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慶尙北道)

경상북도(慶尙北道)
慶尙北道
기(基) 휘장(揮帳)
경상북도의 위치
경상북도(慶尙北道)의 위치(位置)
행정(行政)
국가(國家) 대한민국(大韓民國)
행정(行政) 구역(區域) 10개(個) 시(時) , 12개(個) 군(軍)
청사(廳舍) 소재지(所在地) 안동시(安東市) 풍천면   도청(盜聽)대로 455(갈전리)
도지사(道知事) 이철우(李喆雨)  ( 국민의힘(國民의힘) )
행정부지사(行政副知事) 김학홍(제(第)14대(代))
경제부지사(經濟副知事) 이달희(제(第)7대(代))
지리
면적(面積) 18,420 [1]  km 2
인문(人文)
인구(人口) 2,590,726 [2] 명(名) (2023년(年))
인구(人口) 밀도(密度) 137.89명(名)/km 2
경제(經濟)
GRDP ( 2021년(年) 어림값)
  ? 명목(名目) 112,784,772백만(百萬) 원 [3]
  ? 실질(實質) 104,960,491백만(百萬) 원 [3]
1인당(人當) GRDP 42,706천(千) 원 [4]
상징(象徵)
나무 느티나무
백일홍(百日紅)
왜가리
마스코트 신나리 [5]
표어(標語) 경북(慶北)의 힘으로 새로운 대한민국(大韓民國)
지역(地域) 부호(富豪)
ISO 3166-2 KR-47
지역번호(地域番號) 054
웹사이트 https://www.gb.go.kr/

경상북도(慶尙北道) (慶尙北道)는 대한민국(大韓民國) 남동부(南東部)에 있는 이다. 동쪽(東쪽)으로는 동해(東海) , 서쪽(西쪽)으로는 전북특별자치도(全北特別自治道) · 충청북도(忠淸北道) , 남쪽(南쪽)으로는 대구광역시(大邱廣域市) 를 둘러싸며 울산광역시(蔚山廣域市) · 경상남도(慶尙南道) 와 접(接)하고, 북쪽(北쪽)으로는 강원특별자치도(江原特別自治道) 와 경계(境界)를 이룬다. 행정구역(行政區域)은 10 시(時) 12 군(軍) 이다.

도청(盜聽) 소재지(所在地)는 안동시(安東市) 풍천면 이며, 도(道) 내(內) 최대(最大) 도시(都市)는 포항시(浦項市) 이다. 포항시(浦項市) 에는 환동해지역본부(環東海地域本部) 가 설치(設置)되어 있다.

고대(古代) 수도(首都)였던 경주(慶州) 를 중심(中心)으로 다양한 불교(佛敎) 유적(遺跡)과 유물(遺物)이 남아있으며, 신라(新羅) 고려(高麗) 시대(時代)에 축조(築造)된 산성(山城)과 조선(朝鮮) 시대(時代)의 문화유산(文化遺産)이 많이 남아있다. 경상북도(慶尙北道)는 신라(新羅) 시대(時代)의 화랑(畫廊)도 가 탄생(誕生)한 곳이자, 고려시대(高麗時代) 거란 침입(侵入) 당시(當時) 초조대장경(初雕大藏經) 을 보관(保管)하던 호국(護國) 정신(精神)의 중심지(中心地)였으며, 몽고(蒙古) 침입(侵入) 당시(當時)에는 팔공산(八公山) 을 중심(中心)으로 군사적(軍事的) 요충지(要衝地)의 역할(役割)을 맡았다. 조선(朝鮮) 시대(時代)에는 선비 문화(文化)가 발달(發達)한 곳이자 유학(遊學) 의 본고장(本고장)으로서 43개(個)의 향교(鄕校) 를 비롯하여 수많은 유림(儒林) (儒林)을 양성(養成)하였고, 퇴계(退溪) 이황(李滉) , 여헌 장현광 , 서애(西厓) 류성룡 , 학봉(鶴峯) 김성일 등(等)의 뛰어난 학자(學者)들을 배출(排出)하며 영남학파(嶺南學派) 를 형성(形成)하였다.

역사(歷史) [ 편집(編輯) ]

