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궁(宮) (드라마) -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본문(本文)으로 이동(移動)

궁(宮) (드라마)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궁(宮)
장르 판타지 로코 드라마
방송(放送) 국가(國家)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大韓民國)
방송(放送) 채널 문화방송(文化放送)
방송(放送) 기간(期間) 2006년(年) 1월(月) 11일(日) ~ 2006년(年) 3월(月) 30일(日)
방송(放送) 시간(時間) , 9시(時) 55분(分) ~ 11시(時) 5분(分)
방송(放送) 분량(分量) 1시간(時間) 10분(分)
방송(放送) 횟수(回數) 24부작(部作)
원작(原作) 박소희 의 만화소설(漫畫小說) 《 궁(宮)
기획(企劃) MBC 드라마운영(運營)팀
프로듀서 김지연
제작(製作) 에이트픽스 (현(現) 그룹에이트 )
연출(演出) 황인뢰 (프리랜서 PD)
각본(脚本) 인(人)은아
출연자(出演者) 윤은혜 , 주지훈 , 송지효 , 김정훈(金正薰) 등(等)
여는 곡(曲) 두번째(番째)달 - 宮
닫는 곡(曲) 제이, 하울 - Perhaps Love
음성(陰性) 2채널 스테레오 사운드( 아날로그 )
2채널 돌비(돌碑) 디지털 ( 디지털 )
자막(字幕) 청각(聽覺) 장애인(障礙人)을 위한 자막(字幕) 방송(放送)
HD 방송(放送) 여부(與否) HD 제작(製作) · 방송(放送)
후편(後篇) 궁(宮)S

비고(備考):
12세(歲) 이상(以上) 시청가(視聽可)에서 15세(歲) 이상(以上)으로 상향(上向) 조정(調整)되었다.

궁(宮) 》(宮)은 2006년(年) 1월(月) 11일(日) 부터 2006년(年) 3월(月) 30일(日) 까지 방영(放映)된 문화방송 수목(水木) 미니시리즈 이다.

줄거리 [ 편집(編輯) ]

대한민국(大韓民國) 1945년(年) (광화(鑛化) 원년(元年))에 8.15 광복(光復) 과 함께 구(區) 황실(皇室) 을 복권(福券)하고 입헌군주제(立憲君主制) 를 도입(導入)해 현재(現在) 황실(皇室) 이 존재(存在)한다는 가정(家庭)의 대체(代替) 역사(歷史) 에서 시작(始作)하는 이 드라마는 박소희 의 ' 궁(宮) '을 원작(原作)으로 한다.

2006년(年) (인화(人和) 14년(年)) 어느 예술고등학교(藝術高等學校)에 다니는 지극히(至極히) 평범(平凡)한 여고생(女高生) 신채경( 윤은혜 분(分))은 어른들의 약속(約束)으로 어쩔 수 없이 이미 민효린( 송지효 분)과 사귀고 있던 황태자(皇太子) 이신( 주지훈 분)과 결혼(結婚)해 황태자비(皇太子妃)가 된다. 그러나 황제(皇帝)( 박찬환 분(分))의 건강(健康)이 나빠지면서 후사(後嗣)의 문제(問題)가 생기기 시작(始作)한다.

그때 영국(英國)에서 14년간(年間) 망명(亡命) 생활(生活)을 하다가 돌아온 혜정궁(惠政宮) 서화영( 심혜진 분(分))과 황위계승(皇位繼承) 서열(序列) 2위(位)인 의성군(義城郡) 이율(理由)( 김정훈(金正薰) 분(分))이(李) 차기(次期) 황위(皇位)를 노리고 돌아오고 돌아온 의성군(義城郡)이 신채경에게 연모(戀慕)의 감정(感情)을 느끼게 되자 궁중(宮中)은 점차(漸次) 혼란(混亂)의 소용돌이에 휩싸이게 된다.

