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고졸기(高卒機) 그리스 -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본문(本文)으로 이동(移動)

고졸기(高卒機) 그리스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고대(古代) 올림픽 경기장(競技場) 이었던 올림피아 김나지움 팔라이스트라 . 올림픽 경기(競技)가 처음 열린 날을 보통(普通) 고(高)졸기의 시작점(始作點)으로 삼는다.

고졸기(高卒機) 그리스 기원전(紀元前) 8세기(世紀) 중반(中盤)부터 기원전(紀元前) 480년(年) 제(第)2차(次) 그리스-페르시아 전쟁(戰爭) 까지의 기간(期間) [1] 을 뜻하며, 그리스 암흑(暗黑) 시대(時代) 다음이자 고전기(告傳旗) 그리스 전(前)에 해당(該當)하는 시기(時期)이다. 시대(時代) 구분(區分)과 정의(定義)는 학자(學者)들마다 상이(相異)한 견해(見解)를 보이나, 그 시작(始作)은 대체로(大體로) 기원전(紀元前) 8세기(世紀) 중반(中盤)에서 기원전(紀元前) 6세기(世紀) 사이로 잡고 있으며 끝은 보통(普通) 기원전(紀元前) 480년(年)으로 잡고있다.

고졸기(高卒氣)는 고로(故로) 기원전(紀元前) 8세기(世紀) 경(頃)부터 기원전(紀元前) 5세기(世紀) 초(初)까지의 기간(期間)을 뜻하는데, 보통(普通) 기원전(紀元前) 776년(年) 올림픽 게임 의 성립(成立)과 기원전(紀元前) 480년(年) 제(第)2차(次) 그리스-페르시아 전쟁(戰爭)이 시작(始作)과 끝 해의 기점(起點)이 된다.

미술사학(美術史學) 에서는 고졸기(高卒氣)를 보통(普通) 기하학기(幾何學機) (기원전(紀元前) 900년(年) - 720년(年)) 다음 시기(時期)인 동방화기(東方化基)(기원전(紀元前) 720년(年) - 600년(年)) 다음으로 잡고 있다.

이 시기(時期) 그리스인들은 지중해(地中海) 흑해(黑海) 를 가로질러 서쪽(西쪽)으로는 마르세유 , 동쪽(東쪽)으로는 트라페주스 (트레비존드)까지 정착(定着)했는데, 고졸기(高卒機) 말에 그들은 이 지중해(地中海) 전역(全域)을 아우르는 무역망(貿易網)을 만들었다.

고졸기(高卒氣)는 그리스 인구(人口)의 폭발적(暴發的)인 증가(增加) [2] 와, 8세기(世紀) 말의 그리스 세계(世界)를 8세기(世紀) 초(初)와 비교(比較)하여 완전히(完全히) 알아볼 수 없게끔 만든 중요(重要)한 변화(變化)들 [3] 이 일어나며 시작(始作)되었다. 안토니 스노드그라스에 따르면, 고대(古代) 그리스의 고졸기(高卒氣)는 그리스 세계(世界)의 두 변혁(變革)과 밀접(密接)한 연관(聯關)이 있다. 고졸기(高卒機) 그리스는 “그리스 세계(世界)의 국가(國家)들의 경계(警戒) 지도(地圖)를 그리고,” 특수한 그리스 도시국가(都市國家) 체제(體制)인 폴리스 를 설립(設立)한 “구조적(構造的) 변혁(變革)”과 함께 시작(始作)하여 고전기(告傳旗)의 지적(知的) 변혁(變革)과 함께 끝났다.

고졸기(高卒機) 그리스에서는 정치(政治), 경제(經濟), 국제(國際) 관계(關係), 전쟁(戰爭)과 문화(文化)의 발달(發達)을 볼 수 있었다. 정치적(政治的) 문화적(文化的)인 측면(側面) 모두에 있어 고졸기(高卒機) 그리스는 고전기(告傳旗) 그리스의 토대(土臺)를 마련해주었다. 그리스 문자(文字) 가 발전(發展)하며, 가장 오래된 그리스 문학(文學)이 지어지고, 그리스에서 시작(始作)된 적회식(會食) 도자기(陶瓷器)와 기념비적(紀念碑的)인 조각상(彫刻像)이 만들어졌으며 호(好)플리(理)테스 가 그리스 군(軍)의 핵심(核心)이 된 시기(時期) 역시(亦是) 고졸기(高卒機) 그리스 시대(時代)였다.