부(部)·군(郡) 위치(位置) 관할(管轄) 구역(區域)
대구부 대구(大邱) 대구부 대구면(신천동, 신암동, 남산동 일부(一部), 신동 일부(一部)를 제외(除外)) 일원(一圓)
달성군(達城郡) 대구(大邱) 현풍군(玄風群) 일원(一圓)
대구부 동중면(洞中面), 동(動)하면, 해동촌면, 해서부면, 해서촌면, 해북촌(北村)면, 수동면, 수북면, 수현내면, 상수남면(常數南面), 하수남면(下手南面), 상수서면(常數書面), 하수서면(下手書面), 서중면(書中面), 원서면(原書面), 성서면(性書面), 하동면, 하남면, 하서면(河西面), 하북면, 감물천면(千面), 조엄면(趙曮面), 인흥면, 화(火)현내면, 월배면(月背面), 옥포면, 법화면(法畵面), 성평곡면(性評曲面), 대구면 중(中) 대구부(大邱部)에 속(屬)하지 않는 지역(地域)
경산군(慶山郡) 경산(慶山) 경산군(慶山郡) 일원(一圓)
자인군(自認群) 일원(一圓)
하양군(軍) 일원(一圓)
영천군(永川郡) 영천(永川) 영천군(永川郡) 일원(一圓)
신녕군(群) 일원(一圓)
경주군(慶州郡) 경주(慶州) 경주군(慶州郡) 일원(一圓)
장기(將棋)군 내남면, 양남면
영일군(迎日郡) 포항(浦項) 연일군(連日群) 일원(一圓)
흥해군 일원(一圓)
청(靑)하군 일원(一圓)
장기(將棋)군(내남면, 양남면을 제외(除外)) 일원(一圓)
영덕군(盈德郡) 영덕(盈德) 영덕군(盈德郡) 일원(一圓)
영해군 일원(一圓)
영양군(英陽郡) 영양(營養) 영양군(英陽郡) 일원(一圓)
진보군(進步群) 동면(東面), 북면(北面)
청송군(靑松郡) 청송(靑松) 청송군(靑松郡) 일원(一圓)
진보군(進步群)(동면, 북면(北面)을 제외(除外)) 일원(一圓)
안동군(安東郡) 안동(安東) 안동군(安東郡) 일원(一圓)
예안군 일원(一圓)
의성군(義城郡) 의성(義城) 의성군(義城郡) 일원(一圓)
비안군(현서면(縣西面)을 제외(除外)) 일원(一圓)
용궁군 신(新)하면
군위군(軍威郡) 군위(軍威) 의흥군 일원(一圓)
군위군(軍威郡) 일원(一圓)
칠곡군(漆谷郡) 왜관(倭館) 칠곡군(漆谷郡) 일원(一圓)
인동군 일원(一圓)
김천군 김천(金泉) 김산군(群) 일원(一圓)
지례군(知禮群) 일원(一圓)
개령군 일원(一圓)
성주군(星州郡) 신곡면(新曲面)
상주군(尙州郡) 상주(尙州) 상주군(尙州郡)(공서면(書面) 웅북리를 제외(除外)) 일원(一圓)
함창군(檻倉群) 일원(一圓)
예천군(醴泉郡) 예천(醴泉) 용궁군(신(新)하면, 서면(書面)을 제외(除外)) 일원(一圓)
예천군(醴泉郡) 일원(一圓)
비안군 현서면
영주군 영천(永川) 풍기군 일원(一圓)
영천군(永川郡) 일원(一圓)
순흥군(화천면, 수민단면(斷面), 수식면(數式面)을 제외(除外)) 일원(一圓)
봉화군(奉化郡) 내성(耐性) 봉화군(奉化郡) 일원(一圓)
순흥군 화천면, 수민단면(斷面), 수식면(數式面)
문경군(聞慶郡) 문경(聞慶) 문경군(聞慶郡) 일원(一圓)
용궁군 서면(書面)
성주군(星州郡) 성주(星州) 성주군(星州郡)(신곡면(新曲面)을 제외(除外)) 일원(一圓)
고령군(高靈郡) 고령(高齡) 고령군(高靈郡) 일원(一圓)
청도군(淸道郡) 청도(淸道) 청도군(淸道郡) 일원(一圓)
선산군(善山郡) 선산(先山) 선산군(善山郡) 일원(一圓)
울도군(鬱陶群) 울도 경상남도(慶尙南道) 울도군(鬱陶群) 일원(一圓)

자연(自然) [ 편집(編輯) ]

위치(位置) [ 편집(編輯) ]

한반도(韓半島) 의 남동부(南東部)를 차지하며, 북동부(北東部)에 태백산맥(太白山脈) , 북서부(北西部)는 소백산맥(小白山脈) 으로 둘러싸였으며, 낙동강(洛東江) 의 중상류(中上流) 부분(部分)을 차지한 경상북도(慶尙北道)는 북부(北部)에 강원특별자치도(江原特別自治道) , 서부(西部)는 충청북도(忠淸北道) 전북특별자치도(全北特別自治道) , 그리고 남부(南部)와 동부(東部)는 경상남도(慶尙南道) 동해(東海) 에 각각(各各) 인접(隣接)하고 있다. 수리적(數理的) 위치(位置)로는 울릉군(鬱陵郡) 울릉읍 독도(獨島) 가 동경(東京) 131°52"로 경북(慶北)의 동쪽(東쪽) 끝인 동시(同時)에 대한민국(大韓民國)의 극동(極東)을 이루고, 서쪽(西쪽) 끝은 동경(東京) 127°148"인(人) 상주시(尙州市) 화북면(華北面) 홍리(紅梨)로서 동서단간(東西團間)의 경도차(經度差)는 4°4"이다. 남쪽(南쪽) 끝은 청도군(淸道郡) 청도읍 원동(原動)으로 북위(北緯) 35°33"인데 남북단간(南北團間)의 위도차(緯度車)는 1°59"이다.

동부(東部) 지역(地域) [ 편집(編輯) ]

포항시(浦項市) 를 중심(中心)으로 경주시(慶州市) , 영덕군(盈德郡) , 울진군(蔚珍郡) 은 동해안(東海岸)에 위치(位置)하고, 울릉군(鬱陵郡) 은 동해상(東海上)에 있다.
울진(蔚珍)은 강원특별자치도(江原特別自治道) 영동(嶺東) 지방(地方), 경주(慶州)는 울산광역시(蔚山廣域市) 울주군(蔚州郡) 과 접(接)한다.

중서부(中西部) 지역(地域) [ 편집(編輯) ]

구미시(龜尾市) 를 중심(中心)으로 상주시(尙州市) , 김천시(金泉市) , 문경시(聞慶市) 가 경북(慶北)의 서부(西部)이다. 분지(盆地) 지형(地形)에 위치(位置)하며, 충청북도(忠淸北道) 중남부(中南部) 지역(地域)과 접(接)한다.

