리스 독립(獨立) 전쟁(戰爭)
날짜 1821년(年) 3월(月) 6일(日) ~ 1829년(年) 7월(月) 21일(日)
장소(場所)
결과(結果)

그리스 및 연합군(聯合軍) 승리(勝利)

교전국(交戰國)

그리스 그리스 독립군(獨立軍) (-1822)
그리스 왕국 그리스 제(第)1공화국(共和國) (1822-)
대영 제국 대영제국(大英帝國) (1827)
러시아 제국 러시아 제국(帝國) (1827-1829)
프랑스 왕국 프랑스 왕국(王國) (1827-1833)
지원국(支援國)

아이티 아이티 [1] [2]

오스만 제국 오스만 제국(帝國)
이집트 이집트 속주(屬州)
튀니지 튀니지 지방장관령(地方長官令)
트리폴리타니아 트리폴리타니아

알제리 오스만령(令) 알제리
지휘관(指揮官)

정치(政治) 지도자(指導者)
필(筆)리키 에테리아
그리스 게르마노스 3세(歲)
그리스 알렉산드로스 마브로코르다토스
그리스 요안(腰眼)니스 카포디스트리아스
군사(軍事) 지도자(指導者)
그리스 알렉산드로스 입실(入室)란티스
그리스 데메트리우스 입실(入室)란티스
그리스 테오도로스 콜로코트로니스
그리스 요르요스 카라이스카키스  
그리스 아테나시오스 디카오스  
그리스 파파플레사스  
그리스 콘스탄티노스 카나리스
그리스 요르요스 쿤투리(透理)오티스
그리스 얀니스 마크리얀니스
그리스 라스카리나 부부(夫婦)리나
그리스 만토 마브로제누스
그리스 엠마누엘 파파스
그리스 리처드 처치(處置)
그리스 토마스 코크레인
그리스 마르코스 보차(步車)리스  
해외원정군(海外遠征群) 지휘관(指揮官)
영국 조지 4세(歲)
영국 스트래트포드 캐닝
영국 에드워드 코드링턴
러시아 제국 니콜라이 1세(歲)
러시아 제국 로데비(費)히 헤이덴
러시아 제국 표트르 비트겐슈타인
프랑스 왕국 샤를 10세(歲)
프랑스 왕국 앙리 드 링니
프랑스 왕국 루이외젠(外製) 카베냑

프랑스 왕국 아메데 데스판퀴비에레

오스만 제국 마흐무트 2세(歲)
오스만 제국 오마르 브리오니
오스만 제국 마흐무드 드라말리 파샤
오스만 제국 레시드 메흐메드 파샤
이집트 무함마드 알리

이집트 이브라힘 파샤

그리스 독립(獨立) 전쟁(戰爭) ( 그리스어 : Ελληνικ? Επαν?σταση 엘리니키 에파나(罷拿)스타시(視) [ * ] , 오스만 튀르크어(語) : ???????? ?????????? Yunan ?syanı 유난 이스야(野)느 ) 또는 그리스 혁명(革命) 은 1821년(年)에서 1829년(年)까지 근대(近代) 그리스 의 혁명주의자(革命主義者)들이 오스만 제국(帝國) 에 대항(對抗)하여 일으킨 독립(獨立) 전쟁(戰爭)으로, 나중에 유럽 열강(列强)들의 지원(支援)을 받아 독립(獨立)을 얻고 그리스 왕국(王國) 이 성립(成立)하였다.

비잔티움 제국(帝國) 이 멸망(滅亡)하고 오스만 제국(帝國) 시대(時代)에 그리스 땅은 대부분(大部分) 투르크인(人)의 지배(支配)를 받았다. 이 시대(時代)에 그리스 사람들은 독립(獨立)을 얻기 위해 수(數) 차례(次例) 반란(叛亂)을 일으켰다. 1814년(年) '필리케 헤타이리아(한국어(韓國語): 우호형제단(友好兄弟團), 그리스어: Φιλικ? Εταιρε?α 혹은(或은) Εταιρε?α των Φιλικ?ν, 영어(英語): Society of Friends 혹은(或은) Filiki Eteria)'라는 비밀(祕密) 단체(團體)가 그리스의 해방(解放)을 목표(目標)로 조직(組織)되었다. 필리케 헤타이리아는 펠로폰네소스반도(半島) 도나우 공국(公國) , 콘스탄티노폴리스 에서 반란(叛亂)을 일으키기로 계획(計劃)하였다. 이들의 첫 반란(叛亂)은 1821년(年) 3월(月) 6일(日)에 도나우 공국(公國)에서 일어났으나, 이내(以內) 오스만 제국(帝國)에 제압(制壓)되었다. 북쪽(北쪽)에서 일어난 이 사건(事件)으로 이들 그리스 인(人)은 펠로폰네소스에서 행동(行動)을 개시(開始)하였으며, 같은 해 3월(月) 17일(日)에 마니 사람 들은 오스만 제국(帝國)에 전쟁(戰爭)을 선포(宣布)하였다. 그 달 말(末), 펠로폰네소스반도(半島)에 투르크에 대항(對抗)한 반란(叛亂)이 일어났으며, 같은 해 10월(月)에는 테오도로스 콜로코트로니스 가 이끄는 그리스 사람들이 트리폴리 를 장악(掌握)하였다. 펠로폰네소스 반란(叛亂)으로 크리티섬 , 마케도니아 , 중앙(中央)그리스 에서도 반란(叛亂)이 뒤따랐으나 곧 진압(鎭壓)되었다. 그러는 사이 에게해(에게海) 에서 임시(臨時) 그리스 해군(海軍)이 오스만 해군(海軍)을 물리쳤고, 투르크의 지원군(支援軍)이 바다에서 건너오지 못하도록 막아냈다.

여러 그리스인(人) 파벌(派閥) 사이에 긴장(緊張)이 높아지면서, 사실상(事實上) 내전(內戰)이 벌어졌다. 이때 오스만의 술탄 무함마드 알리 와 협상(協商)하여 알리는 영토(領土)를 대가(代價)로 아들 이브라힘 파샤 와 진압군(鎭壓軍)을 보내었다. 1825년(年) 2월(月) 이브라힘은 펠로폰네소스에 상륙(上陸)하여 즉시(卽時) 승리(勝利)하였고, 1825년(年) 말(末) 펠로폰네소스 대부분(大部分)이 이집트군의 손아귀에 넘어갔으며, 1825년(年) 4월(月)부터 투르크 군대(軍隊)가 포위(包圍)하던 메솔롱기 시(市)는 이듬해 4월(月)에 함락(陷落)되었다. 이브라힘은 마니반도(半度) 에서 패배(敗北)하긴 하였으나, 펠로폰네소스에서 일어난 반란(叛亂) 대부분(大部分)을 진압(鎭壓)하고 아테네 를 수복(收復)하였다.

러시아 제국(帝國) , 영국(英國) , 프랑스 3개(個) 열강(列强)은 몇 년(年) 동안 협상(協商) 끝에 그리스 분쟁(紛爭)에 개입(介入)하기로 하여 각국(各國) 해군(海軍)을 그리스에 파병(派兵)하였다. 투르크-이집트 함대(艦隊)가 그리스의 이드라 섬을 공격(攻擊)하리란 소식(消息)을 접(接)한 연합군(聯合軍) 함대(艦隊)는 나바리노 에서 투르크-이집트 함대(艦隊)를 가로막았다. 일주일간(一週日間) 대치(對峙)하다 백병전(白兵戰) 이 일어나 투르크-이집트 함대(艦隊)가 궤멸(潰滅)되었다. 프랑스 원정군(遠征軍) 의 도움으로 그리스인들은 투르크인(人)을 펠로폰네소스에서 몰아내고 나아가 1828년(年) 중앙(中央)그리스의 일부(一部)도 장악(掌握)하였다. 몇 년간(年間)의 협상(協商) 끝에 1832년(年) 5월(月) 그리스는 독립국(獨立國)으로 승인(承認)되었다.

그리스 혁명(革命)은 단순(單純)한 일개(一介) 지역(地域)의 독립(獨立) 운동(運動)이 아니라, 빈 체제(體制) 에 대(對)한 도전(挑戰)이라는 성격(性格)도 있어 독립(獨立) 과정(過程)은 복잡(複雜)하게 전개(展開)되었다. 그리스 가 독립(獨立) 전쟁(戰爭)의 와중(渦中)에 자유주의(自由主義) 적(敵) 헌법(憲法)을 채택(採擇)한 것도 이에 일조(一助)하였다. 러시아 빈 체제(體制) 의 수호자(守護者)로서의 지위(地位)를 벗어던지고 그리스 의 독립(獨立)을 지지(支持)하고 나섬에 따라 빈 체제(體制) 가 동요(動搖)하게 된다.

배경(背景) [ 편집(編輯) ]

외젠(外製) 들라크루아 의 작품(作品) "이단자(異端者)와 파샤의 전투(戰鬪)". 1827년작(年作). 캔버스에 유화(油畫). 시카고 예술원(藝術院) . 바이런 경(警)의 시(時) 이단자(異端者) 에서 영감(靈感)을 얻은 작품(作品)이다.

1453년(年) 콘스탄티노폴리스가 함락(陷落) 되고, 함락(陷落)과 동시(同時)에 후계(後繼) 국가(國家)들도 몰락(沒落)하면서 비잔티움 시대(時代)는 종말(終末)을 고(告)하였다. 그 직후(直後) 오스만 제국(帝國)이 발칸반도(半島)와 아나톨리아를 지배(支配)하였는데, 예외(例外) 지역(地域)도 있었다. 이오니아 제도(諸島) 는 영국(英國)이 지배(支配)하였고, 아그라파(派) , 스파키아 , 술리(리) , 히마라 , 마니반도(半度) 등(等) 일부(一部) 산간(山間) 지역(地域)에서는 오스만 제국(帝國)의 권능(權能)이 도전(挑戰)받았다. 그리스 정교도(正敎徒)는 오스만 지배하(支配下)에서 약간(若干)의 정치적(政治的) 권한(權限)을 보장(保障)받긴 하였으나, 이들은 열등(劣等)한 신민(臣民)으로 치부(置簿)되었다. [3] 투르크인(人)들은 그리스 사람 대부분(大部分)을 '라야스'( rayas )라고 불렀는데, 이것은 신민(臣民) 무리를 이르는 말이었다. 그러나 18세기(世紀)와 19세기(世紀)에 유럽 전역(全域)에 혁명적(革命的) 민족주의(民族主義)가 일어났고, 발칸 지역(地域)도 예외(例外)가 아니었다. (상당부분(相當部分)은 프랑스 혁명(革命) 의 영향(影響)이 컸다. [4] ) 오스만 제국(帝國)의 지배력(支配力)은 쇠퇴(衰退)하고 그리스의 민족주의(民族主義)가 발흥(發興)하였는데, 이들의 대의(大義)는 서유럽(西유럽)과 러시아로 이주(移住) 한 상인(商人)의 지원(支援)을 끌어내었을 뿐 아니라, 서유럽(西유럽)의 그리스 문화(文化) 애호자(愛護者) (Philhellenes)의 도움도 얻게 된다. [5] 그리스의 독립(獨立) 운동(運動)은 동유럽(東유럽)에서 첫 민족주의(民族主義) 성격(性格)을 띈 운동(運動)일 뿐 아니라, 오스만 제국(帝國)과 같은 비 기독교(基督敎) 지역(地域)에서 처음으로 일어난 민족주의(民族主義) 운동(運動)이기도 하다. [6]

오스만 제국(帝國) 지배하(支配下)의 그리스 사람들 [ 편집(編輯) ]

그리스 혁명(革命)은 사건(事件)이 아니라, 오스만 제국(帝國)의 지배(支配)를 받던 전(前) 시대(時代)에 걸쳐 수없이(數없이) 일어나고 실패(失敗)하던 독립(獨立) 운동(運動)이었다. 1603년(年) 모레아 에서는 비잔티움 제국(帝國)을 재건(再建)하려는 움직임이 있었다. 17세기(世紀) 내내 펠로폰네소스반도(半島) 와 다른 지역(地域)에서는 1600년(年)과 1611년(年)에 에페이로스 에서 일어난 철학자(哲學者) 디오니시오스 의 반란(叛亂)처럼 격렬(激烈)한 反오스만 제국(帝國) 투쟁(鬪爭)이 벌어졌다. [7] 모레아 전쟁(戰爭) 으로 펠로폰네소스반도(半島)는 30년간(年間) 베네치아 공화국(共和國) 의 지배(支配)를 받기도 하였다. 1680년대(年代)부터 1715년(年) 터키-베네치아 전쟁(戰爭) 으로 오스만 제국(帝國)이 반도(半島)를 수복(收復)할 때까지 [8] 이 지역(地域)은 혼란(混亂) 상태(狀態)였으며, 클레프테스 도적(盜賊) 무리가 늘어나면서 17세기(世紀) 내내 이런 상황(狀況)이 이어졌다. 첫 대규모(大規模) 반란(叛亂)은 1770년대(年代)에 러시아의 지원(支援)을 받아 일어난 오를로프 반란(叛亂) 으로, 어느 정도(程度) 성공(成功)을 거두다 결국(結局) 오스만 제국(帝國)에 진압(鎭壓)되었다. 반란(叛亂)이 실패(失敗)하자 투르크계(系) 알바니아인(人)들이 그리스 본토(本土)의 여러 지역(地域)을 약탈(掠奪)하였다. [9] 그러나 마니 사람 들은 계속(繼續) 투르크에 저항(抵抗)하여, 사실상(事實上) 자치(自治)를 누렸으며, 이 지역(地域)에 침입(侵入)한 투르크인(人)들을 수차례(數次例) 격퇴(擊退)하였는데, 가장 유명(有名)한 사례(事例)는 1770년(年)의 침입(侵入) 이다. [10] 제(第)2차(次) 러시아-터키 전쟁(戰爭) 당시(當時) 트리에스테 의 그리스인(人) 집단(集團)은 람브로스 카초(超)니스 가 이끄는 소함대(小艦隊)에 돈을 대어주었는데, 이들 함대(艦隊)는 투르크 해군(海軍)의 성가신 골칫거리였으며, 전쟁(戰爭)에서 클레프테스와 민병대(民兵隊)(Αρματολο?)가 다시 들고 일어났다. [11]

한편(한便) 수많은 그리스 사람들의 오스만 제국(帝國)의 관료(官僚) 조직(組織)에서 특권적(特權的)인 지위(地位)를 누렸다.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總大主敎) 를 통하여 그리스 사람들은 정교회(正敎會) 업무(業務)를 다루었는데, 정교회(正敎會)의 고위(高位) 성직자(聖職者)들은 대부분(大部分) 그리스계(系)였기 때문이었다. 오스만 제국(帝國)의 밀레트 제도(制度) 덕분(德分)에 총대주교(總大主敎) 관구(管區)의 그리스인(人) 성직자(聖職者)들은 제국(帝國)의 정교도(正敎徒) 신민(臣民)들( Rum milleti [12] ) [3] 들 다스릴 수 있었다. 현대 학자(學者)들은 그리스 정교회(正敎會) 가 그리스인의 민족적(民族的) 정체성(正體性)을 지키고, 그리스 사회(社會)가 발전(發展)하고 그리스 민족주의(民族主義)가 일어나는데 중요(重要)한 역할(役割)을 하였다고 주장(主張)한다. 18세기(世紀)부터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유력(有力)한 가문(家門) 사람들( 파(派)나리 사람 )이 투르크의 외교(外交) 정책(政策)과 종국(終局)에는 관료(官僚) 조직(組織) 전반(全般)을 상당부분(相當部分) 장악(掌握)하였다. [13]

리(里)가스 페레오스( 안드레아스 크리에지스 가 그린 초상화(肖像畫)). 그는 오스만 제국(帝國)에 대항(對抗)하여 서로 협력(協力)하여 범(汎)발칸 지역(地域)의 반란(叛亂)을 일으킬 계획(計劃)을 세웠으며, 그리스 혁명(革命)의 선구자(先驅者)로 평가(評價)받는다.

