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그리스-튀르키예 전쟁(戰爭) (1919년(年)~1922년(年)) -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본문(本文)으로 이동(移動)

그리스-튀르키예 전쟁(戰爭) (1919년(年)~1922년(年))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그리스-튀르키예 전쟁(戰爭)
튀르키예 독립(獨立) 전쟁(戰爭) 의 일부(一部)
날짜 1919년(年) 3월(月) ~ 1922년(年) 10월(月)
장소(場所)
결과(結果) 오스만 제국(帝國) 의 승리(勝利)
교전국(交戰國)

그리스 왕국의 기 그리스 왕국(王國)


지원국(支援國)

영국의 기 영국(英國)

오스만 제국 튀르키예 대국민의회(對國民議會)


지원국(支援國)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러시아 SFSR

이탈리아 왕국의 기 이탈리아 왕국(王國) [1] [2] [3]
지휘관(指揮官)
그리스 왕국 요르요스 1세(歲)
그리스 왕국 콘스탄티노스 1세(歲)
오스만 제국 압둘 하미드 2세(歲)
오스만 제국 케말 파샤

그리스-튀르키예 전쟁(戰爭) ( 튀르키예어 : Kurtulu? Sava?ı Batı Cephesi 쿠르툴루쉬 사와쉬으 바트 제(第)페시 [ * ] , 그리스어 : Μικρασιατικ? εκστρατε?α 미(美)크라시(詩)아티키 엑스트라티아 [ * ] )은 1919년(年) ~ 1922년(年)에 그리스 왕국(王國) 오스만 제국(帝國) 사이에 일어난 전쟁(戰爭)이다. 그리스가 전쟁(戰爭)을 일으켰으나 결국(結局) 오스만 제국(帝國)이 승리(勝利)하였다.

개요(槪要) [ 편집(編輯) ]

이 전쟁(戰爭)은 제(第)1차(次) 세계대전(世界大戰) 후(後) 대(臺)그리스주의(主義) 에 물든 그리스 왕국(王國) 동(桐)트라키아 스미르나 (현(現) 이즈미르 )로 영토(領土)를 확장(擴張)하면서 일어났다.

이 지역(地域)은 1920년(年) 8월(月) 10일(日)에 체결(締結)된 세브르 조약(條約) 으로 그리스에 귀속(歸屬)된 곳으로 1921년(年) 1월(月) 그리스군(軍)은 장비(裝備)도 부족(不足)하고 보급선도(普及先導) 안전(安全)하게 확보(確保)하지 못했으나 아나톨리아반도(半島) 로 공격(攻擊)해 튀르키예군(軍)과 전투(戰鬪)를 벌였다. 그리스군(軍)은 4월(月)에 밀려났으나 7월(月)에 다시 공세(攻勢)를 펼쳐 아피온카라히사르 에스키셰히르 를 잇는 철도(鐵道)를 넘어 터키 수도 앙카라 로 진격(進擊)했다.

튀르키예는 1차(次) 세계대전(世界大戰) 후(後) 공화국(共和國)을 수립(樹立)했으며, 그리스와의 전쟁(戰爭)에서 대승(大勝)을 거둔 1922년(年) 8월(月) 30일(日)을 국경일(國慶日)로 기념(記念)한다. [4] 그리스군(軍)이 앙카라 외곽(外郭) 40km까지 진격(進擊)해오자 대통령(大統領) 케말 파샤 는 군대(軍隊)를 이끌고 1922년(年) 9월(月)에 사(社)카리아강(江) 에서 전투(戰鬪)를 벌였다. 튀르키예군(軍)은 사(社)카리아 전투(戰鬪) 에서 그리스군(軍)을 무찌르고 대승(大勝)을 거두었고 이 전투(戰鬪)에서 거의 전멸(全滅)한 그리스군(軍)은 아나톨리아에서 쫓겨나고 그리스는 군사(軍事) 쿠데타 가 일어나 왕정(王政)이 무너졌다.

튀르키예도(度) 오스만 제국(帝國) 이 무너지고 튀르키예 공화국(共和國) 이 성립(成立)되었다. 1924년(年) 7월(月) 24일(日) 스위스 로잔 에서 체결(締結)된 로잔 조약(條約) 에 따라 그리스는 동(桐)트라키아 임브로스 테네도스 2개(個) 섬을 돌려주고 스미르나 도 포기(抛棄)했다. 특히(特히), 양국(兩國)은 주민(住民) 교환(交換)( 그리스-튀르키예 인구(人口) 교환(交換) )으로 그리스에 살던 무슬림 주민(住民)들과 터키에 살던 그리스정교(正敎) 도 주민(住民)들을 서로 추방(追放)하였다.

같이 보기 [ 편집(編輯) ]

각주(各州) [ 편집(編輯) ]

  1. The Place of the Turkish Independence War in the American Press (1918-1923) by Bulent Bilmez : "...the occupation of western Turkey by the Greek armies under the control of the Allied Powers, the discord among them was evident and publicly known. As the Italians were against this occupation from the beginning, and started "secretly" helping the Kemalists, this conflict among the Allied Powers, and the Italian support for the Kemalists were reported regularly by the American press."
  2. Mutareke Doneminde Mustafa Kemal Pa?a-Kont Sforza Goru?mesi , Mevlut Celebi
  3. Mustafa Kemal Pa?a ? Kont Sforza ve ?talya ?li?kisi
  4. http://news.khan.co.kr/kh_news/cp_art_view.html?artid=20140827213913A&code=970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