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농지(農地) -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본문(本文)으로 이동(移動)

농지(農地)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 경작지(耕作地) 에서 넘어옴)

독일(獨逸)의 어느 포도밭(葡萄밭).

농지(農地) (農地, 영어(英語) : arable land , " 쟁기 질하다"를 뜻하는 라틴어(語) 동사(動詞)인 "아라레"("arare")에서 유래(由來)) 또는 농경지(農耕地) (農耕地)는 농작물(農作物)을 재배(栽培)하는 데에 사용(使用)되는 땅을 의미하는 농업(農業) 용어(用語)이다. [1] [2]

농지(農地)는 비록 육지(陸地)와 위상(位相) 기하학(幾何學)에 의(依)해 제약(制約)을 받지만, 농지(農地)의 양(量)이 국지적(局地的), 전(全) 세계적(世界的)인 변동(變動)이 일어나는 것은 인간(人間)과 관개(灌漑), 벌채(伐採) , 사막화(沙漠化), 계단식(階段式) , 매립지(埋立地), 도시(都市)의 확산(擴散)과 같은 절정(絶頂)인 요인(要因) 때문이다. 연구원(硏究員)들은 이러한 식량(食糧) 생산(生産)의 변화(變化)에 관(關)한 영향(影響)을 연구(硏究)한다. [3] [4]

바다의 지질(地質) 시대(時代)부터 하천(河川) 왼쪽에 쌓인 침적물(沈積物)은 농지(農地)의 생산력(生産力)에서 가장 높은 부분(部分)을 차지한다. 현대(現代)에는 많은 농지(農地)가 농업(農業) 집약적(集約的)인 인구(人口)가 조밀(稠密)한 대지(大地)의 유지(維持)를 필요(必要)로 하기 때문에 일반적(一般的)인 하천(河川)의 홍수(洪水) 조절(調節) 을 요구(要求)한다.

지역별(地域別) 분포(分布) [ 편집(編輯) ]

지역(地域) 잠정적(暫定的)인 농지(農地) 총면적(總面積) (km 2 ) 보호률(保護率) 재배(栽培)율 최종적(最終的)인 농지(農地) 총면적(總面積) (km 2 ) 1994년(年) 당시(當時) 활용(活用)되던 농지(農地) 면적(面積) ( 관개(灌漑) 포함(包含), km 2 )
사하라 사막(沙漠) 이남(以南) 지역(地域) 11,194,920 4.3 1.9 10,500,830 1,576,080
북아프리카(北아프리카)·근동(近洞) 500,170 4.0 6.4 448,150 715,800
북(北)아시아·우랄 산맥(山脈) 동부(東部) 지역(地域) 2,868,000 1.5 2.3 2,759,020 1,755,400
아시아·오세아니아 8,125,510 4.7 3.9 7,426,720 4,777,060
중앙아메리카(中央아메리카)·남아메리카 10,480,710 5.3 1.2 9,799,460 1,433,520
북아메리카(北아메리카) 4,639,660 4.9 2.1 4,314,880 2,332,760
유럽 3,631,200 5.0 5.8 3,239,030 2,043,220
세계(世界) 41,440,170 4.4 2.6 38,488,090 14,633,840

자료(資料)는 국제(國際) 연합(聯合) 식량(食糧) 농업(農業) 기구(機構) 가 발행(發行)한 1990년도(年度) 토지(土地) 자원(資源) 보고서(報告書)를 바탕으로 하였다. [5]

나일 강(江) [ 편집(編輯) ]

나일강(나일江) 은 정기적(定期的)으로 내리는 홍수(洪水)로 인해 둑이 범람(汎濫)하였으며, 둑이 범람(汎濫)한 이후(以後)에는 물이 빠지고 풍부(豐富)한 실트 가 생겨났는데, 실트는 농작물(農作物) 에 뛰어난 비료(肥料)를 공급(供給)해 주었으나 토지(土地)가 많이 번성(蕃盛)하더라도 영양(營養)은 빈약(貧弱)했기 때문에 풍요(豐饒)로운 새 실트를 다음 홍수(洪水) 때까지 맡겨 놓았다. 제방(堤防) 과 같은 홍수(洪水) 조절(調節) 계획(計劃)은 인간(人間)의 쾌적(快適)한 삶을 증가(增加)하기도 하지만, 농지(農地)의 양(量)과 질(質)에 대(對)한 악영향(惡影響)을 주기도 한다.