이 시기(時期)에 또 중요(重要)한 점(點)으로는 그리스인들이 예로부터 에게해(에게海) 의 군도(群島)에서 확고(確固)하게 해운업(海運業)에 종사(從事)하고 있었다는 사실(事實)인데, 18세기(世紀) 영향력(影響力)있는 상인(商人) 계급(階級)이 등장(登場)하여 그들이 창출(創出)한 부(部)로 학교(學校)와 도서관(圖書館)을 세우고 젊은 그리스인들을 서유럽(西유럽) 대학(大學)에 유학(留學)보낼 수 있게 된다. [14] 또 그리스인들이 급진적(急進的)인 이상(以上)인 유럽 계몽주의(啓蒙主義) 와 프랑스 혁명(革命), 낭만적(浪漫的) 민족주의(民族主義)를 접(接)한 곳도 바로 이곳이었다. 이들은 당대(當代) 교육(敎育)받은 그리스 청년(靑年)들이 그리스어와 그 문화(文化)를 깨닫게 하기도 하였다. [15] 아(亞)다만티오스 코라이스 안티모스 가(街)지스 등(等) 교육(敎育)받고 영향력(影響力)있던 그리스 이주민(移住民) 들은 그리스인들의 교육(敎育) 수준(水準)을 높이고 동시(同時)에 이들의 민족적(民族的) 정체성(正體性)을 강화(强化)하기 위하여 그리스 사람들에게 이러한 사상(思想)을 전(傳)해주었다. 새로운 사상(思想)을 전(傳)하기 위하여 그리스어로 된 책(冊)과 소책자(小冊子), 여타(餘他) 문서(文書)를 퍼뜨린 이러한 과정(過程)을 근대(近代) 그리스 계몽(啓蒙) (Διαφωτισμ??)이라고 한다. 학교(學校)나 도서관(圖書館)을 세우고 서적(書籍)을 출판(出版)한 것 외(外)에도 여기서 부유(富裕)한 상인(商人)들은 자금(資金) 지원(支援)을 통해 매우 중요(重要)한 역할(役割)을 하였다. 특히(特히) 그리스 독자(讀者)를 대상(對象)으로 하여 출판(出版)되는 책(冊)은 더욱 늘어났다. 18세기(世紀) 마지막 1/4분기(分期)에 출간(出刊)된 서적(書籍)의 수는 첫 1/4분기(分期)에 나온 책(冊)보다 7배(倍)나 많았다. 20년(年) 뒤 혁명(革命) 직전(直前)까지 1,300여권(餘卷)의 서적(書籍)이 출판(出版)되었다. [15]

오스만 제국(帝國) 내외(內外)의 그리스인들이 합의(合意)를 형성(形成)하는데 기여(寄與)한 작가(作家)와 지식인(知識人) 가운데 가장 영향력(影響力)있는 인물(人物)은 리(里)가스 페레오스 였다. 테살리아 에서 태어나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수학(受學)한 페레오스는 1790년대(年代)에 에서 ' 에피메리스 '(Εφημερ??, "신문(新聞)")라는 그리스어(語) 신문(新聞)에 글을 썼다. 프랑스 혁명(革命)에 깊은 영향(影響)을 받은 그는 처음으로 모든 발칸 민족(民族)(이(李) 지역(地域)의 투르크인도(人度) 포함(包含)하여)의 해방(解放)과 "발칸 공화국(共和國)" 건국(建國)을 목표(目標)로 한 광범위(廣範圍)한 민족주의(民族主義) 운동(運動)을 생각하고 고안(考案)하였다. 페레오스는 일련(一連)의 혁명(革命)과 관련(關聯)한 소책자(小冊子)를 출판(出版)하고, 그리스인과 나중에는 범(汎)발칸 공화국(共和國)을 위한 공화제(共和制) 헌법(憲法)을 제안(提案)하였다. 그러나 1797년(年) 그는 트리에스테 에서 오스트리아 관리(管理)에 체포(逮捕)되어 그의 공모자(共謀者)들과 더불어 오스만 제국(帝國)의 관리(管理)에 인계(引繼)되어 베오그라드 로 이송(移送)되었다. 1798년(年) 6월(月) 이들은 모두 교살(絞殺)되었고, 그 시체(屍體)는 도나우강(江) 에 버려졌다. [16] 페레오스의 죽음은 결국(結局) 그리스 민족주의(民族主義)의 불씨를 당기게 된다.

클레프테스와 민병대(民兵隊) [ 편집(編輯) ]

그리스 민병대(民兵隊) , 카를 하그 가 그린 수채화(水彩畫)

중앙(中央) 정부(政府)의 군사력(軍事力)이 약(弱)하던 시기(時期)에 발칸 지역(地域)의 농촌(農村)에는 무슬림과 그리스도 교도(敎徒)를 가리지 않고 공격(攻擊)하던 여러 도적(盜賊) 무리가 활개쳤는데, 이들을 그리스어로 클레프테스(κλ?φτε?)라 한다. 오스만 제국(帝國)에 저항(抵抗)했던 이들 클레프테스 도적(盜賊)들은 민간(民間) 설화(說話)에서 찬탄(讚歎)의 대상(對象)이었으며 중요(重要)한 역할(役割)로 나온다. [17] 클레프테스의 공격(攻擊)에 대응(對應)하여 오스만 제국(帝國)은 이들 무리 가운데 뛰어난 자(者)를 그리스도 교도 병사(兵士)로 삼았는데, 이들이 민병대(民兵隊)(αρματολο?)이며, 산지 고갯길 등(等) 위험(危險)한 지역(地域)의 치안(治安)을 맡겼다. 이들이 통제(統制)하는 지역(地域)을 민병대(民兵隊) 구역(區域)(armatolik) [18] 이라고 불렀는데, 가장 오래된 사례(事例)는 무라트 2세(歲) 시대(時代)에 아그라파(派)에 형성(形成)된 민병대(民兵隊) 구역(區域)이다. [19]

클레프테스와 민병대(民兵隊)의 차이(差異)는 분명하지 않은데, 후자(後者)는 종종(種種) 당국(當局)에 더 많은 이득(利得)을 뜯어내기 위하여 클레프테스가 되기도 하였고, 그러면 투르크는 이들을 상대(相對)하기 위해 다른 클레프테스 무리에게 민병대(民兵隊) 구역(區域)을 맡겼기 때문이다. [20]

클레프테스나 민병대(民兵隊)는 공동(共同)의 목표(目標)로 모인 사회(社會) 계급(階級)은 아니었으나, 지방(地方) 지배층(支配層)을 이루었다. [21] 민병대(民兵隊)의 지위(地位)는 점차(漸次) 세습(世襲)되어, 어떤 수령(守令)들은 자신(自身)의 구역(區域)을 개인(個人) 재산(財産)으로 다루기도 하였다. 이들은 막강(莫强)한 권력(權力)을 쥐었으며, 오스만 행정(行政) 당국(當局)을 이루는 의존(依存) 관계망(關係網)에 통합(統合)되었다. [20] 어떤 자(者)들은 자신(自身)의 민병대(民兵隊) 구역(區域)에 독자적(獨自的)인 지배권(支配權)을 확립(確立)하려들기도 하였는데, 오스만 정부(政府)는 이들을 제거(除去)하기 위해 노력(努力)했지만 번번이(番番이) 실패(失敗)하였다. [22] 그리스 독립(獨立) 전쟁(戰爭) 당시(當時) 오늘날 테살리아, 이피로스, 남부(南部) 마케도니아를 일컫는 루(壘)멜리 지역(地域)에 강력(强力)한 민병대(民兵隊)가 활동(活動)할 수 있게 되었다. [23] 얀니스 마크리얀니스 에 따르면, 독립(獨立) 전쟁(戰爭) 당시(當時) 그리스편(便)에서 유일(唯一)하게 상당(相當)한 군사(軍事) 조직(組織)을 이룬 클레프테스와 민병대(民兵隊)는 그리스 혁명(革命)에서 매우 중요(重要)한 역할(役割)을 하였다고 하며, 그는 이들을 "자유(自由)의 누룩 "이라고 칭(稱)하였다. [24]

필리케 헤타이리아 [ 편집(編輯) ]

페레오스의 순절(殉節)은 니콜라오스 스쿠파스 , 마놀리스 한토스, 아타나시오스 차(車)칼로프 이 세 젋은 그리스 상인(商人)에게 영향(影響)을 주었다. 프리메이슨 식(式)의 비밀(祕密) 결사(結社) 집단(集團)인 이탈리아의 카르보나리 의 영향(影響)을 받은 그들은 그리스 상인(商人) 디아스포라의 중심지(中心地) 가운데 한 곳인 오데사 에서 1814년(年) 필레케 헤타이리아 라는 비밀(祕密) 결사(結社) 조직(組織)을 만들었다. [25] 영국(英國) , 미국(美國) 의 부유(富裕)한 그리스 해외(海外) 공동체(共同體)와 서유럽(西유럽)의 그리스 동정론자(同情論者)들의 지원(支援)을 얻어 이들은 반란(叛亂)을 모의(謀議)하였다. 필레케 헤타이리아의 목표(目標)는 그리스 민족(民族) 국가(國家) 수립(樹立)이 아니라 콘스탄티노폴리스 를 수도(首都)로 두는 비잔티움 제국(帝國) 의 부활(復活)이었다. [26] 1820년대(年代) 초(初) 러시아 알렉산드르 1세(歲) 의 외무(外務) 장관(長官)을 지낸 바 있는 이오니아 제도(諸島) 출신(出身)의 관리(管理) 요안(腰眼)니스 카포디스트리아스 가 필레케 헤타이리아에 접근(接近)하여 지도자(指導者)로 임명(任命)해주길 제의(提議)하였으나 거부되었으며, 친우(親友)들(Filikoi, 필레케 헤타이리아의 구성원(構成員))은 알렉산드르 차르의 부관(副官)으로 러시아 군대(軍隊)에서 장군(將軍)으로 복무(服務)하던 파(派)나리 사람 알렉산드로스 입실(入室)란티스 를 지도자(指導者)로 삼았다. [27]

필레케 헤타이리아는 급속(急速)하게 성장(成長)하여, 그리스 세계(世界) 전역(全域)과 그리스 사회(社會) 모든 분야(分野)에서 친우(親友)들을 모을 수 있었다. 1821년(年) 오스만 제국(帝國)은 페르시아 와 전쟁(戰爭)을 치르고, 알리 파샤 의 반란(叛亂)을 상대(相對)하느라, 모레아의 지사(知事)( vali ) 후(後)르시드 파샤 와 다른 지역(地域) 고관(高官)들은 자신(自身)의 임지(任地)를 떠나고 반란(叛亂) 작전(作戰)에서 손을 놓을 수밖에 없었다. 같은 시기(時期) 유럽 열강(列强)들은 나폴레옹 1세(歲) 이후(以後) 혁명(革命) 움직임에 대항(對抗)하여 "유럽 협조(協調) 체제(體制)"를 이루어 이탈리아 에스파냐 을 처리(處理)하는 데 몰두(沒頭)하고 있었다. 그리스 사람들은 지금(只今)이야말로 반란(叛亂)을 일으킬 시기(時期)가 무르익었다고 판단(判斷)하였다. 이들의 당초(當初) 계획(計劃)은 펠로폰네소스반도(半島) , 도나우 공국(公國) , 콘스탄티노폴리스 세 곳에서 폭동(暴動)을 일으키는 것이었다. [28]

그리스 문화(文化) 애호(愛護) [ 편집(編輯) ]

시인(是認) 바이런 경(警).( 토마스 필립스 가 그린 초상화(肖像畫)) 영국(英國)의 저명(著名)한 그리스 문화(文化) 애호자(愛好者)로 그리스 혁명(革命) 전쟁(戰爭) 중(中) 죽었다.

그리스의 고전(古典) 유산(遺産) 덕분(德分)에 유럽 전역(全域)에서 그리스 문제(問題)에 대(對)한 동정론이 일었다. 저명(著名)한 시인(詩人)인 바이런 경(黥)을 비롯하여 여러 부유(富裕)한 미국인(美國人)과 서유럽(西유럽) 귀족(貴族)들이 무기(武器)를 들고 그리스 혁명(革命)에 뛰어들었다. 그리스 혁명(革命)에 자금(資金)을 대는 사람도 많았다. 그리스 문화(文化) 애호자(愛護者)였던 영국(英國) 의 해군(海軍) 장교(將校)이자 역사(歷史)가 토머스 고든 은 혁명(革命) 투쟁(鬪爭)에 참가(參加)하였으며, 나중에 처음으로 그리스 혁명(革命)에 관(關)한 역사서(歷史書)를 영어(英語) 로 썼다. 그리스 문화(文化) 애호자(愛好者)들은 자신(自身)들의 생각과 배치(背馳)되는 그리스인들의 잔학(殘虐) 행위(行爲)는 종종(種種) 간과(看過)하였으며, 자신(自身)들의 자유주의(自由主義) 충동(衝動)을 그리스 혁명(革命)에 쏟았다. [29]

처음에 열강(列强)들은 그리스 문제(問題)에 미지근한 반응(反應)이었지만, 유럽 대중(大衆)은 그리스의 반란(叛亂)에 대(對)해 널리 공감(共感)을 느꼈다. 어떤 역사가(歷史家)들은 그리스도 교도(敎徒)의 잔학(殘虐) 행위(行爲)는 무시(無視)하거나 평가(評價) 절하(切下)하면서, 유럽 전역(全域)에서 오스만 제국(帝國)이 잔학(殘虐) 행위(行爲)를 자행(恣行)하였다고 주장(主張)하기도 하였다. [30] 오스만의 어느 학살(虐殺) 사건(事件)은 외젠(外製) 들라크루아 의 유명(有名)한 그림 키오스 섬의 학살(虐殺) 에 영감(靈感)을 주었으며, 들라크루아의 여타(餘他) 그리스 문화(文化) 애호적(愛好的)인 작품(作品)은 바이런의 시(市)에서 영향(影響)을 받았다. 가장 저명(著名)한 그리스 문화(文化) 애호자(愛護者)였던 바이런은 자신(自身)의 명성(名聲)과 부(富)를 이용(利用)하여 그리스 문제(問題)에 뛰어들었다. [31] 그는 알바니아 와 그리스에서 지냈으며, 자금(資金)을 모으고 여러 선박(船舶)의 식량(食糧) 등(等) 물자(物資)를 대었으나, 1824년(年) 메솔롱기 에서 열병(熱病)으로 죽었다. 그의 죽음으로 유럽에서는 그리스 문제(問題)에 대(對)한 동정론이 더욱 강(剛)해졌다. 들라크루아의 그림과 더불어 바이런의 시(詩)는 대가(代價) 없이 그리스 혁명(革命)에 지지(支持)하는 유럽 여론(輿論)을 일으키는데 일조(一助)하였으며, 그리하여 서구(西歐) 열강(列强)도 직접(直接) 개입(介入)하게 된다. [32]

그리스 문화(文化) 애호(愛護)는 낭만주의(浪漫主義) 가 발생(發生)하는데 기여(寄與)하였는데, 이로써 예술계(藝術界)와 문학(文學) 지성계(知性界)의 젊은 세대(世代)들이 고대(古代) 역사(歷史)의 연장선상(延長線上)에서 근대(近代) 그리스 역사(歷史)를 다루어 고전(苦戰) 주제(主題)를 넓힐 수 있게 되었으며, 고대(古代) 그리스의 정신(精神)이 소생(蘇生)된다는 생각은 그리스 문제(問題)의 지지자(支持者)들의 수사(搜査)에 스며들었다. 근대(近代) 고전주의자(古典主義者)와 낭만주의자(浪漫主義者)들은 투르크인(人)을 축출(逐出)하는 일이 황금(黃金) 시대(時代)를 되살리는 전조(前兆)라고 여겼다. [33]

혁명(革命) 발발(勃發) [ 편집(編輯) ]

도나우 공국(公國) [ 편집(編輯) ]

1820년(年) 4월(月) 알렉산드로스 입실(入室)란티스가 필레케 헤타이리아의 수장(首長)으로 선출(選出)되어, 봉기(蜂起) 계획(計劃)의 과업(課業)이 그에게 맡겨졌다. 입실(入室)란티스는 발칸 지역(地域)의 모든 그리스도 교도(敎徒)들을 봉기(蜂起)하도록 선동(煽動)하고, 또 이들을 대신(代身)하여 러시아가 개입(介入)할 수 있도록 의도(意圖)를 품고 있었다. 3월(月) 6일(日) 그는 동지(同志)들과 프루트강(江) 을 건너 도나우 공국(公國) 으로 갔다. [34] 이곳의 루마니아인(人) 그리스도 교도(敎徒)들이 자신(自身)들과 합류(合流)하도록 그는 자신(自身)이 "한 열강국(列强國)( 러시아 를 암시(暗示)한다)의 지원(支援)"을 받고 있다고 알렸다. 프루트강(江)을 건넌 지 이틀 뒤에 입실(入室)란티스는 모든 그리스인과 그리스도 교도(敎徒)가 오스만 제국(帝國)에 대항(對抗)하여 봉기(蜂起)할 것을 요구(要求)하는 선언(宣言)을 발표(發表)하였다.

