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江南) 1970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강남(江南) 1970
감독(監督) 유하
각본(脚本) 유하
제작(製作) 모(某)베라 픽쳐스, 쇼박스 미디어플랙스
촬영(撮影) 김태성, 홍승혁
편집(編輯) 박곡지
배급사(配給社) 쇼박스 미디어플랙스
개봉(開封)일
  • 2015년(年) 1월(月) 21일(日)  ( 2015-01-21 )
시간(時間) 135분(分)
국가(國家)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大韓民國)
언어(言語) 한국어(韓國語)

" 강남(江南) 1970 "은 1970년대(年代) 초(初) 서울 강남(江南) 을 배경(背景)으로 부동산(不動産) 개발(開發)이 본격적(本格的)으로 시작(始作)된 시기(時期), 땅 투기(投機), 정치권력(政治權力), 건달(乾達) 사회(社會)를 둘러싸고 힘든 시기(時期)를 살아가는 두 남자(男子)의 내용(內容)을 담고있는 대한민국(大韓民國) 액션 누아르 영화(映畫) 이다. 개봉(開封) 전(前) 원제(原題)는 "강남(江南)블루스"였으나, 이후(以後) 현재(現在)의 이름으로 바꾸었다. [1] 또한 당초(當初) 2014년(年) 11월(月) 개봉(開封) 예정(豫定)이었으나 2015년(年) 1월(月) 21일(日) 로 개봉(開封) 일정(日程)을 연기(延期)했다. [2] 유하 감독(監督)의 전작(前作) 중(中) 말죽거리 잔혹사(殘酷史) , 비열(卑劣)한 거리 와 함께 거리 3부작(部作)으로 불리며 거리 3부작(部作)의 마지막 작품(作品)에 해당(該當)된다.

줄거리 [ 편집(編輯) ]

"땅 종대(縱隊), 돈 용기(勇氣)! 끝까지 한번(番) 가 보자!"

1970년(年), 강남(江南)땅을 향(向)한 위험(危險)한 욕망(欲望)이 춤추기 시작(始作)한다! 호적(戶籍)도 제대로 없는 고아(孤兒)로, 넝마주이 생활(生活)을 하며 친형제(親兄弟)처럼 살던 종대(縱隊)(이민호)와 용기(勇氣)(김래원). 유일(唯一)한 안식처(安息處)였던 무허가촌(無許可村)의 작은 판자집(板子집)마저 빼앗기게 된 두 사람은 건달(乾達)들이 개입(介入)된 전당대회(全黨大會) 훼방(毁謗) 작전(作戰)에 얽히게 되고 그 곳에서 서로를 잃어버린다.

3년(年) 후(後), 자신(自身)을 가족(家族)으로 받아 준 조직(組織) 두목(頭目) 출신(出身) 길수(정진영)의 바람과 달리, 잘 살고 싶다는 꿈 하나로 건달(乾達) 생활(生活)을 하게 되는 종대(縱隊). 정보(情報)와 권력(權力)의 수뇌부(首腦部)에 닿아있는 복부인(福婦人) 민(閔)마담(김지수)과 함께 강남(江南) 개발(開發)의 이권(利權)다툼에 뛰어든 종대는 명동파(鳴動派)의 중간(中間)보스가 된 용기(容器)와 재회(再會)하고, 두 사람은 정치권(政治權)까지 개입(介入)된 의리(義理)와 음모(陰謀), 배신(背信)의 전쟁(戰爭)터. 그 한 가운데에 놓이게 되는데…

캐스팅 [ 편집(編輯) ]

주요(主要) 인물(人物) [ 편집(編輯) ]

