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KBO 리그 -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본문(本文)으로 이동(移動)

KBO 리그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KBO 리그
KBO 구(區) 로고
종목(種目) 야구(野球)
개최국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大韓民國)
선수단(選手團) 10
하위(下位) 리그 KBO 퓨처스리그
웹사이트 KBO
역사(歷史)
설립(設立) 1982년(年) (42년(年) 전(前)) ( 1982 )
최다(最多) 우승(優勝) KIA 타이거즈 (11회(回))
최근(最近) 우승(優勝) LG 트윈스 ( 2023 )
현재 스포츠 경기 2024년(年) KBO 리그

KBO 리그 ( 영어(英語) : KBO League )는 대한민국(大韓民國) 프로 야구(野球) 리그이다. 1981년(年) 12월(月) 11일(日) 총(總) 6개(個) 구단(球團)이 한국(韓國)프로야구창립총회(野球創立總會) 에 참가(參加)하여 프로야구(野球) 출범(出帆)을 공표(公表)하여 구체화(具體化)되었다.

출범(出帆) 배경(背景) [ 편집(編輯) ]

1979년(年) 12·12 반란(叛亂) 1980년(年) 5·18 계엄령(戒嚴令) 으로 정권(政權)을 잡아 집권(執權)한 전두환(全斗煥) 은 소위(所謂) ' 3S 정책(政策) '을 이용(利用)했다. [1] 1981년(年) 당시(當時) 대통령(大統領) 전두환은 청와대(靑瓦臺) 수석비서관(首席祕書官) 회의(會議)에서 국민정서(國民情緖), 이야기를 하다가 "프로 스포츠 한번(한番) 해봐라"라고 지시(指示)를 내렸다. [2] 실무(實務)를 담당(擔當)한 이상주 당시(當時) 대통령비서실(大統領祕書室) 교육문화수석(敎育文化首席) 비서관(祕書官)은 대통령(大統領)의 지시(指示)대로 대한야구협회 대한축구협회 에 프로화(化)를 타진(打診)하고, 당시(當時) 야구(野球) 선수인(選手人)이었던 이호헌과 이용(利用)일이 18쪽 분량(分量)의 '프로야구창립계획서(野球創立計劃書)'를 만들게 되었다. [3] 축구계(蹴球界)가 프로화(化)에 막대(莫大)한 비용(費用)이 든다고 보고(報告)한 것과 달리 야구계(野球界)는 "정부(政府) 보조(補助) 한 푼 없이 프로 야구(野球)를 출범(出帆)시킬 수 있다"라고 보고(報告)했고, 이 제안(提案)이 당시(當時) 집권자(執權者)들의 구미(口味)를 당기게 되었다. 이후(以後) 각(各) 지역(地域)을 연고지별(緣故地別)로 분할(分割)하고 창단(創團) 기업(企業)을 물색(物色)하게 되었다.

프로 야구(野球)에 참여(參與)할 기업(企業)을 선정(選定)할 때는 모기업(母企業)의 조건(條件)은 재무구조(財務構造)가 건실(健實)한 상시노동자(常時勞動者) 3만명(萬名) 이상(以上)의 대기업(大企業)이었다. 초기(初期) 기획단계(企劃段階)에서 연고지(緣故地) 배정(配定)은 서울은 MBC , 부산(釜山)은 롯데 였다. [2] 정치인(政治人)들은 자신(自身)의 혈연(血緣), 지연(地緣), 학연(學緣)들을 모조리 동원(動員)해 그룹총수(總帥)들을 설득(說得)하기 시작(始作)했고 그에 의(依)해 두산(斗山)그룹 이 자사(自社) 주류(酒類) OB 의 이름을 내걸고 충청권(忠淸圈)에 들어오게 되었다. 그리고 역시(亦是) 정계인물(政界人物)들과 관계(關係)가 돈독(敦篤)했던 해태 의 박건배 회장(會長)이 전라권(全羅圈)에 해태를 참여시켰다.

역사(歷史) [ 편집(編輯) ]

현재(現在) 참가(參加) 구단(球團) [ 편집(編輯) ]

팀명 지역(地域) 홈 경기장(競技場) 제(第)2 홈 경기장(競技場) 창단(創團) 리그 참가(參加) 시작(始作) 감독(監督)
롯데 자이언츠 부산(釜山) 사직야구장 울산(蔚山)문수야구장(野球場) 1975년(年) 1982년(年) 김태형
KIA 타이거즈 광주(光州) 광주(光州)기아챔피언스필드 빈칸 1982년(年) 이범호
삼성(三星) 라이온즈 대구(大邱) 대구(大邱)삼성라이온즈파크 포항야구장(浦項野球場) 박진만
LG 트윈스 서울 서울종합운동장(綜合運動場) 야구장(野球場) 빈칸 염경엽
두산 베어스 빈칸 이승엽(李承燁)
키움 히어로즈 고척스카이돔 빈칸 2008년(年) 2008년(年) 홍원기
SSG 랜더스 인천(仁川) 인천(仁川)SSG랜더스필드 빈칸 2000년(年) 2000년(年) 이숭용
KT 위즈 수원(水原) 수원(水原)케이티위즈파크 빈칸 2013년(年) 2015년(年) 이강철
한화 이글스 대전(大戰) 대전한화생명이글스파크 청주야구장(淸州野球場) 1986년(年) 1986년(年) 김경문
NC 다이노스 창원(昌原) 창원(昌原)NC파크 빈칸 2011년(年) 2013년(年) 강인권

과거(過去) 참가(參加) 구단(球團) [ 편집(編輯) ]

경기장(競技場) [ 편집(編輯) ]

