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군주(君主) - 가면(假面)의 주인(主人) -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본문(本文)으로 이동(移動)

군주(君主) - 가면(假面)의 주인(主人)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군주(君主) - 가면(假面)의 주인(主人)
장르 시대극(時代劇), 추리(推理), 로맨스, 드라마
방송(放送) 국가(國家)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大韓民國)
방송(放送) 채널 MBC TV
방송(放送) 기간(期間) 2017년(年) 5월(月) 10일(日) ~ 2017년(年) 7월(月) 13일(日)
방송(放送) 시간(時間) , 10시(時) ~ 11시(時) 10분(分) (2회(回) 연속방송(連續放送))
방송(放送) 분량(分量) 35분(分)
방송(放送) 횟수(回數) 40부작(部作)
추가(追加) 채널 MBC 드라마넷 , 드라마큐브
기획(企劃) 김경희
편집(編輯) 남인주, 이현주, 권선(捲線)안, 김현정
제작사(製作社) 피플스토리컴퍼니, 화이브라더스 , 드라마피버
제작(製作) 정찬희, 배정훈
연출(演出) 노도철 , 박원국
조연출(助演出) 한진선, 박선영(朴善英), 박소영, 이은호
각본(脚本) 박혜진, 정해리
출연자(出演者) 유승호 , 김소현 , 김명수(金命洙) , 윤소희 , 허준호 , 박철민 외(外)
음악(音樂) 전창엽
HD 방송(放送) 여부(與否) HD 제작(製作) · 방송(放送)
외부(外部) 링크  군주(君主) - 가면(假面)의 주인(主人) 홈페이지

군주(君主) - 가면(假面)의 주인(主人) 》은 2017년(年) 5월(月) 10일(日) 부터 2017년(年) 7월(月) 13일(日) 까지 방영(放映)된 MBC 수목(水木) 미니시리즈 이다.

줄거리 [ 편집(編輯) ]

1700년대(年代) 조선(朝鮮)에 실제(實際) 존재(存在)했던 조선(朝鮮) 팔도(八道)의 물을 사유해(事由海) 강력(强力)한 부(富)와 권력(權力)을 얻은 조직(組織) 편수회(編修會)와 맞서 싸우는 왕세자(王世子) 이선 의 의로운 사투(死鬪)와 사랑을 그린 정치(政治)와 멜로가 적절히(適切히) 조합(組合)된 하이브리드 팩션 사극(史劇)으로, 백성(百姓) 때문에 영웅(英雄)이 되는 세자(世子) 이선과 아버지를 참수(斬首)한 세자(世子)에게 복수(復讐)하려다 사랑에 빠지게 되는 한가은(閑暇銀)의 풋풋한 로맨스와 함께 권력(權力)을 차지하기 위한 암투(暗鬪)가 펼쳐진다.

등장(登場) 인물(人物) [ 편집(編輯) ]

주요(主要) 인물(人物) [ 편집(編輯) ]

  • 유승호  : 왕세자(王世子) 이선 역(驛) - 17세(歲), 22세(歲)/ 인간(人間)이 누릴 수 있는 최고(最高) 권력(權力)인 왕권(王權)이 마땅한 세자(世子). 하지만 사랑하는 여인(女人)과 백성(百姓)을 위해 왕권(王權)을 버리고 죽음을 각오(覺悟)하고 진격(進擊)하는... 사랑 때문에 영웅(英雄)이 되는 남자(男子)
  • 김소현  : 한가(閑暇)은 역(驛) - 17세(歲), 22세(歲)/중전(中前)/ 아버지를 참수(斬首) 한 세자(世子)에게 복수(復讐)하려다... 그 세자(世子)를 왕좌(王座)로 돌려보내는 핵심(核心) 인물(人物)이 되는 여인(女人)
  • 김명수(金命洙)  : 천민(賤民) 이선 역(驛) - 17세(歲), 22세(歲)/가짜(假짜) 왕(王) 천민(賤民)이 가져서는 안 되는 천재적(天才的) 두뇌(頭腦)와 불의 기운을 가진 남자(男子). 사랑하는 여인(女人) 앞에 천민(賤民)이 아닌, 가짜(假짜)가 아닌, 한 남자(男子)로 서기 위해... 사랑 때문에 진짜(眞짜) 왕(王)이 되려는 사랑이 전부(全部)인 남자(男子)
  • 윤소희  : 김화군(金化郡) 역(驛) - 16세(歲), 21세(歲)/ 편수회(編修會) 수장(首長) 대목의 손녀(孫女). 편수회(編修會) 대목의 손녀(孫女)이지만 세자(世子)를 사랑해 집안을 배신(背信)하는 여인(女人)
  • 허준호  : 대목 역(驛) - 50대(代), 60대(代)/ 편수회의 최고(最高) 수장(首長). 언제나 온화(溫和)하게 웃고 있어 유해(遺骸) 보이지만, 사람의 마음을 날카롭게 꿰뚫어보고 이를 자신(自身)의 이재(理財)에 이용(利用)할 줄 아는 사람
  • 박철민  : 우보(右輔) 역(驛) - 50대(代), 60대(代)/ 前 성균관(成均館) 사성(四星)(司成). 왕세자(王世子) 이선의 스승. 이조판서(吏曹判書)