남부(南部) 지역(地域) [ 편집(編輯) ]

경산(慶山) , 영천(永川) , 청도(淸道) , 칠곡(漆谷) , 고령(高齡) , 성주(星州) 가 경북(慶北)의 남부(南部)에 속(屬)한다.

북부(北部) 지역(地域) [ 편집(編輯) ]

안동(安東) 을 중심(中心)으로 영주(榮州) , 의성(義城) , 예천(醴泉) , 봉화(奉化) , 영양(營養) , 청송(靑松) 이 경북(慶北) 북부(北部)이다. 경북(慶北) 북부(北部)는 주로(主로) 산악(山岳) 지형(地形)이 많다.

지질(地質) [ 편집(編輯) ]

경상북도(慶尙北道)와 경상남도(慶尙南道) 는 경상계(慶尙系) 지질구로(脂質九老) 한반도(韓半島) 에서도 가장 중생대(中生代) 지층(地層) 이 넓게 발달(發達)되어 있는 지역(地域)이며, 이들 지층(地層)은 주로(主로) 중생대(中生代) 쥐라기(쥐라紀) 의 극심(極甚)한 지각변동(地殼變動) 후(後)에 형성(形成)된 퇴적암(堆積巖) 층(層)으로 대체(代替)로 수평상태(水平狀態)를 이루고 있으며, 한편(한便) 낙동강(洛東江) 하류(下流)에는 그 이후(以後)에 분출(噴出) 형성(形成)된 화산암(火山巖) 층(層)이 곳곳에 분포(分布)하여 비교적(比較的) 장년기(壯年期)적 지세(地勢)를 나타낸다.

경북(慶北)의 북부지방인(北部地方人) 문경(聞慶) 에서 울진(蔚珍) 에 이르는 일대(一帶)에는 무연탄(無煙炭) 석회암(石灰巖) 을 부존(賦存)(賦存)하고 있는 고생계(古生界)가 있어 지하자원(地下資源)뿐만 아니라 석회동굴(石灰洞窟) 등(等)의 관광적(觀光的)인 면(面)에서도 각광(脚光)을 받고 있다. 그리고 영일만(迎日灣) 부근(附近)에는 한반도(韓半島)에서는 흔하지 않은 삼기층(層) 이 분포(分布)하여 갈탄(褐炭) 을 생산(生産)하며 한때 유징(乳徵)(油徵)을 보인 일까지 있다.

동해(東海)의 고도(古都)인 울릉도(鬱陵島) 독도(獨島) 제주도(濟州道) 와 함께 제(第)3기(基)와 제(第)4기(期)에 용암분출(鎔巖噴出)을 한 화산섬(火山섬)이며, 주위(周圍)에는 해식애(海蝕崖)가 발달(發達)하여 절경(絶景)을 이루고 울릉도(鬱陵島)의 나리분지(盆地) 는 화구(火口)에 해당(該當)된다.

지형(地形) [ 편집(編輯) ]

강원도(江原道) 에서 남하(南下)한 태백산맥(太白山脈) 은 이 지방(地方)에 들어서면서 그 지세(地勢)가 차차 약화(弱化)되어 낮은 산지(山地)로 바뀌어 형산강(兄山江) 지구대(地區隊) 부근(附近)에 이르러서는 산발적(散發的)인 구릉(丘陵) 지(知)로 변(變)한다. 한편(한便), 태백산(太白山) 부근(附近)에서 분기(分岐)된 소백산맥(小白山脈) 소백산(小白山) (1,421m)· 연화봉 (1,394m)· 도솔봉(兜率峯) (1,314m)· 문수봉(文繡峯) (1,162m)· 백화산 (1,064m)· 속리산(俗離山) (1,057m)· 민주지산 (1,242m)· 가야산(伽倻山) (1,430m) 등(等)의 명산(名山)과, 죽령(竹嶺) (689m)· 조령(鳥嶺) (새재, 642m)· 이화령(梨花嶺) (548m)· 추풍령(秋風嶺) (548m) 등(等)의 큰 재를 만들면서 호남(湖南) 및 호서지방(湖西地方)과의 경계(境界)를 이루고 있으며, 산지(山地)가 주로(主로) 편마암(片麻巖) 으로 이루어진 만장년기 지형(地形)으로 침식(浸蝕)에 저항(抵抗)이 강(强)하여 대한민국(大韓民國)에서 가장 높은 산맥(山脈)을 이룬다.

이 밖에도 전술(前述)한 낙동강(洛東江) 하류(下流) 일대(一帶)의 중생대(中生代) 말기(末期)에 분출(噴出)한 화산암(火山巖) 팔공산(八公山) (1,192m)· 운문산(雲門山) (1,200m) 등(等)은 침식기간(浸蝕期間)이 짧아 험준(險峻)한 산세(山勢)를 나타내고 있다. 낙동강(洛東江)은 본도(本島)의 대부분(大部分)을 유역화(流域化)하고 있으며 안동(安東) · 영주(榮州) · 예천(醴泉) · 상주(尙州) ·선산 등(等)의 많은 침식분지(浸蝕盆地)를 만들고 내성천(乃城川)·반변천·감천(感天)·대가천· 금호강(琴湖江) 등(等)의 많은 지류(支流)를 모아 경상남도(慶尙南道)로 흘러 들어간다. 형산강(兄山江) 경주분지(慶州盆地) 안강평야(野) 를 거쳐 지구대(地區隊) 속을 흘러 영일만(迎日灣) 으로 유입(流入)한다. 한편(한便) 굽이 흐르는 낙동강(洛東江) 상류(上流)의 하곡(河谷) 저지(沮止)와 북(北)·서(西)·동북(東北)의 산록면(山麓面)에는 간헐적(間歇的)인 충적지(沖積地)와 작은 구릉(丘陵)이 기복(忌服)한 침식평야(浸蝕平野)가 분포(分布)한다. 해안선(海岸線)은 장기곶(長鬐串) 을 제외(除外)하고는 매우 단조(單調)한 편(便)이며 일부(一部)에 해안단구(海岸段丘)(海岸段丘) 곳곳에 사빈해안(沙濱海岸)이 발달(發達)하여 임(臨)해 휴양지(休養地)로서도 좋은 조건(條件)을 갖추고 있다.