명칭(名稱) 사진(寫眞) 좌석수(座席數) 수용인원(收容人員) 주차면적(駐車面積) 도시(都市) 홈 구단(球團) 개장(開場) 연도(鳶島) 홈 팀 덕아웃 비고(備考)
창원(昌原)NC파크 17,861 22,112 창원(昌原) NC 다이노스 2019년(年) 1루측(壘側) 천연(天然) 잔디 구장(球場).
외야(外野) 펜스 부근(附近) 분리형(分離型) 불펜.
대구(大邱)삼성라이온즈파크 24,000 29,178 1,116 대구(大邱) 삼성(三星) 라이온즈 2016년(年) 3루측(壘側) 2016년(年) 초(初) 준공(竣工).
국내(國內) 최초(最初) 팔각형(八角形) 구장(球場).
천연(天然) 잔디 구장(球場).
외야(外野) 파울 존 부근(附近) 분리형(分離型) 불펜.
고척스카이돔 16,000 22,258 [4] 484 서울 키움 히어로즈 2015년(年) 1루측(壘側) 인조(仁祖) 잔디 구장(球場).
폐쇄형(閉鎖型) 지하(地下)불펜.
광주(光州)기아챔피언스필드 20,500 27,000 1,106 광주(光州) KIA 타이거즈 2014년(年) 3루측(壘側) 천연(天然) 잔디 구장(球場).
국내(國內) 최초(最初)의 개방형(開放型) 구장(球場).
외야(外野) 펜스 부근(附近) 분리형(分離型) 불펜.
인천(仁川)SSG랜더스필드 23,000 25,000 4,002 인천(仁川) SSG 랜더스 2002년(年) 1루측(壘側) 천연(天然) 잔디 구장(球場).
외야(外野) 펜스 부근(附近) 분리형(分離型) 불펜.
[5] [6] [7] [8]
수원(水原)케이티위즈파크 18,700 25,000 1,318 수원(水原) KT 위즈 1989년(年) 1루측(壘側) 2014년(年) 리모델링.
천연(天然) 잔디 구장(球場).
외야(外野) 파울 존 부근(附近) 분리형(分離型) 불펜. [9]
사직야구장 22,990 27,500 부산(釜山) 롯데 자이언츠 1985년(年) 1루측(壘側) 천연(天然) 잔디 구장(球場).
외야(外野) 파울 존 부근(附近) 분리형(分離型) 불펜.
[6] [7] [10] [11] [12]
서울종합운동장(綜合運動場) 야구장(野球場) 23,750 25,000 1,279 서울 LG 트윈스
두산 베어스
1982년(年) 1루측(壘側) 천연(天然) 잔디 구장(球場).
내야 파울 존 부근(附近) 분리형(分離型) 불펜.
대전한화생명이글스파크 12,000 13,042 대전(大戰) 한화 이글스 1964년(年) 1루측(壘側) 천연(天然) 잔디 구장(球場). [13]
외야(外野) 펜스 부근(附近) 분리형(分離型) 불펜. [14] [15] [16]

제(第)2홈구장 [ 편집(編輯) ]

명칭(名稱) 사진(寫眞) 좌석수(座席數) 도시(都市) 홈 구단(球團) 개장(開場) 연도(鳶島) 홈 팀 덕아웃 비고(備考)
울산(蔚山)문수야구장(野球場) 12,088 울산(蔚山) 롯데 자이언츠
제(第) 2 홈구장
2014년(年) 1루측(壘側) 인조(仁祖) 잔디 구장(球場).
외야(外野) 잔디석(席).
외야(外野) 파울 존 부근(附近) 분리형(分離型) 불펜.
포항야구장(浦項野球場) 12,247 포항(浦項) 삼성(三星) 라이온즈
제(第) 2 홈 구장(球場)
2012년(年) 1루측(壘側) 인조(仁祖) 잔디 구장(球場).
외야(外野) 잔디석(席).
내야 파울 존 부근(附近) 분리형(分離型) 불펜.
구장(球場) 내 포항시(浦項市) 남구청(南區廳) 청사(廳舍) 입주(入住).
청주야구장(淸州野球場) 10,500 청주(淸州) 한화 이글스
제(第) 2 홈 구장(球場)
1979년(年) 1루측(壘側) 인조(仁祖) 잔디 구장(球場). [17]
폐쇄형(閉鎖型) 지하(地下)불펜. [18] [19] [20] [21]
2020년(年)부터 경기(競技) 편성(編成) 없음

역대(歷代) 경기(競技) 수(數) 및 관중(觀衆) 수(數) [ 편집(編輯) ]

다음과 같이 연도(鳶島), 경기(競技) 수(數), 관중(觀衆) 수(數), 평균(平均)은 아래 표(表)와 같다. [22]