그는 아마 오스만 군대(軍隊)가 공국(公國)에 진입(進入)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러시아가 반란(叛亂)을 기정(旣定) 사실(事實)로 받아들이고 개입(介入)하게끔 할 수 있을 브레일라(日羅) (Br?ila)에 바로 가지 않고, 대신(代身) 야(野)쉬 (Ia?i)에 머물러 일부(一部) 親오스만파(派) 몰도바인(人) 을 처형(處刑)하도록 명령(命令)하였다. 몇 주나 지체(遲滯)하고 3월(月) 27일(日)에 부쿠레슈티 에 도착(到着)한 그는 왈라키아 게릴라 (pandur)들이 계속(繼續) 올테니아 를 중심(中心)으로 반란(叛亂) 전쟁(戰爭)을 계속(繼續) 하고 그리스의 대의(大義)를 도와주도록 의존(依存)할 수 없다고 판단(判斷)하였는데, 게릴라 지도자(指導者) 투도르 블라디미(美)레스쿠 는 필레케 헤타이리아의 명목상(名目上)의 동맹(同盟)일 뿐 입실(入室)란티스를 불신(不信)하였으며, 러시아와 오스만 제국(帝國) 모두와 관계(關係)를 유지(維持)하도록 노력(努力)하면서 스칼랏 칼리마치 (Scarlat Callimachi)가 부쿠레슈티의 왕위(王位)에 오르지 못하도록 반란(叛亂) 전쟁(戰爭)을 이어나갔다.

페터 폰 헤스 가 그린 "드러거샤니의 신성대 전투(戰鬪)". 그리스 아테네 베나키 박물관(博物館) .

이 때 러시아의 외무장관(外務長官) 카포디스트리아스는 알렉산드르 1세(歲) 의 명(命)을 받고 입실(入室)란티스에게 차르의 비난(非難) 서신(書信)을 전(傳)하였다. 카포디스트리아스는 입실(入室)란티스에게 자신(自身)의 이름이 군대(軍隊) 명부(名簿)에서 지워졌으며, 자신(自身)은 무기(武器)를 놓도록 명령(命令)을 받았다고 전(傳)하였다. 입실(入室)란티스는 이 서신(書信)을 무시(無視)하려 들었지만, 블라디미(美)레스쿠는 이 편지(便紙)로서 이제 자신(自身)이 필레케 헤타이리아에 아무 의무(義務)도 없다는 의미(意味)로 받아들였다. 그의 진영(陣營) 내부(內部)에서 갈등(葛藤)이 터져나왔고, 6월(月) 7일(日)에 필레케 헤타이리아에 의(依)하여 처형당하였다. 오스만이 왈라키아에 개입(介入)하면서 루마니아 동맹자(同盟者)를 잃고 그리스 망명자(亡命者)들은 패배(敗北)하였으며, 6월(月) 19일(日) 드러거샤니 전투(戰鬪) 에서 대패(大敗)하고 신성대 는 궤멸(潰滅)되었다. [35]

알렉산드로스 입실(入室)란티스는 형제(兄弟) 니홀라오스와 남은 동지(同志)와 함께 림니쿠 빌체아 (Ramnicu Valcea)로 퇴각(退却)하여, 국경(國境)을 넘기 위하여 허가(許可)를 얻고자 며칠간(間) 오스트리아 정부(政府)와 협상(協商)하였다. 동지(同志)들이 자신(自身)을 투르크인(人)에게 넘길 것을 두려워한 입실(入室)란티스는 코지아 수도원(修道院) 에서 테 데움 을 부른 사건(事件)으로 오스트리아가 투르크에 전쟁(戰爭)을 선언(宣言)했으며, 오스트리아 최고사령관(最高司令官)과 방책(方策)을 논의(論議)해야한다는 핑계로 국경(國境)을 넘겠다고 말하였다. 그러나 프란츠 2세(歲) 신성(神聖) 동맹(同盟) 의 반동(反動) 정책(政策)을 강행(强行)하였으며, 오스트리아는 인접(隣接) 국가(國家)의 반란군(叛亂軍) 지도자(指導者) 망명(亡命)을 받아주길 거부(拒否)하였다. 입실(入室)란티스는 7년간(年間) 투옥(投獄)되었다. [36] 몰다비아에서는 요르야(野)키스 올림피오스 얀니스 파르마키스 가 이끄는 투쟁(鬪爭)이 이어졌으녀, 그 해 말, 이 지역(地域)은 오스만에 진압(鎭壓)되었다.

펠로폰네소스 [ 편집(編輯) ]

그리스 아테네 에 있는 테오도로스 콜로코트로니스의 기마상(騎馬像).

예부터 오스만 제국(帝國)에 저항(抵抗)한 전통(傳統)이 깊은 펠로폰네소스반도(半島) 는 반란(叛亂)의 심장부(心臟部)가 되었다. 1821년(年) 초(初), 모레아 지사(知事) 후(後)르시드 파샤 와 투르크 군대(軍隊)가 자리를 비우면서, 그리스인들이 봉기(蜂起)하기에 상황(狀況)이 유리해졌다. 유명(有名)한 그리스인(人) 클레프테스 테오도로스 콜로코트로니스 나폴레옹 전쟁(戰爭) 당시(當時) 이오니아 제도(諸島) 의 영국군(英國軍)에서 복무(服務)하다가 1821년(年) 1월(月) 6일(日)에 귀(貴)한하여 마니반도(半度) 로 갔다. 투르크인(人)들은 콜로코트로니스가 도착(到着)했음을 알았고, 이곳 수령(樹齡)(bey) 페트로스 마브로니할리스 에게 콜로코트로니스를 넘겨주도록 요구(要求)하였다. 마브로미할리스는 자신(自身)은 한 노인(老人)일 뿐이라면서 요구(要求)를 거부(拒否)하였다. [37]

1월(月) 26일(日) 보스티차(車)(오늘날의 에이오(五) )에서 펠로폰네소스 전역(全域)의 수령(守令)들과 고위(高位) 성직자(聖職者)들이 모인 중요(重要)한 회합(會合)이 열렸다. 이곳에서 민간(民間) 지도자(指導者) 대부분(大部分)은 의심(疑心)을 드러내며, 러시아가 개입(介入)한다는 보장(保障)을 요구(要求)하였지만, 클레프테스 수령(守令)들은 봉기(蜂起)할 태세(態勢)가 되었음을 선언(宣言)하였다. 그렇지만 입실(入室)란티스가 도나우 공국(公國)으로 갔다는 소식(消息)이 전(傳)해지면서 펠로폰네소스의 분위기(雰圍氣)는 긴장(緊張) 상태(狀態)로 접어들었다. 그해 3월(月) 중순(中旬) 산발적(散發的)으로 무슬림에 대(對)한 습격(襲擊)이 일어나 봉기(蜂起)의 시작(始作)을 알렸다. 전승(傳承)에 따르면 파트라 대주교(大主敎) 예르마노스 아야 라브라 수도원(修道院)에서 3월(月) 25일(日)에 혁명(革命)을 선언(宣言)한다는 이야기가 있었지만, 이는 후대(後代)의 날조(捏造)이다. 그러나 이 날은 혁명(革命)이 공식적(公式的)으로 시작(始作)된 날로, 그리스의 국경일(國慶日) 이다.

1821년(年) 3월(月) 21일(日) 아(亞)레오폴리 에서 마니 사람들이 투르크인(人)에 대(對)해 전쟁(戰爭)을 선포(宣布)하였다. 페트로스 마브로미할리스가 지휘(指揮)하는 2,000명(名)의 마니 사람들의 군대(軍隊) 가운데는 콜로코트로니스와 그의 조카 니키타라스 , 파파플레사스 도 있었으며, 군대(軍隊)는 메시니아 칼라마타 마을로 진군(進軍)하여 23일(日)에 그리스인(人) 손에 함락(陷落)되었다. [38] 같은 날 그리스인(人) 수석(首席) 대주교(大主敎) 안드레아스 론도스 보스티차(車) 에서 봉기(蜂起)하였다. [39] 3월(月) 28일(日) 그리스인들의 통치(統治) 평의회(評議會) 가운데 처음으로 모인 메시니아 의회(議會)가 칼라마타에서 최초(最初)로 열렸다.

가장 널리 쓰였던 초기(初期) 혁명기(革命期). 콜로코트로니스 가문(家門)과 관련(關聯)이 있다.

아하이아 에서는 3월(月) 21일(日) 칼라브리타 마을이 포위(包圍)되었다. 이미 긴박(緊迫)한 상황(狀況)이었던 파트라 에서는 2월(月) 말(末)에 오스만 사람들이 재산(財産)을 옮겼으며, 며칠 뒤엔 가솔(家率)들도 뒤를 따랐다. 3월(月) 22일(日) 혁명군(革命軍)은 예르마노스 대주교(大主敎)가 자리한 가운데 파트라의 아요스 게오르요스 광장(廣場)에서 혁명(革命)을 선언(宣言)하였다. 다음 날 아하이아의 혁명(革命) 지도자(指導者)들은 혁명(革命)의 명분(名分)을 설명(說明)하는 문서(文書)를 외국(外國) 영사관(領事館)에 보내었다. [40] 3월(月) 23일(日) 오스만 제국(帝國)은 파트라에 산발적(散發的)인 공격(攻擊)을 감행(敢行)하였으나 파나이요(要)티스 카라차스 가 이끄는 혁명군(革命軍)은 이들을 다시 요새(要塞)로 몰아냈다. [41] 이곳에 숨어있던 얀니스 마크리얀니스 자신(自身)의 회고록(回顧錄)에서 이 일을 회상(回想)하기를 "파트라에서 이틀 뒤 총성(銃聲)이 울렸다. 투르크 사람들은 요새를, 로마(그리스) 사람들은 해안(海岸)을 장악(掌握)하였다." [42]

3월(月) 말(末) 그리스 사람들은 사실상(事實上) 농촌(農村) 지역(地域)을 장악(掌握)하였으며, 투르크 사람들은 파트라, 리오, 아크로코린토스 , 모(某)넴바시아(亞) , 나플리오(理誤) 그리고 펠로폰네소스의 주도(主導) 트리폴리 등(等) 이들 요새(要塞)에서 발이 묶여있었다. 트리폴리에서는 봉기(蜂起)가 일어나자 여러 무슬림들이 가족(家族)과 함께 이미 도주(逃走)한 상황(狀況)이었다. 그리스인들은 포병(砲兵)이 부족(不足)했기 때문에 각(各) 수령(守令)이 이끄는 지역(地域) 비정규(非正規) 군대(軍隊)가 이들 모든 요새(要塞)를 느슨하게 포위(包圍)하고 있었다. 트리폴리 외(外)에 모든 곳은 바다와 접(接)해있어 오스만 함대(艦隊)를 통해 보급(普及)과 지원(支援)을 받을 수 있었다. 트리폴리를 함락(陷落)하기로 결심(決心)한 콜로코트로니스는 그리스 병사(兵士) 300명(名)과 함께 아르카디아 로 이동(移動)하였다. 아르카디아 에 진입(進入)하자 이들 군대(軍隊)는 1,300명(名)의 투르크 군대(軍隊)와 싸워 물리쳤다. [38] 그해 10월(月) 5일(日) 콜로코트로니스 군대(軍隊)는 트리폴리를 함락(陷落)하였다. [43] 이틀 뒤 30,000명(名)이 넘는 트리폴리의 투르크 사람들이 죽임을 당(當)하였으며, 유대인(유대人) 주민(住民) 전체(全體)가 일소(一掃)되었다. [44]

중앙(中央)그리스 [ 편집(編輯) ]

바실리카 전투(戰鬪) 로 수많은 그리스 혁명군(革命軍)이 안전(安全)하게 되었다. 페터 폰 헤스 의 그림.

중앙(中央)그리스 의 여러 민병대(民兵隊)들도 필레케 헤타이리아에 합류(合流)하였다. 혁명(革命)이 터지자 이들은 혁명군(革命軍)과 함께 무기(武器)를 들었으며, 이들 가운데는 서로의 인맥(人脈)을 좇아 참가(參加)한 오디세(歲)아스 안드루초(超)스 , 게오르요스 카라이스카키스 , 아타나시오스 디아코스 도 있었다. [45]

아타나시오스 디아코스

중앙(中央)그리스에서 처음으로 반란(叛亂)을 일으킨 지역(地域)은 포키다 로 3월(月) 29일(日)의 일이었으며, 이틀 뒤에 티바 (테베)도 뒤를 이었다. 오스만 수비대(守備隊)는 이 지역(地域) 중심지(中心地)인 살로나의 성채(城砦)에서 버티다가 4월(月) 10일(日)에 그리스인(人)에 함락(陷落)되었다. 같은 시기(時期) 그리스인들은 알라마나 전투(戰鬪) 에서 오마르 비리(非理)오니 의 군대(軍隊)에 패배(敗北)하였으며, 이 전투(戰鬪)에서 아타나시오스 디아코스가 목숨을 잃었다. 그러나 오스만 세력(勢力)은 파르나소스 산(山) 델피 고대(古代) 유적(遺跡) 근처(近處)에서 벌어진 그라비아 전투(戰鬪) 오디세(歲)아스 안드루초(超)스 가 이끄는 그리스 군대(軍隊)에 패(敗)하여 주춤하였다. 비(非)리오니는 보이오티아 로 가서 리(里)바디아 를 약탈(掠奪)하며 모레아 로 가기전에 지원(支援)을 기다렸다. 베이란 파샤가 이끄는 이들 8,000명(名)의 군대(軍隊)는 결국(結局) 그해 8월(月) 26일(日) 바실리카 전투(戰鬪) 에서 패(敗)하였다. 이 패배(敗北)로 비(非)리오니는 철수(撤收)할 수밖에 없었고, 풋내기 그리스 혁명군(革命軍)은 위험(危險)에서 벗어났다.

크리티 [ 편집(編輯) ]

크리티 사람들도 혁명(革命)에 광범위(廣範圍)하게 참여(參與)하였으나, 이집트의 개입(介入)으로 투르크의 지배(支配)에서 벗어나지 못하였다. 투르크인(人)과 싸우다 순절(殉節)한 국민(國民) 영웅(英雄) 다스칼로얀니스 처럼 크리티 에는 투르크에 저항(抵抗)한 오랜 역사(歷史)가 있었다. 1821년(年) 반란(叛亂)을 일으킨 그리스도 교도(敎徒)들에게 오스만 당국(當局)은 잔혹(殘酷)한 응징(膺懲)으로 맞섰으며, 주모자(主謀者)로 간주(看做)된 몇몇 주교(主敎)들을 처형(處刑)하였다. 술탄 마흐무트 2세(歲) 는 자신(自身)의 불충한 봉신이자 정적(政敵)인 이집트 태수(太守)에게 크리티 태수령(守令)을 제의(提議)하며 도움을 요청(要請)하였다. 1824년(年) 이집트 군대(軍隊)가 섬에 상륙(上陸)하였으며, 이브라힘이 크리티의 반란(叛亂)을 종결(終結)할 임무(任務)를 맡았다. [46]

1821년(年)에서 1828년(年)까지 크리티 섬에선 전투(戰鬪)와 잔학(殘虐) 행위(行爲)가 계속(繼續)되었다. 무슬림들은 북쪽(北쪽) 해안(海岸)의 거대(巨大)한 요새촌(村)으로 물러났으며, 이곳에서 이들 가운데 60% 정도(程度)가 전염병(傳染病)과 굶주림으로 죽었다. 크리티의 기독교인(基督敎人) 역시(亦是) 인구(人口)의 21%가 죽었다.