출연진(出演陣) [ 편집(編輯) ]

주요(主要) 인물(人物) [ 편집(編輯) ]

이신의 가족(家族) [ 편집(編輯) ]

  • 박찬환  : 황제(皇帝) 이현(耳峴) 역(驛)
  • 윤유선  : 황후(皇后) 민씨(閔氏) 역(役)
  • 김혜자  : 황태후(皇太后) 박씨(朴氏) 역(驛) - 황태후(皇太后) → 태황태후(太皇太后)
  • 이윤지  : 혜명공주(慧命公主) 역(驛) - 공주(公主) → 여황제(女皇帝)

신채경의 가족(家族) [ 편집(編輯) ]

  • 강남길  : 채경아빠 역(役) - 부원군(府院君)
  • 임예진  : 채경엄마 역(役) - 부부(夫婦)인
  • 김석  : 신(新)채준 역(驛) - 채경의 남동생(男동생)

이율(利率)의 가족(家族) [ 편집(編輯) ]

  • 심혜진  : 화영 역(驛). 효열태자비(孝烈太子妃) → 혜정궁(惠政宮) → 황태후(皇太后) 서씨(徐氏). 의성군(義城郡) 율의(律儀) 모친(母親)

황실(皇室)사람들 [ 편집(編輯) ]

  • 이호재  : 공내관(內官) 역(驛) - 율의(律儀) 담당내관(擔當內官) → 황태자담당(皇太子擔當)
  • 권연우  : 곽상궁(尙宮) 역(役) - 황태후전(皇太后展) → 태후전(太后前)
  • 윤희주  : 박상궁(朴尙宮) 역(役) - 황후전(皇后展)
  • 원미원 : 서상궁(西尙宮) 역(役) - 전(前) 이수(履修) 황태자(皇太子)와 율의(律儀) 유모(乳母). 태황태후전(太皇太后展) 지밀상궁(至密尙宮)
  • 전수연  : 최상궁(崔尙宮) 역(役) - 황태자비(皇太子妃) 훈육담당(訓育擔當)
  • 이태리(伊太利) : 방(房)나인 역(驛) - 황태자비전(皇太子妃展)
  • 정경(政經) : 천(千)나인 역(驛) - 황태자비전(皇太子妃展)
  • 김동석  : 수행원(隨行員)1 역(驛) - 황태자(皇太子) 수행담당(遂行擔當)
  • 손준형 : 수행원(隨行員)2 역(驛) - 황태자(皇太子) 수행담당(遂行擔當)
  • 강왕수 : 황태자(皇太子) 익위사(翊衛司)1 역(驛)
  • 진광운 : 황태자(皇太子) 익위사(翊衛司)2 역(驛)
  • 최춘범 : 황태자(皇太子) 익위사(翊衛司)3 역(驛)
  • 양윤영 : 황태자비(皇太子妃) 익위사(翊衛司)1 역(驛)
  • 최윤경 : 황태자비(皇太子妃) 익위사(翊衛司)2 역(驛)
  • 정하은 : 황태자비(皇太子妃) 익위사(翊衛司)3 역(驛)

이신의 친구(親舊)들 [ 편집(編輯) ]

신채경의 친구(親舊)들 [ 편집(編輯) ]

그 외(外) 인물(人物) [ 편집(編輯) ]

  • 박(朴)라디아  : 민효린의 발레 교수(敎授) 역(役)
  • 류시현  : 채경이네 반(班) 담임선생님(擔任先生님) 역(驛)
  • 윤순홍  : 최(崔) 국장(局長) 역(驛) - 효열태자(孝烈太子)의 친구(親舊). 기자(記者)
  • 박정우  : 충화(衝火) 역(驛) - 황태후(皇太后) 서씨(徐氏)(서화영)의 비서(祕書)
  • 함은정  : 발레 연습생(練習生) 역(驛)
  • 윤이나
  • 장현아
  • 송준호
  • 이상(以上)이
  • 최은석  : 사채업자(私債業者) 역(驛)
  • 신준영  : 사채업자(私債業者) 역(驛)
  • 이윤상 : 법원(法院)에서 나온 집행관(執行官) 역(驛)
  • 염선미
  • 김광규  : 학생주임(學生主任) 역(驛) - 채경이네 학교(學校)
  • 이정훈
  • 문회원(門會員)  : 당숙(堂叔) 역(驛) - 황실(皇室) 종친(宗親)
  • 신복숙  : 민효린의 어머니 역(役)