연도(鳶島) 구단(球團)수 팀당경기수(當競技數) 총경기수(總警期數) 총관중수(總觀衆數) 증감(增減)치 평균(平均) 비고(備考)
1982년(年) 6 80 249 1,579,41 - 6,344 프로야구(野球) 첫 시즌, OB 베어스 우승(優勝)
6대(代) 대도시(大都市) (서울, 부산(釜山), 대구(大邱), 광주(光州), 대전(大田), 인천(仁川))를 중심(中心)으로 한 광역연고제(廣域軟膏劑) 시행(施行)
1983년(年) 6 100 320 2,505,046 +925,505 7,828
1984년(年) 6 100 325 1,942,288 -562,758 5,976
1985년(年) 6 110 345 1,737,018 -205,270 5,035 OB 베어스 의 서울 입성(入城)으로 서울 연고지(緣故地) 2개구단(個球團) 체제(體制) 확립(確立)
1986년(年) 7 108 404 2,328,143 +591,125 5,763 빙그레 이글스 합류(合流)로 7개구단(個球團) 체제(體制) 돌입(突入)
1987년(年) 7 108 407 2,229,106 -99,037 5,477 통산(通算) 총(總) 관중(觀衆) 1천만명(千萬名) 돌파(突破) [23]
1988년(年) 7 108 408 2,127,917 -101,186 5,215
1989년(年) 7 120 453 3,147,155 +1,019,238 6,947 전(前)·후기(後期) 리그 폐지(廢止)
1990년(年) 7 120 445 3,409,759 +262,604 7,662 LG 트윈스 창단(創團) 첫 우승(優勝) & 서울 연고(緣故)팀 최초(最初) 한국(韓國)시리즈 우승(優勝)
1991년(年) 8 126 542 4,074,552 +664,793 7,518 쌍방울 레이더스 합류(合流)로 8개구단(個球團) 체제(體制) 확립(確立)
롯데 자이언츠 최초(最初)로 단일구단(單一球團) 100만관중(萬觀衆) 돌파(突破)
1992년(年) 8 126 563 4,322,639 +248,087 7,518
1993년(年) 8 126 548 4,871,007 +548,368 8,889
1994년(年) 8 126 540 4,382,032 -488,975 8,115
1995년(年) 8 126 543 5,875,174 +1,493,142 10,820
1996년(年) 8 126 543 4,774,765 -1,100,409 8,793
1997년(年) 8 126 556 4,235,015 -539,750 7,617 통산(通算) 총(總) 관중(觀衆) 5천만명(千萬名) 돌파(突破)
1998년(年) 8 126 550 2,929,572 -1,305,443 5,326
1999년(年) 8 132 556 3,477,768 +548,196 6,144 양대(兩大)리그제(制)의 도입(導入)으로 경기수(競技數)를 확장(擴張) (같은 리그 60경기(競技), 인터리그 72경기(競技))
쌍방울 레이더스 의 마지막 시즌
2000년(年) 8 133 554 2,777,068 -700,700 5,013 도시지역연고제(都市地域軟膏劑)로 전환(轉換)
리그에 관계없이(關係없이) 경기수(競技數)를 일원화(一元化) (19×7=133)
SK 와이번스 출범(出帆) (쌍방울 레이더스 해체(解體) 후(後) 재창단(再創團))
2001년(年) 8 133 545 3,258,630 +481,562 5,979 단일(單一)리그제(制)로 환원(還元)
2002년(年) 8 133 546 2,634,748 -623,882 4,826
2003년(年) 8 133 545 2,950,231 +315,483 5,413
2004년(年) 8 133 545 2,637,559 -312,672 4,813
2005년(年) 8 126 517 3,640,690 +1,003,131 7,042 2004년(年) 병역비리파동(兵役非理波動) 으로 경기수(競技數) 축소(縮小)
2006년(年) 8 126 518 3,240,992 -399,698 6,257
2007년(年) 8 126 517 4,409,239 +1,168,247 8,529 현대 유니콘스 의 마지막 시즌
2008년(年) 8 126 519 5,636,191 +1,226,952 10,860 우리 히어로즈 출범(出帆) (현대 유니콘스 해체(解體) 후(後) 재창단(再創團))
우리 히어로즈의 서울 입성(入城)으로 서울이 연고지(緣故地)인 구단(球團)이 3개(個)가 됨
2009년(年) 8 133 532 5,925,285 +289,094 11,138 경기수(競技數)를 팀당(當) 126경기(競技)에서 133경기(競技)로 환원(還元)
2010년(年) 8 133 532 5,928,626 +3,341 11,144
2011년(年) 8 133 532 6,810,028 +881,042 12,801 통산(通算) 총(總) 관중(觀衆)1억명(億名) 돌파(突破)
2012년(年) 8 133 532 7,156,157 +346,129 13,451 한 시즌 최다(最多) 관중(觀衆) 돌파(突破)
2013년(年) 9 128 576 6,441,945 -714,212 11,184 NC 다이노스 합류(合流)로 9개구단(個球團) 체제(體制) 확립(確立)
구단(球團) 수(數)가 홀수(홀數)가 되어 휴식(休息)일이 생긴 문제(問題)로 경기수(競技數)를 128경기(競技)로 축소(縮小)
2014년(年) 9 128 576 6,509,915 -646,242 11,302
2015년(年) 10 144 720 7,360,530 +850,515 10,223 KT 위즈 합류(合流)로 10개구단(個球團) 체제(體制) 확립(確立)
본격적(本格的)으로 경기수(競技數)를 팀당(當) 144경기(競技)로 확장(擴張)
리그 명칭(名稱)을 KBO 리그 로 변경(變更)
2016년(年) 10 144 720 8,339,577 +979,047 11,583
2017년(年) 10 144 720 8,400,688 +61,111 11,668
2018년(年) 10 144 720 8,073,742 -326,946 11,214
2019년(年) 10 144 720 7,286,008 -787,734 10,119
2020년(年) 10 144 720 328,317 -6,957,691 456 코로나19 범유행(汎流行) 의 영향(影響)으로 무관중경기(無觀衆京畿)
(7월(月) 26일(日) ~ 8월(月) 23일(日), 10월(月) 13일(日) ~ 10월(月) 31일(日) 유관중)
2021년(年) 10 144 720 1,228,489 +900,172 1,706
2022년(年) 10 144 720 6,076,074 +4,847,585 8,439
2023년(年) 10 144 720 8,100,326 +2,024,252 11,250

빨간색(빨간色) 글씨는 최고(最高), 파란색(파란色) 글씨는 최저(最低).

역대(歷代) 우승(優勝) 기록(記錄) [ 편집(編輯) ]

구단(球團) 우승(優勝) 준우승(準優勝) 우승(優勝) 연도(鳶島) 준우승(準優勝) 연도(鳶島)
KIA 타이거즈 11 0 1983 , 1986 , 1987 , 1988 , 1989 , 1991 , 1993 , 1996 , 1997 , 2009 , 2017
삼성(三星) 라이온즈 8 10 1985 , 2002 , 2005 , 2006 , 2011 , 2012 , 2013 , 2014 1982 , 1984 , 1986 , 1987 , 1990 , 1993 , 2001 , 2004 , 2010 , 2015
두산 베어스 6 9 1982 , 1995 , 2001 , 2015 , 2016 , 2019 2000 , 2005 , 2007 , 2008 , 2013 , 2017 , 2018 , 2020 , 2021
SSG 랜더스 5 4 2007 , 2008 , 2010 , 2018 , 2022 2003 , 2009 , 2011 , 2012
현대 유니콘스 4 2 1998 , 2000 , 2003 , 2004 1994 , 1996
LG 트윈스 3 4 1990 , 1994 , 2023 1983 , 1997 , 1998 , 2002
롯데 자이언츠 2 3 1984 , 1992 1985 , 1995 , 1999
한화 이글스 1 5 1999 1988 , 1989 , 1991 , 1992 , 2006
NC 다이노스 1 1 2020 2016
KT 위즈 1 1 2021 2023
키움 히어로즈 0 3 2014 , 2019 , 2022

경기(競技) 운영(運營) 체제(體制) [ 편집(編輯) ]

현(現) 프로 야구(野球)는 단일(單一)리그제(制)로 각(各) 팀은 144게임씩 총(總) 720경기(競技)를 가진다. 9회말(回末) 이후(以後) 동점(同點)일 경우(境遇) 연장전(延長戰)을 가진다. 연장전(延長戰)은 12회(回)까지 치른다. 12회말(回末) 이후(以後) 동점(同點)일 경우(境遇) 무승부(無勝負)로 처리(處理)한다. 취소(取消) 된 경기(競技)는 정규(正規) 리그가 종료(終了) 된 이후(以後)에 별도(別途)로 경기(景氣)를 편성(編成)하여 진행(進行)한다. 순위(順位)는 승률(勝率)에 따라 결정(決定)하며, 승률계산(勝率計算)은 승(勝) 수/경기(京畿) 수(數)로 하도록 하였다. 2010년(年) 과 다르게 5회(回) 클리닝타임이 부활(復活)했으며 포스트시즌은 연장(延長) 15회(回)까지 경기(競技) 가능(可能)한 것으로 수정(修正)하였다. 경기(京畿) 개시시간(開始時間)은 주중(駐中) 18:30 / 주말(週末) 17:00, 단 개막(開幕) 2연전(年前)과 5월(月) 6일(日)까지 편성(編成)되는 경기(競技)들 중(中) 일요일(日曜日) 공휴일(公休日) 에 열리는 경기(競技)는 오후(午後) 2시(時)부터 치러진다. 그러나 혹서기(酷暑期)(7~8월(月)) 기간(期間)동안은 주말(週末), 공휴일(公休日) 경기(京畿) 개시시간(開始時間)이 18:00로 늦춰진다. 모든 선수(選手)가 출전가능(出戰可能)했던 퓨처스리그 에도 엔트리 등록(登錄) 규정(規定)을 제정(制定)하여 경기당(競技當) 출전(出戰)할 수 있는 선수(選手)는 26명(名)으로 제한(制限)해 경기(京畿) 1시간(時間) 30분(分) 전(前)까지 등록(登錄)하고 인원(人員)이 적은 상무(常務)와 경찰청(警察廳)을 제외(除外)한 9개(個) 구단(球團)은 엔트리에서 말소(抹消)될 경우(境遇) 3일간(日間) 재등록(再登錄)이 불가능(不可能)하다. 도핑테스트는 퓨처스리그까지 확대(擴大) 시행(施行)하며 표적검사(標的檢事) 인원(人員)도 늘린다.

