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PD수첩(手帖) -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본문(本文)으로 이동(移動)

PD수첩(手帖)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PD수첩(手帖)
장르 탐사보도(探査報道)
방송(放送) 국가(國家)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大韓民國)
방송(放送) 채널 MBC TV
방송(放送) 기간(期間) 1990년(年) 5월(月) 8일(日) ~ 2012년(年) 1월(月) 17일(日)
2012년(年) 12월(月) 11일(日) ~ 2017년(年) 7월(月) 18일(日)
2017년(年) 12월(月) 12일(日) ~ 현재(現在)
방송(放送) 시간(時間) 매주(每週) 화요일(火曜日) 밤 9시(時) ~ 10시(時)
방송(放送) 횟수(回數) 1423회(回) ( 2024년(年) 6월(月) 18일(日) 기준(基準))
제작(製作) MBC 시사교양본부(時事敎養本部)
진행자(進行者) 오승훈
HD 방송(放送) 여부(與否) HD 제작(製作) · 방송(放送)

PD수첩(手帖) 》은 매주(每週) 화요일(火曜日) 밤 9시(時)에 방송(放送)되는 탐사보도(探査報道) 프로그램 이다.

기획(企劃) 의도(意圖) [ 편집(編輯) ]

사회(社會) 이슈와 단순히(單純히) 보도(報道)가 된 내용(內容)에서 그치지 못하고 프로듀서들이 후속(後續)을 보도(報道)하거나 심층(深層)을 취재(取材)하는 탐사보도(探査報道) 프로그램 이다. [1] [2] [3]

방송(放送) 시간(時間) [ 편집(編輯) ]