아테나이 에서는 솔론 에 의(依)해 가장 이른 민주정(民主政) 제도(制度)가 시행(施行)되었으며, 고졸기(高卒機)가 끝나갈 무렵에는 고전기(告傳旗) 아테네 민주정(民主政)을 가져온 클레이스테네스 의 개혁(改革)이 있었다. 한편(한便) 이 시기(時期) 스파르타 에서는 리쿠르고스 의 개혁(改革)들에 의(依)하여 많은 제도(制度)가 제정(制定)되었으며 메세니아 지방(地方)은 스파르타의 지배하(支配下)에 들게되어 헬롯 노예제(奴隸制)가 도입(導入)되었으며 펠로폰네소스 동맹(同盟) 이 형성(形成)되어 스파르타를 그리스의 강대국(强大國)으로 만들었다.

고(高)졸기의 어원(語源)과 용례(用例) [ 편집(編輯) ]

“고졸(高卒) 古拙 ”(en: archaic, fr:archaique)기(氣)는 “원시적(原始的)”, “고대(古代)의”라는 뜻의 그리스 단어(單語) ?ρχα?ο?에서 기원(祈願)하였다. 이 시기(時期)는 고대(古代) 그리스 역사(歷史)에서 고전기(告傳旗) 이전(移轉) 시기(時期)를 뜻한다.

고졸기(高卒氣)는 고전기(告傳旗)보다 덜 중요(重要)하다고 역사적(歷史的)으로도 덜 흥미롭다고 오랫동안 여겨져 주로(主로) 고전기(告傳旗)의 토대(土臺)를 만들었다는 점(點)을 중심(中心)으로 연구(硏究)되어왔다. 하지만 최근(最近)들어서는 고졸기(高卒機) 그리스 시자(侍者) 자체(自體)가 성취(成就)한 것들이 연구(硏究)되기 시작(始作)했다.

고(高)졸기의 중요성(重要性)에 대(對)한 재평가(再評價)와 함께 몇 학자(學者)들은 “고졸기(高卒機)”라는 명칭(名稱)을 재고했는데, 바로 고졸기(高卒機) 古拙期 라는 단어(單語)가 원시적(原始的)이고 구식(舊式)이라는 뜻을 암시(暗示)하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현재(現在)로서는 널리 쓰이는 이 단어(單語)를 대체(代替)할 다른 단어(單語)가 제안(提案)되지 않아, 고졸기(高卒機)라는 말은 계속(繼續) 쓰이고 있다.

사료(飼料) [ 편집(編輯) ]

고전기(告傳旗) 그리스에 대(對)한 많은 정보(情報)들은 투키디데스 의 ≪ 펠로폰네소스 전쟁사(戰爭史) ≫처럼 글로 표현(表現)된 역사책(歷史冊)에서 찾을 수 있는 반면(反面), 고졸기(高卒機) 그리스 시대(時代)에 쓰인 역사(歷史)는 하나도 남아있지 않다.

이 시기(時期) 생활(生活)에 관(關)한 자료(資料)들이 시(詩)의 형태(形態)로 현존(現存)할 뿐이다. 고졸기(高卒期)에 쓰인 다른 글들로는 법전(法典)이나 신(神)에게 헌정(獻呈)하여 쓰인 것들, 묘비(墓碑)에 쓴 경구(經句) 등(等)의 비문(非文)들이 있다. 이런 자료(資料) 가운데 어떤 것도 양적(量的)으로 고전기(告傳旗)에 비할만큼 많이 남아있지 않다.

그렇지만 글로 쓰인 고졸기(高卒機) 자료(資料)가 부족(不足)한 이러한 상황(狀況)은 풍부(豐富)한 고고학적(考古學的) 증거(證據)들로 보완(補完)되었다. 고전기(告傳旗) 그리스 예술(藝術)이 보통(普通) 로마의 모방본(模倣本)으로 남아있다면 고졸기(高卒機) 그리스 예술(藝術)은 원형(原形)으로 남아있다.