올스타전(戰) [ 편집(編輯) ]

올스타전(戰)은 별들의 경기(競技) 라는 뜻으로 팬들의 투표(投票)와 감독(監督)의 추천(推薦)을 통해서 뽑힌 선수(選手)들의 게임으로 매년(每年) 여름에 드림 올스타( SSG 랜더스 , 삼성(三星) 라이온즈 , 두산 베어스 , 롯데 자이언츠 , KT 위즈 )와 나눔 올스타( 키움 히어로즈 , KIA 타이거즈 , 한화 이글스 , LG 트윈스 , NC 다이노스 )로 팀을 나누어 치뤄진다. 9회(回)까지 승리(勝利)팀이 나오지 않을 경우(境遇) 연장(延長) 10회(回)부터 승부(勝負)가 날 때까지 승부치기(勝負稚氣) 를 시행(施行)한다.

타이브레이커 [ 편집(編輯) ]

정규(正規)시즌을 모두 마쳤음에도 1위(位)가 2팀 이상(以上)일 때 진행(進行)하는 1위(位) 결정전(決定戰)이다. 역대(歷代) 타이브레이커는 2번(番) 개최(開催)되었다.

OB 베어스 VS 해태 타이거즈 (1986년(年))

KT 위즈 VS 삼성(三星) 라이온즈 (2021년(年))

무박(無泊) 2일(日) [ 편집(編輯) ]

일자 맞대결(맞對決) 팀 끝난 시각(時刻) 장소(場所)
2008년(年) 6월(月) 12일(日) KIA 타이거즈 VS 넥센 히어로즈 00:49 목동야구장
2008년(年) 9월(月) 3일(日) 한화 이글스 VS 두산 베어스 00:22 서울종합운동장(綜合運動場) 야구장(野球場)
2009년(年) 5월(月) 12일(日) SK 와이번스 VS LG 트윈스 00:09 서울종합운동장(綜合運動場) 야구장(野球場)
2009년(年) 5월(月) 21일(日) LG 트윈스 VS KIA 타이거즈 00:30 광주무등경기장 야구장(野球場)
2010년(年) 4월(月) 9일(日) 한화 이글스 VS 롯데 자이언츠 00:00 사직야구장
2017년(年) 6월(月) 27일(日) LG 트윈스 VS 롯데 자이언츠 00:09 사직야구장
2017년(年) 8월(月) 11일(日) 롯데 자이언츠 VS NC 다이노스 00:08 마산종합운동장(馬山綜合運動場) 야구장(野球場)
  1. 목동야구장 에서 열린 KIA 타이거즈 우리 히어로즈 경기(競技)에서 14회말(回末)까지 진행(進行)하는 사상(史上) 초유(初有)의 12시(時) 40분(分)에 끝나는 무박(無泊) 2일(日)이 시작(始作)되었다.
  2. 당시(當時) 2008년(年) 에는 승부(勝負)가 결정(決定)되지 않으면 승부(勝負)가 날 때까지 무기한(無期限) 횟수(回數)가 계속(繼續)되었다. 그 바람에 잠실야구장(蠶室野球場) 에서 열린 한화 이글스 두산 베어스 에서도 무박(無泊) 2일(日)이 시작(始作)되었는데 18회말(回末)까지 0:0으로 계속(繼續)되다가 밀어내기 볼넷으로 비로소 두산 베어스 가 1:0으로 힘겹게 승리(勝利)했고, 12시(時) 22분(分)에 끝났다. 그런데 목동야구장보다 야구(野球) 최장시간(最長時間)을 갈아치웠다. 그리고 이 계기(契機)로 무승부(無勝負)가 나더라도 무조건(無條件) 12회말(回末)까지만 하기로 결정(決定)되었다.
  3. 12회말(回末)까지만 경기(競技)하겠다고 결정(決定)함에도 불구(不拘)하고 2009년(年) SK 와이번스 LG 트윈스 잠실야구장(蠶室野球場) 경기(競技)에서는 서로 간(間)의 대량득점(大量得點)이 나올 뿐 아니라 9회말(回末) 이후(以後)에도 무승부(無勝負)가 계속(繼續)되다가 12회초(回初)에 SK 와이번스 가 6득점(得點)이나 내는 바람에 시간(時間)을 더욱 끌게 되었다. 이 바람에 무박(無泊) 2일(日)은 계속(繼續)되었다.
  4. 이후(以後) LG 트윈스 KIA 타이거즈 광주야구장(光州野球場) 경기(京畿)에서는 13대(代)13으로 무승부(無勝負) 경기(競技)로 끝났는데 12회말(回末)까지 계속(繼續)되었는데 12:30분(分)에 끝나는 무박(無泊) 2일(日) 경기(競技)가 또다시 펼쳐졌는데 최장(最長) 시간(時間)을 갈아치웠다.

포스트시즌 [ 편집(編輯) ]

정규(正規)시즌 1~5위(位)의 팀들이 참가(參加)하게 된다. 포스트시즌 엔트리는 27명(名)이다. 포스트시즌은 가을 야구(野球) 로도 불린다.

