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그리스의 이름 -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본문(本文)으로 이동(移動)

그리스의 이름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그리스 그리스 민족(民族) 을 이르는 수많은 이름이 있는데, 그리스인들 자신(自身)들도 여러 이름으로 부른다. 시대(時代) 변화(變化)에 따라 그리스를 칭(稱)하는 새로운 이름이 생겼는데, 완전히(完全히) 새로운 이름이나 과거(過去)의 이름 또는 외국인(外國人)들이 차용(借用)하거나 전통(傳統)에서 나온 이름도 있다. 각(各) 이름은 각(各) 시대(時代)마다 널리 쓰였으며, 서로 바꿔 써도 같은 뜻이다.

가장 보편적(普遍的)인 그리스 민족(民族)의 이름은 헬레네스 (?λληνε?)으로, 그 기원(起源)은 호메로스 로 거슬러 올라간다. 호메로스의 일리아스 에서 " 헬라스 "(Eλλ??)와 "헬레네스"는 아킬레우스 가 이끄는 테살리아 프티아 의 부족(部族) 이름으로 나온다. 전(全) 역사(歷史)를 통틀어 그리스인은 온갖 이름으로 불렸다. 알렉산드로스 대왕(大王) 이 정복(征服)하여 헬레니즘화(化) 된 지역(地域)이나 이 시기(時期) 유대 땅에서 '그리스 사람'이란 그리스 고유(固有)의 교육(敎育)(문화(文化) 등(等))을 받은 사람을 이르는 말이었다. 마카베우스서 에서 그리스 문화(文化)를 받아들인 유대인(유대人)을 이르러 "스스로 그리스인이 된 사람" (????????, mityavnim). 이라 부르고 있다. 고대(古代) 말기(末期) 에 그리스 사람들은 자신(自身)을 "로마 사람"(?ωμα?οι, Ρωμιο?, 로마오이 )로 칭(稱)하였는데, 기원후(紀元後) 212년(年) 이후(以後) 사실상(事實上) 모든 그리스인이 로마 시민권(市民權)을 얻었기 때문이다. 4세기(世紀)에 콘스탄티노스 대제(大帝) 기독교(基督敎) 에 호의(好意)를 보이고, 로마 제국(帝國) 의 수도(首都)를 콘스탄티노폴리스 로 천도(遷都)하였다. 테오도시우스 1세(歲) 가 기독교(基督敎)를 국교(國敎)로 선언(宣言)하자, "헬레네Hellene"란 말은 " 다신교(多神敎) (이교(吏校)) 를 신봉(信奉)하는 자(者)를 가리키게 되었는데, 모든 고대(古代) 철학(哲學) 우상숭배(偶像崇拜) 로 치부(置簿)되었기 때문이었다. 서유럽(西유럽)은 이들을 칭(稱)할 때 "그리스인"이라 불렀으며, 유대인(유대人) 은 "야(野)바님"(?????? , Yavanim ), 페르시아인(人) 튀르키예인(人) 은 "유난"( Yunan )이라고 불렀다. ( 야(野)바님 유난 이오니아 인(人) 을 뜻한다) 한 가지 흥미로운 명칭(名稱)은 조지아어(語) 인데, 이들은 그리스인(人)을 "베르제니"(???????, berdzeni )라고 부르는데, 아마도 이 말은 "현명(賢明)한"이라는 뜻의 조지아 낱말에서 나온 것으로 보이며, 철학(哲學) 이 그리스에서 탄생(誕生)하였다는 생각에서 비롯되었다. [1] [2] [3] [4]

기원전(紀元前) 8세기(世紀)에 마그나 그라이키아(兒) 에 처음으로 그리스인들이 식민시(植民市)를 건설(建設)하였다. 이들 정착자(定着者)와 교류(交流)하면서 '그리스'란 이름이 서구(西歐) 세계(世界)에 생겨났다.

그리스를 이르는 일반적(一般的)인 이름 [ 편집(編輯) ]

로마인 들이 라틴어(語) 로 그리스와 그리스인(人)을 칭(稱)하던 이름은 "그라이키아(兒)(Graecia)"와 "그라이쿠스(Graecus)"인데, 대부분(大部分)의 유럽어와 이들 언어(言語)에서 명칭(名稱)을 빌려온 언어(言語)의 그리스 표기(表記)는 라틴어(語) 명칭(名稱)에서 유래(由來)하였다.