헤로도토스 같은 후대(後代)의 그리스 서술가(敍述家)들의 기록(記錄)은 이 시기(時期)의 다른 자료(資料)들을 제공(提供)하고 있으나, 그 자료(資料)들은 우리가 생각하는 오늘날 역사(歷史)의 형태(形態)가 아니며 헤로도토스는 그가 사실(事實)이라고 여긴 것이든 아니든 기록(記錄)했다. 게다가 헤로도토스는 기원전(紀元前) 480년(年) 이전(以前)의 날짜는 기록(記錄)하지 않았다.

인구(人口) 통계(統計) [ 편집(編輯) ]

기원전(紀元前) 8세기(世紀) 동안 그리스 인구(人口)는 두 배(倍)로 급증(急增)했다. 아테나이나 크노소스같은 매우 큰 거주지(居住地)는 기원전(紀元前) 1000년(年)에는 인구수(人口數)가 아마 1,500명(名)이었을 것이나, 기원전(紀元前) 700년(年)에는 5,000명(名)에 달(達)할 정도(程度)로 성장(成長)했을 것이다.

아마도 기원전(紀元前) 850년(年)에서 기원전(紀元前) 750년(年)까지 있었던 기후(氣候) 변화(變化)에 의(依)해 해당(該當) 지역(地域)이 더 시원해지고 습해(濕害)짐에따라 일어났을 아테나이 등(等)에서의 인구(人口) 성장(成長)은 이 시기(時期) 지중해(地中海) 지방(地方) 곳곳에서 일어난 인구(人口) 급증(急增) 현상(現象) 중(中) 하나이다. 이 현상(現象)은 그리스 내(內)의 경작(耕作)되지 않은 지역(地域)으로 인구(人口)를 확산(擴散)시켰을 뿐 아니라, 해외(海外) 식민(植民) 개척(開拓)의 동력(動力)이 되었을 것이다.

고대(古代)의 문헌(文獻)은 고졸기(高卒機) 그리스의 사망률(死亡率)에 관(關)해 별다른 정보(情報)를 제공(提供)하고 있지는 않으나, 절반(折半) 이상(以上)의 인구(人口)가 18살까지 살아남지는 못했을 것으로 추정(推定)된다. 태아(胎兒)와 아이의 사망율(死亡率)은 현저히(顯著히) 높았을 것으로 예상(豫想)된다.

고졸기(高卒機) 그리스의 인구(人口)는 유년층(幼年層) 위주(爲主)의 구성(構成)으로 추정(推定)되는데, 아마도 40%에서 66%에 달라는 인구(人口)가 18세(歲) 이하(以下)였을 것이다. 반면(反面)에 25% 이하(以下)의 인구(人口)만이 40세(歲) 이상(以上)이며 오직 60세(歲) 이상(以上)은 오직 5%뿐인 걸로 추정(推定)된다. 유해(遺骸)에서 나온 증거(證據)로 볼 때 그리스 고졸기(高卒期)에 평균(平均) 사망(死亡)나이는 높아졌으나 건강(健康)에 관(關)한 다른 명확(明確)한 지표(指標)는 없다. 집의 크기는 사회내(社會內) 번영(繁榮)에 관(關)한 몇가지 증거(證據)를 보여준다. 기원전(紀元前) 8-7세기(世紀) 집의 평균(平均) 크기는 45-50m²으로 변(變)함이 없었으나, 엄청 큰 집과 작은 집들의 숫자(數字)가 증가(增加)했으며, 늘어나는 경제적(經濟的) 불평등(不平等)을 보여준다.

기원전(紀元前) 7세기(世紀)가 끝나갈 무렵, 이 경향(傾向)은 반전(反轉)되어, 집의 크기는 대체로(大體로) 중간(中間) 크기를 크게 벗어나지 않게 되며 고졸기(高卒機)가 끝나갈 무렵 집의 평균(平均) 크기는 125 m²에 달(達)하게 되었다.

도기(陶器) [ 편집(編輯) ]

그리스 고졸기(高卒氣)는 그리스 도기(陶器) 장식(裝飾)이 추상적(抽象的)인 양식(樣式)에서 구상적(具象的)인 양식(樣式)으로 변화(變化)하는 과정(過程)을 볼 수 있다. [4] 미케네 문명(文明)의 몰락(沒落) 이후(以後) 그리스 암흑(暗黑) 시대(時代) 동안 그리스 도기(陶器) 장식(裝飾)은 매우 정교(精巧)한 기하학(幾何學) 무늬에 바탕을 두었다. [5]

기원전(紀元前) 9세기(世紀) 초(初) 크레테의 그리스 항아리(缸아리)에서 인간(人間) 형상(形象)의 장식(裝飾)이 처음 등장(登場)하게 되나, 그리스 본토(本土)의 도기(陶器)에서는 기원전(紀元前) 8세기(世紀) 중반(中盤)까지 인간(人間) 형상(形象)을 흔하게 볼 수 없었다.