  • 와일드카드 결정전(決定戰) : 정규(正規)시즌 4위(位)와 5위(位)의 2경기(競技)(4위(位)에게 1승(勝)의 어드벤티지 적용(適用))
  • 준(準)플레이오프 : 정규(正規)시즌 3위(位)와 와일드카드 결정전(決定戰) 승자(勝者)의 3선승제(先勝制)
  • 플레이오프 : 정규(正規)시즌 2위(位)와 준(準)플레이오프 승자(勝者)의 3선승제(先勝制)
  • 한국(韓國)시리즈  : 정규(正規)시즌 1위(位)와 플레이오프 승자(勝者)의 4선승제(先勝制)

타이틀 스폰서 [ 편집(編輯) ]

  • KBO 리그 창설(創設) 이후(以後) 1999년(年)까지 타이틀 스폰서 없이 페넌트레이스를 운영(運營)하다가 2000년(年)부터 타이틀 스폰서를 도입(導入)했다.
  • 타이틀 스폰서가 없을 당시(當時) 올스타전(戰)과 포스트시즌의 경우(境遇) 별도(別途)의 스폰서 계약(契約)을 체결(締結)하고, 타이틀 스폰서의 기업명(企業名)이나 상품명(商品名)을 추가(追加)한 명칭(名稱)을 사용(使用)했다. (예: 코카콜라배(倍) 1998 올스타전(戰), 현대(現代)아토스배(杯) 1998 포스트시즌, 스피드011 1999 올스타전(戰), 현대증권(現代證券) BUY KOREA컵 1999 포스트시즌)

역대(歷代) 타이틀 스폰서 [ 편집(編輯) ]

시즌 타이틀
스폰서
대회명(大會名)
2000 삼성증권(三星證券) 삼성(三星) Fn.com 배(倍) 2000 프로야구(野球)
2001 삼성(三星) Fn.com 배(倍) 2001 프로야구(野球)
2002 삼성증권배(杯) 2002 프로야구(野球)
2003 삼성증권배(杯) 2003 프로야구(野球)
2004 삼성증권배(杯) 2004 프로야구(野球)
2005 삼성전자(三星電子) 삼성(三星) PAVV 2005 프로야구(野球)
2006 삼성(三星) PAVV 2006 프로야구(野球)
2007 삼성(三星) PAVV 2007 프로야구(野球)
2008 삼성(三星) PAVV 2008 프로야구(野球)
2009 CJ인터넷 CJ 마구마구 2009 프로야구(野球)
2010 CJ 마구마구 2010 프로야구(野球)
2011 롯데카드 2011 롯데카드 프로야구(野球)
2012 팔도(八道) 2012 팔도(八道) 프로야구(野球)
2013 한국야쿠르트 2013 한국(韓國)야쿠르트 7even 프로야구(野球)
2014 2014 한국(韓國)야쿠르트 7even 프로야구(野球)
2015 타이어뱅크 2015 타이어뱅크 KBO 리그
2016 2016 타이어뱅크 KBO 리그
2017 2017 타이어뱅크 KBO 리그
2018 신한은행(新韓銀行) 2018 신한은행(新韓銀行) MY CAR KBO 리그
2019 2019 신한은행(新韓銀行) MY CAR KBO 리그
2020 2020 신한은행(新韓銀行) SOL KBO 리그
2021 2021 신한은행(新韓銀行) SOL KBO 리그
2022 2022 신한은행(新韓銀行) SOL KBO 리그
2023 2023 신한은행(新韓銀行) SOL KBO 리그
2024 2024 신한(新韓) SOL Bank KBO 리그

응원(應援) 문화(文化) [ 편집(編輯) ]

KBO 리그는 발전(發展)하면서 관중(觀衆)들의 응원(應援) 문화(文化)도 함께 발전(發展)하였다. 여기서는 많은 구단(球團)이 공통적(共通的)으로 진행(進行)하는 응원(應援) 문화(文化)만 서술(敍述)한다. 각(各) 팀의 자체(自體) 응원(應援) 유형(類型)과 문화(文化)는 각(各) 팀 문서(文書)를 참조(參照)하라.

  • 주로(主로) 응원단장(應援團長), 앰프, 북(北), 치어리더, 막대풍선(風船)을 중심(中心)으로 응원(應援) 문화(文化)가 발달(發達)하였다.
  • 응원(應援)하는 팀의 1회(回) 공격(攻擊)(원정(遠征)팀의 1회초(回初), 홈팀의 1회말(回末))시(市)에 '라인 업(業) 송'에 따라 1번타자(番打者)부터 선발투수(先發投手)까지의 이름을 타순(打順)대로 외친다. 선발투수(先發投手)의 이름은 9번타자(番打者)의 이름을 부른 뒤 외친다.
  • 주요(主要) 타자(打者)들의 공격(攻擊)이 성공(成功)하기를 원(願)하는 의미(意味)에서 대중가요등(大衆歌謠等) 잘 알려진 노래나 선율(旋律)에 가사(歌詞)를 입히거나 바꿔서 안타(安打)나 홈런을 기원(祈願)하는 응원가(應援歌)를 제정(制定)하여 부른다.
  • 투수(投手)가 볼의 카운트 개수(個數)와 상관(相關)없이 2스트라이크를 기록(記錄)하면, 삼진(三振)을 잡기를 원(願)하면서 '삼진(三振)'을 외친다. 다만, 볼이 없으며 초구(初球)와 2구(具)가 모두 스트라이크이고, 제(第)3구(具)를 던질때에는 '삼구삼진(三區三振)'을 외친다.
  • 상대(相對)팀 투수(投手)가 응원(應援)하는 팀의 주자(走者)에 대(對)하여 견제구(牽制球)를 던지면 견제(牽制) 대응(對應) 응원(應援)을 한다. 응원(應援) 구호(口號)는 각(各) 팀마다 다르다. 최근(最近)에는 견제(牽制) 대응(對應) 응원(應援)에 대(對)한 역견제(逆牽制) 응원(應援)을 하는 팀도 있다.
  • SSG 랜더스 의 〈연안부두(沿岸埠頭)〉 (인천(仁川)), 롯데 자이언츠 의 〈부산(釜山)갈매기〉와 〈돌아와요 부산항(釜山港)에〉 (부산(釜山)), KIA 타이거즈 의 〈남행열차(南行列車)〉 (전라도(全羅道)), NC 다이노스 의 〈Come on Come on 마산(馬山)스트리트여(餘)〉 ( 구(區) 마산(馬山) /현(現) 창원(昌原) ), 한화 이글스 의 〈내 고향(故鄕) 충청도(忠淸道)〉 (충청도(忠淸道))등(等) 연고지(緣故地)를 주제(主題)로 한 대중가요(大衆歌謠)를 일정(一定) 시점(時點)에서 방송(放送)하거나 관중(觀衆)들이 다 같이 부른다. 부르거나 방송(放送)하는 시점(時點)은 각(各) 팀마다 다르다.
  • 팬들도 자발적(自發的)으로 자신(自身)이 응원(應援)하는 팀이나 선수(選手)의 선전(善戰)을 기원(祈願)하는 피켓을 제작(製作)하고, 팀의 유니폼과 모자(帽子)를 착용(着用)하는 등(等)의 자체적(自體的)인 팬덤이 있으며, 자신(自身)이 응원(應援)하는 팀의 서포터즈 모임을 조직(組織)하여 주로(主로) 홈경기때 자체적(自體的)인 단체응원(團體應援)을 하는 경우(境遇)도 있다. 다만, 팀이 정식(正式)으로 편성(編成)한 서포터즈는 없다.
  • 2021년(年) 포스트 시즌 때는 취식(取食)은 가능(可能)했지만 육성응원(育成應援)을 금지(禁止) 했다. 11월(月) 1일(日) 키움 히어로즈 두산 베어스 간(間)에 와일드카드 결정전(決定戰) 을 치르는 중(中) 홈런이 나와 관중(觀衆)이 과열(過熱)되자 심판(審判)이 응원(應援) 자제(自制)를 요청(要請)하기도 했다.
  • 2021년(年) 포스트 시즌에서는 11월(月) 2일(日)부터 홈런 혹은(或은) 적시타(適時打)가 터졌을 때 응원가(應援歌) 금지(禁止)를 하기도 했다.