방송(放送) 채널 방송(放送) 기간(期間) 방송(放送) 시간(時間)
MBC TV 1990년(年) 5월(月) 1일(日) ~ 1991년(年) 7월(月) 9일(日) 매주(每週) 화요일(火曜日) 밤 11시(時) ~ 11시(時) 45분(分)
1991년(年) 7월(月) 23일(日) ~ 1991년(年) 9월(月) 10일(日)
1992년(年) 7월(月) 7일(日)
1995년(年) 4월(月) 18일(日) ~ 1995년(年) 8월(月) 22일(日)
1991년(年) 7월(月) 16일(日) 매주(每週) 화요일(火曜日) 밤 11시(時) ~ 11시(時) 50분(分)
1991년(年) 10월(月) 1일(日)
1993년(年) 10월(月) 26일(日) ~ 1993년(年) 11월(月) 2일(日)
1995년(年) 9월(月) 5일(日) ~ 1999년(年) 11월(月) 9일(日)
2020년(年) 5월(月) 26일(日)
1991년(年) 9월(月) 17일(日) 화요일(火曜日) 밤 11시(時) ~ 11시(時) 40분(分)
1991년(年) 9월(月) 24일(日) 화요일(火曜日) 밤 10시(時) 50분(分) ~ 11시(時) 35분(分)
1991년(年) 10월(月) 8일(日) ~ 1992년(年) 6월(月) 30일(日) 매주(每週) 화요일(火曜日) 밤 10시(時) 55분(分) ~ 11시(時) 40분(分)
1994년(年) 4월(月) 12일(日) ~ 1995년(年) 4월(月) 11일(日)
1993년(年) 11월(月) 9일(日) ~ 1994년(年) 4월(月) 5일(日) 매주(每週) 화요일(火曜日) 밤 10시(時) 55분(分) ~ 11시(時) 45분(分)
1999년(年) 11월(月) 16일(日) 매주(每週) 화요일(火曜日) 밤 11시(時) ~ 12시(時)
1999년(年) 12월(月) 7일(日) ~ 2000년(年) 3월(月) 14일(日)
2000년(年) 3월(月) 28일(日)
2020년(年) 5월(月) 19일(日)
1999년(年) 11월(月) 23일(日) 매주(每週) 화요일(火曜日) 밤 11시(時) 10분(分) ~ 12시(時) 10분(分)
2008년(年) 5월(月) 6일(日) ~ 2008년(年) 5월(月) 13일(日)
2000년(年) 3월(月) 21일(日) 매주(每週) 화요일(火曜日) 밤 11시(時) 5분(分) ~ 12시(時) 5분(分)
2000년(年) 4월(月) 4일(日) ~ 2000년(年) 4월(月) 11일(日)
2001년(年) 3월(月) 27일(日)
2001년(年) 10월(月) 16일(日) ~ 2001년(年) 10월(月) 30일(日)
2002년(年) 4월(月) 9일(日) ~ 2002년(年) 11월(月) 19일(日)
2002년(年) 12월(月) 3일(日) ~ 2003년(年) 3월(月) 18일(日)
2003년(年) 4월(月) 1일(日) ~ 2003년(年) 4월(月) 22일(日)
2000년(年) 4월(月) 18일(日) ~ 2001년(年) 3월(月) 20일(日) 매주(每週) 화요일(火曜日) 밤 10시(時) 55분(分) ~ 11시(時) 55분(分)
2001년(年) 4월(月) 3일(日) ~ 2001년(年) 10월(月) 9일(日)
2001년(年) 11월(月) 8일(日) ~ 2001년(年) 12월(月) 27일(日) 매주(每週) 목요일(木曜日) 밤 10시(時) 55분(分) ~ 11시(時) 55분(分)
2002년(年) 1월(月) 10일(日) ~ 2002년(年) 3월(月) 21일(日) 매주(每週) 목요일(木曜日) 밤 11시(時) 5분(分) ~ 12시(時) 5분(分)
2002년(年) 4월(月) 2일(日) 화요일(火曜日) 밤 11시(時) 15분(分) ~ 12시(時) 15분(分)
2002년(年) 11월(月) 26일(日)
2003년(年) 3월(月) 25일(日)
2003년(年) 4월(月) 29일(日) ~ 2007년(年) 5월(月) 8일(日) 매주(每週) 화요일(火曜日) 밤 11시(時) 5분(分) ~ 12시(時)
2007년(年) 6월(月) 5일(日) ~ 2007년(年) 6월(月) 26일(日)
2007년(年) 7월(月) 10일(日) ~ 2007년(年) 8월(月) 14일(日)
2007년(年) 9월(月) 4일(日) ~ 2007년(年) 9월(月) 18일(日)
2007년(年) 10월(月) 30일(日) ~ 2008년(年) 4월(月) 15일(日)
2008년(年) 4월(月) 29일(日)
2008년(年) 5월(月) 27일(日) ~ 2008년(年) 7월(月) 29일(日)
2008년(年) 9월(月) 2일(日) ~ 2008년(年) 9월(月) 9일(日)
2008년(年) 9월(月) 23일(日) ~ 2008년(年) 10월(月) 14일(日)
2008년(年) 11월(月) 4일(日) ~ 2008년(年) 11월(月) 11일(日)
2009년(年) 3월(月) 3일(日) ~ 2009년(年) 4월(月) 14일(日)
2009년(年) 5월(月) 5일(日) ~ 2009년(年) 6월(月) 2일(日)
2009년(年) 7월(月) 14일(日)
2009년(年) 8월(月) 4일(日) ~ 2009년(年) 9월(月) 22일(日)
2010년(年) 1월(月) 5일(日) ~ 2010년(年) 4월(月) 20일(日)
2019년(年) 6월(月) 4일(日) ~ 2019년(年) 10월(月) 29일(日)
2007년(年) 5월(月) 22일(日) ~ 2007년(年) 5월(月) 29일(日) 매주(每週) 화요일(火曜日) 밤 11시(時) 15분(分) ~ 12시(時) 10분(分)
2007년(年) 10월(月) 9일(日) ~ 2007년(年) 10월(月) 16일(日)
2008년(年) 10월(月) 28일(日)
2008년(年) 11월(月) 18일(日) ~ 2008년(年) 12월(月) 23일(日)
2009년(年) 1월(月) 13일(日)
2009년(年) 2월(月) 17일(日) ~ 2009년(年) 2월(月) 24일(日)
2009년(年) 6월(月) 23일(日) ~ 2009년(年) 7월(月) 7일(日)
2009년(年) 7월(月) 28일(日)
2009년(年) 11월(月) 10일(日) ~ 2009년(年) 12월(月) 15일(日)
2010년(年) 6월(月) 8일(日) ~ 2013년(年) 3월(月) 19일(日)
2013년(年) 10월(月) 22일(日) ~ 2015년(年) 9월(月) 15일(日)
2008년(年) 9월(月) 16일(日) 매주(每週) 화요일(火曜日) 밤 11시(時) 15분(分) ~ 12시(時) 5분(分)
2009년(年) 9월(月) 29일(日) ~ 2009년(年) 11월(月) 10일(日)
2007년(年) 10월(月) 2일(日) 화요일(火曜日) 밤 11시(時) 20분(分) ~ 12시(時) 15분(分)
2008년(年) 4월(月) 22일(日)
2007년(年) 7월(月) 3일(日) 매주(每週) 화요일(火曜日) 밤 11시(時) 10분(分) ~ 12시(時) 5분(分)
2007년(年) 8월(月) 21일(日)
2007년(年) 10월(月) 23일(日)
2009년(年) 1월(月) 6일(日)
2009년(年) 2월(月) 3일(日) ~ 2009년(年) 2월(月) 10일(日)
2009년(年) 4월(月) 21일(日) ~ 2009년(年) 4월(月) 28일(日)
2009년(年) 6월(月) 9일(日) ~ 2009년(年) 6월(月) 16일(日)
2015년(年) 9월(月) 22일(日) ~ 2019년(年) 5월(月) 28일(日)
2019년(年) 11월(月) 5일(日) ~ 2020년(年) 3월(月) 17일(日)
2008년(年) 8월(月) 5일(日) 화요일(火曜日) 밤 11시(時) 35분(分) ~ 12시(時) 35분(分)
2008년(年) 10월(月) 21일(日) 화요일(火曜日) 밤 12시(時) 10분(分) ~ 1시(時) 5분(分)
2009년(年) 12월(月) 22일(日) 화요일(火曜日) 밤 11시(時) 15분(分) ~ 12시(時) 15분(分)
2010년(年) 6월(月) 1일(日) 화요일(火曜日) 밤 11시(時) 5분(分) ~ 12시(時) 25분(分)
2013년(年) 4월(月) 2일(日) 화요일(火曜日) 밤 10시(時) 55분(分) ~ 11시(時) 50분(分)
2013년(年) 4월(月) 16일(日) ~ 2013년(年) 10월(月) 15일(日) 매주(每週) 화요일(火曜日) 밤 11시(時) 20분(分) ~ 12시(時) 15분(分)
2019년(年) 10월(月) 22일(日) 매주(每週) 화요일(火曜日) 밤 11시(時) ~ 11시(時) 55분(分)
2020년(年) 3월(月) 24일(日) ~ 2020년(年) 5월(月) 12일(日)
2020년(年) 6월(月) 2일(日) 화요일(火曜日) 밤 10시(時) 50분(分) ~ 11시(時) 50분(分)
2020년(年) 6월(月) 9일(日) ~ 2020년(年) 9월(月) 8일(日) 매주(每週) 화요일(火曜日) 밤 10시(時) 50분(分) ~ 11시(時) 45분(分)
2021년(年) 3월(月) 2일(日) ~ 2021년(年) 3월(月) 9일(日)
2020년(年) 9월(月) 15일(日) ~ 2021년(年) 2월(月) 2일(日) 매주(每週) 화요일(火曜日) 밤 10시(時) 40분(分) ~ 11시(時) 35분(分)
2021년(年) 3월(月) 16일(日) ~ 2021년(年) 6월(月) 15일(日)
2021년(年) 6월(月) 22일(日) ~ 2021년(年) 11월(月) 30일(日) 매주(每週) 화요일(火曜日) 밤 10시(時) 30분(分) ~ 11시(時) 30분(分)
2021년(年) 12월(月) 14일(日) ~ 2023년(年) 2월(月) 21일(日)
2021년(年) 2월(月) 9일(日) ~ 2021년(年) 2월(月) 23일(日) 매주(每週) 화요일(火曜日) 밤 11시(時) ~ 11시(時) 55분(分)
2021년(年) 12월(月) 7일(日) 화요일(火曜日) 밤 10시(時) ~ 11시(時)
2023년(年) 2월(月) 28일(日) ~ 현재(現在) 매주(每週) 화요일(火曜日) 밤 9시(時) ~ 10시(時)