중동(中東)이나 동방(東方) 언어(言語)에서는 "yun" or "ywn" 어근(語根)이 흔하다. 이 말은 소아시아(小아시아) 의 그리스 지명(地名)인 이오니아 에서 나온 말이다. [5]

세 번째(番째)로 "hl" 어근(語根)이 있는데, 그리스를 비롯한 세계(世界) 일부(一部) 나라에서 쓰인다.

조지아어(語) 에서는 "그리스"를 이르는 낱말의 어근(語根)이 "-berdz-"("지혜(智慧)"를 뜻하는 낱말에서 나옴)이다. [6] 그래서 "그리스"를 "Saberdzneti"라고 쓴다.

아카이아 사람 (Αχαιο?, 아카이오이 ) [ 편집(編輯) ]

호메로스 일리아스 를 보면 그리스 동맹군(同盟軍)은 세 가지 이름으로 불리며, 때론 같은 의미(意味)로서 서로 바꿔 쓰기도 한다. " 아르고스 사람"(Αργε?οι, 일리아스에 29번(番) 언급(言及)), " 다나오스 사람"(Δαναο?, 138번(番) 언급(言及)), " 아카이아 사람"(Αχαιο?, 598번(番) 언급(言及))이(李) 바로 그러하다.

헬라스 사람 (?λληνε?, 헬레네스 ) [ 편집(編輯) ]

트로이아 전쟁(戰爭) 시대(時代)에 헬레네스 사람들은 테살리아 프티아 지방(地方)에서 알로스 , 알로페 , 트라키스 , 펠라스기 아르고스 에 사는 작지만 용감(勇敢)한 부족(不足)이었다. [7] 이렇듯 호메로스에서 나오는 '헬라스'란 "아름다운 여성(女性)들의"(καλλιγ?ναικο?)로 묘사(描寫)되며, 이들 전사(戰士)인 헬레네스는 뮈르미돈(迷豚) 사람과 더불어 아킬레우스 의 휘하(麾下)에 있었다.

낱말 '헬레네'의 어원(語源)을 두고 여러 설(說)이 제기(提起)되었는데, '헬라스'(Ελλ??) 낱말을 해체(解體)해보면 "우리 사람", "우리 나라", "돌로 된 우리 사람"이란 뜻이 되는데, 이를 그리스 대홍수(大洪水) 신화(神話) 와 연관(聯關)짓기도 한다. 신화(神話)를 보면 홍수(洪水)가 끝나고 데우칼리온 퓌라 는 제우스가 명(命)한대로 땅에 돌을 던지자, 사람이 솟아나왔다고 한다.

"헬레네스" 용례(用例)의 확산(擴散) [ 편집(編輯) ]

일개(一介) 부족(部族) 이름이 아닌 넓은 의미(意味)로 헬레네스 가 쓰인 첫 사례(事例)는 근린(近隣) 동맹(同盟)의 경기(京畿) 에서 승리(勝利)하여 헤라클레스 에 봉헌(奉獻)한 에켐브로투스 의 비문(碑文)에 등장(登場)한다. [8] 이 표현(表現)은 기원전(紀元前) 8세기(世紀)에 고대(古代) 올림피아 경기(競技) 에서 도입(導入)되어 기원전(紀元前) 5세기(世紀)에 완전히(完全히) 굳어진 것으로 보인다. 그리스-페르시아 전쟁(戰爭) 이후(以後) 델포이 의 한 비문(碑文)에서는 페르시아 에 승리(勝利)한 것을 축하(祝賀)하고, 파우사니아스 를 두고 헬레네스를 이끄는 장군(將軍)으로 찬미(讚美)하는 내용(內容)이 있다. [9] 엘레우시스 비의 등(等) 종교(宗敎) 축제(祝祭)나 (고대(古代) 올림피아 경기(競技)를 비롯한) 범(汎)그리스 경기(京畿) 는 범(汎)그리스의 통일(統一)이란 인식(認識)을 촉진(促進)시켰다.