희귀(稀貴) 기록(記錄) [ 편집(編輯) ]

1982년(年) 6월(月) 12일(日) 구덕 삼성(三星) vs 삼미 전(前) [24] 에서 삼성(三星) 라이온즈 오대석 선수(選手)가 1회초(回初) 우익수(右翼手) 키를 넘기는 3루타(壘打), 3회(回) 2루타(壘打), 5회(回) 중전안타(中前安打), 6회(回) 중월(仲月) 홈런을 때려내 KBO 리그 최초(最初)로 사이클링 히트 기록(記錄)의 보유자(保有者)가 되었다.
  • 4할(割) 타율(打率)
1982년(年) MBC 청룡(靑龍)의 백인천 은 타율(打率) 0.412를 기록(記錄)하여 KBO 역사상(歷史上) 유일(唯一)한 4할(割) 타율(打率)을 기록(記錄)했다.
  • 한 시즌 10승(勝) & 3할(割) 타율(打率) 동시(同時) 달성(達成)
1982년(年) 해태 타이거즈의 김성한 은 규정(規定) 이닝을 채우고 10승(勝)을 달성(達成)하는 한편(한便), 규정(規定) 타석(打席)을 채우고 3할(割) 타율(打率)까지 달성(達成)했다.
  • 특정(特定) 팀 상대(相對) 한 시즌 전승(戰勝)
1982년(年) OB 베어스는 삼미 슈퍼스타즈를 상대(相對)로 16전(錢) 16승(勝)을 기록(記錄)했다.
  • 단일(單一) 시즌 최저(最低) 승률(勝率)
1982년(年) 삼미 슈퍼스타즈는 80전(錢) 15승(勝) 65패(敗)로 승률(勝率) 0.188을 기록(記錄)했다.
  • 한 시즌 투수(投手) 30승(勝)
1983년(年) 삼미 슈퍼스타즈의 투수(投手) 장명부 가 KBO 역사상(歷史上) 유일(唯一)한 30승(勝)을 달성(達成)했다.
  • 한 시즌 최다(最多)이닝
1983년(年) 삼미 슈퍼스타즈의 투수(投手) 장명부 는 427.1이닝을 소화(消化)했다.
1984년(年) 5월(月) 5일(日) 광주(光州) 삼미 전(戰)에서 해태 타이거즈 방수원 선수(選手)가 삼미 타선(打線)을 상대(相對)로 단(單) 한 개(個)의 안타(安打)도 허용(許容)하지 않고 완봉승을 거두면서 한국(韓國)프로야구(野球) 최초(最初)로 노히트 노런 기록(記錄)의 보유자(保有者)가 되었다. 그러나 방수원 의 이 날 1승(勝)은 그가 세운 1984년(年)의 유일(唯一)한 승리(勝利) 기록(記錄)이다.
  • 포스트시즌 없이 통합우승(統合優勝)
1985년(年) 삼성(三星) 라이온즈는 전기(前期) 리그와 후기(後期) 리그에서 모두 1위(位)를 차지하여 통합(統合) 우승(優勝)을 달성(達成)했다. 당시(當時)는 전기(前期) 리그 1위(位)와 후기(後期) 리그 1위(位)가 한국(韓國)시리즈에서 맞붙는 방식(方式)이었는데 이 사건(事件)을 계기(契機)로 규칙(規則)이 바뀌게 된다.
  • 팀 최다(最多) 연패(連霸)
삼미 슈퍼스타즈는 1985년(年) 3월(月) 31일(日)부터 4월(月) 29일(日)까지 18연패(連霸)를 기록(記錄)했다. 한화 이글스는 2020년(年) 5월(月) 23일(日)부터 6월(月) 12일(日)까지 18연패(連霸)를 기록(記錄)했다.
  • 한 시즌 투수(投手) 최다패(最多牌)
1985년(年) 삼미 슈퍼스타즈의 장명부 는 25패(敗)를 기록(記錄)했다.
1996년(年) 10월(月) 20일(日) 한국(韓國)시리즈 4차전(次戰) 인천(仁川) 해태 전(戰)에서 현대 유니콘스 정명원 선수(選手)가 해태 타선(打線)을 상대(相對)로 단(單) 한 개(個)의 안타(安打)를 허용(許容)하지 않고 완봉승을 거두면서 KBO 리그 최초(最初)로 포스트시즌 노히트 노런 기록(記錄)의 보유자(保有者)가 되었다.
  • KBO 리그 최초(最初) 연타석(連打席) 만루(滿壘) 홈런
1997년(年) 5월(月) 4일(日) 대구(大邱) LG 전(戰)에서 삼성(三星) 라이온즈 정경배 선수(選手)가 장문석 투수(投手)와 차동철 투수(投手)에게서 만루(滿壘)홈런을 날리면서 KBO 리그 최초(最初)로 연타석(連打席) 만루(滿壘)홈런을 날린 진기(珍奇)한 기록(記錄)의 보유자(保有者)가 되었다. 이날 삼성(三星) 라이온즈 타선(打線)은 9개(個)의 홈런을 날리면서 한 경기(競技) 팀 최다(最多) 홈런 신기록(新記錄)을 작성(作成)했고, 이 날 삼성(三星) 라이온즈 가 기록(記錄)한 27점(點)은 한 경기(競技) 팀 최다(最多) 득점(得點) 신기록(新記錄), 몸에 맞는 공 6개(個)는 한 경기(競技) 팀 최다(最多) 사구(沙丘) 기록(記錄)으로 작성(作成)됐다.
  • KBO 리그 최초(最初) 데뷔 첫 타석(打席) 초구(初球) 홈런
2000년(年) LG 트윈스의 짐 테이텀이 KBO 리그 첫 타석(打席)에서 초구(初球)를 받아쳐 홈런을 기록(記錄)했다.
2007년(年) 6월(月) 13일(日) 대구(大邱) 삼성(三星) 전(前) 7회초(回初) 무사(無事) 1루(壘)(주자(走者) 심정수 ),2루(壘)(주자(走者) 양준혁(梁埈赫) ) 상황(狀況)에서 타자 박진만 이 친 공을 KIA 타이거즈 2루수(窶籔) 손지환 이 직선타(直線打)로 잡은 뒤 2루(壘) 베이스를 밟고 2루(壘)로 달려오는 1루주자(壘走者) 심정수 를 잡으면서 국내(國內) 최초(最初)로 무보살(菩薩) 트리플 플레이를 기록(記錄)하였다. 그날 경기(競技)는 6-2로 KIA가 승리(勝利)하였다