특별출연(特別出演) [ 편집(編輯) ]

  • 최불암  : 성조(聲調) 황제(皇帝) 역(驛)
  • 김상중  : 효열태자(孝烈太子) 이수(履修) 역(驛) - 후(後)에 황제(皇帝)로 추존(追尊) (사진(寫眞)으로만 출연(出演))
  • 박웅  : 신채경의 할아버지 역(役) (사진(寫眞)으로만 출연(出演))
  • 이윤철  : '황태자(皇太子) 부부(夫婦)와 함께'의 방송(放送) 진행자(進行者) 역(驛) (20,21화(話))

시청률(視聽率) [ 편집(編輯) ]

최저(最低) 시청률(視聽率) 최고(最高) 시청률(視聽率) 시청률(視聽率) 조사회사(調査會社)와 지역별(地域別)로 시청률(視聽率)에 차이(差異)가 있을 수 있습니다.
2006년(年)
회차(廻車) 방송(放送)일 TNmS 시청률(視聽率) [1] AGB 시청률(視聽率) [2]
대한민국(大韓民國)(전국(全國)) 대한민국(大韓民國)(전국(全國)) 서울(수도권(首都圈))
제(第)1회(回) 1월(月) 11일(日) 16.2% 15.6% 16.9%
제(第)2회(回) 1월(月) 12일(日) 16.0% 16.2% 17.2%
제(第)3회(回) 1월(月) 18일(日) 14.3% 15.4% 15.8%
제(第)4회(回) 1월(月) 19일(日) 15.1% 16.8% 18.1%
제(第)5회(回) 1월(月) 25일(日) 19.7% 20.4% 21.3%
제(第)6회(回) 1월(月) 26일(日) 16.5% 16.2% 17.4%
제(第)7회(回) 2월(月) 1일(日) 13.7% 12.8% 13.3%
제(第)8회(回) 2월(月) 2일(日) 18.6% 16.8% 17.5%
제(第)9회(回) 2월(月) 8일(日) 24.0% 23.2% 25.2%
제(第)10회(回) 2월(月) 9일(日) 25.2% 23.2% 24.8%
제(第)11회(回) 2월(月) 15일(日) 24.5% 23.2% 24.7%
제(第)12회(回) 2월(月) 16일(日) 25.6% 23.9% 25.5%
제(第)13회(回) 2월(月) 22일(日) 25.0% 23.1% 24.8%
제(第)14회(回) 2월(月) 23일(日) 26.7% 24.8% 26.6%
제(第)15회(回) 3월(月) 2일(日) 27.9% 27.1% 28.4%
제(第)16회(回) 24.3% 23.2% 24.5%
제(第)17회(回) 3월(月) 8일(日) 25.8% 25.1% 26.2%
제(第)18회(回) 3월(月) 9일(日) 26.6% 26.3% 28.7%
제(第)19회(回) 3월(月) 15일(日) 27.0% 25.0% 26.9%
제(第)20회(回) 3월(月) 16일(日) 27.1% 26.6% 28.1%
제(第)21회(回) 3월(月) 22일(日) 24.6% 23.6% 24.1%
제(第)22회(回) 3월(月) 23일(日) 24.4% 23.3% 24.1%
제(第)23회(回) 3월(月) 29일(日) 25.4% 23.5% 24.8%
제(第)24회(回) 3월(月) 30일(日) 28.3% 25.6% 27.3%
평균(平均) 시청률(視聽率) 22.6% 21.7% 23.0%

연장(延長) [ 편집(編輯) ]

  • 궁(宮) 방영(放映) 분량(分量)이 20부작(部作)에서 4회(回) 연장(延長)되어 24부작(部作)으로 변경(變更) 및 확정(確定)되었다.