기원전(紀元前) 8세기(世紀)는 이전(以前)의 기하학(幾何學) 양식(樣式)에서 페네키아와 시리아에서 유래(由來)한 영향(影響)을 받은 양식(樣式)으로의 변천(變遷)을 보여준 동방화(東方化) 양식(樣式)의 발전(發展)이 있었다. [6] 동방(東方)으로부터 받은 이 영향(影響)은 중동(中東)에서 그리스로 수입(輸入)한 물품(物品)들이 그 원인(原因)으로 사료(思料)된다. [7]

기원전(紀元前) 7세기(世紀) 초(初) 코린트의 항아리(缸아리) 화가(畫家)들은 흑회(黑回) black-figured 양식(樣式)을 개발(開發)하기 시작(始作)한다. 동시(同時)에 도예가(陶藝家)들은 항아리(缸아리) 점토(粘土) 속을 파서 자국을 만들어 내부(內部) 세부(細部) 묘사(描寫)와 윤곽(輪廓)을 그리고자 했다. [8]

아마도 동방(東邦)의 금속(金屬) 세공(細工)에서 본받았을 이런 파내는 기법(技法)을 받아들임으로 도예가(陶藝家)들은 장식(裝飾)의 세련(洗練)된 세부(細部) 묘사(描寫)를 할 수 있게 되었다. [9]

적회(積灰) red-figured 양식(樣式) 도기(陶器)는 고졸기(高卒機)가 막(幕)을 내릴 무렵 아테나이에서 처음 고안(考案)되어 기원전(紀元前) 525년(年) 경(頃) 아마 안도(安堵)키데스 화가(畫家)에 의(依)하여 첫 선을 보인다. [10] 적회(積灰) 기술(技術) 역시(亦是) 아테나이에서 백토(白土) 기술(技術)과 식스의 기술(技術)과 같은 타(他) 기술(技術)의 발전(發展)이 있던 시기(時期)와 동일(同一)한 시기(時期)에 개발(開發)되었다. [11]

조각 [ 편집(編輯) ]

클레오비스와 비(非)톤, 아르카이크기(期)의 쿠로이(kouroi). c. 580 BC.

아르카이크란, 그리스어의 '아르크' '아르카이오스', 즉(卽) '처음' '오랜'을 의미하는 말에서 유래(由來)하고, 고대(古代) 그리스인이 고전기(告傳旗) 이전(以前)의 미술(美術)을 그렇게 부른 연유(緣由)에 의(依)한다. 오늘날에는 아르카이크 시대(時代)는 기원전(紀元前) 7세기(世紀) 중엽(中葉) 이후(以後) 그리스 각지(各地)에서 대리석(大理石)으로 등신(等神)(等身), 혹은(或은) 거대(巨大)한 상(床)이 제작(製作)되기 시작(始作)한 무렵부터, 기원전(紀元前) 5세기(世紀) 초(初) 무렵까지를 가리킨다. 기원전(紀元前) 10세기(世紀)부터 9세기(世紀)에 걸쳐 성립(成立)된 그리스의 폴리스는 기원전(紀元前) 7세기(世紀)부터 6세기(世紀)에 걸쳐서 뚜렷한 발전(發展)을 하여, 지중해(地中海) 각지(各地)에는 식민도시(植民都市) 건설(建設)이 성행(盛行)했다. 이 새로운 발전(發展)의 시기(時期)가 미술사상(美術思想) 아르카이크기(氣)이며, 그리스는 이 무렵 이집트나 동방(東方)과의 접촉(接觸)으로 대리석(大理石)으로 된 모뉴먼트한(韓) 조각(彫刻)을 제작(製作)하는 일을 배운 것이다.