  • KBO 리그 최초(最初) 한경기(競技) 좌우타석(左右打席) 연타석(連打席) 홈런
2008년(年) 9월(月) 25일(日) 문학(文學) SK 전(戰)에서 LG 트윈스 서동욱 선수(選手)가 6회초(回初) 레이번 투수(投手)에게서 좌타석(左打席)에서 홈런을 날렸고, 9회초(回初) 이승호 선수(選手)에게서 우타석(禹打席)에서 홈런을 날리면서 KBO 리그 최초(最初)로 좌우타석(左右打席) 연타석(連打席) 홈런을 날린 진기(珍奇)한 기록(記錄)의 보유자(保有者)가 되었다.
  • KBO 리그 최초(最初) 30-30
1996년(年) 박재홍(朴在鴻) 선수(選手)가 30개(個)의 홈런과 36개(個)의 도루(盜壘)를 기록(記錄)하면서 30홈런-30도루(盜壘)의 시대(時代)를 연다. 이후(以後)에도 박재홍(朴在鴻) 은 1998년(年), 2000년(年)에 30-30을 달성(達成)한다.
  • KBO 리그 최초(最初) 한 시즌 사이클링히트 2번(番)
2015년(年) NC다이노스 테임즈 선수(選手)가 2015년(年) 4월(月) 9일(日), 2015년(年) 8월(月) 11일(日) 사이클링 히트 를 때려내며 최초(最初)의 한 시즌 두 번(番)의 사이클링 히트 를 기록(記錄)했다. 테임즈 시즌 MVP를 수상(受賞)했다.
  • KBO 리그 최초(最初) 4연타석(連打席) 홈런
2000년(年) 5월(月) 19일(日) 대전(大戰) 에서 벌어진 한화(韓華) 현대(現代) 와의 경기(競技)에서 현대 유니콘스 소속(所屬)이었던 박경완 조규수 를 상대(相對)로 2회(回)와 3회(回), 오창선 을 상대(相對)로 5회(回), 김경원 을 상대(相對)로 6회(回)에 홈런을 기록(記錄)해 한 경기(競技) 최다(最多) 홈런이자 최다(最多) 연타석(連打席) 홈런인(人) 4연타석(連打席) 홈런 을 기록(記錄)했다. 이는 일본(日本) 에서도 오(吳) 사다하루 가 유일(唯一)하고, 미국(美國) 메이저 리그 에서도 루(壘) 게릭 외(外) 3명(名) 만이 갖고 있다.
  • KBO 리그 최초(最初) 프로 데뷔 첫 타석(打席) 끝내기 만루(滿壘) 홈런
2001년(年) 6월(月) 23일(日) 잠실(蠶室) SK 전(戰)에서 두산 베어스 송원국 선수(選手)가 6-6 동점(同點)으로 맞선 9회말(回末) 2아웃 만루(滿壘) 상황(狀況)에서 대타(代打)로 출전(出戰), 상대투수(相對投手) 김원형 의 초구(初球)를 쳐서 끝내기 만루(滿壘) 홈런을 기록(記錄)하였다. 이는 미국(美國) 메이저 리그 에서도 유례(類例)가 없는 기록(記錄)이기도 하다.
  • 최다(最多) 시즌 연속(連續) 최하위(最下位)
롯데 자이언츠는 2001년(年)부터 2004년(年)까지 4시즌 연속(連續) 최하위(最下位)를 기록(記錄)했다.
  • 한 시즌 10승(勝) 10홀드 10세이브 동시(同時) 달성(達成)
2005년(年) 삼성(三星) 라이온즈의 오승환 은 10승(勝) 11홀드 16세이브를 기록(記錄)했다.
  • KBO 리그 최초(最初) 2000안타(安打)
2007년(年) 6월(月) 9일(日) 양준혁(梁埈赫) 서울종합운동장(綜合運動場) 야구장(野球場) 에서 두산 베어스 투수(投手) 이승학 을 상대(相對)로 중전안타(中前安打)를 만들어내며 KBO 리그 최초(最初) 2000안타(安打)를 달성(達成)했다.
  • KBO 리그 최초(最初) 3000이닝
2009년(年) 4월(月) 9일(日) 송진우 한밭종합운동장(綜合運動場) 야구장(野球場) 에서 두산 타자(打者) 김재호(金在鎬) 를 상대(相對)로 우익수(右翼手) 플라이를 잡아내며 KBO 리그 최초(最初)의 3000이닝을 수립(樹立)하였다.
  • 단일(單一) 경기(京畿) 양(兩) 팀 합계(合計) 최다(最多) 득점(得點)
2009년(年) 5월(月) 15일(日) LG 트윈스와 서울 히어로즈의 경기(競技)는 22대(代) 17로 끝나 합계(合計) 39득점(得點)이 났다.
  • KBO 리그 최초(最初) 200승(勝)
2006년(年) 8월(月) 26일(日) 송진우 KIA 전(戰)에서 5이닝을 4피안타(被安打) 1실점(失點)으로 막으며 10대(代) 1 승리(勝利)를 이끌어내 KBO 리그 최초(最初)의 200승(勝)을 달성(達成)하였다.
  • KBO 리그 최초(最初) 무박(無泊) 2일(日)
2008년(年) 6월(月) 12일(日) 목동야구장 에서 KIA 타이거즈 우리 히어로즈 경기(競技)에서 사상(史上) 처음으로 자정(子正)을 넘기는 무박(無泊) 2일(日) 경기(競技)가 되었다. 이후(以後) 무박(無泊) 2일(日) 경기(競技)는 여러 장소(場所)에서 나오긴 했지만 무박(無泊) 2일(日) 경기(景氣)가 처음 나오는 결과(結果)는 목동야구장 부터 시작(始作)되었다. 그리고 이 경기(競技)는 우리 히어로즈 가 끝내기 승리(勝利)로 이겼다.