북쪽(北쪽)의 부족(部族) 사회(社會) [ 편집(編輯) ]

그리스인이 알던 네 부족(不足) 집단(集團)이 남하(南下)하고 오랜 세월(歲月)이 지나, 기년(朞年)(紀年)의 기준(基準)이 되는 건국(建國) 영웅(英雄)의 후손(後孫)에 대(對)한 신화적(神話的) 계통(系統)이 발달(發達)하면서 북부(北部) 부족(部族)의 정체성(正體性)을 인지(認知)하는 방법(方法)에도 영향(影響)을 주었다. 널리 퍼진 전설(傳說)에 따르면, 데우칼리온 퓌라 의 아들 헬렌 은 뉨프 오르세이스 에게서 세 아들 아이올로스 , 도로스 , 쿠토스 를 얻어 이들은 각자(各自) 헬라스의 주요(主要) 부족(部族)인 아이올리아인 , 도리아 인(人) , 아카이아 인(人) , 이오니아 인(人) 을 창건(創建)하였다고 한다.

트로이아 전쟁(戰爭) 시대(時代)에 에페이로스인들( 몰로소이인 , 테스프로티아인 , 카오니아인(人) )은 헬라스 사람(헬레네스)으로 여겨지지 않았는데, 당시(當時)에는 '헬라스 사람'이라면 아킬레우스를 비롯한 테살리아의 소부족(小部族)들에 국한(局限)되었기 때문이다. 이 이름이 올륌포스 산(山) 남쪽(南쪽)의 모든 사람에게 적용(適用)된 뒤에도, 북쪽(北쪽)에 기원(起源)을 두고 사는 사람들은 제외(除外)되었다. 이들 북쪽(北쪽) 사람들이 그리스-페르시아 전쟁(戰爭) 에 참여(參與)하지 않았던 점(點)도 한 원인(原因)이었는데, [10] 이 전쟁(戰爭)은 모든 헬라스 사람의 중요(重要)한 과업(課業)으로 여겨졌으며, 페르시아 전쟁(戰爭) 이후(以後)에는 올림피아 경기(競技)에서 헬라스 각(各) 부족(部族)의 대표(代表)들이 인정받았으며, 다른 헬라스 사람과 함께 겨루었다. [11] 이 시대(時代)에 북쪽(北쪽) 사람들이 계속(繼續) 개별(個別) 민족(民族), 또는 부족(不足) 연합(聯合)으로 여겨졌으며 남쪽(南쪽)의 민주정(民主政) 혹은(或은) 과두정(寡頭情) 적인(敵人) 폴리스 체제(體制)와 달리 고(高)졸기의 왕정(王政) 체제(體制)였다는 점(點)도 이들을 "오랑캐"로 보는 시각(視角)에 한몫하였다. [12]

투퀴디데스 아(亞)카르나니아인(人) , 아이톨리아인(人) [13] , 에페이로스인 [14] , 상부(上部) 마케도니아인(人) [15] 을 '오랑캐'라고 불렀는데, 이들 부족(部族)들이 그리스어(語) 방언(方言)이 상당히(相當히) 다르고 옛날식(式)이라 투퀴디데스같은 아티케 그리스어 를 쓰는 남쪽(南쪽) 사람이 듣기에 이해(理解)하기 어렵고 조야(粗野)하게 들려 "오랑캐의 말을 하는(barbarophone)"으로 여겨졌다는 의미(意味)이다. [16] 비슷하게 아테네의 웅변가(雄辯家) 데모스테네스 는 자신(自身)의 세 번째(番째) 필리포스 탄핵(彈劾) 에서 마케도니아의 필리포스 2세(歲) 를 오랑캐보다 나쁘다고 칭(稱)하였는데, 이는 마케도니아인(人)의 낯선 문화(文化)가 그리스 수준(水準)에 맞지 않는다는 뜻이지 그들의 태생(胎生)을 끌어들여서 하는 말은 아니었다. "

헬라스 사람과 오랑캐 [ 편집(編輯) ]

이후(以後) 수백년(數百年) 동안 헬레네 란 말은 문명인(文明人)이 아닌 "오랑캐"와 대비(對比)되는 표현(表現)이었다.