최초(最初)의 유품(遺品)(遺品)으로는 델로스섬에서 출토(出土)한 니칸드라의 봉납상(捧納上)(아테네 국립미술관(國立美術館)), 사모스섬의 헤라 신전(神殿)의 여신상(女神像)(루브르 미술관(美術館)) 등(等)이 있다. 기원전(紀元前) 7세기(世紀) 중엽(中葉)의 것인 니칸드라의 봉납상(捧納賞)은 아르카이크기(期)의 가장 오랜 상(像)으로서, 그 편평(扁平)하고 소박(素朴)한 형태(形態)는 크소아논의(小兒論議) 모습을 간직하고 있다. 이들 상(賞)보다 조금 후기(後期)의 기원전(紀元前) 6세기(世紀)에는, 그리스 각지(各地)에 오늘날 일반적(一般的)으로 쿠로스 상(像)이라고 불리는 나체(裸體)의 청년상(靑年像)과 아름다운 옷을 입은 코레 상(床)이 제작(製作)되는었데, 이 나체(裸體)의 청년상(靑年像)과 옷을 입은 소녀상(少女像)은 아르카이크기(期)의 가장 중요(重要)한 상(賞)이다. 입상(立像) 이외(以外)의 유품(遺品)으로 델포이의 나크소스인(人)의 스핑크스, 델로스섬에서 출토(出土)된 니케, 또한 건축(建築)의 장식(裝飾) 조각으로서 코르프의 아르테미스 신전(神殿)의 박공(牔栱) 조각(彫刻) 등(等)이 있다. 이들 상(賞)은 초기(初期)의 경직성(硬直性)(硬直性)과 기술적(技術的)인 미숙성(未熟性)이 남아 있으나, 동시(同時)에 대담(大膽)하고 또한 힘있는 표현(表現)에는 생생한 생명감(生命感)이 넘친다.

중기(中企) 아르카이크의 상(賞)은 도서(圖書)(島嶼)의 영향(影響)이 본토(本土)의 그리스 조각(彫刻)에 미친 시대(時代)의 산물(産物)이다. 이 기간(期間)의 상(上)으로는 이오니아 양식(樣式)의 특징(特徵)인 부드러운 머리카락의 표현(表現)이나 아몬드형(型)(型)의 눈, 이른바 아르카이크 스마일의 입 모습 등(等)이 나타나 많은 점(點)에서 경직(硬直)된 양식(樣式)으로 변(變)했다. 그래서 이들 양식(樣式)은 중기(中企) 후반(後半) 무렵(전(前) 550∼전(前) 525년(年))에 이르러 본토(本土)의 양식(樣式)이라고 할 만큼 새로운 양식(樣式)이 생겨났다. 아크로폴리스의 ?모스코포로스?(송아지를 둘러멘 청년(靑年))나 델포이의 ?크로스 크로이소스? 상(賞) 등(等)은 그 대표적(代表的)인 작품(作品)이다. 이른바 ?아르카이크 스마일?(고식(姑息)의 미소(微笑))은 이 시대상(時代相)의 특징(特徵)이지만, 이러한 표현(表現)은 상(床)에 인간적(人間的)인 표정(表情)을 담으려고 한 결과(結果)인 것 같다. 후기(後記) 아르카이크에 이르면 근육(筋肉)의 유기적(有機的) 구조(構造)에 대(對)한 관찰(觀察)이 일층(一層) 세밀(細密)해져서 상(賞)은 더욱 자연스런 형태(形態)에 가까워진다. 생생하고 더욱 세련된 그 형태(形態)는 힘있는 생명(生命)의 에너지가 넘쳐 흐른다. 아르카이크기(期)의 남성(男性) 입상(立像) 조각(彫刻)의 유일(唯一)한 과제(課題)였던 쿠로스 상(賞)은, 그 발전(發展)의 최후(最後) 단계(段階)에 도달(到達)했다.

같이 보기 [ 편집(編輯) ]

각주(各州) [ 편집(編輯) ]

  1. Shapiro 2007 , 1?2쪽
  2. Snodgrass 1980 , 19쪽
  3. Shapiro 2007 , 2쪽
  4. Boardman 1982 , 451쪽
  5. Osborne 1998 , 29쪽
  6. Osborne 1998 , 30쪽
  7. Markoe 1996 , 50쪽
  8. Markoe 1996 , 53쪽
  9. Osborne 1998 , 46쪽
  10. Hurwit 2007 , 278?9쪽
  11. Hurwit 2007 , 279쪽

참고(參考) 문헌(文獻) [ 편집(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