제작진(製作陣) [ 편집(編輯) ]

  • 책임(責任)프로듀서 : 박상준
  • 프로듀서 : 김종우
  • 연출(演出)PD : 황순규, 김보람, 이세진, 이규찬, 박종(鎛鐘)은, 박소희, 임다솔(多率), 정명훈
  • 조연출(助演出)PD : 신민경, 홍세정, 문효진, 이성재, 전건우, 양(量)다은, 최다(最多)솜
  • 구성작가(構成作家) : 정재홍(鄭在洪), 이아미, 장형운, 간민주(間民主), 김세진, 윤희영, 조희정, 장은정, 류(類)가영, 이소정
  • 취재작가(取材作家) : 고아영, 문옥현, 박은현, 이지후, 권하영, 권혜수, 조유미, 김도희, 배소윤, 조용기, 김세민, 강현우, 김진주, 이아현
  • 팩트체크 : 전서연

결방(決放) 사유(思惟) 및 편성(編成) 변경(變更) [ 편집(編輯) ]

1990년(年)
  • 5월(月) 1일(日)  : 《그래도 농촌(農村)을 포기(抛棄)할 수 없다》 편성(編成)으로 인(因)한 결방(決放). [4] [5]
1996년(年)
1997년(年)
  • 6월(月) 17일(日)  : 특별기획(特別企劃) 드라마 2편(篇) 연속(連續) 편성(編成)으로 인(因)한 결방(決放).
1999년(年)
2001년(年)
2005년(年)
2006년(年)
2008년(年)
2009년(年)
2010년(年)
2011년(年)
2012년(年)
2013년(年)
2014년(年)
2015년(年)
2016년(年)
2017년(年)
2018년(年)
2019년(年)
2020년(年)
2021년(年)
2022년(年)
2023년(年)
2024년(年)
  • 2월(月) 13일(日)  : 앙코르 VR다큐멘터리 너를 만났다 열셋, 열여섯 편성(編成)으로 인(因)한 결방(決放).
  • 2월(月) 20일(日)  : 특집(特輯) 다큐멘터리 무슈 전(前), 어느 노병(老兵)의 귀향(歸鄕) 편성(編成)으로 인(因)한 결방(決放).
  • 4월(月) 9일(日)  : 돌아온 레전드 수사반장 <1부(部)> 편성(編成)으로 인(因)한 결방(決放).

소재(所在) [ 편집(編輯) ]

황우석 사건(事件)

2005년(年) 11월(月) 22일(日) 〈황우석 신화(神話)의 난자(卵子) 의혹(疑惑)〉편(篇)에서 황우석 교수(敎授)의 줄기세포(細胞) 연구(硏究)와 관련(關聯)하여 비판적(批判的)인 보도(報道)(실험용(實驗用) 난자매매(卵子賣買) 의혹(疑惑))를 했다. 황우석 씨(氏)를 비판(批判)하는 것이 국익(國益)에 반(反)하는 것이라 여겨 PD수첩(手帖)을 비난(非難)하는 여론(輿論)이 있었다. 당시(當時) 14개(個) 광고주(廣告主)가 계약(契約)을 취소(取消)해서, 문화방송은 광고(廣告) 없이 방송(放送)돼야 했다.

PD수첩(手帖)의 방송(放送) 직후(直後) 논문(論文)의 의혹(疑惑)에 대(對)해 누리꾼들이 비이성적(非理性的)으로 대처(對處)하는 동안, 생물학(生物學) 전공(專攻) 연구원(硏究員) 및 학생(學生)들은 생물학연구정보(生物學硏究情報)센터(BRIC) 의 게시판(揭示板) 소리마당을 통하여 연구(硏究) 결과(結果)의 문제점(問題點)을 과학적(科學的)으로 조목조목(條目條目) 지적(指摘)하였다. 12월(月) 5일(日)에 논문(論文)의 사진(寫眞) 중복(重複)에 대(對)한 제보(提報)가 처음 올라왔고, 12월(月) 6일(日)에는 논문(論文)에서 DNA 지문(指紋) 비교(比較)가 조작(造作)되었을 가능성(可能性)을 지적(指摘)하는 글이 올라왔다. 이 의혹(疑惑)은 모두 사실(事實)로 밝혀졌고 결국(結局) 황우석 교수(敎授)는 12월(月) 17일(日) 기자회견(記者會見)을 통해서 '인위적(人爲的) 실수(失手)'라는 표현(表現)으로 논문(論文) 조작(造作)을 사실상(事實上) 시인(是認)하면서 PD수첩(手帖)의 보도(報道)는 사실(事實)로 입증(立證)되었다. 하지만 그와 함께 취재과정(取材過程)에서 취재윤리(取材倫理)를 일부(一部) 위반(違反)한 것도 확인(確認)되었다.