그리스 부족(部族)들은 자신(自身)들이 이웃 이민족(異民族)과는 다른 언어(言語)를 쓰고 있음을 이내 알게되었고, 그리하여 이들에 대(對)해 "교양(敎養) 없는", "문명(文明)이 아닌", "외국(外國)말을 쓰는"이라는 뜻으로 "오랑캐"(β?ρβαρο?)라고 칭(稱)하였다. 이 '바르바로스(오랑캐)'란 낱말은 원래(元來) 의성어(擬聲語) 로 그리스 사람이 듣기에 외국(外國) 사람이 말하는 것이 "bar-bar"하고 더듬는 것처럼 들렸기 때문일 것이다. [17] 이 말은 이집트인(人) 에 대(對)해서도 마찬가지인데, 헤로도토스 에 따르면 "다른 말을 하는 사람은 모두 오랑캐로 칭(稱)한다" [18] 라고 하며, 세월(歲月)이 흘러 슬라브인(人) 독일인(獨逸人) 에게 "말 없는"이란 뜻의 nemec 라는 이름을 붙였는데, 그들 자신(自身)은 "언어(言語)가 있는 사람"을 뜻하는 slov?nski 라고 칭(稱)하였다. [19] 아리스토파네스 를 보면, 그는 새에게 말하는 법(法)을 가르치지만 자신(自身)은 문맹인(文盲人) 감독자(監督者)를 두고 "오랑캐"라고 부른다. [20] 이 낱말은 결국(結局) 경멸적(輕蔑的)인 의미(意味)로 쓰여, 문화(文化)가 다른 외국인(外國人) 전체(全體)를 가리키는 말로 확대(擴大)되었으며, 결국(結局) 일반적(一般的)으로 "문맹(文盲)" 또는 "교양(敎養) 없는"이란 의미(意味)를 띄게 되었다. 그리하여 "글자(글字)를 모르는 사람도 오랑캐이다." [21] 할리카르나소스의 디오뉘시오스 에 따르면 헬라스 사람은 오랑캐와 네 가지 면(面)에서 다른데, 그것은 정제(精製)된 언어(言語), 교육(敎育), 종교(宗敎), 법(法) 준수(遵守)라고 하였다. [22] 그리스어 교육(敎育)은 귀족(貴族) 자제(子弟)의 필수(必須) 조건(條件)이 되었다. 파울로스 복음(福音) 을 모든 사람에게 설교(說敎)하는 것을 자신(自身)의 의무(義務)로 여겼는데, "헬라스인(人)이건 오랑캐건 지혜로운 자(者)도 있고 어리석은 자(者)도 있다."라고 말하였다. [23]

헬라스 사람과 오랑캐의 차별(差別)은 기원전(紀元前) 4세기(世紀)까지 이어졌다. 에우리피데스 는 헬라스 사람이 오랑캐를 지배(支配)해야 한다고 생각하였는데, 전자(前者)는 자유(自由) 가 예정(豫定)되어 있지만, 후자(後者)는 속박(束縛) 이 정(定)해져 있기 때문이다. [24] 아리스토텔레스 는 "오랑캐와 노예(奴隸)의 본성(本性)은 같다"고 결론(結論)지었다. [25] 스토아 학파(學派) 의 가르침으로 인종(人種) 차별(差別)이 퇴색(退色)되었는데, 이들은 본성(本性)과 관습(慣習)을 구분(區分)하고, 모든 사람이 신(神) 앞에서 같은 자격(資格)을 가지며, 따라서 본성(本性)에 따라 서로가 불평등(不平等)할 수 없다고 가르쳤다. 때맞춰 이소크라테스 헬레네 란 말을 인종(人種)이 아닌 지적(知的) 특성(特性)을 가리키는 말로 썼다.