기후(氣候) [ 편집(編輯) ]

경상북도(慶尙北道)의 대부분(大部分) 대한민국(大韓民國) 남부(南部) 내륙형(內陸兄)의 기후(氣候)로서 여름에는 상당히(相當히) 덥고, 겨울에는 온난(溫暖)하다. 동해안(東海岸) 지방(地方)은 해류(海流)와 산맥(山脈)의 영향(影響)으로 내륙(內陸)보다 따뜻하다. 연평균(年平均) 기온(氣溫)은 11~13도(度), 1월(月) 평균(平均) 기온(氣溫)은 동해안(東海岸) 지방(地方)이 0.6~0.8도(度)이고, 영천(永川) 등(等) 남부지방(南部地方)은 -1.6~-2.2도(度), 영주(榮州) · 문경(聞慶) · 청송(靑松) 등(等) 북부(北部) 내륙지방(內陸地方)은 -4.0~-4.2 로 가장 춥다. 8월(月) 평균(平均) 기온(氣溫)은 24.9~26.9도(度)로 남부(南部) 내륙(內陸)은 높고 동해안(東海岸) 지방(地方)은 낮은 편(便)이다. 연(年) 강수량(降水量)은 900~1,100mm로 영천(永川) · 청송(靑松) ·길안(吉安) 등(等) 내륙지방(內陸地方)이 비가 가장 적고, 영주(榮州) · 경산(慶山) · 청도(淸道) · 고령(高齡) 등(等)은 1,000~1,100mm이다. 울릉도(鬱陵島) 는 반도부(半島部)와는 달리 해양성(海洋性) 기후(氣候)로서 온난(溫暖) 다습(多濕)하여 연강수량(年降水量)이 1,700mm에 달(達)하며 대한민국(大韓民國) 최다우 지역(地域)의 하나를 이룬다. 특히(特히) 겨울철에 강설량(降雪量)이 많아 눈의 피해(被害)가 크며, 가옥구조(家屋構造)도 특이(特異)하다. 이 섬에는 동백꽃(冬柏꽃) 을 비롯하여 해양성(海洋性) 기후(氣候)의 지표식물인(指標植物人) 너도밤나무 가 자란다.

행정(行政) 구역(區域) [ 편집(編輯) ]

1981년(年) 7월(月) 1일(日) 대구시(大邱市)가 대구직할시(大邱直轄市)(현(現) 대구광역시(大邱廣域市) ) 로 독립(獨立) 승격(昇格)되어, 현재(現在) 경상북도(慶尙北道)에는 10개(個)의 시(市)와 13개(個)의 군(軍)이 있다. 달성군(達城郡) 의 경우(境遇) 1995년(年) 3월(月) 1일(日) 부(部)로 대구광역시(大邱廣域市) 에 이관(移管)되었다. 인구(人口)는 2,715,085명(名)이고 남녀(男女) 성비(性比)는 현재(現在) 0.99로 여자(女子)가 약간(若干) 더 많다. 도내(道內) 시군별(市郡別) 남녀(男女) 성비(性比)는 울릉군(鬱陵郡) (1.11)이 가장 높고, 칠곡군(漆谷郡) (1.06), 성주군(星州郡) (1.04), 고령군(高靈郡) (1.04), 구미시(龜尾市) (1.04), 포항시(浦項市) (1.03), 경산시(慶山市) (1.02), 영천시(永川市) (1.01), 경주시(慶州市) (1.00), 봉화군(奉化郡) (1.00), 영주시(榮州市) (0.99), 김천시(金泉市) (0.99), 안동시(安東市) (0.98), 예천군(醴泉郡) (0.98), 청송군(靑松郡) (0.98), 영양군(英陽郡) (0.97), 문경시(聞慶市) (0.97), 상주시(尙州市) (0.97), 울진군(蔚珍郡) (0.97), 의성군(義城郡) (0.96), 청도군(淸道郡) (0.95), 영덕군(盈德郡) (0.91)이 그 뒤를 잇고 있다.