2005년(年) 12월(月) 4일(日) MBC 측(側)은 PD수첩(手帖)이 황우석 교수(敎授)의 줄기세포(細胞)와 관련(關聯)한 보도(報道)에서 취재(取材) 윤리(倫理)를 어기면서 무리(無理)하게 취재(取材)했음을 인정(認定)하였다. MBC 측(側)은 인사위원회(人事委員會)를 열고 취재(取材) 윤리(倫理) 위반(違反)과 관련(關聯)해 최승호 책임(責任) PD, 한학수 PD에게 감봉(減俸) 1개월(個月), 최진용 시사교양국장(時事敎養局長)에게 근신(謹愼) 15일(日) 등(等)의 징계(懲戒)를 내리기로 하였다. 이하(以下)는 취재(取材) 목록(目錄)이다.

  • 659회(回) 2005년(年) 11월(月) 22일(日)《황우석 신화(神話)의 난자(卵子) 의혹(疑惑)》
  • 661회(回) 2005년(年) 12월(月) 15일(日)《[특집(特輯)] PD수첩(手帖)은 왜 재검증(再檢證)을 요구(要求)했는가?》
  • 662회(回) 2006년(年) 1월(月) 3일(日)《줄기세포(細胞) 신화(神話)의 진실(眞實)》
  • 663회(回) 2006년(年) 1월(月) 10일(日)《황우석 신화(神話), 어떻게 만들어졌나!》
  • 664회(回) 2006년(年) 1월(月) 17일(日)《생명과학(生命科學) 위기(危機)를 넘어》
광우병(狂牛病)

2008년(年) 4월(月) 29일(日) 《미국산(美國産) 쇠고기, 과연(果然) 광우병(狂牛病)에서 안전(安全)한가?》편에서 이명박(李明博) 정부(政府)의 미국(美國) 쇠고기 수입협상(輸入協商)의 오류(誤謬)를 지적(指摘)하고 광우병(狂牛病)의 위험성(危險性)을 주장(主張)하였다. 그러나 정부(政府), 여당(與黨), 보수(保守) 신문(新聞) ( 조선일보(朝鮮日報) , 중앙일보(中央日報) , 동아일보(東亞日報) 등(等)) 등(等)은 광우병(狂牛病) 위험(危險)이 과장(課長) 왜곡(歪曲)되었다고 주장(主張)하였으며, 야당(野黨)과 진보(進步) 신문(新聞)( 한겨레 , 경향(傾向) , 오마이뉴스 등(等))은 '사소(些少)한 실수(失手)가 있었을 뿐 정부(政府)가 협상(協商)을 잘못한 본질(本質)은 변(變)하지 않았다'고 주장(主張)하며 논란(論難)이 되었다 [9] . 이에 언론중재위원회(言論仲裁委員會)는 농림수산식품부(農林水産食品部)가 제기(提起)한 <문화방송(文化放送)> 피디수첩(手帖)의 ‘긴급취재(緊急取材)! 미국산(美國産) 쇠고기, 광우병(狂牛病)에서 안전(安全)한가’ 방송(放送) 내용(內容) 중(中) 일부(一部) 정정(訂正)·반론(反論) 요청(要請)에 대(對)해 “정정(政情)·반론(反論) 취지문(趣旨文) 보도(報道)가 필요(必要)하다”고 직권(職權) 결정(決定)을 하고 [10] , 아레사 빈슨양(羊)의 사인이 미국질병관리센터(CDC)에 의(依)해 인간(人間) 광우병(狂牛病)이 아닌 것으로 판정(判定) [11] 이 나면서 이에 대(對)한 논란(論難)이 가중(加重)되었다.

또한 방송통신심의위원회(放送通信審議委員會)는 2008년(年) 4월(月) 29일(日)과 5월(月) 13일(日)에 방송(放送)한 '미국산(美國産) 쇠고기, 과연(果然) 광우병(狂牛病)에서 안전(安全)한가' 편(篇)에 대(對)해 ‘시청자(視聽者)에 대(對)한 사과(謝過)’게재(揭載) 중징계(重懲戒)를 내려 MBC는 방송통신심의(放送通信審議)위가 보내온 사과문(謝過文)을 낭독(朗讀)했다. 문화방송노조(勞組)는“사과 방송(放送) 수용(收容)은 이명박 정권(政權)에 대(對)한 굴복(屈服)이며 백기투항(白旗投降)하는 것”이라며 엄기영 사장(社長)의 퇴진(退陣)까지 고려(考慮)한 투쟁(鬪爭)을 펼치겠다고 밝혔다 [12] .