알렉산드로스 대왕(大王) 의 정복(征服)으로 그리스 문화(文化)가 아시아 로 수입(輸入)되어 이 지역(地域)의 사회(社會)와 교육(敎育)을 변화시키면서 동방(東方)에서 그리스의 영향력(影響力)이 공고(鞏固)해졌다. 이소크라테스 는 자신(自身)의 연설(演說) '송덕문(頌德文)'( Panegyricus )에서 "이제 아테네는 사상(思想)과 표현면(表現面)에서 여타(餘他) 인류(人類)에 뒤쳐지게 되었으며, 그 제자(弟子)들이 세계(世界)의 교사(敎師)가 되었다. 아테네는 '헬라스'란 이름을 더 이상(以上) 인종(人種)이 아닌 지성(至誠)으로 구분(區分)케 하였으며, '헬레네'의 이름은 혈통(血統)이 아니라 교육(敎育) 여부(與否)를 가리키게 되었다." [26] 헬레니즘 문명(文明)은 고전(古典) 그리스 문명(文明)을 세계적(世界的)인 규모(規模)로 혁신(革新)하였으며, 모두에게 열렸다. 비슷하게 "헬라스 사람"이란 말도 그리스 민족(民族)을 가리키는 것에서 그리스의 관습(慣習)에 따라 삶을 영위(營爲)하는 모든 사람을 가리키게 되었다.

그리스 사람 (Γραικο?, 그라이코이 ) [ 편집(編輯) ]

솔레스토 이탈리아 아풀리아 주(州)에서 그리스어 를 쓰는 아홉 도시(都市) 가운데 하나이다. 이곳 주민(住民)들은 기원전(紀元前) 8세기(世紀)에 이탈리아와 시칠리아로 이주(移住)한 첫 그리스 정착민(定着民)들의 후손(後孫)이다. 이들 도시(都市)에 사는 사람들은 자신(自身)을 '그레코스'(Grekos)라고 칭(稱)하는데, 이는 라틴어(語) '그라이쿠스'에서 나온 말이며, 자신(自身)들을 헬라스 사람 으로 인식(認識)한다.

현대(現代) 영어(英語) 에서 쓰는 'Greek'은 라틴어(語) '그라이쿠스'(Græcus)에서 온 말이다. 그라이쿠스는 원래(元來) 그라이코이(Γραικο?)의 시조(始祖) 이름인 그라이코스(Γραικ??)에서 나왔는데, 그라이코스는 기원전(紀元前) 8세기경(世紀頃) 이탈리아 로 이주(移住)한 사람으로, 서구(西歐) 세계(世界) 에서 그 이름이 헬라스 사람을 칭(稱)하는 말이 되었다. 호메로스 는 일리아스의 선박(船舶)의 목록(目錄) 에서 보이오티아 군대(軍隊)에 대(對)해 언급(言及)하면서, 처음으로 그라이아(Γρα?α)라는 지명(地名)을 기록(記錄)하였으며, [27] 파우사니아스 는 고대(古代) 도시(都市) 타나그라 가 '그라이아'로 불린 적이 있었다고 말한 바 있으며, "그라이아가 어디인지는 아무도 모르는데, 아리스토텔레스는 그곳이 델리온 과 같은 해안(海岸)에서 훨씬 동쪽(東쪽)인 오로포스 근처(近處)라고 하였다."라고 덧붙였다. [28] 고대(古代) 이탈리아 네아폴리스 서쪽(西쪽)에 있고, 로마 시(市) 남쪽(南쪽)에 있던 도시(都市) 쿠마이 퀴마 사람 칼키스 사람 과 더불어 그라이아 사람이 건설(建設)한 도시(都市)인데, 고대(古代) 로마 사람들이 그라이아 사람과 접촉(接觸)한 것 때문에 헬라스어(語)를 쓰는 모든 부족(不足)을 '그리스 사람(Græci)'으로 칭(稱)하게 된 것 같다.

'그리스' 명칭(名稱)에 대(對)해 언급(言及)한 가장 오래된 자료(資料)를 남긴 아리스토텔레스 는 홍수(洪水)가 일어나 중부(中部) 에페이로스를 휩쓸었는데, 그 땅에 살던 사람들이 예전에 '그리스 사람(γραικο?)으로 불렸으며, 나중에는 '헬라스 사람'(?λληνε?)이란 이름이 붙었다고 한다. [29] 헤시오도스 그라이코스 데우칼리온 집안 사람이며, 그 이름은 도도네 의 사제(司祭)에게 붙은 직함(職銜)인 '게라니오스'(γηραι??, "늙은")과 관련(關聯)이 있다고 한다. 고대(古代) 그리스인의 이탈리아 식민화(植民化)에 관(關)한 지배적(支配的)인 이론(理論)에 따르면, 에페이로스에 살던 일부(一部) 사람들이 도도네를 지나 프티아 로 이주(移住)하여 멸칭(蔑稱)으로 '헬라스 사람'( 아킬레우스 트로이아 로 이끌었던 부족(不足))로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남아있다가 나중에 온 다른 부족(不足)과 통합(統合)한 사람들도 이 이름을 잃지 않았다. 여기스 그들은 서쪽(西쪽)으로 이탈리아를 향(向)하여 이주(移住)하였다.