경작(耕作)이 불가능(不可能)한 땅 [ 편집(編輯) ]

백분율(百分率)로 표시(標示)한 세계(世界)의 농지(農地)

경작(耕作)이 불가능(不可能)한 땅의 경우(境遇)는 적어도 몇 가지의 이유(理由)로 농사(農事)를 지을 수 없는 경우(境遇)가 있는데, 대개(大槪) 맑은 물의 수원(水原)이 없거나 혹은(或은) 너무 덥거나 (사막(沙漠)의 경우(境遇)), 춥거나 (북극(北極)의 경우(境遇)), 바위나 산(山), 소금기(소금氣)가 너무 많거나 혹은(或은) 비나 눈이 많이 내리거나 혹은(或은) 심(甚)하게 오염(汚染)되었거나 영양분(營養分)이 없기 때문에 농사(農事)를 지을 수 없는 경우(境遇)가 있다. 적운(積雲) 으로 인해 식물(植物)의 광합성(光合成) 에 필요(必要)한 햇빛이 줄어들게 되면 식물(植物)의 생산력(生産力)이 줄어들게 되며, 식물(植物)은 빛이 없으면 굶어 죽게 된다. 흔히 기아(起亞) 유목(遊牧) 은 농경기(農耕期)의 존재(存在)를 좁게 만들기도 하며, 경작(耕作)이 불가능(不可能)한 땅은 간혹(間或) " 불모지(不毛地) ", " 황무지(荒蕪地) " 혹은(或은) " 사람이 없는 땅 "이라고도 부른다.

그러나 경작(耕作)이 불가능(不可能)한 땅이 농지(農地)로 변(變)하고 있다. 새로운 농지(農地)는 더 많은 식량(食糧)을 통해 기아(起亞) 를 줄인다. 그 이유(理由)는 식품(食品)의 수입(輸入) 감소(減少)로 인한 나라의 정치적(政治的) 독립(獨立)과 자급자족(自給自足) 때문이다. 그 밖에 경작(耕作)이 불가능(不可能)한 땅은 농지(農地)로 흔히 새로운 관개(灌漑) 수로(水路)와 우물, 수로(水路), 담수화(淡水化) 공장(工場), 나무를 그늘에 심는 등(等) 사막(沙漠)을 파는 것을 포함(包含)한 수경법(水耕法) , 비료(肥料), 질소(窒素) 비료(肥料), 살충제(殺蟲劑) , 물 역삼투(役渗透) 처리(處理) 장치(裝置), PET 필름 절연(絶緣) 혹은(或은) 그 외(外)의 절연(絶緣)은 높은 열(熱)과 추위에, 수로(水路)와 언덕을 파는 것은 바람에 강(剛)해야 하며, 온실(溫室)은 내부(內部)의 빛과 열(熱)이 외부(外部)의 추위와 많은 구름으로부터 보호(保護)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정(過程)은 흔히 비용(費用)이 극히(極히) 많이 든다.

다음은 메마른 황무지(荒蕪地) 가 풍요(豐饒)로운 농지(農地) 로 변(變)한 사례(事例)들이다.

  • 아란 제도(制度) : 아일랜드의 서부(西部) 연안(沿岸) 근처(近處)에 위치(位置)한 아란 제도(制度)는 바위가 너무 많아 경작(耕作)에 적합하지 않았다. 사람들은 섬을 감싸고 있는 바다로부터 모래와 해조(海藻)의 얕은 층(層)을 간척(干拓)하여 이를 농지(農地)로 만들었다. 오늘날 이 곳은 농작물(農作物)이 재배(栽培)된다.
  • 이스라엘 : 이스라엘은 주로(主로) 사막(沙漠)에 담수화(淡水化) 공장(工場)을 건설(建設)하고 있는데, 이는 바닷물의 소금기(소금氣)를 제거(除去)한 물을 농업(農業)이나 마시거나 씻는 데 사용(使用)되는 물의 새로운 수원(水原)으로 삼는다.
  • 화전(火田) 농업(農業) 은 나무의 재에 들어 있는 영양소(營養素)를 사용(使用)하지만, 이는 수년(數年) 내(內)에 사라진다.
  • 테라프레타(打) : 숯에 의(依)해 생겨난 풍요(豐饒)로운 열대(熱帶) 지방(地方)의 토양(土壤)이다.