서울남부지방법원(南部地方法院)은 농림수산식품부(農林水産食品部)가 청구(請求)한 7개(個) 정정(訂正) 및 반론보도(反論報道) 내용(內容) 중(中) PD수첩(手帖)이 '주저앉은 소'를 광우병(狂牛病)에 걸렸거나 걸렸을 가능성(可能性)이 큰 소로 보도(報道)한 내용(內容), 대한민국(大韓民國) 국민(國民)이 광우병(狂牛病)에 더 걸릴 가능성(可能性)이 많다고 보도(報道)한 내용(內容) 2개(個)에 대(對)해서는 정정보도(訂正報道)를 해야 한다고 판결(判決)했다. 또 정부(政府)가 특정위험물질(特定危險物質)(SRM) 5개(個)의 수입(輸入)을 허용(許容)한 것처럼 보도(報道)했다는 부분(部分)에 대(對)해서는 반론보도(反論報道)를 해야 한다고 밝히고 나머지 4개(個)는 기각(棄却)했다. [13] 이에 대(對)해 MBC 피디수첩측(手帖側)은 서울 남부지방법원(南部地方法院) 재판부(裁判部)의 판단(判斷)은 자의적(恣意的) 판단(判斷)이라며 항소(抗訴)를 하였으나 2009년(年) 6월(月)17일(日) 서울고법(高法) 민사(民事)13부(部)(재판장(裁判長) 여상훈)는 "MBC는 3가지 부분(部分)의 허위보도(虛僞報道)에 대(對)해 정정보도문(訂正報道文)을 방송(放送)하라"고 판결(判決)했다.

재판부(裁判部)가 PD수첩(手帖) 보도(報道) 내용(內容) 중(中) 정정보도(訂正報道) 대상(對象)으로 정(定)한 부분(部分)은 다음과 같다.

  • "한국인(韓國人)이 광우병(狂牛病)에 걸린 쇠고기를 섭취(攝取)할 경우(境遇) 인간(人間) 광우병(狂牛病)이 발병(發病)할 확률(確率)이 94%에 이르며, 이는 영국인(英國人)보다 3배(倍) 미국인(美國人)보다 2배(倍) 높은 수치(數値)"
  • "미국(美國)에서 인간(人間) 광우병(狂牛病)이 발생(發生)한다고 해도 우리 정부(政府)가 독자적(獨自的)으로 할 수 있는 일이 아무것도 없다"
  • "우리 측(側) 협상(協商)팀이 미국(美國) 도축(屠畜)시스템을 잘 몰랐거나 알면서도 위험성(危險性)을 은폐(隱蔽) 또는 축소(縮小)하려 한 게 아닌가"

재판부(裁判部)는 PD수첩(手帖) 보도내용(報道內容) 중(中) 이른바 주저앉는 소(다우너 소)들이 광우병(狂牛病)에 걸린 것처럼 위험성(危險性)을 과장(課長) 왜곡(歪曲)한 부분(部分)에 대(對)해서도 "허위보도(虛僞報道)"라는 판단(判斷)을 내리면서도, PD수첩(手帖)이 이 부분(部分)에 대(對)해서는 이미 정정(訂正)과 사과방송(謝過放送)을 한 점(點)이 인정(認定)된다며 이번(이番) 정정보도(訂正報道) 판결(判決) 대상(對象)에는 포함(包含)시키지 않았다. [14] 검찰수사(檢察搜査)와 관련(關聯)한 공정성여부(公正性與否)에 대(對)해 검찰(檢察)과 피디수첩측(手帖側)은 다른 주장(主張)을 하고 있다. [15] [16]

이하(以下)는 취재(取材) 목록(目錄)이다.

  • 2008년(年) 4월(月) 29일(日) 769회(回) 《긴급취재(緊急取材), 미국산(美國産) 쇠고기, 과연(果然) 광우병(狂牛病)에서 안전(安全)한가?》
  • 2008년(年) 5월(月) 13일(日) 771회(回) 《미국산(美國産) 쇠고기, 과연(果然) 광우병(狂牛病)에서 안전(安全)한가? 2》
  • 2008년(年) 5월(月) 27일(日) 772회(回) 《미국산(美國産) 쇠고기 수입(輸入)과 언론(言論) 보도(報道)》
  • 2008년(年) 6월(月) 24일(日) 776회(回) 《쇠고기추가협상(追加協商)과 PD수첩(手帖) 오보논란(誤報論難)의 진실(眞實)》
  • 2008년(年) 7월(月) 15일(日) 779회(回) 《PD수첩(手帖) 진실(眞實)을 왜곡(歪曲)했는가?》
  • 2009년(年) 4월(月) 28일(日) 811회(回) 《한미(韓美) 쇠고기 협상(協商), 그 후(後) 1년(年)》

2010년(年) 1월(月) 19일(日), 검찰(檢察)이 광우병(狂牛病) 관련(關聯) 보도(報道)를 하였던 PD수첩(手帖) 제작진(製作陣)에게 협상단(協商團) 등(等)에 대(對)한 명예훼손(名譽毁損) 혐의(嫌疑)로 기소(起訴)한 사건(事件)에 대(對)해 법원(法院)은 이들 전원(全員)에게 무죄(無罪) 판결(判決)을 내렸다. [17] 판결(判決)에서 판사(判事)는 다우너 소, 아레사 빈슨 허위(虛僞) 번역(飜譯), 명예훼손(名譽毁損), 업무방해(業務妨害) 등(等)의 모든 혐의(嫌疑)를 부정(否定)했다.