군위군(軍威郡) 은 2023년(年) 7월(月) 1일(日)부터 대구광역시(大邱廣域市) 로 편입(編入)되었다.
행정구역(行政區域) 면적(面積) 및 인구(人口) 통계(統計) (2023기준(基準)) [9] [10]
이름 한자(漢字) 면적(面積) 인구(人口) (명(名)) 세대(世代)
포항시(浦項市) 浦項市 1,128 503,649 218,011
경주시(慶州市) 慶州市 1,324 253,415 116,978
김천시(金泉市) 金泉市 1,009 140,197 64,499
안동시(安東市) 安東市 1,521 158,984 74,104
구미시(龜尾市) 龜尾市 616 417,679 174,438
영주시(榮州市) 榮州市 669 104,336 48,517
영천시(永川市) 永川市 920 101,417 50,688
상주시(尙州市) 尙州市 1,255 99,093 47,893
문경시(聞慶市) 聞慶市 911 71,325 35,003
경산시(慶山市) 慶山市 412 261,438 114,141
의성군(義城郡) 義城郡 1,176 52,154 27,769
청송군(靑松郡) 靑松郡 843 25,251 13,722
영양군(英陽郡) 英陽郡 815 16,280 8,793
영덕군(盈德郡) 盈德郡 741 36,875 19,730
청도군(淸道郡) 淸道郡 697 42,608 22,210
고령군(高靈郡) 高靈郡 384 32,067 16,029
성주군(星州郡) 星州郡 616 43,655 22,643
칠곡군(漆谷郡) 漆谷郡 451 115,809 51,764
예천군(醴泉郡) 醴泉郡 661 54,871 26,231
봉화군(奉化郡) 奉化郡 1,201 31,714 16,396
울진군(蔚珍郡) 蔚珍郡 989 48,873 24,910
울릉군(鬱陵郡) 鬱陵郡 73 9,355 5,243
경상북도(慶尙北道) 慶尙北道 19,026.06 2,645,240 1,212,509

경상북도지사(慶尙北道知事) [ 편집(編輯) ]

일제(日帝) 치하(治下) 경북(慶北) [ 편집(編輯) ]

조선(朝鮮) 고종(高宗) 32년(年)( 1895년(年) ) 5월(月) 26일(日) 지방제도(地方制度)를 8도(道) 에서 23부(部) 로 개편(改編)하였다. 고종(高宗) 33년(年)(고종(高宗) 건양(建陽) 원년(元年), 1896년(年) ) 8월(月) 4일(日) 지방제도(地方制度)를 23부(部) 에서 13도(度) 로 다시 개편(改編)하였다. 대한제국(大韓帝國) ( 1896년(年) ~ 1910년(年) ) 및 일제강점기(日帝强占期) ( 1910년(年) ~ 1945년(年) )에도 이때 개편(改編)된 지방제도(地方制度)는 그대로 이어졌다. 현재(現在)와 비교(比較)하면 울진군(蔚珍郡) 강원도(江原道) 에서 경상북도(慶尙北道)로 편입(編入)되었고, 대구광역시(大邱廣域市) 가 분리(分離)된 것이 차이점(差異點)이다.

독도(獨島) [ 편집(編輯) ]

독도(獨島) 는 대한민국(大韓民國) 경상북도(慶尙北道) 울릉군(鬱陵郡) 울릉읍 독도리 라는 행정구역(行政區域)을 가지고 있다. 경상북도(慶尙北道)의 행정력(行政力)이 미치는 지역(地域)이고, 독도(獨島)의 경비(警備)는 경상북도경찰청(慶尙北道警察廳) 에서 담당(擔當)하고 있다. 대한민국(大韓民國)의 최동단(最東端) 영토(領土)이며, 한편(한便) 일본(日本)은 시마네 현(縣) 오키 군(軍) 오키노시마 정(情)이라고 거짓말 하고 있다.

없어진 행정구역(行政區域) [ 편집(編輯) ]

인구(人口) [ 편집(編輯) ]

연도별(年度別) 인구(人口) [ 편집(編輯) ]

경상북도(慶尙北道)(에 해당(該當)하는 지역(地域), 대구시(大邱市)/달성군(達城郡) 및 대구광역시(大邱廣域市) 제외(除外))의 연도별(年度別) 인구(人口) 추이(推移) [11] [12]

연도(鳶島) 총인구(總人口) 인구(人口)그래프 비고(備考)
1925년(年) 2,293,285명(名)
1930년(年) 2,471,059명(名)
1935년(年) 2,506,092명(名)
1940년(年) 2,444,295명(名)
1945년(年) 2,661,094명(名)
1950년(年) 3,220,342명(名)
1955년(年) 3,360,859명(名)
1960년(年) 3,847,290명(名)
1965년(年) 4,389,703명(名)
1970년(年) 4,558,186명(名)
1975년(年) 4,855,185명(名)
1980년(年) 4,950,310명(名)
1985년(年) 3,014,712명(名) 1981년(年) 대구직할시(大邱直轄市) 승격(昇格) 분리(分離) 감소(減少)
1990년(年) 2,861,894명(名)
1995년(年) 2,673,325명(名)
2000년(年) 2,715,835명(名)
2005년(年) 2,594,900명(名)
2008년(年) 2,679,640명(名)
2009년(年) 2,672,528명(名)
2010년(年) 2,668,403명(名)
2011년(年) 2,688,586명(名)
2012년(年) 2,697,104명(名)
2013년(年) 2,698,263명(名)
2014년(年) 2,698,306명(名)
2015년(年) 2,699,275명(名)
2016년(年) 2,701,160명(名)
2017년(年) 2,698,803명(名)
2018년(年) 2,688,747명(名)
2019년(年) 2,674,005명(名)
2020년(年) 2,662,508명(名)

연령별(年齡別) 인구(人口) [ 편집(編輯) ]

구분(區分) 인구(人口)
(2010년(年))
인구(人口)
(2013년(年))
증감(增減)치
유년인구(幼年人口)
(0~14세(歲))
393,326명(名) 360,699명(名) 감소(減少)
(32,627명(名))
경제활동인구(經濟活動人口)
(15~64세(歲))
1,877,736명(名) 1,886,324명(名) 증가(增加)
(8.588명(名))
노년인구(老年人口)
(65세(歲) 이상(以上))
418,858명(名) 452,417명(名) 증가(增加)
(33,359명(名))