세자(世子)의 주변(周邊) 인물(人物) [ 편집(編輯) ]

  • 신현수(申炫秀)  : 이청운 역(驛) - 19세(歲), 24세(歲)/ 왕세자(王世子) 이선의 동료(同僚)이자 호위(護衛) 무사(無事)
  • 배유람  : 박무하 역(驛) - 20대(代), 30대(代)/ 왕세자(王世子) 이선의 충신(忠臣). 한성부(漢城府) 참군(參軍). 좌충우돌(左衝右突) 하는 성미(性味)를 누르고 조용히 살려고 노력(努力)하는 겁쟁이(怯쟁이) 말단(末端) 관리(管理)
  • 이채영  : 매창 역(驛) - 30대(代) 초반(初盤)/ 왕세자(王世子) 이선의 동료(同僚). 세자(世子)의 정보통(情報通). 시(市)와 가야금(伽倻琴)에 능(能)한 명기(明記)(名妓)로 알려져 있지만, 출신(出身)도 신분(身分)도 정체(停滯)도 베일에 쌓여있는 신비(神祕)한 분위기(雰圍氣)의 여인(女人)

편수회(編修會) 관련(關聯) 인물(人物) [ 편집(編輯) ]

  • 김병철(金炳哲)  : 김우재 역(驛) - 30대(代), 40대(代) 대목의 아들. 아비의 뜻에 부합(符合)하려고 부단히(不斷히) 노력(努力)하지만 능력(能力)이 안 돼 늘 속이 꼬여있는 인물(人物)
  • 김종수  : 주진명 역(驛) - 40대(代), 50대(代)/ 조정(調整) 내(內) 편수회(編修會) 세력(勢力) 우두머리. 좌의정(左議政). 후(後)에 영의정(領議政). 뛰어난 식견(識見)과 명석(明晳)한 두뇌(頭腦), 판세(판勢)를 읽을 줄 아는 최고(最高)의 책략가(策略家)로 대목의 우직(愚直)한 오른팔
  • 도용구  : 최성기(最盛期) 역(驛) - 40대(代), 50대(代)/ 편수회원(編修會員). 동지사(冬至使) 부총관(副摠管). 후(後)에 우의정(右議政) . 무장(武裝) 집안 출신(出身) 답게 항상(恒常) 당당(堂堂)한 인물(人物). 중전(中殿)의 사촌(四寸) 오라비로 집안에 대(對)한 자부심(自負心)이 높다
  • 정규수  : 허유건(許維件) 역(驛) - 30대(代), 40대(代)/ 편수회원(編修會員). 좌찬성(左贊成). 후(後)에 좌의정(左議政). 주도면밀(周到綿密)하고 비열(卑劣)하고 철저(徹底)하게 자신(自身)의 이익(利益)에 따라 움직이는 박쥐같은 기회주의자(機會主義者)
  • 김영웅  : 조태호 역(驛) - 30대(代), 40대(代)/ 편수회원(編修會員). 양수청장(讓受廳長). 뼛속까지 출세욕(出世慾)으로 가득한 인물(人物)로 양수청장(讓受廳長)이 된 뒤 백성(百姓)을 괴롭히면서 독(毒)하게 물을 팔아 엄청난 이익(利益)을 남김
  • 김서경  : 곤 역(驛) - 16세(歲), 20대(代) 후반(後半)/ 조선(朝鮮) 최고(最高)의 암살자(暗殺者)