2010년(年) 1월(月) 26일(日), 서울남부지법(서울南部地法) 민사합의(民事合議)15부(部)(판사(判事) 김성곤(金星坤))는 시민(市民)과 함께하는 변호사(辯護士)들 (시변)이(李) PD수첩(手帖)의 미국산(美國産) 쇠고기 광우병(狂牛病) 왜곡방송(歪曲放送)으로 정신적(精神的) 피해(被害)를 봤다며 MBC를 상대(相對)로 낸 사과방송(謝過放送)·정정보도(訂正報道)·손해배상(損害賠償) 청구(請求)를 모두 기각(棄却)하고 원고패소(原告敗訴) 판결(判決)했다. 재판부(裁判部)는 "민주사회(民主社會)에서 사과(謝過)를 강요(强要)하는 것은 양심(良心)의 자유(自由)에 반한다는 헌법재판소(憲法裁判所)와 대법원(大法院)의 판례(判例)에 따라 사과방송(謝過放送) 청구(請求)를 허용(許容)할 수 없다"며 "직접(直接) 관련자(關聯者)가 아니기 때문에 정정보도(訂正報道) 요구(要求)도 받아들일 수 없다"고 밝혔다. 또한 손해배상(損害賠償) 청구(請求)에 대(對)해서도 "보도(報道)된 내용(內容)이 다소(多少) 사실(事實)과 다르더라도 국민(國民)의 알 권리(權利) 충족(充足) 및 정부정책(政府政策) 비판(批判) 등(等) 언론(言論) 기능(機能)을 고려(考慮)할 때 방송사(放送社)에게 손해배상책임(損害賠償責任)을 인정(認定)한다면 비판기능(批判機能)이 위축(萎縮)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18]

2010년(年) 12월(月) 7일(日) 검찰(檢察)의 항소(抗訴)로 진행(進行)된 2심(審) 공판(公判)에서 법원(法院)은 PD수첩(手帖) 제작진(製作陣)에 대(對)해 무죄(無罪) 판결(判決)을 내렸다. 재판부(裁判部)는 ‘다우너 소’(주저앉는 소)가 광우병(狂牛病)에 걸렸다는 부분(部分), 미국인(美國人) 아레사 빈슨의 사망(死亡) 원인(原因)이 광우병(狂牛病)이란 부분(部分), 한국인(韓國人)의 MM형(型) 유전자(遺傳子)가 광우병(狂牛病) 발병(發病) 등(等)에서 일부(一部) 허위(虛僞) 사실(事實)이 인정(認定)되나, 명예(名譽)를 훼손(毁損)하거나 업무(業務)를 방해(妨害)하려는 고의(故意)가 있었다고 보긴 어렵고 언론(言論)의 자유(自由)를 폭넓게 보장(保障)한 우리 헌법(憲法)에 비춰볼 때 형사처벌(刑事處罰) 대상(對象)이 아니다”고 판단(判斷)했다. [19]

검사(檢査)와 스폰서

2010년(年) 4월(月) 20일(日) 문화방송(文化放送) 의 PD수첩(手帖)에서 방영(放映)한 아이템이다. 부산(釜山)에서 건설업(建設業)을 하는 제보자(提報者)가 스스로 '57명(名)의 전현직(前現職) 검사(檢事)에 지속적(持續的)인 금전(金錢)/향응(饗應)/성상납(性上納) 등(等)의 스폰서 행위(行爲)를 해왔다'고 밝힌 문서(文書)가 취재(取材)의 단초(端初)가 되었다. PD수첩(手帖)은 이 문서(文書)의 제보자(提報者) 및 주변인물(周邊人物)들과의 인터뷰를 통하여 스폰서 행위(行爲)의 사실관계(事實關係)를 확인(確認)하였으나, 이 프로그램에서 실명(實名)이 거론(擧論)된 두명(名)의 검사(檢事)( 한승철 / 박기준 )는 제보자(提報者)의 발언(發言)에 신빙성(信憑性)이 없다며 스폰서 사실(事實)을 부인(否認)했다. 22일(日) 성낙인 서울대(서울大) 법대(法大) 교수(敎授)를 위원장(委員長)으로 한 스폰서 검사(檢査) 의혹(疑惑) 규명(糾明)을 위한 진상규명위원회(眞相糾明委員會) 가 발족(發足)되었다.

PD수첩(手帖)의 보도(報道)는 큰 파장(波長)과 호응(呼應)을 불러 일으켰다. 해당(該當) 홈페이지에는 5000여(餘) 건(件)의 격려(激勵) 글이 쏟아졌으며 언론(言論)의 존재(存在) 이유(理由)를 보여준 것이란 평가(評價)를 받았다. 성공회대(聖公會大) 김서중 교수(敎授)는 이번(이番) 보도(報道)에 대(對)해“이번 보도(報道)는 집권세력(執權勢力)들이 왜 MBC를 장악(掌握)하려는지를 잘 보여준 사례(事例)”라고 평가(評價)했다. [20]

6월(月) 8일(日) PD수첩(手帖)은 '검사(檢事)와 스폰서' 2편(篇)을 방영(放映)하였고, 이 역시(亦是) 큰 호응(呼應)을 불러왔다. 정치권(政治權)에서도 검찰(檢察)의 비리문제(非理問題)와, 기소독점주의(起訴獨占主義)와 같은 부분(部分)에 대(對)한 개혁(改革)이 필요(必要)하다는데 공감(共感)하였으며, 6월(月) 15일(日) 여야(與野)는 검사(檢事)들의 향응접대(饗應接待)나, 금품수수(金品收受)에 대(對)한 수사(搜査)를 할 특별검사(特別檢事) 를 도입(導入)하기로 합의(合意)하였다. [21]

총리실(總理室)의 민간인(民間人) 사찰(査察) 사건(事件)

2010년(年) 6월(月) 29일(日)부터 2주간(週間) "이 정부(政府)는 왜 나를 사찰(査察)했나?"와, "민간인(民間人) 사찰(査察) 의혹(疑惑), 아직 풀리지 않았다"를 내보냈다. 이 보도(報道)로 인한 파장(波長)이 커져 정치권(政治權)에서도 논란(論難)의 중심(中心)에 일었으며, 청와대(靑瓦臺)와 친이계(親李系)의 권력(權力) 다툼으로 비화(飛火)되기도 했다.