교통(交通) [ 편집(編輯) ]

철도(鐵道)는 경부선(京釜線) , 중앙선(中央線) , 동해선(東海線) , 대구선 , 영동선(嶺東線) , 경북선(慶北線) 등(等)이 경상북도(慶尙北道)를 지나며 경상북도(慶尙北道)의 남부(南部)에 있는 대구광역시(大邱廣域市) 포항시(浦項市) ( 포항역 ), 경주시(慶州市) ( 경주역(慶州驛) ), 김천시(金泉市) ( 김천(金泉)(구미(口味))역(驛) )를 통(通)한 KTX 로 이용(利用)도 편리(便利)하다. 특히(特히) 경산(慶山), 김천(金泉), 청도(淸道)는 시외(市外) 교통(交通)에서 철도(鐵道)의 비중(比重)이 매우 높다.

고속도로(高速道路)는 경부고속도로(京釜高速道路) , 중앙고속도로 , 동해고속도로(東海高速道路) , 중부내륙고속도로(中部內陸高速道路) , 광주대구고속도로(光州大邱高速道路) , 새만금포항고속도로(새萬金浦項高速道路)(대구(大邱)~포항(浦項)) , 서산(瑞山)영덕고속도로(상주(尙州)~영덕(盈德)) , 영천상주고속도로(永川尙州高速道路) 가 통과(通過)한다.

대구광역시(大邱廣域市) 대구국제공항(大邱國際空港) 포항시(浦項市) 포항경주공항(浦項慶州空港) 을 통해 항공편(航空便)도 이용(利用)할 수 있다. 포항(浦項) , 안동(安東) 은 도로(道路) 교통(交通)이 편리(便利)한 지역(地域)에 속(屬)하고 영주(榮州) , 김천(金泉) , 경주(慶州) , 영천(永川) 은 철도(鐵道) 교통(交通)이 편리(便利)한 지역(地域)이다.

경상북도(慶尙北道)에서 가장 교통(交通)이 불편(不便)한 지역(地域)으로 불렸던 봉화군(奉化郡) , 영양군(英陽郡) , 청송군(靑松郡) 등(等)의 내륙(內陸) 지역(地域)은 고속도로(高速道路)가 없었고 도로(道路) 사정(事情)이 나빴다. 그래서 이곳에서 가까운 지역(地域)으로 이동(移動)하는 데 시간(時間)이 많이 걸렸다. 이후(以後) 2016년(年) 12월(月) 26일(日) 상주(尙州)영덕고속도로 가 개통(開通)되어 접근성(接近性)이 편리(便利)해졌다.

울릉군(鬱陵郡) 은 정기(定期) 여객선(旅客船)을 통해 포항시(浦項市) 강원특별자치도(江原特別自治道) 삼척시(三陟市) 등(等)과 연결(連結)된다.

선불교통(先拂交通)카드는 사용(使用) 지역(地域)마다 파편화(破片化)되어 있다. 대체적(大體的)으로 중앙(中央)-중부내륙고속도로(中部內陸高速道路) 연선(沿線)에 있는 북부권(北部權)은 서울의 티머니 를 주(週) 교통(交通)카드로 이용(利用)하며, 대구(大邱)와 인접(隣接)한 지역(地域)에서는 대구(大邱)의 원패스 를 공용(共用)하고 있다. 마이비가 일찌감치 경북(慶北)에 진출(進出)한 지역(地域)인 김천시(金泉市) , 구미시(龜尾市) , 경주시(慶州市) 캐시비(非) 가 주(週) 교통(交通)카드다. 동해안권(東海岸權)은 포항시(浦項市) 울진군(蔚珍郡) 티머니 를 주(週) 교통(交通)카드로 이용(利用)하고, 영덕군(盈德郡) 울릉군(鬱陵郡) 원패스 를 이용(利用)한다. 청송(靑松), 영양(營養)은 교통(交通)카드제(制)를 시행(施行)하지 않으며, 봉화(奉化)는 영주를 오고가는 노선(路線)에서만 교통(交通)카드를 이용(利用)할 수 있다.

스포츠 [ 편집(編輯) ]

리그명(名) 팀명 창단연도(創團鳶島) 홈 경기장(競技場)
K리그 포항(浦項) 스틸러스 1973년(年) 포항스틸야드
김천(金泉) 상무(常務) FC 1984년(年) 김천종합운동장(金泉綜合運動場)
K3리그 경주(慶州) 한국수력원자력(韓國水力原子力) 축구단(蹴球團) 1945년(年) 경주시민운동장(慶州市民運動場)
V-리그 (여(女)) 김천(金泉) 한국도로공사 하이패스 1970년(年) 김천실내체육관

문화(文化) [ 편집(編輯) ]

영덕(盈德) 대게
포항(浦項) 구룡포 과메기
상주(尙州) 곶감
안동(安東)찜닭

음식(飮食) [ 편집(編輯) ]

울진(蔚珍), 영덕(盈德)의 대게는 경북(慶北)의 대표적(代表的)인 음식(飮食)이다. 갑각(甲殼)은 나비 13~15 cm, 둥근 삼각형(三角形)으로 한국(韓國)에서 나는 게 중(中) 가장 크다. 다리가 길고 몸이 커서 맛이 좋으므로 중요(重要)한 수산자원(水産資源)이다. 이마에 솟은 돌기(突起)는 넓고 짧으며, 걷는다리의 마디는 납작하다. 일반적(一般的)으로 수컷이 암컷보다 훨씬 크다. 한류성(寒流性) 게로 30~1,800m 깊이의 진흙 또는 모래바닥에서 산다. 한국(韓國)·일본(日本)·캄차카 반도(半島)·알래스카·그린란드 등지(等地)에 분포(分布)한다.

