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경향신문(京鄕新聞) -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본문(本文)으로 이동(移動)

경향신문(京鄕新聞)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경향신문(京鄕新聞)
국가(國家)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大韓民國)
언어(言語) 한국어(韓國語)
간행주기(刊行週期) 일간(日刊)
종류(種類) 일반(一般) 일간(日刊) 신문(新聞)
판형(板形) 타블로이드배판(倍版)
창간일(創刊日) 1946년(年) 10월(月) 6일(日)
가격(價格) 1부(部) 1,000원 , 월(月) 18,000원
발행법인(發行法人) 경향신문사
발행인(發行人) 김석종
웹사이트 http://www.khan.co.kr
1982년(年) 의 경향신문(京鄕新聞) 본사(本社)
당시(當時) 문화방송(文化放送) 과 공동(共同)으로 사용(使用)하였다.

경향신문(京鄕新聞) 》(京鄕新聞)은 대한민국(大韓民國) 에서 발매(發賣)하는 일간(日刊) 조간(朝刊) 신문(新聞)이다. [1] '경향(京鄕)'이라는 말은 우르비(非) 에트 오르비(非) (Urbi et Orbi), 즉(卽) "도시(都市)( 교황청(敎皇廳) )와 전(全) 세계(世界)에게"라는 로마 가톨릭교회 의 표어(標語)에서 비롯되었다. [2] [3]

본사(本社)는 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 중구(中區) 정동길3에 소재해(所在海) 있으며, 현재(現在) 언론(言論) 중(中) 열독률(熱讀率) 1위(位)로 대표적(代表的)인 언론(言論) 중(中) 하나로 간주(看做)되고 있다. 2009년(年) 한국기자협회 의 언론인(言論人) 대상(對象) 여론조사(輿論調査)에서 경향신문이 1위(位)를 차지했으며, 영향력(影響力)으로는 각각(各各) 2위(位), 6위(位)로 꼽혔다.

역사(歷史) [ 편집(編輯) ]

광복(光復) 이듬해인 1946년(年) 5월(月), 정판사(整版社) 위조지폐(僞造紙幣) 사건(事件) 으로 조선(朝鮮)정판사 사옥(社屋)과 그 시설(施設) 일체(一切)를 미군정(美軍政) 이 압수(押守)하여 가톨릭 에 넘겨줌으로써 같은 해 10월(月) 경성천주교(京城天主敎) 재단(財團)에서 창간(創刊)했다. 초기(初期)에는 가톨릭 계열(系列) 언론사(言論社)로 이승만(李承晩)의 단정(斷定) 노선(路線)에도 매우 비판적(批判的)이었으며, 김구(金九) 의 남북협상론(南北協商論)은 비현실(非現實)이라 주장(主張)했다. [4] 반면(反面), 미소공위(美蘇共委) 좌우합작(左右合作) 에 많은 기대(期待)를 걸기도 했다. [4] 또한 미군정(美軍政)에 협조적(協調的)이면서도 옳지 않는 일에는 날카롭게 비판(批判)도 하고 책임(責任)을 물기도 했다. 대한민국(大韓民國) 정부(政府) 수립이후(樹立以後) 친(親) 민국당 , 친 민주당(民主黨) 적(敵) 노선(路線)을 견지(堅持)했다. 제(第)1공화국(共和國) 기간(期間) 내내 국무총리(國務總理) 부통령(副統領) 을 지낸 장면(場面) (張勉)을 정치적(政治的)으로 지지(支持)하였다. 이때문에 1958년(年) 이승만(李承晩) 과 자유당(自由黨)으로부터 정간처분(停刊處分)을 당(當)하기도 했다.( 경향신문(京鄕新聞) 필화(筆禍) 사건(事件) 참조(參照).) 1959년(年) 이후(以後) 자유당(自由黨) 독재체제(獨裁體制)가 굳어지자 반독재(反獨裁) 노선(路線)을 분명히(分明히) 했으며, 장면(場面) 부통령(副統領) 피습사건(被襲事件) 이후(以後) 비판(批判)의 목소리를 더욱 높였다. 장면(場面)의 인척(姻戚)인 한창우 가 사주(使嗾)로 취임(就任)하였고, 경향신문은 제(第)2공화국(共和國) 기간(期間) 내내 장면(場面) 을 비판적(批判的)으로 지지(支持)하였다.