마케도니아 [ 편집(編輯) ]

테살로니키 를 비롯한 마케도니아 의 여러 도시(都市)들이 경제적(經濟的)으로 발전(發展)하면서 그와 더불어 문화(文化)와 정치(政治) 면(面)에서도 부흥기(復興期)를 맞았다. 레가스 페레오스와 같은 사람들의 이상(理想)과 애국심(愛國心)을 담은 노래는 테살로니키 사람들에게 깊은 인상(印象)을 남겼다. 1812년(年)에서 1813년(年)에 '투리오스'는 이런 노래 가운데 가장 대중적(大衆的)인 노래였다. 몇 년(年) 뒤 그리스 남부(南部)에서 터져나온 혁명(革命)의 열기(熱氣)가 북쪽(北쪽)까지 퍼졌으며, 필레케 헤타이리아 세력(勢力)이 급속히(急速히) 이곳에서도 뿌리를 내렸다. 마케도니아에서 혁명(革命)을 지도(指導)하고 지원(支援)하던 사람은 세레스 , 도비차(度飛車) 마을 출신(出身)의 엠마누엘 파파스 로, 그는 1819년(年)에 필레케 헤타이리아에 가입(加入)하였다. 파파스는 오스만 제국(帝國) 지역(地域) 당국(當局)과 이곳의 태수 이스마일 베이에 상당(相當)한 영향력(影響力)이 있던 사람으로, 자신(自身)의 부(富)를 그리스 독립(獨立)의 대의(大義)에 쏟아부었다. [47]

알렉산드로스 입실(入室)란티스의 지시(指示)로 마케도니아 주민(住民)들이 반란(叛亂)을 일으킬 기반(基盤)을 마련하기 위하여 파파스는 3월(月) 23일(日)에 콘스탄티노폴리스 에서 무기(武器)와 군수품(軍需品)을 배 한 척(隻)에 실어와 아토스산(山) 으로 갔는데, 이곳이 반란(叛亂)을 일으키기에 가장 좋은 장소(場所)라고 여겼기 때문이다. 그러나 바칼로풀로스가 썼듯이, "반란(叛亂)을 일으키기에 충분(充分)한 준비(準備)가 되지 않았으며, 혁명(革命)의 이상(異常)은 아토스산(山) 수도사(修道士)들의 이상(以上) 세계(世界)와 화합(和合)할 수 없는 것이었다." [48]

프사(프사)라 에서 온 선원(船員)들이 차예지 에서 투르크 상인(商人)을 잡아 재산(財産)을 빼앗자 이에 분노(憤怒)한 투르크인(人)들이 5월(月) 8일(日)에 세레스의 거리에 나와 저명(著名) 인사(人士)들의 집에서 무기(武器)를 수색(搜索)하였으며, 프사(프사)라 사람에 대(對)한 보복(報復)으로 도시(都市) 사람들과 150명(名)의 상인(商人)들을 투옥(投獄)하고 이들의 물건(物件)을 빼앗았다. [49]

테살로니키 에서는 유수프 베이(이스마일 베이의 아들)가 자신(自身)의 관청(官廳)에 400명(名)이 넘는 인질(人質)을 투옥(投獄)하였으며, 이들 가운데 100명(名) 이상(以上)이 수도원(修道院) 지역(地域)에서 온 수도사(修道士)들이었다. 그는 폴리이로스 의 유력(有力) 인사(人士)들을 잡아들이려고 했는데, 이들은 태수의 의도(意圖)를 알아차리고 도망(逃亡)쳤다. 5월(月) 17일(日) 폴리이로스의 그리스 사람들은 무기(武器)를 들고 일어나 그곳 지사(知事)와 그의 부하(部下) 14명(名)을 죽이고, 3명(名)에게 부상(負傷)을 입혔다. 이들은 두 번(番)이나 투르크의 분견대(分遣隊)를 물리쳤다. 5월(月) 18일(日) 유수프가 폴리이로스에서 사건(事件)이 일어났으며, 할키디키반도(半島) 의 여러 마을에서 반란(叛亂)이 퍼지고 있음을 알게되자 태수는 자신(自身)의 면전(面前)에서 인질(人質) 절반(折半)을 죽이도록 명령(命令)하였다.

19세기(世紀) 말(末)에야 이 도시(都市)의 그리스 집단(集團)이 회복(回復)하게 된다. [50] 그러나 이 반란(叛亂) 덕분(德分)에 아토스산(山)과 카산드라와 타소스섬 이 가담(加擔)하게 되었다. [51] 그러는 사이 할키디키반도(半島)의 반란(叛亂)은 느리고 무질서(無秩序)하게 확대(擴大)되었다. 1821년(年) 7월(月), 반란군(叛亂軍)은 트라키아 와 남부(南部)의 연락(連絡)을 끊고자 하지 메흐메트 바이람 파샤가 소아시아(小아시아)의 군대(軍隊)를 남부(南部) 그리스로 진군(進軍)하는 것을 막으려 하였다. 반란군(叛亂軍)은 이들을 지체(遲滯)시키기는 하였지만, 결국(結局) 반란군(叛亂軍)은 렌티나 고개에서 패배(敗北)하고 만다. [52]

당시(當時) 할키디키반도(半島) 반란(叛亂)은 아토스산(山)과 카산드라가 있는 할키디키반도(半島)에 국한(局限)되어 있었다. 1821년(年) 10월(月) 30일(日) 테살로니키의 새 태수(太守) 메흐메트 에민 아불루부드가 반격(反擊)을 개시(開始)하여 카산드라에서 결정적(決定的)인 승리(勝利)를 거두었다. 파파스와 더불어 패잔병(敗殘兵)들은 프사(프사)라 함대(艦隊)에 구출(救出)되어 대개(大槪) 스키아토스 , 스코펠로스 , 스키로스 섬으로 갔다. 그러나 파파스는 이드라 로 혁명(革命)에 가담(加擔)하러 가는 도중(途中)에 죽었다. 시(時)토니아 , 아토스산(山), 타소스는 당분간(當分間) 투르크의 손에 넘어갔다. [53]

그러나 반란(叛亂)은 중앙(中央)마케도니아 에서 서(鉏)마케도니아 로, 올림포스 산(山) 에서 비에리아 베르미오 산 으로 퍼졌다. 1821년(年) 가을 니콜라오스 카소물리스가 그리스 남부(南部)에 "동남(東南)마케도니아의 대표자(代表者)"로 파견(派遣)되었으며, 디미트리오스 입실(入室)란티스 (알렉산드로스 입실(入室)란티스의 형제(兄弟))와 만났다. 그는 이드라에서 파파스에게 편지(便紙)를 보내어 올림포스 산(山)에 와서 수령(守令)들과 만나 "애국(愛國) 열기(熱氣)에 불을 지피도록" 청(請)하였다. [54] 1822년(年) 초(初) 아나스타시오스 카라타소스 앙겔리스 가초(街超)스 가 다른 민병대(民兵隊)들과 모임을 열어 반란(叛亂)이 나우사 , 카스타네아 , 시(時)아티스타(打) 세 도시(都市)를 중심(中心)으로 반란(叛亂)을 전개(展開)해야 한다고 판단(判斷)하였다. [55]

1822년(年) 3월(月) 메흐메트 에민은 콜린드로스 와 카스타네아(兒)에서 대승(大勝)을 거두었다. [56] 더 북쪽(北쪽)인 나우사 근처(近處)에서 자피라키스 테오도시우(道詩友) , 카라타소스, 가초(街初)스는 도시(都市)의 방비(防備)를 가다듬고, 첫 접전(接戰)에서 그리스 사람들이 이겼다. 도시(都市) 앞에서 메흐메트 에민은 10,000명(名)의 정규군(正規軍)과 10,600명(名)의 비정규군(非正規軍)을 이끌고 나타났다. 반란군(叛亂軍)의 항복(降伏)을 받아내지 못한 메흐메트 아민은 수없이 공격(攻擊)을 가(加)하였으며 자피라키스가 방비(防備)가 없는 지점(地點) "알로니아(Alonia)"를 드러내는 바람에 결국(結局) 4월(月)에 나우사는 함락(陷落)되었다. [57] 보복(報復)과 처형(處刑)이 이어졌으며, 여자(女子)들은 정조(貞操)를 잃고 노예(奴隸)로 팔리지 않으려고 아라피차 폭포(瀑布)에서 스스로 몸을 던졌다. 포위(包圍)된 나우사에서 빠져나간 이들은 코자니 , 시(時)아티스타(打), 아스프로포타모스 강(江) 으로 물러났으며, 프사(프사)라 함대(艦隊)가 이들을 북(北)에게 제도(制度) 로 데려다주었다. [58]

해전(海戰) [ 편집(編輯) ]

독립(獨立) 전쟁(戰爭) 초기(初期)부터 그리스 사람들은 바다에서 승리(勝利)하여 혁명(革命)에 중요(重要)한 역할(役割)을 하였다. 이들이 오스만 제국(帝國) 해군(海軍)을 막아내지 못하였다면, 투르크 군대(軍隊)는 고립(孤立)된 자신(自身)들의 요새(要塞)에 보급(普及)을 전(傳)하고, 제국(帝國)의 아시아 지역(地域)에 있는 지원군(支援軍)을 원(願)하는 곳에 상륙(上陸)시켜 반란(叛亂)을 분쇄(粉碎)할 수 있었을 것이었다. 그리스 함대(艦隊)는 주로(主로) 부유(富裕)한 에게 해(海) 제도(制度) 사람들이 꾸렸으며, 특히(特히) 이드라 , 스페체스 , 프사(프사)라 이 세 섬 출신(出身)이 많았다. 섬마다 군비(軍備)를 갖추고 각자(各自) 제독(提督)과 소함대(小艦隊)를 두었다.// 이들은 경험(經驗)이 많은 선원(船員)이었으나 그리스의 배들은 전투(戰鬪)용이 아니었으며, 겨우 작은 포(砲)로 무장(武裝)하고 무장(武裝)한 상인(商人)들이 타고 있는 정도(程度)였다. [59] 이들과 싸우는 오스만 제국(帝國)의 함대(艦隊)는 여러 면(面)에서 이점(利點)을 누렸다. 투르크의 선박(船舶)과 지원(支援)함은 전투용(戰鬪用)으로 건조(乾燥)하였으며, 광대(廣大)한 제국(帝國)에서 자원(資源)을 끌어다 썼고, 캅탄(彈) 파샤 휘하(麾下)에서 집중화(集中化)되고 잘 훈련(訓鍊)된 지휘(指揮) 체계(體系)를 갖추고 있었다. 오스만 함대(艦隊)의 총(總) 규모(規模)는 돛대가 있으며 각각(各各) 80문(門)의 함포(艦砲)를 장착(裝着)한 전열(譾劣)함 23척(隻), 함포(艦砲) 50문(門)의 프리깃 7~8척(隻), 함포(艦砲) 30문(門)을 갖춘 코르벳선(選) 5척(隻), 함포(艦砲) 20문(門) 이하(以下)의 브리그함 40척(隻)에 이르렀다. [60]

카나리스의 화선(火線)이 히오스의 투르크 기함(氣陷)을 파괴(破壞)하는 장면(場面).

이런 상황(狀況)에서 그리스인들은 화선(火船) (火船, πυρπολικ? 또는 μπουρλ?τα)을 운용(運用)하기로 하였다. 화선(火線)은 1770년(年) 오를로프 반란(叛亂) 때 프사(프사)라 사람들이 그 진가(眞價)를 드러낸 바 있었다. 1821년(年) 5월(月) 27일(日), 에레소스 에서 처음으로 화선(火線)을 시험(試驗)하였는데, 디미트리오스 파파니콜리(里)스가 이끄는 화선(火船) 한 척(隻)이 투르크 프리깃함 하나를 제대로 파괴(破壞)하였다. 그리스의 화선(火線)은 오스만의 군함(軍艦)에 대적(對敵)할만한 훌륭한 무기(武器)였다. 몇 년(年) 뒤 그리스의 화선(火線)이 성공(成功)을 거두면서 유명(有名)해졌으며, 1822년(年) 6월(月) 히오스 섬의 학살(虐殺) 에서 콘스탄티노스 카나리스 가 오스만의 기함(旗艦) 을 파괴(破壞)하는 등(等) 국제적(國際的)인 명성(名聲)을 얻었다. 총(總) 59척(隻)의 화선(火線)이 공격(攻擊)에 동원(動員)되었는데, 그 가운데 39척(隻)이 성공(成功)하였다.

같은 시기(時期) 전통적(傳統的)인 해전도(顚倒) 이루어졌는데, 안드레아스 미아울(蔚)리스 , 니콜리스 아포(亞砲)스톨리스 , 라코보스 톰바지스 , 안토니오스 크리에지스 와 같은 제독(提督)들이 두각(頭角)을 드러내었다. 전쟁(戰爭) 초(初)에 파트라 , 스페체스 에서 오스만 제국(帝國)과 직접(直接) 맞선 그리스 함대(艦隊)가 승리(勝利)를 거두면서, 그리스 승무원(乘務員)들은 자신감(自信感)을 얻었으며, 펠로폰네소스의 봉기(蜂起)가 성공(成功)하여 지속(持續)하는데도 크게 기여(寄與)하였다.

그러나 나중에 그리스인들이 내분(內紛)에 빠지자, 술탄은 자신(自身)의 강력(强力)한 봉신(封臣) 이집트의 무함마드 알리 에게 지원(支援)을 청(請)하였다. 내부(內部)에선 싸움이 일어나고, 재정(財政)상으로도 어려워 함대(艦隊)를 항시(恒時) 대기(待機)하도록 유지(維持)하기 어려워진 그리스인들은 메토니 에 상륙(上陸)한 이집트 군대(軍隊)가 1824년(年) 프사(프사)라 카소스 를 점령(占領)하고 파괴(破壞)하는 것을 막지 못하였다. 그리스는 사모스 와 예론(禮論)타스에서 이기긴 하였지만, 1827년(年) 유럽 열강(列强)이 개입(介入)하여 나바리노 해전(海戰) 에서 이길 때까지 혁명(革命)은 위험(危險)한 처지(處地)였다.

위기(危機)에 빠진 혁명(革命) [ 편집(編輯) ]

그리스의 내분(內紛) [ 편집(編輯) ]

1822년(年) 채택(採擇)된 그리스의 첫 국기(國紀).

1821년(年) 11월(月) 15~20일(日) 사이에 살로나(오늘날 암피사 )에서 지역(地域) 저명인사(著名人士)와 군대(軍隊) 수장(首長)들이 모인 회의(會議)가 열렸다. 테오도로스 네그리스 의 주도하(主導下)에 이들은 이 지역(地域)의 헌법(憲法) 초안(草案)인 "대륙(大陸) 그리스 동부(東部)의 법질서(法秩序)"(Νομικ? Δι?ταξι? τη? Ανατολικ?? Χ?ρσου Ελλ?δο?)를 작성(作成)하였으며, 그리스 동부(東部), 테살리아 , 마케도니아 의 저명(著名) 인사(人士) 71명(名)으로 구성(構成)된 통치(統治) 위원회(委員會)인 대륙(大陸) 그리스 동부(東部)의 아리오스 파(派)요스 ( ?ρειο? Π?γο? τη? Ανατολικ?? Χ?ρσου Ελλ?δο?)를 구성(構成)하였다.

한 달 뒤 에피다(多)브로스 에서 제(第)1차(次) 국회(國會) 가 열렸다. 여기서 디미트리오스 입실(入室)란티스가 대통령(大統領)으로 선출(選出)되었다.

공식적(公式的)으로 아리오스 파(派)요스는 제(第)1차(次) 국회(國會)가 열려 중앙(中央) 과도(過渡) 정부(政府)가 성립(成立)하면서 더 이상(以上) 존재(存在) 의의(意義)를 잃었으나, 계속(繼續) 존속(存續)하여 상당(相當)한 권한(權限)을 행사(行使)하였다. 중앙(中央)그리스 사람들이 장악(掌握)한 아리오스 파(派)요스와 펠로폰네소스 사람들이 장악(掌握)한 국회(國會)가 서로 대립(對立)하면서, 그리스는 사실상(事實上) 지역(地域) 정부간(政府間)의 내전(內戰) 상태(狀態)에 빠졌다. 1823년(年) , 저항군(抵抗軍)의 지도자(指導者) 테오도로스 콜로코트로니스 와 그 전(傳)해 1월(月)에 수립(樹立)된 임시(臨時) 정부(政府)의 내각(內閣) 수반(首班) 게오르요스 쿤투리(透理)오티스 사이에서 내전(內戰)이 일어났고, 그 이듬해 에는 쿤투리(透理)오티스 의 입지(立地) 강화(强化) 시도(試圖)를 둘러싸고 다시 제(第)2차(次) 내전(內戰)이 일어나는 등(等) 그리스 독립군(獨立軍) 진영(陣營)은 사분오열(四分五裂)하고 있었다.