4대강(大江) 사업(事業) 의혹(疑惑)

2010년(年) 8월(月) 17일(日), 당일(當日) 방송(放送) 예정(豫定)이던 "4대강(大江) 수심(水深) 6m ··· 누가 밀어 붙였나?"에 국토해양부(國土海洋部) 4대강(大江)살리기 추진본부(推進本部)는 MBC PD수첩(手帖)이 방송(放送)을 앞두고 사전배포(事前配布)한 보도자료(報道資料)가 명백(明白)한 허위사실(虛僞事實)인데도 신문(新聞)과 방송(放送), 인터넷 등(等)을 통해 급속(急速)하게 확산(擴散)되고 있어 방송금지(放送禁止) 가처분(假處分) 신청(申請)을 서울남부지방법원(南部地方法院) 에 냈다고 밝혔다. [22] 그러나 서울남부지법(서울南部地法) 민사(民事)51부(部)(양재영 부장판사(部長判事))는 국토해양부(國土海洋部)가 낸 방송금지(放送禁止) 가처분(假處分) 신청(申請)을 기각(棄却)했다. 재판부(裁判部)는 결정문(決定文)에서, "기록(記錄)만으로는 방송예정(放送豫定)인 프로그램의 내용(內容)이 명백히(明白히) 진실(眞實)이 아니고 방송(放送) 목적(目的)이 공공(公共)의 이익(利益)에 부합(符合)하지 않는다고 보기 어렵다. 또한 방송(放送)이 이뤄진다고 해서 신청인(申請人)에게 중대(重大)하고 회복(回復)하기 어려운 손해(損害)를 입힐 우려(憂慮)가 있다는 점(點)에 대(對)한 소명(疏明)이 부족(不足)하다"라고 밝혔다. [23] 'PD수첩(手帖)' 제작진(製作陣)에 주장(主張)에 의(依)하면 김재철(金在哲) 문화방송 사장(社長)은 임원회의(任員會議)에서 사규위반(社規違反)을 이유(理由)로 처음에 방송(放送) 보류(保留)를 지시(指示)했다고 한다. [24] 그러나 이 방송(放送)은 2010년(年) 8월(月) 24일(日)에 방송(放送)된다. [25]

무릎 기도(企圖) 사건(事件)

2011년(年) PD 수첩(手帖) 제작진(製作陣)의 물갈이 이후(以後) 3월(月) 1일(日) 이명박(李明博) 대통령(大統領)의 국가조찬기도회(國家朝餐祈禱會) 무릎 기도(企圖) 사건(事件)을 다루는 것을 금지(禁止)하였다. [26]

귀농(歸農),귀촌(歸村) 악몽(惡夢)이 된 인생(人生)2막(幕)

날림공사(工事)를 포함(包含)하여 공사중단도(工事中短刀) 있으며, 농촌(農村)에서 생활(生活)하는데 참고(參考)해야 한다.

사건(事件) 및 사고(事故) [ 편집(編輯) ]

참고(參考) 사항(事項) [ 편집(編輯) ]

  • 오랫동안 매주(每週) 화요일(火曜日) 심야(深夜) 시간대(時間帶)를 유지(維持)하였으며, 2023년(年) 34년(年)만에 밤 9시(時)로 변경(變更)되었다.

수상(受賞) 경력(經歷) [ 편집(編輯) ]

  • YMCA 올해 좋은 프로그램상(上)
  • 제(第)1회(回) 앰네스티 언론상(言論賞)
  • 한국기자협회(韓國記者協會), 이달의 기자상(祈子床) 특별상(特別賞)
  • 제(第)7회(回) 송건호언론상(言論賞)
  • 한국(韓國)PD연합회(聯合會), 제(第)108회(回) 이달의 PD상(賞)

탐사보도(探査報道) 경쟁(競爭) 프로그램 [ 편집(編輯) ]

같이 보기 [ 편집(編輯) ]

각주(各州) [ 편집(編輯) ]