과메기는 한국(韓國) 요리(料理) 중(中) 하나로, 청어(靑魚) 또는 꽁치를 겨울동안 반건조(半乾燥) 시킨 음식(飮食)이다. 특히(特히) 경상북도(慶尙北道) 지방(地方)에서 많이 먹었으며, 그중(그中)에서도 청어(靑魚)나 꽁치가 많이 잡히는 포항(浦項), 울진(蔚珍), 영덕(盈德) 등(等)의 지방(地方)에서 과메기를 많이 먹었다. 이 중(中) 포항(浦項)의 구룡포가 가장 유명(有名)하다. 대체로(大體로) 고추장(고추醬)(혹은(或은) 초장(草葬))에 찍어먹거나 쌈과 함께 싸먹기도 한다.

본래(本來) 청어(靑魚)를 이용(利用)해 만들었으나 그 수(數)가 줄자 1960년대(年代)부터 꽁치를 사용(使用)하기 시작(始作)했으며, 근래(近來)에는 러시아 캄차카 반도(半島)나 일본(日本) 홋카이도 근해(近海)에서 잡힌 꽁치를 많이 이용(利用)한다.[4] 포항시에서는 매년(每年) 향토음식(鄕土飮食)을 널리 알리기 위하여 과메기 축제(祝祭)를 개최(開催)하고 있다.

안동(安東)찜닭은 닭과 채소(菜蔬)를 이용(利用)한 찜류(類)의 요리(料理)로서, 경상북도(慶尙北道) 안동(安東)에서 기원(祈願)한 음식(飮食)으로 알려져 있다. 안동(安東)찜닭은 고온(高溫)에서 조리(調理)되기 때문에 지방(地方)이 적으며, 기호(嗜好)에 따라 여러 가지 재료(材料)를 넣을 수 있어 다양한 맛을 내는 것이 가능(可能)하다. 또한 가격(價格)에 비해 푸짐한 양(量)을 먹을 수 있기 때문에 학생(學生)들이나 노동자(勞動者)들에게 인기(人氣)가 많다. 안동(安東)찜닭은 영양학적(營養學的)으로도 우수(優秀)한데, 닭에 함유(含有)된 풍부(豐富)한 단백질(蛋白質)과 다양한 채소(菜蔬)에 함유(含有)된 비타민을 섭취(攝取)할 수 있다.

  • 상주(尙州) 곶감

상주(尙州) 곶감 은 삼백(三百)의 고장 상주(尙州)에서 생산(生産)되는 대표적(代表的)인 특산물(特産物)로 전국(全國) 곶감 생산량(生産量)의 60%이상(以上)을 차지하는 상주시(常住市)의 대표적(代表的)인 농산물(農産物)이다.

  • 성주(星州) 참외

성주(星州) 참외 는 경북(慶北) 성주군(星州郡)의 지리적(地理的)인 장점(長點)인 4대강(大江)의 하나인 낙동강(洛東江)을 끼고 있는 것을 이용(利用)하여 연안(沿岸)의 넓은 평야(平野)와 수자원(水資源)이 많아 깨끗한 지하수(地下水)를 농업용수로(農業用水路) 활용(活用)하고 성주(星州) 땅은 미사질 양토(壤土)로서 토심(吐心)이 깊고 비옥(肥沃)하며, 배수(排水)가 양호(良好)하여 참외 재배(栽培)의 적지(適地)라고 할 수 있다.

축제(祝祭) [ 편집(編輯) ]

사찰(査察) [ 편집(編輯) ]

방언(方言) [ 편집(編輯) ]

경상북도(慶尙北道)에서는 동남(東南) 방언(方言) 을 사용(使用)한다.

유네스코 (UNESCO)등록(登錄) 세계문화유산(世界文化遺産) [ 편집(編輯) ]

이름 사진(寫眞) 소재지(所在地) 제작시기(製作時期) 유네스코 지정번호(指定番號) (지정일(指定日)) 설명(說明)
불국사(佛國寺) 석굴암(石窟庵) 경상북도(慶尙北道) 경주시 신라시대(新羅時代) 736 (1995년(年))
경주역사유적지구(慶州歷史遺跡地區) 경상북도(慶尙北道) 경주시 신라시대(新羅時代) 976 (2000년(年))
하회(下廻) · 양동 역사(歷史)마을 경상북도(慶尙北道) 안동시
경상북도(慶尙北道) 경주시
1324 (2010년(年))

경상북도(慶尙北道)의 문화재(文化財) [ 편집(編輯) ]

관광(觀光) [ 편집(編輯) ]

경주시(慶州市) 불국사(佛國寺) , 석굴암(石窟庵) , 보문단지(普門團地) , 문무왕릉 등(等)의 왕릉(王陵), 김유신묘(金庾信墓)와 같은 공신묘(共辛卯) 등 둘러볼 유적지(遺跡地)가 많다. 안동(安東)에는 도산서원(書院) 하회마을 등(等)이 볼거리이고, 영주(領主)에는 부석사(浮石寺) 가, 고령(高齡)에는 지산동 고분군(古墳群) 등(等)이 있다.

호텔 [ 편집(編輯) ]

2012년(年) 기준(基準)으로 호텔 수(數)는 49개(個), 객실(客室) 수(數)는 4,351개(個)가 있다. 나머지 시군별(市郡別) 지역(地域)에 경주시(慶州市) 는 호텔 수(數) 13개(個), 객실(客室) 수(數)는 2,097개(個)가 높았다.