5·16 쿠데타 이후(以後) 민간(民間)에게 불하되면서 종교(宗敎) 성향(性向)을 띠지 않고 있다. 박정희(朴正熙) 대통령(大統領) 시절(時節)에는 비판적(批判的) 논조(論調)가 거슬린다며, 경향신문(京鄕新聞) 주요(主要) 인사(人事) 교체(交替), 주가(株價)와 판권매각(版權賣却)으로 정수장학회(淨水場學會) 와 여러 대기업(大企業)의 소유(所有)가 되었으며, 당시(當時) 언론통폐합(言論統廢合)으로 합쳐진 MBC 와 함께 친군부(親軍部) 성향(性向) 언론사(言論社)로 변질(變質)되었다. 문화방송 계열사(系列社)이던 1980년(年)만 해도 미테랑 프랑스 대통령(大統領)의 장기(長期) 집권(執權)을 유럽 의 좌경화(左傾化)로 표현(表現)하는 등(等) 친군부(親軍部), 반공주의(反共主義) 적(敵) 논조(論調)를 보였다. 이러한 경향신문(傾向新聞)의 반(反)(反) 민주적(民主的)이고 친독재정권(親獨裁政權) 성향(性向)의 논조(論調) 때문에 1987년(年) 6월(月) 항쟁(抗爭) 당시(當時) 경향신문에 대(對)해 분노(憤怒)한 시위(示威) 군중(群衆), 시민(市民)들이 지방(地方) 배송(配送)을 위(爲)해 서울역(서울驛) 앞에 쌓여 있던 경향신문을 대량(大量)으로 소각(燒却)하는 일이 벌어지기도 했었다. [5] 이후(以後) 1990년(年)에 한화(韓華)그룹 에 매각(賣却)되었다가 1998년(年)에 사원주주회사(社員株主會社)로 독립(獨立)한 이후(以後)부터는 진보(進步)와 개혁세력(改革勢力)의 목소리를 대변(代辯)하고, 여러 사설(社說), 칼럼, 기사(記事) 등(等)에서 진보(進步) 성향(性向)을 띠는 신문(新聞)이 되었으며 해당(該當) 신문(新聞)에 GTV 가 세(貰)들어있었던 탓인지 1997년(年) 첫 모체(母體) 진로그룹 의 부도(不渡)로 어려움에 놓인 GTV 인수(引受) 물망(物望)에 한때 거론(擧論)됐으나 [6] 불발(不發)됐다.

경향신문(京鄕新聞) 연혁(沿革) [ 편집(編輯) ]

지면 [ 편집(編輯) ]

논란(論難) [ 편집(編輯) ]

천안함(天安艦) 침몰(沈沒) 영상(映像) [ 편집(編輯) ]

2010년(年) 9월(月), 경찰(警察) 내부(內部) 교육자료(敎育資料)로 쓸 목적(目的)으로 만든 천안함(天安艦) 침몰(沈沒) 홍보(弘報) 동영상(動映像)을 상영(上映)하는 것에 대(對)해서 일선(一線) 초등학교(初等學校)들이 반대(反對)했음에도 불구(不拘)하고 2개(個) 초등학교(初等學校)에서 상영(上映)을 강행(强行)하였다는 주장(主張)이 경향신문을 통(通)해 제기(提起)되었다. 또한 이 동영상(動映像)을 한 인터넷 보수언론(保守言論)이 제작(製作)해 웹사이트상(上)에 올려놓은 영상(映像)과 동일(同一)하다고 보도(報道)하였는데, [8] 의문(疑問)이 제기(提起)된 코나스넷측(側)은 '북한문제연구소(北韓問題硏究所)'가 제작(製作)한 것이라고 반박(反駁)했다. [9] 코나스는 이 동영상(動映像)을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公開)했다. [10]

류근일 영입(迎入) [ 편집(編輯) ]