  • 김종대(金鍾大) (배우(俳優): 이민호 )
호적(戶籍)도 하나 없는 고아청년(孤兒靑年), 식구(食口)라고는 고아원(孤兒院)에서 알고지낸 의붓형(兄) 용기(勇氣)가 전부(全部)다. 넝마주이 생활(生活)의 유일(唯一)한 안식처(安息處)였던 무허가촌(無許可村)의 작은 판자집(板子집)마저 용역업체(用役業體)들이 끌고온 크레인에 의(依)해 무너진후, 조폭두목(組暴頭目) 길수를 중심(中心)으로 한 건달(乾達)들이 개입(介入)된 전당대회(全黨大會) 훼방작전(毁謗作戰)에 얽혔고 그곳에서 용기(勇氣)를 잃어버렸다. 3년후(年後), 조폭(組暴) 두목(頭目) 강길수의 양아들(養아들)로 평범(平凡)하게 살아가고 있었지만 잘 살고 싶다는 야망(野望)이 꿈틀거렸고 그 야망(野望)은 건달생활(乾達生活)에 발을 들이며 이후(以後) 돈과 권력(權力)의 맛에 빠져버리며 한층(한層) 심(甚)해진다. 길수의 딸 선혜를 짝사랑하고 있지만 의붓남매(義父男妹)란 관계(關係)때문에 애써 동생으로만 여기고 있다.
한때 잘나가는 조폭(組暴)이었지만 지금(只今)은 모든 음지생활(陰地生活)을 청산(淸算)한 뒤 외동딸 선혜와 세탁소(洗濯所) 일을 하며 평범(平凡)하게 살아가고 있었다. 어느날, 의붓형(兄)마저 잃어버리고 오갈 곳 없이 쩔쩔매는 종대(縱隊)를 데려와 양아들(養아들)로 삼았다. 이후(以後) 두 아이를 차별(差別)없이 똑같은 자식(子息)으로 대(對)하면서 거두어준다. 그런 종대(縱隊)가 건달생활(乾達生活)에 심취(心醉)해 삐뚤어지는 걸 누구보다도 안타깝게 여겼고 이후(以後) 그가 저지른 모든 범행(犯行)을 뒤집어쓰고 자수(自首)했다.
길수의 외동딸. 피한방울 안섞인 종대(縱隊)를 친오빠(親오빠)처럼 잘 따르고 좋아하지만 애석(哀惜)하게도 그의 짝사랑만큼은 전혀(全혀) 모르고 있다. 그래서 다른 남자(男子)와 결혼(結婚)해버렸지만 행복(幸福)해야 할 결혼(結婚)은 도박(賭博)에 중독(中毒)된 남편(男便)이 돈을 잃을 때마다 돈 가져오라고 폭행(暴行)을 저지르면서 지옥(地獄)보다 더 끔찍한 인생(人生)이 되어버린다. 이를 알게 된 종대는 화(火)가 머리끝까지 치밀어올라 그 남편(男便)을 밟아버린다.
종대의 의붓형(兄). 고아원(孤兒院)에서 알고지낸 의붓(義父)동생 종대(縱隊)를 친동생(親同生)처럼 여기고 있다. 어느날, 건달(乾達)들의 전당대회(全黨大會) 훼방작전(毁謗作戰)에 얽히게 됐고 현장(現場)을 보는 순간(瞬間) 아랫배가 묵직해져 화장실(化粧室)을 다녀오겠다며 현장(現場)을 떠나버렸고 화장실(化粧室)에서 볼일을 보던 도중(途中) 건달(乾達)들이 들이닥치자 황급히(遑急히) 문(門)을 걸어잠근다. 이후(以後) 현장(現場)을 아수라장(阿修羅場)으로 만든 건달(乾達)들이 철수(撤收)하는 사이 종적(蹤跡)을 감춰버렸고 3년후(年後) 명동파(鳴動派)의 중간(中間)보스로 권력(權力)의 중심(中心)에 우뚝 선 종대(縱隊)하고는 적으로써 재회(再會)한다. 하지만 형제간(兄弟間)의 우애(友愛)는 그대로였기에 남들앞에서만 적대시(敵對視)했고 뒤에선 남몰래 의붓(義父)동생을 돕기 시작(始作)한다.

그 외(外) [ 편집(編輯) ]