이집트의 개입(介入) [ 편집(編輯) ]

페트로스 마브로미할리스 의 상(上). 그리스 , 아(亞)레오폴리 . 그는 '페트로베이(Petrobey)'로도 불렸으며, 칼라마타 를 해방(解放)하고 마니반도(半度) 를 지켰다.
마니의 기(氣).

그리스 군대(軍隊)가 투르크를 물리치자, 오스만의 술탄은 이집트 의 봉신(封臣) 무함마드 알리 에게 도움을 청(請)하였다. 무함마드 알리는 이에 동의(同意)하고 크리티 , 키프로스 , 펠로폰네소스, 시리아 를 대가(代價)로 아들 이브라힘 파샤 에게 원정대(遠征隊)를 맡겨 그리스에 파병(派兵)하였다. 그는 그리스의 주민(住民)들 대부분(大部分)을 추방(追放)하고, 이집트 농민(農民)들을 그리스에 재(再)정착시킬 계획(計劃)이었다. [61] 프랑스 초빙(招聘) 기술자(技術者)들의 자문(諮問)으로 근대적(近代的)인 군비(軍備)를 갖춘 이집트 의 진압군(鎭壓軍)에 그리스 가 대항(對抗)하기는 분명(分明) 어려운 상황(狀況)이었다.

1825년(年) 2월(月) 24일(日) 이브라힘 파샤는 메시니아 메토니 에 상륙(上陸)하였으며, 한 달 뒤 보병(步兵) 10,000명(名)과 기병(起兵) 1,000명(名)이 합류(合流)하였다. [62] 이브라힘은 메시니아 해안(海岸)과 떨어진 스팍테리아 라는 작은 섬에서 그리스 수비대(守備隊)를 몰아내었다. [63] 당시(當時) 그리스인들은 무질서(無秩序) 상태(狀態)였으며, 이브라힘은 펠로폰네소스 서부(西部) 지역(地域)을 약탈(掠奪)하고, 마니아키 전투(戰鬪) 에서 승리(勝利)하여 파파플레사스 를 죽였다. 이집트군을 무찌르기 위하여 그리스 정부(政府)는 투옥(投獄)되어 있던 콜로코트로니스를 풀어주었으나, 그도 승리(勝利)하지 못하였다. 그해 6월(月) 말(末), 이브라힘은 아르고스 시(詩)를 함락(陷落)하고, 나플리오(理誤) 목전(目前)까지 다다랐다. 당시(當時) 영국(英國) 해군(海軍) 의 함대(艦隊) 사령관(司令官) 거원(車轅) 해밀턴(Gawen Hamilton)은 나플리오(理誤) 수비(守備)를 도울 만한 지점(地點)에 함대(艦隊)를 배치(配置)하고 있다가 나플리(理)오를 구(求)하였다. [64]

테오도로스 브리자(字)키스가 이끄는 메솔롱기 의 돌격대(突擊隊).

같은 시기(時期) 중앙(中央)그리스의 투르크 군대(軍隊)는 세 번째(番째) 메솔롱기 를 포위(包圍)하였다. 포위(包圍)는 1825년(年) 4월(月) 15일(日)에 시작(始作)되었으며, 이날 나바리노 가 이브라힘의 손에 넘어갔다. [65] 투르크 군대(軍隊)는 도시(都市)에 접근(接近)하여 참호(塹壕)와 포열(抛熱)로 도시(都市)를 포위(包圍)하였다. 그 해 8월(月)이 되어야 투르크는 본격적(本格的)인 공격(攻擊)을 감행(敢行)하였는데, 이들은 도시(都市) 성벽(城壁) 밑으로 갱도(坑道)를 파서 성벽(城壁) 밑부분(部分)까지 닿았다. 그러나 그리스인들이 반격(反擊)하여 투르크인(人)을 몰아내었다. 그날 밤 그리스 군대(軍隊)는 투르크의 참호(塹壕)와 포열(砲열)을 급습(急襲)하여 상당(相當)한 피해(被害)를 주었다. [66]

양측(兩側) 모두 바다에서 보급(普及)을 받았다. 그러나 그리스 인(人)들은 승무원(乘務員)의 급료(給料)를 주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어서, 급료(給料)를 받지 않고 싸우는 소수(少數)의 제독(提督)들만 싸우게 되었다. 가을 초(秒)에 미아울(蔚)리스 가 지휘(指揮)하는 그리스 함대(艦隊)는 화선(火船) 공격(攻擊)으로 투르크 함대(艦隊)를 코린토스 만(萬) 에서 퇴각(退却)시켰다. [67] 겨울 중반(中盤)에 이브라힘은 육지(陸地)에서 나바리노를 떠나 코린토스 만을 건너 메솔롱기의 투르크 군대(軍隊)와 합류(合流)하였다. 6주간(週間) 싸웠지만, 이브라힘도(度) 투르크 군대(軍隊)와 마찬가지로 메솔롱기의 방비(防備)를 뚫지 못하였다. [68]

1826년(年) 봄, 이브라힘은 상당(相當)한 피해(被害)를 입었으나 도시(都市) 주변(周邊)의 늪지를 점령(占領)하였다. 이곳을 장악(掌握)함으로써 이브라힘은 그리스인들을 바다와 차단(遮斷)하고, 이들의 보급로(補給路)를 막게 된다. [69] 이집트와 투르크 군대(軍隊)는 잠시(暫時) 공격(攻擊)을 멈추어 이들에게 항복(降伏)할 시간(時間)을 주었지만, 그리스인들은 이를 거부(拒否)하고 계속(繼續) 항전(抗戰)하였다. 4월(月) 22일(日) 그리스인들은 밤에 3000명(名)을 이끌고 이집트의 전열(戰列)을 뚫어 6000명(名)의 여성(女性), 아이, 비전투원(非戰鬪員)이 이들을 따라가게 하여 바다로 탈출(脫出)하려고 하였다. [70] 그러나 어느 불가리아인(人) 탈주자(脫走者)가 그리스인들의 계획(計劃)을 이브라힘에게 고(告)하여, 이브라힘은 군대(軍隊) 전체(全體)를 이동시켰다. 결국(結局) 이집트의 전열(戰列)을 뚫은 그리스 인(人)은 1,800명(名)이 불과(不過)하였다. 3,000~4,000명(名)의 여성(女性)과 아이들은 노예(奴隸)가 되었으며, 메솔롱기에 남은 많은 사람들은 노예(奴隸)가 되는 대신(代身) 화약(火藥)으로 자살(自殺)하였다. [71]

이브라힘은 급사(急使)를 보내어 마니 사람들에게 항복(降伏)할 것을 요구(要求)하고 그렇지 않으면 펠로폰네소스의 다른 지역(地域)처럼 마니반도(半度)를 약탈(掠奪)하겠다고 위협(威脅)하였다. 마니 사람들은 항복(降伏)하지 않고 다음과 같이 답(答)한다.

"이브라힘 파샤 밑에서 살아남을 마니 사람과 다른 그리스 사람은 거의 없다. 항복(降伏)하지 않으면 마니 사람들을 죽이고 마니반도(半度)를 약탈(掠奪)하겠다며 우리를 위협(威脅)하려 드는 당신(當身)의 편지(便紙)를 받았다. 그렇기에 우리는 당신(當身)과 당신(當身)네 군대(軍隊)를 기다리고 있는 것이다. 우리 마니 사람들은 이에 서명(署名)하고 당신(當身)을 기다리겠다. [72] "

1826년(年) 6월(月) 21일(日) 이브라힘 파샤는 알미로(迷路) 근처(近處)의 북동쪽(北東쪽)에서 마니반도(半度) 로 진군(進軍)하였으나, 마니 북부(北部)의 베르가스 요새(要塞)에서 멈출 수밖에 없었다. 2,000명(名)의 마니 사람과 그리스인(人) 탈주자(脫走者) 500명(名)의 군대(軍隊)가 이브라힘의 군대(軍隊) 7,000명(名)을 막았으며, 결국(結局) 콜로코트로니스가 뒤에서 이집트인(人)을 공격(攻擊)하여 이들은 퇴각(退却)할 수밖에 없었다. 이브라힘은 다시 마니반도로(半道路) 진입(進入)하려 하였으나, 이번(이番)에도 마니 사람들은 투르크와 이집트 군대(軍隊)를 물리쳤다. 마니 사람들은 베르가스로 귀환(歸還)하기 전(前)에 칼라마타로 가는 모든 길로 이집트인(人)들을 추격(追擊)하였다. 이 전투(戰鬪)로 이브라힘읜 2,500명(名)의 사상자(死傷者)를 낸데다 북쪽(北쪽)에서 마니반도(半度)를 침공(侵攻)하겠다는 계획(計劃)도 망치고 말았다. 이브라힘은 수차례(數次例) 다시 마니(摩尼)를 공격(攻擊)하였으나, 그매다 투르크-아랍 군대(軍隊)는 쫓겨났으며, 그리스인들보다 훨씬 더 많은 사상자(死傷者)를 내었다. [73]

유럽의 개입(介入) [ 편집(編輯) ]

적대적(敵對的)이었던 초기(初期)의 반응(反應) [ 편집(編輯) ]

그리스에서 혁명(革命)이 일어났다는 소식(消息)이 전(傳)해지자 유럽 열강(列强)의 반응(反應)은 한결같이 적대적(敵對的)이었다. 이들은 오스만 제국(帝國)이 약화(弱化)되었음을 알고 있었으나, 이 상황(狀況)에 어떻게 대처(對處)해야 할지 몰랐다. (이 문제(問題)를 "동방(東邦) 문제(問題)"라고 불렀다) 영국(英國) 외무(外務) 장관(長官) 캐슬레이 , 오스트리아 외무(外務) 장관(長官) 메테르니히 공, 러시아의 차르 알렉산드르 1세(歲) 는 모두 오스만 제국(帝國)이 분할(分割)하여 상황(狀況)이 복잡(複雜)해질 것을 우려(憂慮)하여 현(現) 상황(狀況)을 유지(維持)해야 하고 유럽의 평화(平和)를 도모(圖謀)해야 한다고 판단(判斷)하였다. 이들은 또 유럽 협조(協調) 체제(體制) 를 유지(維持)해야 한다고 내세우기도 하였다.

또 메테르니히는 그리스 출신(出身)의 러시아 외무(外務) 장관(長官) 요안(腰眼)니스 카포디스트리아스 를 음해(陰害)하려 하였다. 카포디스트리아스는 알렉산드르에게 그리스를 해방(解放)하고 러시아의 국력(國力)을 신장(伸張)하기 위하여 오스만 제국(帝國)에 전쟁(戰爭)을 선포(宣布)할 것을 청(請)하였다. 메테르니히는 알렉산드르가 이탈리아 카르보나리 세력(勢力)(이탈리아의 혁명(革命) 집단(集團))과 한패(한牌)라고 설득(說得)하여 차르가 외무(外務) 장관(長官)의 요청(要請)을 거부(拒否)하도록 하였다. 그리하여 알렉산드로스 입실(入室)란티스에 대(對)한 러시아의 반응(反應)에, 결국(結局) 카포디스트리아스는 사임(辭任)하고 스위스 로 떠났다. [74] 그렇지만 알렉산드르 황제(皇帝)의 반응(反應)은 모호(模糊)하였는데, 그는 자신(自身)이 동방(東方) 정교회(正敎會) 의 수호자(守護者)라고 여겼으며, 차르의 신민(臣民)들은 총대주교(總大主敎)가 교살(絞殺)당한데 크게 동요(動搖)하였기 때문이었다. 이런 까닭으로 알렉산드르가 그리스 혁명(革命)을 비난(非難)하긴 하였으나, 1821년(年) 7월(月) 27일(日) 오스만 정부(政府)에 최후(最後) 통첩(通牒)을 보내게 된다. 그러나 전쟁(戰爭)의 위험(危險)은 오래가지 않았는데, 메테르니히와 캐슬레이가 오스만 술탄을 설득(說得)하여 차르에 약간(若干)의 양보(讓步)를 제시(提示)하였기 때문이었다. [75]

태도(態度)의 변화(變化) [ 편집(編輯) ]

1822년(年) 8월(月) 조지 캐닝 이 캐슬레이의 뒤를 이어 영국(英國) 외무(外務) 장관(長官)에 임명(任命)되었다. 캐닝은 오스만 제국(帝國)에 반대(反對)하는 대중(大衆) 선동(煽動)을 일으켜 영향력(影響力)을 행사(行使)하였으며, 당장(當場) 조치(措置)를 취(取)해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그는 또 러시아가 단독(單獨)으로 오스만 제국(帝國)에 개입(介入)할 것을 우려(憂慮)하였다. [76] 1823년(年) 3월(月), 캐닝은 "온 나라가 지배자(支配者)에게 대항(對抗)하여 반란(叛亂)을 일으켰다면, 그 나라는 모반(謀反)을 일으킨 것이 아니라, 전쟁(戰爭) 상태(狀態)에 있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고 선언(宣言)하였다. 같은 해 2월(月) 외무(外務) 장관(長官)은 오스만 제국(帝國)에 통지(通知)하기를, 영국(英國)은 제국(帝國) 내 기독교(基督敎) 신민(臣民)들을 오스만 제국(帝國)이 존중(尊重)할 때에만 투르크와 우호적(友好的)인 관계(關係)를 유지(維持)할 것이라고 전(傳)하였다. 영국령(英國領) 이오니아 제도(諸島) 의 대사(大使)는 그리스인들이 전쟁(戰爭) 상태(狀態)에 있음을 인정(認定)하고, 이들에게 투르크 인(人)들이 보급품(補給品)을 얻을 수 있는 지역(地域)을 봉쇄(封鎖)할 권리(權利)를 주도록 명령(命令)받았다. 이런 조치(措置)로 말미암아 영국(英國)의 영향력(影響力)이 커졌다. 또 1824년(年)과 1825년(年)에 영국인(英國人) 공채(公採) 소유자(所有者)들에게서 그리스인들이 얻어내려던 두 번(番)의 차관(借款)을 승인(承認)하면서 그 영향력(影響力)은 더욱 커졌다. 이(李) 차관(借款)의 자금(資金) 지원자(支援者)는 사실상(事實上) 런던 시(時)였는데. [32] 이들은 그리스 혁명(革命)이 영국(英國)의 도움만으로 승리(勝利)할 수 없으며, 그리스에 "친(親)(親)영국파" 정당(政黨)을 만들려고 하였다. 같은 시기(時期) 친(親)러시아파와 친(親)프랑스파 세력(勢力)들도 등장(登場)하였다. 이들 세력(勢力)들은 나중에 오톤 의 치세(治世) 당시(當時) 권력(權力)을 놓고 경쟁(競爭)하였다. [77]

1825년(年) 12월(月) 알렉산드르 1세(歲)의 뒤를 이어 니콜라이 1세(歲) 가 차르로 즉위(卽位)하자 캐닝 장관(長官)은 당장(當場) 조치(措置)를 취(取)해야 한다고 판단(判斷)하였다. 그는 그리스 문제(問題)를 직접(直接) 담판(談判)짓기 위하여 웰링턴 공작(工作) 을 러시아에 급파(急派)하였으며, 그 결과(結果) 1826년(年) 4월(月) 4일(日) 상트페테르부르크 의정서(議定書) 를 도출(導出)하였다. 의정서(議定書)에 따르면 두 열강(列强)은 투르크의 주권하(主權下)에 그리스가 완전(完全) 자치권(自治權)을 얻는다는 원칙(原則)을 골자(骨子)로 오스만 제국(帝國)과 그리스를 중재(仲裁)하는 데 동의(同意)하였다. 차르는 웰링턴과 만나기 전(前)에 이미 오스만 궁정(宮廷)에 최후(最後) 통첩(通牒)을 보내어 즉시(卽時) 공국(公國)에서 물러나고, 러시아에 전권(全權) 대사(大使)를 보내어 해결(解決)되지 않은 문제(問題)를 처리(處理)하도록 요구(要求)하였다. 1826년(年) 10월(月) 7일(日) 술탄은 전권(全權) 대사(大使)를 보내는 데 동의(同意)하고 아케르만 협정(協定) 을 체결(締結)하여, 세르비아 와 공국(公國)에 대(對)하여 러시아가 요구(要求)한 사항(事項)을 받아들였다. [78]

그리스 사람들은 상트페테르부르크 의정서(議定書)에 규정(規定)된 중재(仲裁) 조치(措置)를 요청(要請)하였으나, 투르크와 이집트는 이브라힘 파샤 의 군대(軍隊)가 승전(勝戰)을 거듭하고 있던 상황(狀況)이라 전쟁(戰爭)을 그만둘 마음이 없음을 드러내었다. 실제로(實際로) 이 사이에 그리스에서의 전황(戰況)은 크게 바뀌어 이집트 군(軍)이 메솔롱기 를 장악(掌握)했고, 곧이어 아테네 시(市) 중심가(中心街)( 1826년(年) 8월(月)), 아크로폴리스 ( 1827년(年) 6월(月))까지 점령(占領)하게 되었다. 오스만 제국(帝國) 이 의정서(議定書)의 수락(受諾)을 거부(拒否)하고, 오스트리아 자유주의(自由主義) 운동(運動) 진압(鎭壓)을 명분(名分)으로 이에 반발(反撥)하고 나서자(내심은 러시아 발칸반도(半島) 로의 세력(勢力) 확장(擴張)에 대(對)한 경계(境界)와 견제(牽制)), 영국(英國) 러시아 는 곤란한 지경(地境)에 빠졌다. 이 때, 프랑스 가 갑자기 그리스 의 독립(獨立)을 지지(支持)하고 나서면서 다시 상황(狀況)은 급변(急變)하였다. 프랑스 는 그리스 독립(獨立) 전쟁(戰爭)을 지지(支持)하고 나섬으로써 빈 체제(體制)를 흔들고, 이를 통하여 빈 체제(體制)가 프랑스 에 부과(賦課)하고 있는 구속적(拘束的)인 상황(狀況)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고 판단(判斷)한 것이다.