궐(闕) 안의 인물(人物) [ 편집(編輯) ]

  • 김명수(金命洙)  : 선왕(先王) 역(驛) (특별출연(特別出演)) - 30대(代), 50대(代)/ 편수회원(編修會員). 세자(世子)의 아버지. 성군(聖君)으로 존경(尊敬) 받지만 속내는 그 누구도 알지 못한다. 호학군주(好學君主)의 면모(面貌)를 보이다 가도 불같은 성정(性情)을 드러내 대신(大臣)들을 두려움에 떨게 하는 야누스적(的)인 왕(王)
  • 김선경  : 중전(中前) 역(驛) - 40대(代), 50대(代)/ 왕세자(王世子) 이선의 적모(嫡母). 평안도(平安道) 최고(最高) 무인(無人) 집안 출신(出身). 이후(以後) 대비(對備). 대대로(代代로) 평안감사(平安監司)를 배출(輩出)한 조선(朝鮮) 최고(最高) 무인(無人) 집안 출신(出身)으로 편수회(編修會)와 가깝게 지내긴 하지만 마음속 깊이는 편수회(編修會)를 무시(無視)하고 천대(千臺)
  • 최지나  : 영빈(迎賓) 이씨(李氏) 역(驛) (특별출연(特別出演)) - 20대(代), 40대(代)/ 왕세자(王世子) 이선의 생모(生母). 착하고 따뜻한 성품(性品)을 가진 여인(女人). 중전(中殿)과 달리 세도가(勢道家)의 여인(女人)도 아니고 야망(野望)도 정치색도(政治色度) 없어 왕(王)의 사랑을 받음
  • 정두홍  : 이범우 역(役) (특별출연(特別出演), 무술감독(武術監督)) - 30대(代), 50대(代)/ 금군별장(禁軍別將). 청운(靑雲)의 아버지. 유명(有名)한 검교(檢校)의 제자(弟子)로 문(門)과 무 모두에 탁월(卓越)하지만 검술(劍術)로 조선(朝鮮) 제일(第一)이라 불리는 인물(人物)
  • 송인국  : 현석 역(驛) - 20대(代)/ 이선의 충신(忠臣). 내금위(內禁衛) 겸사복(兼司僕). 이선의 모든 비밀(祕密)을 알고, 속내를 공유(共有)하는 유일(唯一)한 인물(人物)
  • 정아미  : 한상궁(韓尙宮) 역(役) - 30대(代)/ 중궁전(中宮殿) 상궁(尙宮). 중전(中前)이 궐(闕)에 들어올 때 데리고 온 본방(本放) 상궁(尙宮)으로 중전(中殿)의 심복(心腹)
  • 이대로  : 상선(商船) 역(驛) - 40대(代)/ 3대(代) 왕(王)을 모신 내관(內官)(내시(內侍))

주변(周邊) 인물(人物) [ 편집(編輯) ]

  • 전노민  : 한규호 역(驛) (특별출연(特別出演)) - 30대(代)/ 가은의 아버지. 한성부(漢城府) 좌윤(左尹). 정의(正義)롭고 지혜로운 인물(人物)로 공정(公正)한 판단(判斷)을 내리는 판관(判官)으로 이름이 높다
  • 박현숙  : 유선댁(有線宅) 역(驛) - 20대(代), 30대(代)/ 이선의 어머니. 가은의 유모(乳母). 가(街)은이를 아기 때부터 키웠고, 그 공(功)으로 규호(叫號)가 면천(免賤)을 시켜줘 가은에 대(對)한 정(情)이 남다름
  • 정해균  : 이선 부(部) 역(驛) (특별출연(特別出演)) - 30대(代)/ 이선의 아버지. 양수청 물지게꾼
  • 고나희(高儺戱) : 꼬물이 역(驛) - 6세(歲)/ 이선의 여동생(女同生). 시장(市場)에서 엄마 장사를 돕기도 하고, 우보(牛步)의 다리가 되어 서간(書簡) 심부름을 하기도 하는 야무진 아이