로마인들은 '그리스인'이라는 말에 경멸적(輕蔑的)인 뉘앙스를 담기도 하였는데, 호라티우스 는 "정복당한 그리스가 거친 정복자(征服者)이자 문명화(文明化)된 농민(農民) 라틴 사람을 정복(征服)하였다." ( Graecia capta ferum victorem cepit et artes intulit agresti Latio )라고 썼으며, "난(亂) 다나오스 사람(그리스인)이(李) 선물(膳物)을 들고 있어도 두렵다"( Timeo Danaos et dona ferentes )라는 표현(表現)을 만들기도 하였다. 키케로 는 '오만(傲慢)하고 작은 그리스놈'이란 뜻의 "그라이쿨리(Graeculi)"라는 멸칭(蔑稱)을 만들었다.

각주(各州) [ 편집(編輯) ]

  1. “Websters thesaurus” . 《Greece》. 2007년(年) 9월(月) 30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06년(年) 10월(月) 14일(日)에 확인(確認)함 .  
  2. Eastmond, A. (2004). 《Art and Identity in Thirteenth-Century Byzantium: Hagia Sophia and the Empire of Trebizond》. Ashgate Publishing, Ltd. 137쪽. 0754635759.  
  3. Rapp SH, J. (Oct. - Dec., 2000). 《Sumbat Davitis-dze and the Vocabulary of Political Authority in the Era of Georgian Unification》. Journal of the American Oriental Society, Vol. 120, No. 4. 570?576쪽.  
  4. Medieval Georgians customarily applied these names to Byzantium and Byzantines (ibid)
  5. “Hebrew History: Yavan in the House of Shem: Greeks and Jews, 332-63 BC” . 2009년(年) 3월(月) 9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09년(年) 6월(月) 17일(日)에 확인(確認)함 .  
  6. Art and Identity in Thirteenth-century Byzantium By Antony Eastmond
  7. Homer, "Iliad", book 2, 681?685
  8. Pausanias, "Description of Greece", 10, 7, 3
  9. Thucydides, "Histories", I, 132
  10. The Macedonians were Persian subjects at this time but their King, Alexander I, secretly pursued a pro-Hellenic policy ? see Herodotus, "The Histories", Book IX, 45 .
  11. In respect to the kingdom of Macedon, participation was originally limited to the Argead kings such as Alexander I, Archelaus I and Philip II. From the age of Alexander I onwards, participation of ordinary Macedonians in the Olympic Games became common.
  12. NGL Hammond, "A History of Greece to 322BC", Oxford University Press, 3rd edition, 1986
  13. Thucydides, "History", II, 68, 5 and III, 97, 5
  14. Thucydides, "History", II, 68, 9 and II, 80, 5 and I, 47, 3
  15. Thucydides, "History", II, 80, 5
  16. See discussion in Chapter 5 of Jonathan Hall, "Hellenicity: Between Ethnicity and Cultur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2
  17. Oxford English Dictionary, 2nd Edition, 1989, "barbarous" (entry)
  18. Polybius, "History", 9, 38, 5; see also Strabo, "Geographica", 7, 7, 4; see also Herodotus, "Histories", book I, 56 and book VI, 127 and book VIII, 43
  19. Herodotus, "Histories", book II, 158
  20. Aristophanes, "The Birds", 199
  21. Aristophanes, "The Clouds", 492
  22. Dionysius of Halicarnassus, "Roman Archaeology", 1, 89, 4
  23. Saint Paul, "Epistle to the Romans", 1, 14
  24. Euripides, "Iphigeneia at Aulis", 1400
  25. Aristotle, "Republic", I, 5
  26. Isocrates, "Panegyricus", 50
  27. Homer, "Iliad", II, 498
  28. Pausanias, "Boeotics and Phocaeic, book 5, pp. 136
  29. Aristotle, "Meteorologica, I, 352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