그러자 캐닝은 프랑스, 러시아와 런던 조약(條約) (1827년(年) 7월(月) 6일(日))의 협상(協商)으로 행동(行動) 조치(措置)를 준비(準備)하였다. 조약(條約)에서는 연합국(聯合國)이 다시 협상안(協商案)을 제시(提示)하며, 만약(萬若) 술탄이 이를 거부(拒否)할 경우(境遇) 모든 수단(手段)을 써서 적대(敵對) 행위(行爲)를 중지(中止)시킬 수 있다고 규정(規定)하였다. 또 3국(國)은 1개월(個月) 내(內)에 오스만 제국(帝國) 이 의정서(議定書)의 중재안(仲裁案)을 받아들이지 않을 경우(境遇), 이후(以後) 3개월(個月) 내(內)에 3국(國)은 그리스 에 영사(領事)를 파견(派遣)하도록 하고 있었다. 그리스 에 영사(領事)를 파견(派遣)한다는 것은 곧 독립(獨立)을 승인(承認)한다는 뜻이었다. 그러는 사이 1827년(年) 7월(月) 말(末)에 무함마드 알리의 새 함대(艦隊)가 알렉산드리아 에서 완성(完成)되어, 다른 이집트-터키 함대(艦隊)와 합류(合流)하기 위하여 나바리노 로 항해(航海)하고 있다는 소식(消息)이 전(傳)해졌다. 이 함대(艦隊)의 목적(目的)은 이드라를 공격(攻擊)하고, 이 섬의 함대(艦隊)를 무력화(無力化)하기 위한 것이었다. 8월(月) 29일(日) 오스만 궁정(宮廷)은 공식적(公式的)으로 런던 조약(條約) 규정(規定)에 거부(拒否)하였으며, 그리하여 영국(英國)과 프랑스의 각(各) 지중해(地中海) 함대(艦隊)의 최고(最高) 사령관(司令官)인 에드워드 커드링턴 제독(提督)과 앙리 드 리니 제독(提督)은 아르고스 만(萬)으로 항해(航海)하여, HMS 아시아 호(號) 선상(線上)에서 그리스 대표자(代表者)들과 만날 것을 요청(要請)하였다. [79]

나바리노 해전(海戰)

마브로코르다토스가 이끄는 그리스 대표단(代表團)이 조약(條約) 내용(內容)을 인정(認定)하자, 연합국(聯合國)은 정전(停戰) 협정(協定)을 대비(對備)하였으며, 열강(列强) 함대(艦隊)는 이브라힘 군대(軍隊)에게 전(傳)해질 보급품(補給品)을 차단(遮斷)하도록 명령(命令)받았다. 영국(英國)-프랑스 함대(艦隊)는 무함마드 알리의 함대(艦隊)가 그리스에서 퇴거(退去)하도록 경고(警告)하였으나, 알렉산드리아를 떠나 그해 9월(月) 8일(日) 나바리노의 오스만-이집트 함대(艦隊)와 합세(合勢)하자, 커드링턴의 함대(艦隊)는 9월(月) 12일(日)에 나바리노 근해(近海)에 이르렀다. 10월(月) 13일(日) 나바리노 인근(隣近)에서 드 리니의 프랑스 함대(艦隊)와, 헤이덴 의 러시아 함대(艦隊)가 커드링턴 함대(艦隊)에 합류(合流)하였다. 나바리노에 열강(列强) 함대(艦隊)가 다 보이자 커드링턴과 드 리니는 이브라힘과 협상(協商)하려 하였으나, 이브라힘은 술탄의 명령(命令)에 따라 이드라를 파괴(破壞)해야 한다고 고집(固執)하였다. 이에 커드링턴은 만약(萬若) 이브라힘이 본국(本國) 외(外)에 다른 곳으로 이동(移動)하려 한다면, 함대(艦隊)를 파괴(破壞)할 것이라고 답변(答辯)하였다. 이브라힘은 술탄에게 어명(御命)을 번복(飜覆)할 것인지 묻는 서한(書翰)을 보내었으며, 또 그리스 인(人)들이 공격(攻擊)을 계속(繼續)할 수 있다고 불만(不滿)을 드러내었다. 커드링턴은 자신(自身)이 그리스인과 그리스 애호(愛護) 세력(勢力)이 투르크인(人)과 이집트인(人)을 공격(攻擊)하지 않도록 중단(中斷)시키겠다고 약속(約束)하였다. 그런 다음 그는 자신(自身)의 함대(艦隊) 대부분(大部分)을 해산(解散)하여 몰타 로 귀환(歸還)시켰으며, 프랑스 함대(艦隊)는 에게해(에게海) 로 갔다. [80]

그러나 그리스 애호가(愛好家)였던 프랭크 헤이스팅스(Frank Hastings)가 투르크의 어느 분함대(艦隊)를 격멸하자(擊滅瑕疵), 이브라힘은 헤이스팅스를 물리치기 위하여 나바리노 바깥으로 자신(自身)의 분함대(分艦隊)를 파견(派遣)하였다. 커드링턴은 헤이스팅스의 행동(行動)에 대(對)해 듣지 못하였으며, 이브라힘이 협정(協定)을 어겼다고 생각하였다. 그는 이집트 분함대(分艦隊)를 막고 퇴각(退却)하도록 하였으며, 다음 날 이브라힘이 친히(親히) 함대(艦隊)를 이끌고 나왔을때도 마찬가지로 대응(對應)하였다. 커드링턴은 다시 함대(艦隊)를 규합(糾合)하여, 몰타의 영국(英國) 함대(艦隊)와 에게해(에게海) 의 프랑스 함대(艦隊)가 돌아왔다. 여기에 로힌 헤이덴 백작(伯爵)이 이끄는 함대(艦隊)도 합류(合流)하였다. 이제 이브라힘은 연합국(聯合國)이 협정(協定)을 어겼다고 판단(判斷)하고 펠로폰네소스에서 그리스인들을 절멸(絶滅)시키는 작전(作戰)에 돌입(突入)하였다. [81]

무함마드 알리의 초상화(肖像畫).

1827년(年) 10월(月) 20일(日) 날씨가 나빠지자 영국(英國), 러시아, 프랑스 함대(艦隊)는 안정(安定)된 피난처(避難處)를 구(求)하고, 이집트-투르크 함대(艦隊)가 이 곳을 빠져나가 이드라 섬을 공격(攻擊)하지 못하게끔 나바리노 만(萬) 으로 진입(進入)하였다. 영국(英國)의 프리깃 함 한 척(隻)이 보트를 보내어 이집트인(人)들에게 그들의 화선(火線)을 이동시켜 줄 것을 청(請)하러 갔으나, 이집트 사람들은 보트 위에 있던 장교(將校)를 쏘았다. 프리깃함은 머스켓으로 보복(報復)하였으며, 한 이집트 군함(軍艦)이 프랑스 기함(旗艦) 시(時)렌(Sirene) 호(號)에 대포(大砲)를 발포(發砲)하고, 반대쪽(反對쪽)에서도 발포(發砲)하였다. [82]

해전(海戰)은 연합국(聯合國)의 완벽(完璧)한 승리(勝利)로 끝났으며, 이집트-투르크 함대(艦隊)는 궤멸(潰滅)되었다. 전투(戰鬪)에 투입(投入)된 이집트-투르크 함대(艦隊)의 군함(軍艦)은 89척(隻)이었으나, 알렉산드리아로 돌아간 배는 14척(隻)에 불과(不過)하였으며, 사망자(死亡者)는 8,000명(名)을 넘었다. 연합국(聯合國)은 한 척(隻)의 배도 잃지 않았으며, 사망자(死亡者)도 181명(名)에 그쳤다. 오스만 궁정(宮廷)은 연합국(聯合國)이 격침(擊沈)한 자국(自國) 선박(船舶)에 대(對)해 보상(補償)을 요구(要求)하였으나, 연합국(聯合國)은 투르크가 협정(協定)을 어겼다면서 이를 거부(拒否)하였다. 또 삼국(三國) 대사(臺詞)가 콘스탄티노폴리스 에서 철수(撤收)하였다. 영국(英國)에서 이 전투(戰鬪)는 '옛 동맹국(同盟國)'으로 불리던 투르크에 대(對)해 '어려운 사건(事件)'을 일으켰다며 비판(批判)받았다. 커드링턴은 소환(召喚)되어 이집트-투르크 함대(艦隊)가 2,000명(名)의 그리스 노예(奴隸)를 싣고 퇴각(退却)하도록 둔 데에 문책당하였다. 프랑스에서 해전(海戰) 소식(消息)은 열광적(熱狂的)인 환영(歡迎)을 받아, 정부(政府)는 예상(豫想)치못하게 대중(大衆)의 큰 지지(支持)를 얻었다. 러시아는 공식적(公式的)으로 투르크에 전쟁(戰爭)을 선언(宣言)할 기회(機會)를 얻었다. [83] 1828년(年) 4월(月) 투르크에 선전포고(宣戰布告)를 한 러시아는 다음 해 8월(月)에 아드리아노폴리스 를 함락(陷落)하여, 오스만 제국(帝國) 은 붕괴위기(崩壞危機)에 빠졌고 어떠한 조약(條約)이건 받아들이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1828년(年) 10월(月) 그리스 사람들이 다시 모여 카포디스트리아스를 세운 새 정부(政府)를 구성(構成)하였다. 이들은 서방(西方) 열강(列强)이 정전을 명령(命令)하기 전(前)까지 아테네 , 티바 등(等) 가능(可能)한한 많은 영토(領土)를 확보(確保)하였다. 펠로폰네소스의 문제(問題)를 놓고 영국(英國)과 러시아는 프랑스가 자국(自國) 군대(軍隊)를 보내어 이브라힘의 군대(軍隊)를 몰아내겠다는 제안(提案)을 받아들였다. 프랑스 원정대(遠征隊)의 지휘관(指揮官) 니콜라 조세프 메종 은 1828년(年) 8월(月) 30일(日) 페탈리디 에 상륙(上陸)하여 그리스인들을 도와 10월(月) 30일(日)까지 펠로폰네소스에서 모든 적대(敵對) 세력(勢力)을 몰아내었다. 그리하여 메종은 모든 이집트 군대(軍隊)가 펠로폰네소스에서 철수(撤收)한다는 협정(協定)을 커드링턴과 협상(協商)하고 무함마드 알리의 승인(承認)을 받아 시행(施行)하였다. [84]

독립(獨立) 전쟁(戰爭)에서 마지막으로 일어난 큰 교전(交戰)은 아티키 북쪽(北쪽)에서 일어난 페트라 전투(戰鬪) 였다. 디미트리오스 입실(入室)란티스가 이끄는 그리스 군대(軍隊)는 처음으로 게릴라 무리(無理)가 아닌 정규(正規) 유럽군(유럽軍)으로 훈련(訓鍊)받고 싸웠으며, 아슬란 베이의 군대(軍隊)에 진격(進擊)하여 이들을 물리쳤다. 투르크인(人)들은 중앙(中央)그리스 를 안전(安全)하게 통과(通過)한다는 조건(條件)으로 리(里)바디아 에서 스페르히오스 강(江) 까지 모든 영토(領土)를 넘겨주었다.

자치(自治)에서 독립(獨立)으로 [ 편집(編輯) ]

오톤 이 아테네에 도착(到着)하다.( 페터 폰 헤스 그림, 1839년작(年作)). 1832년(年) 런던 회의(會議)에서 오(誤)톤을 그리스 왕국(王國) 의 초대(初代) 국왕(國王)으로 세웠다.

1828년(年) 12월(月) 21일(日) 영국(英國), 러시아, 프랑스의 대사(臺詞)들은 포로스 섬 에 모여, 의정서(議定書)를 준비(準備)하였다. 여기에서는 술탄의 칙령(勅令)(firman)에 따라 승인(承認)을 받아야 하는 군주(君主)가 다스리는 자치국(自治國)을 그리스에 창설(創設)한다는 내용(內容)이었다. 의정서(議定書)에서 제시(提示)된 국경선(國境線)은 아르타 에서 볼로스 사이의 선(線)이었으며, 카포디스트리아스의 노력(努力)에도 불구(不拘)하고 신생국(新生國) 그리스는 키클라데스 제도(諸島) , 스포라데스 제도(諸島) , 사모스 섬 그리고 아마 크리티섬 밖에 얻지 못하였다. 포로스 의정서(議定書)에 따라 1829년(年) 3월(月) 22일(日) 런던 회의(會議)에서 의정서(議定書)를 승인(承認)하였는데, 대사(臺詞)들의 제안(提案) 대부분(大部分)이 수용(收容)되었으나 국경선(國境線)이 당초(當初) 제안(提案)보다 남쪽(南쪽)으로 변경(變更)되었으며, 사모스와 크리티도 그리스령(領)에서 빠졌다. [85]

러시아의 압력(壓力) 으로 1829년(年) 9월(月) 아드리아노폴리스 조약(條約) 이 체결(締結)되고 오스만 궁정(宮廷)은 결국(結局) 1827년(年) 7월(月) 6일(日)의 런던 조약(條約) 과 1829년(年) 3월(月) 22일(日) 의정서(議定書)의 조항(條項)에 동의(同意)하였다. 얼마 안되어 영국(英國)과 프랑스는 새 나라에 러시아가 영향력(影響力)을 행사(行使)하는 것을 제약(制約)하고자 그리스를 독립(獨立)시키자는 생각을 갖게 되었다. [86] 러시아는 이런 생각이 탐탁지 않았으나, 거부(拒否)할 수 없었고 그리하여 삼국(三國)은 자신(自身)들의 보호(保護) 아래 그리스를 독립국(獨立國)으로 두기로 1830년(年) 2월(月) 3일(日) 의정서(議定書)에서 결론(結論)지었다. [87] 이렇듯 여러 의정서(議定書)를 만들면서 당초(當初)에는 후(後)에 벨기에 의 국왕(國王)으로 즉위(卽位)하게 되는 레오폴 1세(歲) 를 그리스의 왕(王)으로 삼고자 하였으나 그는 카포디스트리아스의 음울(陰鬱)한 그림에 실망(失望)하고, 원래(元來) 아르타-볼로스 선(線)에서 국경선(國境線)이 아스프로포타모스-지투니 선(線)으로 내려가면서 불만(不滿)을 갖게 되어 그리스 왕위(王位)를 거부(拒否)하였다. 당시(當時) 카포디스트리아스는 마브로미할리스 씨족(氏族)에게 무조건(無條件) 복종(服從)할 것을 요구(要求)하였으나, 이들이 거부(拒否)하자 페트로베이를 투옥(投獄)하였다. 이에 복수(復讐)하기 위해 이들 씨족(氏族)이 1831년(年)에 나플리오(理誤) 에서 그를 암살(暗殺)하였는데, 그리하여 협상(協商)도 잠시(暫時) 지체(遲滯)되었다. [88]

레오폴이 그리스 국왕(國王)을 고사하고, 프랑스에서는 7월(月) 혁명(革命) 이 일어나면서 영국(英國)에서 새 정부(政府)가 구성(構成)되기까지 신생(新生) 그리스 왕국(王國)의 국경선(國境線)을 최종적(最終的)으로 해결(解決)하는 일이 지체(遲滯)되었다. 영국(英國) 외무(外務) 장관(長官) 팔머스턴 경(警) 은 아르타-볼로스 국경선(國境線)에 동의(同意)하였다. 그러나 크리티 에 대(對)한 비밀(祕密) 각서(覺書)에서 바이에른 전권대사(全權大使)는 영국(英國), 프랑스, 러시아와 접촉(接觸)하였으나 아무런 성과(成果)도 없었다.