  1. 2007년(年) 11월(月) 부터 2008년(年) 8월(月) 까지 생방송(生放送)으로 진행(進行)하였으며, 2007년(年) 부터 현재(現在)의 시그널로 변경(變更)되었다.
  2. 손정인 (2001년(年) 10월(月) 30일(日)). “[방송가(放送街)] 방송(放送)3사(社) 가을 개편(改編) `오락성(娛樂性) 강화(强化)`” . 국제신문(國際新聞) . 2018년(年) 9월(月) 18일(日)에 확인(確認)함 .  
  3. 길덕 (2001년(年) 12월(月) 25일(日)). “MBC 시트콤 '연인들' 표절의혹(剽竊疑惑)” . 한국경제(韓國經濟) . 2018년(年) 9월(月) 18일(日)에 확인(確認)함 .  
  4. 최성민 한겨레신문 여론매체부(輿論媒體部) 기자(記者) (2010년(年) 8월(月) 17일(日)). “MBC장악(掌握) 노린 손주환.최창봉의 오판(誤判)” . 민중(民衆)의소리.  
  5. MBC 김재철(金在哲) 사장(社長), PD수첩(手帖) 4대강(大江) 비밀(祕密)팀, 방송(放送) 보류(保留)하라 지시(指示) 《노컷뉴스》2010.8.17
  6. MBC 사장(社長) 최종후보(最終候補), 구영회 김재철(金在哲) 박명규
  7. PD수첩(手帖) ‘4대강(大江) 수심(水深) 6m 비밀(祕密)’ 김재철(金在哲) MBC사장(社長) 지시(指示)로 불방(不放) 동아일보(東亞日報)
  8. PD수첩(手帖) '4대강편(大江便)' 24일(日) 방송(放送)될 듯
  9. “두 개(個)의 시선(視線), ‘미디어와 미디어 대리전쟁(代理戰爭)’” . 브레이크뉴스. 2008년(年) 7월(月) 16일(日). 2013년(年) 11월(月) 5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10. ““언론중재(言論仲裁)위, PD수첩(手帖) 정정(訂正)·반론보도(反論報道) 결정(決定)”” . 한겨레. 2008년(年) 5월(月) 19일(日).  
  11. 법원(法院)·검찰(檢察)·방통심의위(放通審議會) ‘광우병(狂牛病) 왜곡(歪曲)-허위보도(虛僞報道)’ 확인(確認) 문화일보(文化日報), 2008-08-01
  12. “이대로 갈 수는 없다” . PD저널. 2008년(年) 9월(月) 9일(日).  
  13. 법원(法院), PD수첩(手帖) 광우병(狂牛病) 정정보도(訂正報道)하라 Archived 2013년(年) 11월(月) 6일(日) - 웨이백 머신 매일경제(每日經濟), 2008-07-31
  14. 고법(高法)(高法)도 "PD수첩(手帖) 광우병(狂牛病) 정정보도(訂正報道)하라" - 1등(等) 인터넷뉴스 조선닷컴
  15. 대검찰청(大檢察廳) 대변인(代辯人) 조은석 (2009년(年) 4월(月) 1일(日)). “PD수첩(手帖) 사건(事件) 관련(關聯) 언론탄압(言論彈壓) 주장(主張)에 대(對)한 입장(立場)” . 검찰(檢察) . 2009년(年) 4월(月) 29일(日)에 확인(確認)함 .   [ 깨진 링크 ( 과거(過去) 내용(內容) 찾기 )]
  16. http://www.imbc.com/broad/tv/culture/pd/board2/index.html
  17. “`광우병(狂牛病) 보도(報道)' PD수첩(手帖) 제작진(製作陣) 무죄(無罪)(종합(綜合))” . 연합뉴스(聯合뉴스). 2010년(年) 1월(月) 20일(日). 2010년(年) 1월(月) 28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10년(年) 1월(月) 22일(日)에 확인(確認)함 .  
  18. 박민식(朴敏植) (2010년(年) 1월(月) 26일(日)). “법원(法院), PD수첩(手帖) 손해배상(損害賠償) 청구(請求) 또 기각(棄却)” . 한국일보(韓國日報) . 2013년(年) 11월(月) 3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10년(年) 1월(月) 27일(日)에 확인(確認)함 .  
  19. PD수첩(手帖) 광우병(狂牛病) 보도(報道) 상당수(相當數) 허위(虛僞)지만 무죄(無罪) 세계일보(世界日報)
  20. 강진구 기자(記者) (2010년(年) 4월(月) 23일(日)). “PD수첩(手帖)의 ‘존재(存在) 이유(理由)’” . 경향신문(京鄕新聞) . 2010년(年) 4월(月) 23일(日)에 확인(確認)함 .  
  21. 여야(與野), 세종시법(世宗市法)·스폰서검사(檢事) 특검법(特檢法) 6월(月) 처리(處理) '합의(合意)' 뉴시스 2010년(年) 6월(月) 15일(日)
  22. “국토부(國土部), PD 수첩(手帖) '4대강(大江) 수심(水深) 6m의 비밀(祕密)' 방송금지(放送禁止) 가처분(假處分) 신청(申請)” . YTN . 2010년(年) 8월(月) 17일(日) . 2010년(年) 8월(月) 17일(日)에 확인(確認)함 .  
  23. 인터넷 뉴스팀 (2010년(年) 8월(月) 17일(日)). “PD수첩(手帖) ‘4대강(大江) 비밀(祕密)팀’ 방송금지(放送禁止) 가처분(假處分) 기각(棄却)” . 동아일보(東亞日報) . 2010년(年) 8월(月) 17일(日)에 확인(確認)함 .  
  24. 조은별 (2010년(年) 8월(月) 17일(日)). “MBC 김재철(金在哲) 사장(社長) "'PD수첩(手帖) 4대강(大江) 비밀(祕密)팀', 방송(放送) 보류(保留)하라" 지시(指示)(종합(綜合))” . 노컷뉴스 . 2010년(年) 8월(月) 17일(日)에 확인(確認)함 .  
  25. MBC PD수첩(手帖) ‘4대강(大江) 수심(水深) 6m의 비밀(祕密)’ 방영(放映) 이후(以後) 2010.8.26 서울신문(서울新聞)
  26. 고동우 기자(記者) (2011년(年) 3월(月) 7일(日)). ' MB 무릎 기도사건(企圖事件)' 보도(報道) PD수첩(手帖) '입막음 ' . 미디어오늘 . 2011년(年) 3월(月) 8일(日)에 확인(確認)함 .  

외부(外部) 링크 [ 편집(編輯) ]

MBC TV 화요일(火曜日) 프로그램
이전(移轉) PD수첩(手帖) 다음
MBC 뉴스데스크 이 외진 마을에 왜와썹
저녁 7시(時) 40분(分) 밤 9시(時) 밤 10시(時)