수상(受賞) 경력(經歷) [ 편집(編輯) ]

연표(年表) [ 편집(編輯) ]

  • 광화(鑛化) 원년(元年) 1945 - 8.15 광복(光復) 과 함께 해외(海外)에서 독립운동(獨立運動)을 하던 성조(聲調)(聖祖) 귀국(歸國). 국민(國民)들의 요구(要求)로 구(區) 황실(皇室) 을 복권(福券)하고, 입헌군주제(立憲君主制) 를 도입(導入)해 대한민국(大韓民國) 수립(樹立). 성조(聲調)가 황제(皇帝)로 즉위(卽位), 연호(年號)는 광화(光化).
  • 광화(鑛化) 40년(年) 1984 - 성조(聲調)의 장남(長男)인 황태자(皇太子) 이수(履修), 영화배우(映畫俳優) 서화영을 황태자비(皇太子妃) 로 맞아들이다.
  • 광화(鑛化) 41년(年) 1985 - 성조(聲調)의 차남(次男)인 효성(曉星) 대군(大君) 이현(耳峴), 명문가(名門家) 출신(出身)인 민씨(閔氏)를 부부(夫婦)인 으로 받아들이다.
  • 광화(鑛化) 43년(年) 1987 - 효성대군(曉星大軍) 이현(移懸)의 딸인 혜명옹주(慧命翁主) 탄생(誕生).
  • 광화(鑛化) 44년(年) 1988 - 황태자(皇太子) 이수의 아들, 율 탄생(誕生). 효성대군(曉星大軍) 이현(移懸)의 아들, 신(神) 탄생(誕生).
  • 광화(鑛化) 47년(年) 1991 - 성조(聲調)와 채경의 조부(祖父)가 각자(各自)의 손자(孫子), 손녀(孫女)의 정혼(定婚) 약속(約束).
  • 광화(鑛化) 48년(年) 1992 - 황태자(皇太子) 이수(履修), 교통사고(交通事故)로 사망(死亡). 효성대군(曉星大軍) 이현(移懸)이 황태자(皇太子)로, 부부(夫婦)인 민씨(閔氏)가 황태자비(皇太子妃)로 책봉(冊封). 혜정궁(惠政宮) 궁호(窮戶)를 받은 서화영, 영국(英國)으로 율과(律科) 떠나다.
  • 광화(鑛化) 49년(年)/인화(人和) 원년(元年) 1993 - 성조(聲調) 붕어, 시호(諡號)는 무황제(皇帝)(武皇帝). 황태자(皇太子) 이현(移懸)이 황제(皇帝) 로 즉위(卽位), 연호(年號)는 인화(人和)(仁化). 황태자비(皇太子妃) 민씨(閔氏)가 황후(皇后)로, 혜명옹주(慧命翁主)가 공주(公主)로 승봉(承奉).
  • 인화(人和) 3년(年) 1995 - 신(新), 황태자(皇太子)로 책봉(冊封).
  • 인화(人和) 12년(年) 2004 - 이신, 한국예술고등학교(韓國藝術高等學校) 영화과(映畫科) 입학(入學). 이율(理由), 영국(英國) 디자인 아트스쿨 입학(入學).
  • 인화(人和) 14년(年) 2006 - 황태자(皇太子) 이신, 같은 학교(學校) 신채경과의 정혼(定婚)을 받아들이다.