그리스 왕국(王國) 의 원래(元來) 영토(領土). 1832년(年) 잃은 영토(領土)도 나와있다. (어두운 파랑)

1832년(年) 5월(月), 팔머스턴은 런던 회의(會議) 를 열었다. 세(歲) 열강국(列强國)(영국(英國), 프랑스, 러시아)은 그리스 사람들의 뜻은 고려(考慮)하지 않고 바이에른 왕국(王國) 의 왕자(王子) 비텔스바흐의 오토 를 그리스의 국왕(國王)으로 삼았다. 이와 더불어 군주정을 보장(保障)하기 위하여 열강(列强)은 60,000,000 프랑의 차관(借款)을 맡겼으며, 오스만 수도(首都)의 이들 대사(臺詞)들이 전쟁(戰爭) 종결(終結)을 확실히(確實히) 할 수 있도록 하였다. 1832년(年) 5월(月) 7일(日)에 바이에른과 보호국(保護國) 열강(列强)들이 체결(締結)한 의정서(議定書)에 따라 그리스는 "군주정(君主政) 독립국(獨立國)"으로 규정(規定)되었으며, 오스만 궁정(宮廷)에 보상금(補償金)을 지불(支拂)하도록 하였다. 또 그리스에 섭정(攝政)을 두어 오(誤)톤이 성년(成年)이 될 때까지 나라를 다스리도록 하였으며, 240만(萬) 파운드의 차관(借款)을 더 빌려주었다. [89]

1832년(年) 7월(月) 21일(日) 오스만 제국(帝國) 주재(駐在) 영국(英國) 대사(大使) 스트래(來)포드 캐닝 경과(經過) 여타(餘他) 열강(列强)의 대표자(代表者)들이 콘스탄티노폴리스 조약(條約) 을 체결(締結)하여 새 그리스 왕국(王國) 의 국경선(國境線)을 아르타-볼로스 선(線)으로 정(定)하였다. [90] 1832년(年) 8월(月) 30일(日) 열강(列强)들의 런던 의정서(議定書) 에서 다시 체결(締結)되어 콘스탄티노폴리스 합의(合意)에 따른 그리스 왕국(王國)의 국경선(國境線) 획정(劃定)이 비준(批准)되었다. [91]

학살(虐殺) [ 편집(編輯) ]

독립(獨立) 전쟁(戰爭)이 시작(始作)되기 무섭게 그리스 혁명군(革命軍)과 오스만 당국(當局)은 서로 대규모(大規模)의 민간인(民間人) 학살(虐殺)을 자행(恣行)하였다. 그리스 혁명군(革命軍)은 자신(自身)들의 세력(勢力)이 강(剛)했던 아티키 펠로폰네소스 에서 투르크인(人), 무슬림, 유대인(유대人) 을 오스만 제국(帝國)과 한패(한牌)로 여기고 학살(虐殺)하였다. 또 투르크인(人)들도 혁명군(革命軍)의 세력(勢力)이 약(弱)했던 아나톨리아 , 크리티 , 콘스탄티노폴리스 , 에게 해(海) 제도(制度) 에서 그리스인들을 혁명군(革命軍)과 같은 세력(勢力)으로 여기고 학살(虐殺)하였다. 악명(惡名)높은 학살(虐殺)의 사례(事例)로는 히오스 학살(虐殺) , 프사(프사)라 파괴(破壞) , 트리폴리차(車) 함락(陷落) 이후(以後) 학살(虐殺), 나바리노 학살(虐殺) 등(等)이 있다. 학자(學者)들 사이에서는 그리스인들이 저지른 학살(虐殺)이 투르크의 학살(虐殺)에 대(對)한 대응(對應)으로 일으킨 것인지 아니면 이와 무관(無關)하게 혁명(革命)이 일어나면서 일어난 개별적(個別的)인 학살(虐殺) 행위(行爲)인지를 놓고 논쟁(論爭)을 벌이고 있다.(가령 1770년(年) 오를로프 반란(叛亂) 이 실패(失敗)하고 신성대 가 궤멸(潰滅)된 뒤 트리폴리의 그리스 사람들이 학살(虐殺)당한 사건(事件) [92] )

전쟁(戰爭) 중(中)에 수만(數萬) 명(名)의 그리스 민간인(民間人)이 살해(殺害)되거나 버려져 죽거나 노예(奴隸)가 되었다. [93] 그리고리오스 5세(歲) 총대주교(總大主敎)처럼 살해당(殺害當)한 기독교(基督敎) 성직자(聖職者)들도 많았다. 또 펠로폰네소스에서는 유대인(유대人) 주민(住民)들이 오스만 세력(勢力)으로 몰려 그리스인들에게 학살(虐殺)당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그리스나 유럽 전역(全域)의 여러 유대인(유대人)들은 그리스 반란(叛亂)을 지지(支持)하였으며, ( 로스차일드 가 의 예(例)처럼) 자신(自身)들이 가진 정치(政治)와 대중(大衆)에 대(對)한 영향력(影響力)과 재산(財産)을 이용(利用)하여 그리스의 대의(大義)를 도왔다. 그리스 혁명(革命)이 성공(成功)하자 유대인(유대人) 민족주의(民族主義)( 시오니즘 )가 고무(鼓舞)되는 결과(結果)도 낳았다. 새로이 건국(建國)된 그리스 독립국(獨立國)은 유대인(유대人)들에게도 법적(法的)인 평등(平等)을 보장(保障)하여, 오스만 제국(帝國)에서 수많은 유대인(유대人) 사람들이 그리스로 이주(移住)하였다. [94]

독립(獨立) 이후(以後) [ 편집(編輯) ]

독립(獨立) 직후(直後) 그리스 혁명(革命)의 결과(結果)는 확실(確實)하게 바로 드러나지 않았다. 그리스는 독립(獨立) 국가(國家)로 건국(建國)되었으나, 영국(英國), 러시아, 프랑스는 그리스 정치(政治)와 바이에른 섭정(攝政), 용병군에 대(對)해 간섭(干涉)하였다. [95] 10년간(年間)의 전쟁(戰爭)으로 온나라가 황폐화(荒廢化)되었으며, 투르크인(人)의 토지(土地)는 텅 비었는데, 고향(故鄕)을 잃은 난민(難民)들만 가득하여 수(數) 십년간(十年間) 일련(一連)의 토지(土地) 개혁(改革)이 필요(必要)하였다. [28]

신생국(新生國)의 인구(人口)는 800,000명(名)으로, 오스만 제국(帝國)의 그리스 주민(住民) 250만(萬) 명(名) 가운데 1/3보다 적은 수치(數値)였다. 20세기(世紀)에 그리스는 ' 위대(偉大)한 이상(理想) '(모든 그리스인들을 하나의 나라로 통합(統合)하자는 목표(目標))에 따라 오스만 제국(帝國)에서 "수복(收復)되지 않은 땅"의 그리스 주민(住民)들을 해방(解放)하고자 하였다. [28]

도나우 공국(公國)에서는 그리스인이 더 이상(以上) 제후(諸侯)가 되지 못하였으며, 오스만 제국(帝國)에서 특히(特히) 무슬림 주민(住民)들은 그리스인들을 배신자(背信者)로 여겼다. 그때까지 오스만 제국(帝國)에서 고위직(高位職)을 장악(掌握)하던 파(派)나르 사람 들은 독립(獨立) 이후(以後) 수상(受賞)한 세력(勢力)으로 여겨져, 자신(自身)들의 특권(特權)과 지위(地位)를 잃었다. 그리스인(人) 은행가(銀行家)와 상인(商人)들이 많던 콘스탄티노폴리스와 오스만 제국(帝國)의 다른 지역(地域)에서는 이들을 대신(代身)하여 대개(大槪) 아르메니아 은행가(銀行家)들이 이들을 대체(代替)하였으며, 불가리아인(人) 상인(商人)들이 중요(重要)하게 되었다. [96]

신생(新生) 그리스는 작고 가난한 나라였으나, 장기적(長期的)으로 보았을 때 그리스의 독립(獨立)은 오스만 제국(帝國)의 몰락(沒落)을 알리는 전조(前兆)였다. 처음으로 그리스도 교도 신민(臣民)들이 제국(帝國)의 지배(支配)에서 벗어나 독립(獨立)을 얻고 완전(完全)한 독립(獨立) 국가(國家)를 세워 유럽에 인정(認定)을 받은 것이다. 그리스의 해방(解放)은 세르비아인(人) , 불가리아인(人) , 루마니아인(人) , 아랍인(人) 등(等) 오스만 제국(帝國)의 다른 피지배(被支配) 민족(民族)에게도 희망(希望)을 주어 장차(張差) 투쟁(鬪爭)을 통해 독립(獨立)을 얻게 된다. 그러나 쿠르드족(族) 아르메니아인 은 독립(獨立)에 실패(失敗)하였다. 또 그리스 혁명(革命)으로 빈 체제(體制) 의 정통주의(正統主義) 원칙(原則)은 흔들리게 되었다. 에스파냐 반란(叛亂) 나폴리 반란(叛亂) 문제(問題)에서 강경(强勁)하게 자유주의(自由主義)의 진압(鎭壓)을 주장(主張)하던 자칭(自稱) 빈 체제(體制)의 수호자(守護者) 러시아가 그리스 독립(獨立) 전쟁(戰爭)에서는 그리스의 독립(獨立)을 지지(支持)하고 나섬으로써 체제(體制)의 원칙(原則)이 무엇인지 아리송해졌고, 언제든지 5대(大) 강국(强國)의 합의(合意)로 현상(現狀)이 변경(變更)될 수 있다는 선례(先例)가 남게 되었다. 이는 이어지는 벨기에의 독립(獨立)에 영향(影響)을 주었다. 그리스 독립(獨立) 전쟁(戰爭)이 끝나자 러시아계(系) 폴란드 사람들은 그리스의 승리(勝利)에 고무(鼓舞)되어 독립(獨立)을 되찾고자 11월(月) 반란(叛亂) 을 일으켰다. 그러나 반란(叛亂)은 실패(失敗)하였으며, 폴란드의 해방(解放)은 1918년(年)에야 이루어졌다.

신생(新生) 그리스 국가(國家)는 점차(漸次) 영토(領土)를 확대(廓大)하여, 19세기(世紀)에 마케도니아 일부(一部) 지방(地方) , 크리티 , 이피로스 , 에게 해(海) 제도(制度) 와 여타(餘他) 그리스어권(卷) 영토(領土)를 그리스로 통합(統合)하였다. 오스만의 지배(支配)를 받으며 가난하고 개발(開發)도 되지 못했던 그리스는 19세기(世紀) 말에 더할 나위 없는 경제(經濟) 발전(發展)을 이루어, 20세기(世紀)에 세계(世界) 최대(最大)의 선단(船團)을 거느린 해운국의 토대(土臺)를 닦았다. [97]

같이 보기 [ 편집(編輯) ]

참고(參考) 문헌(文獻) [ 편집(編輯) ]

  • Απομνημονε?ματα Μακρυγι?ννη - εκδοση Γι?ννη Βλαχογι?ννη 1908

2차(次) 출처(出處) [ 편집(編輯) ]