역대(歷代) 도지사(道知事) [ 편집(編輯) ]

자매(姊妹) 결연(結緣) [ 편집(編輯) ]

국가(國家) 도시(都市)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기 남아프리카(南아메리카) 공화국(共和國) 노스웨스트주 (1998.9.16)
러시아의 기 러시아 이르쿠츠크주(週) (1996.9.10)
프리모르스키 변경주 (2018.11.8)
미국의 기 미국(美國) 오하이오주(오하이오州) (1984.12.5)
뉴욕주(뉴욕州) (2022)
베트남의 기 베트남 타이응우옌성(性) (2005.2.21)
스페인의 기 스페인 카스티야이레온 지방(脂肪) (2005.11.8)
인도네시아의 기 인도네시아 욕야(辱野)카르타 특별주(特別週) (2005.2.24)
중국의 기 중국(中國) 산시성(省) (2013.4.5)
허난성(허난省) (1995.10.23)
후난성(湖南省) (2018.11.29)
튀르키예의 기 튀르키예 부르사주(週) (2001.3.19)
캐나다의 기 캐나다 온타리오주(온타리오州) (1999.4.27)

과거(過去) 자매(姊妹) 결연(結緣) [ 편집(編輯) ]

국가(國家) 도시(都市) 비고(備考)
일본의 기 일본(日本) 시마네현(縣) (1989.10.6~2005.3.16) 경상북도(慶尙北道)는 일본(日本) 시마네현(縣) 의회(議會)의 다케시마의 날 조례안(條例案) 제정(制定)에 대(對)한 항의(抗議)의 표시(表示)로 2005년(年) 3월(月) 16일(日)을 기(期)해 시마네현(시마네縣)과의 자매(姊妹) 결연(結緣)을 철회(撤回)했다.

교육(敎育) [ 편집(編輯) ]

대학교(大學校) · 전문대학(專門大學) [ 편집(編輯) ]

안동시(安東市) [ 편집(編輯) ]

같이 보기 [ 편집(編輯) ]

각주(各州) [ 편집(編輯) ]

  1. “도정기본현황(道政基本現況)” . 《경상북도(慶尙北道)》 . 2023년(年) 7월(月) 6일(日)에 확인(確認)함 .  
  2. 대한민국(大韓民國) 행정안전부(行政安全部) (2023년(年) 6월(月) 1일(日)). “주민등록(住民登錄) 인구통계(人口統計)” . 《행정안전부(行政安全部) 주민등록(住民登錄) 인구통계(人口統計)》 . 2023년(年) 6월(月) 16일(日)에 확인(確認)함 .  
  3. 대한민국(大韓民國) 통계청(統計廳) (2022년(年) 12월(月) 22일(日)). “시도별(市道別) 경제활동별(經濟活動別) 지역내총생산(地域內寵生産)” . 《KOSIS 국가통계(國家統計)포털》 . 2023년(年) 6월(月) 16일(日)에 확인(確認)함 .  
  4. 대한민국(大韓民國) 통계청(統計廳) (2022년(年) 12월(月) 22일(日)). “시도별(市道別) 1인당(人當) 지역내총생산(地域內寵生産), 지역총소득(地域總所得), 개인소득(個人所得)” . 《KOSIS 국가통계(國家統計)포털》 . 2023년(年) 6월(月) 16일(日)에 확인(確認)함 .  
  5. [1]
  6. 칙령(勅令) 제(第)36호(號) 地方制度官制改正件 ( 1896년(年) 8월(月) 4일(日) )
  7. “경북도청(慶北道廳) 이전(移轉) 예정지(豫定地) '안동(安東).예천(醴泉)' 결정(決定)(종합(綜合))” . 연합뉴스(聯合뉴스). 2008년(年) 6월(月) 8일(日).  
  8. “도로망(道路網) 구축(構築) 10조(兆) 원, 경북도청(慶北道廳) 신청사(新廳舍) 지역(地域)의 위용(威容)(사진(寫眞))” . Huffington Post. 2016년(年) 2월(月) 15일(日). 2016년(年) 3월(月) 3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16년(年) 2월(月) 23일(日)에 확인(確認)함 .  
  9. (2023년(年)) 통계작성(統計作成) 기관별(機關別) > 경상북도(慶尙北道) > 경상북도기본통계(慶尙北道基本統計) > 토지(土地) 및 기후(氣候) > 행정구역(行政區域) > 행정구역(行政區域) Archived 2020년(年) 5월(月) 11일(日) - 웨이백 머신 경상북도청(慶尙北道靑)
  10. (2007년(年)) 통계작성(統計作成) 기관별(機關別) > 경상북도(慶尙北道) > 경상북도기본통계(慶尙北道基本統計) > 인구(人口) >... > 시군별(市郡別) 세대(世代) 및 인구(人口)(주민등록(住民登錄)) [ 깨진 링크 ( 과거(過去) 내용(內容) 찾기 )] 경상북도청(慶尙北道靑)
  11. 통계청(統計廳), 인구주택총조사(人口住宅總調査)
  12. 행정자치부(行政自治部) 주민등록인구통계(住民登錄人口統計)
이 문서(文書)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 (현(現) 카카오 )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配布)한 글로벌 세계(世界)대백과사전 의 내용(內容)을 기초(基礎)로 작성(作成)된 글이 포함(包含)되어 있습니다.

외부(外部) 링크 [ 편집(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