그 외(外) 인물(人物) [ 편집(編輯) ]

  • 진기주  : 최강(最强)서 역(驛) - 호위(護衛) 무사(無事)
  • 공정환
  • 한지웅 : 철구 역(驛)
  • 박기륭  : 장서방(張書房) 역(驛) - 대목 집 청지기(廳지기). 대대로(代代로) 편수회(編修會) 집안에 충성해온 청지기(廳지기). 입이 무겁고 대목에 대(對)한 충성심(忠誠心)이 높다
  • 김사랑 : 양(羊)이 역(驛) - 짐꽃밭에서 일하다 탈출(脫出)한 아이
  • 김종구(金種求)  : 김광열 역(驛) - 대사헌(大司憲)
  • 이진이  : 연주(連奏) 역(驛) - 우의정(右議政) 최성기(最盛期)의 딸
  • 차도연
  • 엄서현(嚴暑縣) : 오월(五月)이 역(驛) - 짐꽃밭에서 일하는 아이
  • 문수빈(文守彬)
  • 윤종원
  • 김대국  : 내금위(內禁衛) 군사(軍事) 역(驛)
  • 최찬숙 : 궁중(宮中)어른 역(驛)
  • 강운(江韻)

특별출연(特別出演) [ 편집(編輯) ]

  • 민필준  : 천수(天壽) 역(驛) - 동궁전(桐宮殿) 내시(內侍)
  • 이재용(李在鎔)  : 보부상(褓負商) 역(驛) - 보부상(褓負商) 접장(접張)
  • 김학철  : 최헌 역(驛) - 함길도(咸吉道) 병마절도사(兵馬節度使)

시청률(視聽率) [ 편집(編輯) ]

최저(最低) 시청률(視聽率) 최고(最高) 시청률(視聽率) 시청률(視聽率) 조사회사(調査會社)와 지역별(地域別)로 시청률(視聽率)에 차이(差異)가 있을 수 있습니다.
2017년(年)
회차(廻車) 방송(放送)일 TNmS 시청률(視聽率) [1] AGB 시청률(視聽率) [2]
대한민국(大韓民國)(전국(全國)) 서울(수도권(首都圈)) 대한민국(大韓民國)(전국(全國)) 서울(수도권(首都圈))
제(第)1회(回) 5월(月) 10일(日) 8.8% 10.0% 9.7% 10.5%
제(第)2회(回) 10.1% 10.9% 11.6% 12.1%
제(第)3회(回) 5월(月) 11일(日) 10.4% 11.5% 10.5% 11.2%
제(第)4회(回) 10.8% 11.9% 12.6% 13.4%
제(第)5회(回) 5월(月) 17일(日) 8.5% 10.4% 11.2% 11.8%
제(第)6회(回) 9.2% 11.0% 12.5% 12.9%
제(第)7회(回) 5월(月) 18일(日) 10.4% 11.8% 12.0% 12.9%
제(第)8회(回) 11.6% 13.1% 13.4% 14.2%
제(第)9회(回) 5월(月) 24일(日) 10.6% 10.9% 11.9% 12.7%
제(第)10회(回) 11.7% 12.6% 13.8% 15.2%
제(第)11회(回) 5월(月) 25일(日) 11.1% 11.7% 12.1% 13.2%
제(第)12회(回) 12.3% 13.3% 13.8% 15.1%
제(第)13회(回) 5월(月) 31일(日) 11.8% 13.8% 11.7% 12.2%
제(第)14회(回) 12.8% 15.7% 13.6% 14.5%
제(第)15회(回) 6월(月) 1일(日) 12.0% 14.5% 12.0% 12.6%
제(第)16회(回) 13.4% 15.8% 13.6% 14.2%
제(第)17회(回) 6월(月) 7일(日) 11.6% 13.0% 10.9% 11.0%
제(第)18회(回) 12.4% 14.0% 11.9% 11.6%
제(第)19회(回) 6월(月) 8일(日) 11.0% 13.0% 11.2% 11.2%
제(第)20회(回) 11.4% 14.0% 12.2% 12.1%
제(第)21회(回) 6월(月) 14일(日) 11.8% 13.0% 11.3% 11.8%
제(第)22회(回) 13.0% 14.5% 13.0% 13.8%
제(第)23회(回) 6월(月) 15일(日) 10.3% 11.3% 11.3% 11.3%
제(第)24회(回) 12.0% 13.2% 13.4% 13.2%
제(第)25회(回) 6월(月) 21일(日) 10.3% 11.5% 10.6% 10.8%
제(第)26회(回) 11.8% 13.0% 13.2% 13.5%
제(第)27회(回) 6월(月) 22일(日) 10.0% 11.9% 10.8% 11.4%
제(第)28회(回) 11.6% 14.1% 12.2% 12.4%
제(第)29회(回) 6월(月) 28일(日) 9.6% 11.0% 10.1% 10.1%
제(第)30회(回) 11.2% 13.7% 12.2% 12.3%
제(第)31회(回) 6월(月) 29일(日) 10.5% 12.6% 11.9% 11.9%
제(第)32회(回) 12.2% 14.5% 14.4% 14.6%
제(第)33회(回) 7월(月) 5일(日) 12.1% 12.2% 12.6% 13.3%
제(第)34회(回) 14.0% 14.6% 13.6% 14.5%
제(第)35회(回) 7월(月) 6일(日) 12.9% 15.2% 12.8% 13.5%
제(第)36회(回) 14.7% 16.6% 14.9% 15.2%
제(第)37회(回) 7월(月) 12일(日) 15.5% 18.0% 13.2% 13.9%
제(第)38회(回) 17.6% 20.3% 14.5% 15.2%
제(第)39회(回) 7월(月) 13일(日) 14.4% 16.1% 13.3% 13.5%
제(第)40회(回) 16.0% 18.4% 14.4% 14.7%
평균(平均) 시청률(視聽率) 11.8% 13.5% 12.4% 12.9%