해외(海外) 방송(放送) [ 편집(編輯) ]

참고(參考) 사항(事項) [ 편집(編輯) ]

제작(製作)에 관(關)해 [ 편집(編輯) ]

  • 당초(當初) KBS 2TV 에서 방영(放映)할 예정(豫定)이었는데, KBS 드라마본부(本部)의 전기상(電氣商) PD는 자신(自身)이 연출(演出)한 작품(作品)이자 제작사(製作社)(당시(當時) '에이트픽스')에서 만든 KBS 2TV 의 드라마 < 보디가드 >를 통해 제작사(製作社)와 인연(因緣)을 맺어 <궁(宮)>을 차기작(次期作)으로 준비(準備)하게 [3] 됐다.
  • 하지만, 여러 가지 사정(事情)으로 KBS에서 방송(放送)하지 못하자 전기상(電氣商)은 < 쾌걸춘향(春香) >으로 선회(旋回)한 바 [4] 있었으며 원래(元來) 2006년(年) 3월(月) 편성(編成) 예정(豫定)이었으나 1월(月) 방영(放映) 계획(計劃)이었던 <내가 나빴다>가 좌초(坐礁)되자 앞당겨졌고 [5] 이 과정(過程)에서 윤유선 이 동시간대(同時間帶) KBS 2TV 《 굿바이 솔로 》와 본의(本意) 아니게 겹치기 출연(出演)을 [6] 해야 했다.

캐스팅 [ 편집(編輯) ]

  • 이유리 가 여주인공(女主人公) 후보(候補) 1순위(順位)였으나 SBS < 사랑과 야망(野望) > 캐스팅으로 고사(固辭)했다. [7]
  • 김성령 이 캐스팅 물망(物望)에 거론(擧論)되기도 했으나 [8] 스스로 포기(抛棄)했다.

같이 보기 [ 편집(編輯) ]

각주(各州) [ 편집(編輯) ]

  1. TNmS 멀티미디어 홈페이지 참조(參照).
  2. “닐슨코리아 리서치 홈페이지” . 2014년(年) 6월(月) 19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22년(年) 8월(月) 9일(日)에 확인(確認)함 .  
  3. 김태은 (2006년(年) 1월(月) 19일(日)). ' 마이걸' vs '궁(宮)', 알고보니 이런 인연(因緣)이?” . 머니투데이 스타뉴스 . 2023년(年) 7월(月) 19일(日)에 확인(確認)함 .  
  4. 김태은 (2006년(年) 1월(月) 19일(日)). ' 마이걸' vs '궁(宮)', 알고보니 이런 인연(因緣)이?” . 머니투데이 스타뉴스 . 2023년(年) 7월(月) 19일(日)에 확인(確認)함 .  
  5. 석(席)현혜 (2006년(年) 2월(月) 3일(日)). “드라마 '궁(宮)' 방송(放送) 앞당긴 것이 전화위복(轉禍爲福)?” . 조이뉴스24 . 2023년(年) 7월(月) 19일(日)에 확인(確認)함 .  
  6. 김태은 (2006년(年) 3월(月) 9일(日)). “윤유선-김미경 겹치기 출연(出捐)은 사전제작(事前製作) '덕분(德分)'(?)” . 머니투데이 스타뉴스 . 2023년(年) 7월(月) 19일(日)에 확인(確認)함 .  
  7. 배현정 (2006년(年) 3월(月) 11일(日)). “이유리 "깍쟁이라 하지 마세요. 가녀린 '누이' 랍니다 " . 데일리한국(韓國) . 2018년(年) 7월(月) 5일(日)에 확인(確認)함 .  
  8. 김태은 (2005년(年) 10월(月) 29일(日)). “김성령, 토크쇼 MC 포기(抛棄)하고 '걱정하지마'에 '올인 ' . 스타뉴스 . 2018년(年) 7월(月) 5일(日)에 확인(確認)함 .  

외부(外部) 링크 [ 편집(編輯) ]

문화방송 수목(水木) 미니시리즈
이전(以前) 작품(作品) 작품명(作品名) 다음 작품(作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