다음은 풍요(豐饒)로운 농지(農地) 가 메마른 황무지(荒蕪地) 로 변(變)한 사례(事例)들이다.

  • 미국(美國)은 대공황(大恐慌) 으로 인해 농지(農地)가 더스트 볼 이라고도 부르는 사막(沙漠)으로 변(變)하였다.
  • 우림(雨林) 벌채(伐採): 풍부(豐富)한 열대(熱帶) 우림(雨林)은 메마른 사막(沙漠)으로 변(變)하기도 한다. 예(例)를 들어 마다가스카르 의 중앙(中央) 고지대(高地帶) 고원(高原)은 사실상(事實上) 불모지(不毛地) (마다가스카르 국토(國土)의 10퍼센트를 차지함)가 되었는데, 이는 화전(火田) 농업(農業)의 요소(要素)인 숙련(熟鍊)된 수많은 원주민(原住民)들의 이동(移動) 경작(耕作) 을 통해 생긴 삼림(森林) 벌채(伐採)로 인한 결과(結果)이다.
  • 도시(都市)의 확산(擴散) : 미국(美國)은 1992년(年)에서 2003년(年) 사이에 8,900 평방미터의 땅이 도시(都市) 면적(面積)에 편입(編入)되었다.
  • 매년(每年) 농지(農地)가 사막화(沙漠化)와 침식(浸蝕), 인간(人間)의 산업(産業) 활동(活動)으로 인해 없어지고 있다. 농지(農地)의 부적절(不適切)한 관개(灌漑)로 인해 나트륨 , 칼슘 , 마그네슘 등(等)의 물질(物質)이 지면(紙面)과 수면(睡眠)을 통해 생기며, 염해(鹽害) 과정(過程)이 끊임없이 집중(集中)되면 소금기(소금氣)에 강(强)한 농작물(農作物)의 생산력(生産力)이 줄어들게 된다.

같이 보기 [ 편집(編輯) ]

각주(各州) [ 편집(編輯) ]

  1. 아서, 오설리번; 스티븐 셰프린 (2003). 《경제학(經濟學): 원칙(原則)을 행동(行動)에》 . 뉴저지 07458, 어퍼 새들 리버: 피어슨 프렌티스 홀. 480쪽. ISBN   0-13-063085-3 . 2016년(年) 12월(月) 20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21년(年) 2월(月) 24일(日)에 확인(確認)함 .  
  2. 농지법(農地法) 에서는 농지(農地)를 다음과 같이 정의(定義)하고 있다. 가. 전(前)·답(答), 과수원(果樹園), 그 밖에 법적(法的) 지목(指目)(地目)을 불문(不問)하고 실제로(實際로) 농작물(農作物) 경작지(耕作地) 또는 다년생식물(多年生植物) 재배(栽培)지로 이용(利用)되는 토지(土地). 다만, 「초지법(草地法)」에 따라 조성(造成)된 초지(草地) 등(等) 대통령령(大統領令)으로 정(定)하는 토지(土地)는 제외(除外)한다. 나. 가목의 토지(土地)의 개량시설(改良施設)과 가목의 토지(土地)에 설치(設置)하는 농축산물(農畜産物) 생산시설(生産施設)로서 대통령령(大統領令)으로 정(定)하는 시설(施設)의 부지(敷地)
  3. http://www.fao.org/DOCREP/006/Y4683E/y4683e06.htm
  4. CAPSA Flash Detail [ 깨진 링크 ( 과거(過去) 내용(內容) 찾기 )]
  5. ftp://ftp.fao.org/agl/agll/docs/wsr.pdf [ 깨진 링크 ( 과거(過去) 내용(內容) 찾기 )]

외부(外部) 링크 [ 편집(編輯) ]

  • 위키미디어 공용(公用)에 농지(農地) 관련(關聯) 미디어 분류(分類)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