수상(首相) 및 후보(候補) [ 편집(編輯) ]

연도(鳶島) 상(上) 부문(部門) 작품(作品)/수상자(受賞者) 결과(結果) 출처(出處)
2017 제(第)10회(回) 코리아 드라마 어워즈 작품상(作品賞) 군주(君主) - 가면(假面)의 주인(主人)
( 도깨비 와 공동(共同) 수상(受賞))
수상(受賞)
프로듀서상(賞) 노도철 후보(候補)
작가상(作家賞) 박혜진 수상(受賞)
남자(男子) 우수상(優秀賞) 전노민 수상(受賞)
남자(男子) 신인상(新人賞) 김명수(金命洙) 후보(候補)
KDA상(賞) 허준호 수상(受賞)
제(第)1회(回) 더 서울어워즈 드라마부문(部門) 여우신인상(女優新人賞) 윤소희 수상(受賞)
MBC 연기대상(演技大賞) 미니시리즈 남자(男子) 최우수(最優秀) 연기상(演技賞) 유승호 수상(受賞)
미니시리즈 황금(黃金) 연기상(演技賞) 김선경 수상(受賞)
남자(男子) 인기상(人氣賞) 김명수(金命洙) 수상(受賞)
여자(女子) 인기상(人氣賞) 김소현 수상(受賞)
투혼(鬪魂) 연기상(演技賞) 김명수(金命洙) 수상(受賞)

동시간대(同時間帶) 드라마 [ 편집(編輯) ]

각주(各州) [ 편집(編輯) ]

  1. TNmS 멀티미디어 홈페이지 참조(參照).
  2. “AGB 닐슨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 참조(參照).” . 2015년(年) 6월(月) 21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17년(年) 5월(月) 5일(日)에 확인(確認)함 .  

외부(外部) 링크 [ 편집(編輯) ]

문화방송 수목(水木) 미니시리즈
이전(以前) 작품(作品) 작품명(作品名) 다음 작품(作品)
자체발광(自體發光) 오피스
(2017년(年) 3월(月) 15일(日) ~ 2017년(年) 5월(月) 4일(日))
군주(君主) - 가면(假面)의 주인(主人)
(2017년(年) 5월(月) 10일(日) ~ 2017년(年) 7월(月) 13일(日))
죽어야 사는 남자(男子)
(2017년(年) 7월(月) 19일(日) ~ 2017년(年) 8월(月) 24일(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