  • 유승목 - 서태곤 역(驛).. 정화당(淨化當) 전(前) 의원(議員)
  • 한재영 - 박창배 역(驛)
  • 이연두 - 주소정 역(驛)
  • 정호빈 - 양기택 역(驛). 명동상사(明洞上司) 전무(專務)
  • 최진호 - 박승구 역(驛). 정화당(淨化當) 재정위원장(財政委員長)
  • 엄효섭 - 김(金) 부장(部長) 역(役) - 중앙정보부장(中央情報部長)
  • 최병모 - 문(門) 과장(課長) 역(役). 시청(市廳) 도시개발과장(都市開發課長)
  • 허성민 - 재필 역(驛)
  • 이석(李錫) - 춘호 역(驛)
  • 박민규 - 철승(鐵繩) 역(驛)
  • 윤종화 - 화상(火傷) 역(驛)
  • 김유연 - 점순 역(驛)
  • 곽민호 - 민규 역(逆)
  • 서우진 - 정민 역(驛)
  • 장인호 - 명춘 역(驛)
  • 김대종 - 병삼(病三) 역(驛)
  • 박혁민 - 경표(警標) 역(驛)
  • 지대(至大)한 - 장덕재 역(驛). 영등포(永登浦)나이트 이사(理事)
  • 정찬우 - 남순철 역(驛)
  • 전배수 - 구(具) 사장(社長) 역(役)
  • 박팔영 - 허(許) 회장(會長) 역(驛)
  • 박민규 - 철승(鐵繩) 역(驛)
  • 박기륭 - 박장군(朴將軍) 역(驛)
  • 최귀화 - 남순철파(派) 건달(乾達) 1 역(驛)
  • 유정호 - 영등포(永登浦) 중간(中間)보스 2 역(驛)
  • 송부건(送付件) - 현(現) 영등포(永登浦) 간부(幹部) 1 역(驛)
  • 류성훈 - 현(現) 영등포(永登浦) 간부(幹部) 6 역(驛)
  • 신창수 - 구(舊) 영등포(永登浦) 덩치 1 역(驛)
  • 정수(精粹)한 - 구(舊) 영등포(永登浦) 덩치 2 역(驛)
  • 노수성 - 구(舊) 영등포(永登浦) 덩치 3 역(驛)
  • 서진욱 - 박승구 십인회(十人會) 역(驛)
  • 주희중 - 춘호 족(族)쟁이들 역(驛)
  • 유필란 - 고관대작부인(高官大爵夫人) 역(役)
  • 장혁진 - 고물상주인(古物商主人) 역(役)
  • 황성웅 - 춘호 족(族)쟁이들 역(驛)
  • 서현석 - 천변(川邊)가 고교생(高校生)들 역(驛)
  • 윤종원 - 명동파(鳴動派) 건자재(建資材) 건달(乾達) 1 역(驛)
  • 송진우 - 명동파(鳴動派) 건자재(建資材) 건달(乾達) 2 역(驛)
  • 박광재 - 무덩가 명동(明洞) 덩치 1 역(驛)
  • 서왕석 - 무덩가 명동(明洞) 덩치 2 역(驛)
  • 임승준 - 무덩가 명동파(鳴動派) 역(驛)
  • 이진권 - 무덩가 명동파(鳴動派) 역(驛)
  • 이선구 - 무덩가 명동파(鳴動派) 역(驛)
  • 김철윤 - 무덩가 영등포파(永登浦派) 역(驛)
  • 김흥태 - 무덤가 영등포파(永登浦派) 역(驛)
  • 조선기 - 무덤가 영등포파(永登浦派) 역(驛)
  • 김경태 - 짬뽕국물 지주(地主) 역(驛)
  • 서병철 - 나이트클럽 형사(刑事) 1 역(驛)
  • 신동력(新動力) - 구사장(舊社長) 패거리(牌거리) 1 역(驛)
  • 이성우 - 구사장(舊社長) 패거리(牌거리) 2 역(驛)

특별출연(特別出演) [ 편집(編輯) ]

  • 김지수 - 민성희 역(驛) (특별출연(特別出演))

수상(受賞) [ 편집(編輯) ]

참고(參考) 사항(事項) [ 편집(編輯) ]

각주(各州) [ 편집(編輯) ]

  1. “이민호·김래원 주연(主演) '강남(江南)블루스'→ '강남(江南)1970' 제목(題目) 변경(變更)” . 세계일보(世界日報). 2014년(年) 10월(月) 8일(日) . 2014년(年) 10월(月) 9일(日)에 확인(確認)함 .  
  2. “이민호-김래원 '강남(江南)1970', 내년(來年) 1월(月)로 개봉(開封) 연기(延期) 확정(確定)” . OSEN. 2014년(年) 10월(月) 27일(日) . 2014년(年) 11월(月) 18일(日)에 확인(確認)함 .  

외부(外部) 링크 [ 편집(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