2011년(年) 8월(月), 경향신문은 칼럼진(陣)에 뉴데일리 고문(顧問)이자 조선일보(朝鮮日報) 칼럼니스트 출신(出身)인 류근일을 영입(迎入)하였다. 이에 대(對)해 내부(內部)에서는 긍정적(肯定的)인 반응(反應)인 반면(反面), 독자층(讀者層)을 포함(包含)한 외부(外部)에서는 경향신문이 균형(均衡)강박증에 걸렸다, 헛발질이라면서 많은 우려(憂慮)와 비판적(批判的)인 시각(視角)을 가지고 있다. [11] [12] [13]

사장선거(社長選擧) 외압(外壓) [ 편집(編輯) ]

2012년(年) 5월(月) 1일(日)의 사장선거(社長選擧)를 앞두고 송영승 사장(社長)과 강병국 변호사(辯護士)가 경합(競合)하게 되자, 송영승 사장(社長)의 측근(側近)인 이대근 편집국장(編輯局長)이 강병국 변호사(辯護士)에게 "무슨 일이 있더라도 당신(當身)의 입후보(立候補)를 막겠다"고 불출마(不出馬)를 종용(慫慂)했고, 결국(結局) 강병국 변호사(辯護士)가 불출마(不出馬)하면서 송영승 사장(社長)이 연임(連任)되었다. [14] [15]

사장(社長) [ 편집(編輯) ]

과거(過去)
현재(現在)

외부(外部) 기고자(寄稿者) [ 편집(編輯) ]

자매지(姊妹誌) [ 편집(編輯) ]

참고(參考) 문헌(文獻) [ 편집(編輯) ]

각주(各州) [ 편집(編輯) ]

  1. 독립언론(獨立言論) 10년(年), 경향신문의 빛과 그림자 (미디어오늘 2008년(年)3월(月)27일자(日子))
  2. 1946년(年) 경향신문(京鄕新聞) 창간(創刊) 경향신문(京鄕新聞) 2006년(年) 2월(月) 23일(日)
  3. “보관(保管)된 사본(寫本)” . 2013년(年) 7월(月) 29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10년(年) 12월(月) 2일(日)에 확인(確認)함 .  
  4. 《1면(面)으로(爐)보는 근현대사(近現代史) - 1945~1960년(年)》, 서해문집, p209
  5. 폐간(廢刊)→복간(復刊)→강제매각(强制賣却)→독립언론(獨立言論) ‘격랑(激浪)의 기록(記錄)’
  6. 이영란 (1997년(年) 5월(月) 17일(日)). “케이블TV 대주주(大株主) 많이 바뀐다” . 매일경제(每日經濟) . 2021년(年) 6월(月) 5일(日)에 확인(確認)함 .  
  7. 설날 · 추석(秋夕) 에 한정(限定)
  8. 경찰(警察)이 초등교에 “천안함(天安艦) 동영상(動映像) 상영(上映)하라 경향신문(京鄕新聞) 2010년(年) 9월(月) 27일(日)
  9. “경찰(警察)의 학생안보교육(學生安保敎育), 비난(非難) 받을 일인가?” . 2013년(年) 7월(月) 29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10년(年) 9월(月) 29일(日)에 확인(確認)함 .  
  10. “「6.25동란(動亂) 60주년(周年)과 천안함 피격(被擊)」동영상(動映像) 보기” . 2013년(年) 7월(月) 29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10년(年) 9월(月) 29일(日)에 확인(確認)함 .  
  11. 류근일 전(前) 조선(朝鮮) 주필(主筆), 경향(傾向)에 게재(揭載)한 첫 칼럼 반응(反應)은?
  12. (경향(傾向)을 읽고) 류근일 칼럼에 이의 있다
  13. 경향(傾向)·한겨레의 '균형(均衡)강박증', 뭐하자는 걸까요
  14. 경향(京鄕) 간부(幹部), '사장선거(社長選擧) 부당개입(不當介入)' 논란(論難)
  15. "경향(京鄕) 이대근 편집국장(編輯局長), '사장(社長) 나오지 말라' 압력행사(壓力行使)" 논란(論難)

같이 보기 [ 편집(編輯) ]

외부(外部) 링크 [ 편집(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