  • Adanir, Fikret (2006). 〈Semi-autonomous Provincial Forces in the Balkans and Anatolia〉. Fleet, Kate; Faroqhi, Suraiya; Kasaba, Re?at. 《The Cambridge History of Turkey》 3 .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0-521-62095-3 .  
  • Batalas, Achilles (2003). 〈Send a Thief to Catch a Thief: State-building and the Employment of Irregular Military Formations in Mid-Nineteenth-Century Greece〉. Diane E. Davis; Anthony W. Pereira. 《Irregular Armed Forces and Their Role in Politics and State Form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0-521-81277-1 .  
  • Barker, Philip W. (2008). 〈Greece〉. 《Religious Nationalism in Modern Europe》. Taylor & Francis. ISBN   0-415-77514-0 .  
  • Bisaha, Nancy (2006). 〈Byzantium and Greek Refugees〉. 《Creating East and West》.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ISBN   0-8122-1976-7 .  
  • Booras, Harris J. (1934). 《Hellenic Independence and America's Contribution to the Cause》. Tuttle. ASIN B-002-2FSTL-I.  
  • Bowman, Steven (2004). 〈The Jews in Greece〉 . Ehrlich, Leonard H.; Bolozky, Shmuel; Rothstein, Robert A.; Schwartz, Murray; Berkovitz, Jay R.; Young, James E. 《Textures and Meanings: Thirty Years of Judaic Studies at the University of Massachusetts Amherst》 . University of Massachusetts Amherst. 2010년(年) 3월(月) 23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PDF)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17년(年) 12월(月) 31일(日)에 확인(確認)함 .  
  • Brewer, David (2003). 《The Greek War of Independence: The Struggle for Freedom from Ottoman Oppression and the Birth of the Modern Greek Nation》. Overlook Press. ISBN   1-58567-395-1 .  
  • Bridge, F.R.; Bullen, Roger (2005). 〈Every Nation for Itself〉. 《The Great Powers and the European States System 1814?1914》. I.B. Tauris. ISBN   0-582-78458-1 .  
  • Brown, L. Carl (1984). 《International Politics and the Middle East: Old Rules, Dangerous Game》. I.B.Tauris. ISBN   1-85043-000-4 .  
  • Clogg, Richard (2002) [1992]. 《A Concise History of Greece》 Seco판(版).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0-521-00479-9 .  
  • Dakin, Douglas (1973). 《The Greek struggle for independence, 1821?1833》.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ISBN   0-520-02342-0 .  
  • Clogg, Richard (May 1972). “Review, The Great Church in Captivity:A study of the Patriarchate of Constantinople from the Eve of the turkish Conquest to the Greek War of Independence”. 《Middle Eastern Studies》 8 (2): 247?257.  
  • Detorakis, Theocharis (1988). 〈Η Τουρκοκρατ?α στην Κρ?τη ("Turkish rule in Crete")〉. Panagiotakis, Nikolaos M. 《Crete, History and Civilization》 (그리스어(語)) II . Vikelea Library, Association of Regional Associations of Regional Municipalities. 333?436쪽.  
  • Dodsley, James (1833). 《Annual Register》 . University of California. 910쪽.  
  • Frazee, Charles A. (1969). 〈The Year of Revolution 1821〉. 《The Orthodox Church and Independent Greece》. CUP Archive.  
  • Georgiades?Arnakis, G. (September 1952). “The Greek Church of Constantinople and the Ottoman Empire”. 《The Journal of Modern History》 24 (3): 235?250. doi : 10.1086/237518 . JSTOR   1875481 .  
  • Goldstein, Erik (1992). 《Wars and Peace Treaties, 1816?1991: 1816?1991》. Routledge. ISBN   0-415-07822-9 .  
  • Grenet, Mathieu (2016). 《La fabrique communautaire. Les Grecs a Venise, Livourne et Marseille, 1770-1840》. Ecole francaise d'Athenes and Ecole francaise de Rome. ISBN   978-2-7283-1210-8 .  
  • Hitchins, Keith (1996). 〈The Beginnings of a Modern State〉. 《The Romanians, 1774?1866》. Clarendon Press. ISBN   978-0198205913 .  
  • Howarth, David (1976). 《The Greek Adventure》. Atheneum. ISBN   0-689-10653-X .  
  • Jelavich, Barbara (1983). 《History of the Balkans, 18th and 19th centuries》.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0-521-27458-3 .  
  • Kassis, Kyriakos (1979). 《Mani's History》. Athens: Presoft.  
  • Koliopoulos, John S. (1987). 《Brigands with a Cause: Brigandage and Irredentism in Modern Greece, 1821?1912》. Clarendon. ISBN   0-19-888653-5 .  
  • Koliopoulos, John S.; Veremis, Thanos M. (2004). 〈A Regime to Suit the Nation〉. 《Greece: the Modern Sequel》. C. Hurst & Co. Publishers. ISBN   1-85065-463-8 .  
  • Krimbas, Costas B. (2005). “Greek Auditors in the Courses of Jean Lamarck” . 《The Historical Review》 2 : 153?159. 23 July 2011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Mazower, Mark (2004). 《Salonica, City of Ghosts: Christians, Muslims and Jews, 1430?1950》. London: HarperCollins. ISBN   0-00-712023-0 .  
  • McGregor, Andrew James (2006). 〈Egypt in the Greek Revolution〉. 《A Military History of Modern Egypt》. Greenwood Publishing Group. ISBN   0-275-98601-2 .  
  • Miller, William (1966). 〈The War of Greek Independence〉. 《The Ottoman Empire and Its Successors》. Routledge. ISBN   0-7146-1974-4 .  
  • Milton, John; Diekhoff, John Siemon (1965). 《Milton on himself》. Cohen & West. 267쪽. OCLC   359509 .  
  • Panagiotopoulos, Vassilis, 편집(編輯). (2003). 《History of Modern Hellenism》 (그리스어(語)) III . Athens: Ellinika Grammata. ISBN   960-406-540-8 .  
  • Papageorgiou, Stephanos P. "The First Year of Freedom". pp. 53?72.
  • Theodoridis, Georgios K. "A Modern State". pp. 125?142.
  • Tzakis, Dionysis "The Military Events (1822?1824)". pp. 73?102.
  • Paparrigopoulos, Constantine ; Karolidis, Pavlos (1925). 《History of the Hellenic Nation》. Athens: Eleftheroudakis.  
  • Rivlin, Brancha (1988). 《The Holocaust in Greece》 . Keterpress Enterprises Jerusalem.  
  • Roy, Christian (2005). 〈Annunciation〉. 《Traditional Festivals》. ABC-CLIO. ISBN   1-57607-089-1 .  
  • St. Clair, William . 《That Greece Might Still Be Free ? The Philhellenes in the War of Independence》 2 2009판(板). Open Book Publishers. doi : 10.11647/OBP.0001 .  
  • Stavrianos, L.S. (2000). 〈Age of Nationalism 1815?1878〉. 《The Balkans since 1453》. C. Hurst & Co. Publishers. ISBN   1-85065-551-0 .  
  • Sayyid-Marsot, Afaf Lutfi (1984). 〈Expansion to what End〉. 《Egypt in the Reign of Muhammad Ali》.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0-521-28968-8 .  
  • Stoianovich, Traian (1960). “The Conquering Balkan Orthodox Merchant”. 《The Journal of Economic Hist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 (2): 234?313.  
  • Svoronos, Nikos (2004). 〈The Ideology of the Organization and of the Survival of the Nation〉. 《The Greek Nation》. Polis. ISBN   960-435-028-5 .  
  • Svoronos, Nikos G. (1999) [first edition 1972 in French]. 《History of Modern Greece》 (그리스어(語)). 번역(飜譯) Aikaterini Asdracha 2007판(板). Athens: Themelio. ISBN   978-960-7293-21-3 .  
  • Topping, Peter (June 1961). “Greek Historical Writing on the Period 1453?1914”. 《The Journal of Modern History》 33 (2): 157?173. doi : 10.1086/238781 .  
  • Trudgill, Peter (2000). 〈Greece and European Turkey〉. Barbour, Stephen; Carmichael, Cathie. 《Language and Nationalism in Europe》 3 .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0-19-823671-9 .  
  • Troyat, Henri (1984). 《Alexander of Russia》. St Edmundsbury Press. ISBN   0-450-06041-1 .  
  • Vacalopoulos, Apostolos E. (1973). 《History of Macedonia, 1354?1833 (translated by P. Megann)》. Zeno Publishers. ISBN   0-900834-89-7 .  
  • Vakalopoulos, Apostolos E. (1974). Ιστορ?α του ν?ου ελληνισμο?, Τ?μο? Α′: Αρχ?? και διαμ?ρφωσ? του (?κδοση Β′) [History of modern Hellenism, Volume I: Its origins and formation (2nd Edition)] (그리스어(語)). Thessaloniki.  
  • Vakalopoulos, Apostolos E. (1976). 《Ιστορ?α του ν?ου ελληνισμο?, Τ?μο? B′: Οι ιστορικ?? β?σει? τη? νεοελληνικ?? κοινων?α? και οικονομ?α? (?κδοση Β′)》 [History of modern Hellenism, Volume II: The historical basis of modern Greek society and economy (2nd Edition)] (그리스어(語)). Thessaloniki.  
  • Vakalopoulos, Apostolos E. (1968). Ιστορ?α του ν?ου ελληνισμο?, Τ?μο? Γ′: Τουρκοκρατ?α 1453?1669 - Οι αγ?νε? για την π?στη και την ελευθερ?α (?κδοση Β′) [History of modern Hellenism, Volume III: Turkish rule 1453?1669 - Struggles for faith and freedom (2nd Edition)] (그리스어(語)). Thessaloniki.  
  • Vakalopoulos, Apostolos E. (1973). Ιστορ?α του ν?ου ελληνισμο?, Τ?μο? Δ′: Τουρκοκρατ?α 1669?1812 - Η οικονομικ? ?νοδο? και ο φωτισμ?? του γ?νου? (?κδοση Β′) [History of modern Hellenism, Volume IV: Turkish rule 1669?1812 - Economic upturn and enlightenment of the nation (2nd Edition)] (그리스어(語)). Thessaloniki.  
  • Vakalopoulos, Apostolos E. (1980). Ιστορ?α του ν?ου ελληνισμο?, Τ?μο? Ε′: Η Μεγ?λη Ελληνικ? Επαν?σταση (1821?1829) - Οι προ?ποθ?σει? και οι β?σει? τη?, 1813?1822 [History of modern Hellenism, Volume V: The Great Greek Revolution (1821?1829) - Its preconditions and foundations, 1813?1822] (그리스어(語)). Thessaloniki.  
  • Vakalopoulos, Apostolos E. (1982). Ιστορ?α του ν?ου ελληνισμο?, Τ?μο? ΣΤ′: Η Μεγ?λη Ελληνικ? Επαν?σταση (1821?1829) - Η εσωτερικ? κρ?ση (1822?1825) [History of modern Hellenism, Volume VI: The Great Greek Revolution (1821?1829) - Internal Crisis (1822?1825)] (그리스어(語)). Thessaloniki.  
  • Vakalopoulos, Apostolos E. (1986). Ιστορ?α του ν?ου ελληνισμο?, Τ?μο? Ζ′: Η Μεγ?λη Ελληνικ? Επαν?σταση (1821?1829) - Ο αφρικανικ?? σιμο?ν, ? η επιδρομ? του Ιμπρα?μ στην Ελλ?δα (1825?1828) [History of modern Hellenism, Volume VII: The Great Greek Revolution (1821?1829) - The African simoom, or Ibrahim's raid in Greece (1825?1828)] (그리스어(語)). Thessaloniki.  
  • Vakalopoulos, Apostolos E. (1988). Ιστορ?α του ν?ου ελληνισμο?, Τ?μο? Η′: Η Μεγ?λη Ελληνικ? Επαν?σταση (1821?1829) - Ιω?ννη? Καποδ?στρια?, ? η επ?δυνη γ?νεση του νεοελληνικο? κρ?του? (1828?27 Σεπτ. 1831) [History of modern Hellenism, Volume VIII: The Great Greek Revolution (1821?1829) - Ioannis Kapodistrias, or the painful birth of the modern Greek state (1828?27 Sept. 1831)] (그리스어(語)). Thessaloniki: Emm. Sfakianakis & Sons.  
  • Vacalopoulos, Apostolos E. (1975). 《The Greek Nation, 1453?1669: the Cultural and Economic Background of Modern Greek Society》. Rutgers University Press. ISBN   0-8135-0810-X .  
  • Verzijl, Jan Hendrik Willem (1968). 《International Law in Historical Perspective》 VI . Martinus Nijhoff Publishers . ISBN   90-286-0223-2 .  

각주(各州) [ 편집(編輯) ]

  1. Guillaume, Alcindor. “Le Guide D'un Pays en Detresse” . ISBN   9781469179339 . 2015년(年) 2월(月) 25일(日)에 확인(確認)함 .  
  2. “The 25 tons of coffee to Adamantios Korais” . Enet.gr Eleftherotypia. 2010. 2017년(年) 12월(月) 9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15년(年) 2월(月) 25일(日)에 확인(確認)함 .  
  3. Barker, Religious Nationalism in Modern Europe , p. 118
  4. Goldstein, Wars and Peace Treaties , p. 20
  5. Boime, Social History of Modern Art , pp. 194?196
    * Trudgill, "Greece and European Turkey", p. 241
  6. Clogg, A Concise History of Greece , p. 6
  7. Kassis, Mani's History , p. 29.
  8. Kassis, Mani's History , pp. 31?33.
  9. Svoronos, History of Modern Greece , p. 59
    * Vacalopoulos, History of Macedonia , p. 336
  10. Kassis, Mani's History , p. 35.
  11. Svoronos, History of Modern Greece , p. 59
  12. Georgiadis?Arnakis, The Greek Church of Constantinople , p. 238
  13. Paparrigopoulos, History of the Hellenic Nation , Eb, p. 108
    * Svoronos, The Greek Nation , p. 89
    * Trudgill, "Greece and European Turkey", p. 241
  14. Trudgill, "Greece and European Turkey", p. 241
  15. Clogg, A Concise History of Greece , pp. 25?26
  16. Svoronos, History of Modern Greece , p. 62
  17. Clogg, A Concise History of Greece , pp. 9, 40?41
  18. Koliopoulos, Brigands with a Cause , p. 27
  19. Vacalopoulos, The Greek Nation, 1453-1669 , p. 211
  20. Batalas, Irregular Armed Forces , p. 156
  21. Batalas, Irregular Armed Forces , p. 154
  22. Batalas, Irregular Armed Forces , pp. 156?157.
  23. Koliopoulos, Brigands with a Cause , p. 29
  24. Makriyannis, Memoirs , IX Archived 2009년(年) 10월(月) 2일(日) - 웨이백 머신
  25. Clogg, A Concise History of Greece , p. 31
  26. Jelavich, History of the Balkans , pp. 204?205.
  27. Clogg, A Concise History of Greece , pp. 31?32
  28. Sowards, Steven (1999년(年) 6월(月) 14일(日)). “Twenty-five Lectures on Modern Balkan History: The Greek Revolution and the Greek State” . 미시간 주립(州立) 대학교(大學校) . 2008년(年) 8월(月) 31일(日)에 확인(確認)함 .  
  29. Boime, Social History of Modern Art , 191
  30. Boime, Social History of Modern Art , 195
    * Brown, International Politics and the Middle East , 52
    * Schick, Christian Maidens, Turkish Ravishers , 286
  31. Boime, Social History of Modern Art , 194
  32. Brown, International Politics and the Middle East , 52
  33. Boime, Social History of Modern Art , 195?196
  34. Clogg, A Concise History of Greece , p. 32
  35. Clogg, A Concise History of Greece , p. 33
  36. Paroulakis, p. 44.
  37. Paroulakis, pp. 51-52.
  38. Kassis, Mani's History , p. 39.
  39. Paroulakis, p. 57.
  40. Vakalopoulos, "The Great Greek Revolution", pp. 332?333
  41. Vakalopoulos, "The Great Greek Revolution", pp. 327?331
  42. General Yannis Makriyannis . Memoirs (Excerpts) . Translated by Rick Μ. Newton: The Charioteer 28/1986 .
  43. St. Clair, That Greece Might still Be Free , p. 45
  44. The Virtual Jewish History Tour - Greece
  45. Batalas, Irregular Armed Forces and Their Role in Politics and State Formation , p. 157.
  46. McGregor, A Military History of Modern Egypt , p. 92
  47. Vacalopoulos, History of Macedonia , 591?592
  48. Vacalopoulos, History of Macedonia , 592
  49. Vacalopoulos, History of Macedonia , 594?595
  50. Mazower, Salonica, City of Ghosts , pp. 132?139
  51. Vacalopoulos, History of Macedonia , 601?603
  52. Vacalopoulos, History of Macedonia , 609
  53. Vacalopoulos, History of Macedonia , 615?619
  54. Vacalopoulos, History of Macedonia , 627?628 Archived 2011년(年) 1월(月) 18일(日) - 웨이백 머신
  55. Vacalopoulos, History of Macedonia , 628?629 Archived 2011년(年) 1월(月) 18일(日) - 웨이백 머신
  56. Vacalopoulos, History of Macedonia , 633?636 Archived 2011년(年) 1월(月) 18일(日) - 웨이백 머신
  57. Vacalopoulos, History of Macedonia , 635?637
  58. Vacalopoulos, History of Macedonia , 638?639
  59. Brewer, pp. 89-91.
  60. Brewer, pp. 91-92.
  61. Howarth, The Greek Adventure , p. 182.
  62. Howarth, The Greek Adventure , p. 186.
  63. Howarth, The Greek Adventure , p. 188.
  64. Howarth, The Greek Adventure , p. 189.
  65. Howarth, The Greek Adventure , p. 233-34.
  66. Howarth, The Greek Adventure , p. 192.
  67. Howarth, The Greek Adventure , p. 193.
  68. Howarth, The Greek Adventure , p. 194.
  69. Howarth, The Greek Adventure , p. 195.
  70. Howarth, The Greek Adventure , p. 196.
  71. Howarth, The Greek Adventure , p. 197.
  72. Kassis, Mani's History , p. 40.
  73. Kassis, Mani's History , p. 40-1.
  74. Troyat, Alexander of Russia , pp. 269?270
  75. Stavrianos, The Balkans since 1453 , pp. 286?288
  76. Stavrianos, The Balkans since 1453 , p. 288
  77. Newer and Modern History"(Ιστορ?α Νε?τερη και Σ?γχρονη), Vas. Sfyroeras, Schoolbook for Triti Gymnasiou, 6th edition, Athens 1996, p.191-192
  78. Stavrianos, The Balkans since 1453 , pp. 288?289
  79. Howarth, The Greek Adventure , p. 231
  80. Howarth, The Greek Adventure , pp. 231?34.
  81. Howarth, The Greek Adventure , pp. 236?37.
  82. Howarth, The Greek Adventure , p. 239.
  83. Howarth, The Greek Adventure , p. 241.
  84. Finlay, History of the Greek Revolution , II, 192?193
    * Williams, The Ottoman Empire and Its Successors , 102
  85. Dimakis, The Great Powers and the Struggle of 1821 , 525
  86. Bridge & Bullen, The Great Powers and the European States System , 83
    * Dimakis, The Great Powers and the Struggle of 1821 , 526?527
  87. “London Protocol” . Greek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07년(年) 9월(月) 30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DOC)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07년(年) 9월(月) 30일(日)에 확인(確認)함 .  
  88. Clogg, A Short History of Modern Greece , pp. 66?67
    * Verzijl, International Law in Historical Perspective , pp. 462?463
  89. Clogg, A Short History of Modern Greece , pp. 68?69
    * “Treaty of Constantinople” . Greek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08년(年) 10월(月) 2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DOC)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08년(年) 10월(月) 2일(日)에 확인(確認)함 .  
    * See the full text of the Protocol in Dodsley, Annual Register , p. 388.
  90. Verzijl, International Law in Historical Perspective , pp. 462?463. The new boundaries are defined in the first article of the Treaty .
  91. Treaty of Constantinople , Greek Ministry of Foreign Affairs
  92. Booras, Hellenic Independence and America's Contribution to the Cause . p. 24.
    * Brewer, The Greek War of Independence , p. 64.
  93. St. Clair, That Greece Might still Be Free , pp. 80?81, 92
  94. Bowman, "The Jews of Greece", 421?422 Archived 2015년(年) 4월(月) 2일(日) - 웨이백 머신 (PDF)
  95. Jelavich, History of the Balkans , p. 229-34.
  96. Jelavich, History of the Balkans , p. 229
  97. Clogg, A Concise History of Greece , p.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