  • KBO 리그 최장(最長) 횟수(回數) - 18회말(回末)
2008년(年) 9월(月) 3일(日) 당시(當時)에는 무승부(無勝負)가 되면 승부(勝負)가 날 때까지 무기한(無期限) 연장(延長)을 돌입(突入)했다. 마침 잠실야구장(蠶室野球場) 에서 열린 한화 이글스 두산 베어스 경기(競技)에선 0대(代)0으로 끝까지 승부(勝負)가 나지 않자 결국(結局) 기여(寄與)코 자정(子正)을 넘기고 말았다. 그래도 18회말(回末)에 두산 베어스가 밀어내기 볼넷으로 승리(勝利)하면서 매듭을 지었지만 무기한(無期限) 최고(最高)의 횟수(回數)로 기록(記錄)되게 되었다. 아울러 목동야구장보다 더 최장시간(最長時間)을 갈아치우고 말았다.
  • KBO 리그 최초(最初) 250홈런 - 250도루(盜壘)
2009년(年) 4월(月) 23일(日) 문학(文學) 롯데 전(戰)에서 박재홍(朴在鴻) 선수(選手)가 2회말(回末) 안타(安打)로 출루(出壘)한 뒤 도루(盜壘)에 성공(成功)하여 한국(韓國) 최초(最初)로 250홈런 250도루(盜壘)를 달성(達成)하였다.
  • 팀 최다(最多) 연승(連勝)
SK 와이번스는 2009년(年) 8월(月) 25일(日)부터 2010년(年) 3월(月) 30일(日)까지 22연승(連勝)을 기록(記錄)했다.
  • KBO 리그 최다(最多) 홈런
2013년(年) 삼성(三星) 라이온즈 이승엽(李承燁) 이 기존(旣存) 기록(記錄) 보유자(保有者)였던 양준혁(梁埈赫) 의 351호(號) 홈런 기록(記錄)을 깨고 2013년(年) 6월(月) 20일(日) 문학(文學) SK 전(戰)에서 352개(個)의 홈런을 쳐냈다.
  • KBO 리그 최초(最初) 한(限)이닝 사이클링 홈런
2010년(年) 7월(月) KIA 타이거즈 에서 이용규 , 최희섭 , 채종범 이 3회(回)에 홈런을 쳤다. 이용규의 3점(點), 4점(點) 홈런, 최희섭의 솔로홈런과 채종범이 2점(點) 홈런을 터뜨렸다. 한 경기(競技)에서 사이클링 홈런을 친 경우(境遇)는 있었으나 이닝 사이클링 홈런은 이번(이番)이 처음이다.
  • KBO 리그 & 세계(世界) 최초(最初) 9경기(競技) 연속(連續) 홈런
2010년(年) 8월(月) 4일(日)부터 2010년(年) 8월(月) 14일(日)까지 이대호 선수(選手)가 9경기(競技) 연속(連續) 홈런을 쳐냈다. 이로써 미국(美國) 프로 야구(野球)의 켄 그리피 주니어 (시애틀 · 1993년(年)),돈 매팅리(뉴욕 양키스 · 1987년(年)),대일(對日) 롱(피츠버그 · 1956년(年))이(李) 기록(記錄)한 8경기(競技) 연속(連續) 홈런기록(記錄)을 넘어섰다.
  • KBO 리그 최초(最初) 7관왕(冠王) 수상(受賞)
2010년(年) 연말(年末) 이대호 선수(選手)가 엄청난 활약(活躍)으로 7관왕(冠王) 타율(打率) , 홈런 , 타점(打點) , 안타 , 장타율(長打率) , 출루율(出壘率) , 득점(得點) 부문(部門)을 수상(受賞)하였다.
2011년(年) 5월(月) 8일(日) 문학(文學) 에서 벌어진 경기(競技)에서 프로야구(野球) 에서 보기 드문 끝내기 트리플 플레이가 나왔다. 연장(延長) 11회말(回末) 무사(無死) 주자(走者) 1, 3루(壘)에서 SK 타자 조동화 가 친 공이 직선타(直線打)로 KIA의 마무리 투수(投手) 유동훈에게 잡힌 뒤 3루수(窶籔) 이범호에게 던졌고, 이범호 가 3루(壘) 주자(走者)를 아웃시킨 뒤 1루수(壘手) 김주형 에게 던져 트리플 플레이를 완성(完成)시켰다. 이는 KBO 리그 최초(最初)의 연장(延長) 끝내기 트리플 플레이이기도 하다. 이 경기(競技)에서 KIA는 2:1로 SK에게 승리(勝利)하였다.
  • 최초(最初) 세 경기(競技) 연속(連續) 팀 만루(滿壘) 홈런
2011년(年) 6월(月) 14일(日)~ 16일(日) 대전(大田)에서 KIA 타이거즈 와의 3연전(連戰) 경기(競技)를 치른 한화 이글스 6월(月) 14일(日) 이대수 가 1사(死) 만루(滿壘)에서 조태수 투수(投手)의 공을 받아쳐 좌월(坐月) 만루(滿壘) 홈런을, 6월(月) 15일(日) 에는 카림 가르시아 가 2사(死) 만루(滿壘)에서 로페즈 를 상대(相對)로 좌월(坐月) 만루(滿壘) 홈런을 치면서 KBO무대(舞臺) 복귀(復歸) 첫 홈런을 신고(申告)하였다. 이어서 다음날인 6월(月) 16일(日) 유동훈 투수(投手)를 상대(相對)로 2사(死) 만루(滿壘) 상황(狀況)에서 중월(仲月) 만루(滿壘) 홈런을 쏘아올리면서 가르시아는 역대(歷代) 4번째(番째)로 두경기(競技) 연속(連續) 만루(滿壘) 홈런을 기록(記錄)하였고 한화 이글스는 KBO 리그 최초(最初) 처음으로 3경기(競技) 연속(連續) 만루(滿壘)홈런을 기록(記錄)하는 팀이 되었다.
  • 스퀴즈 번트 실패(失敗)
2011년(年) 7월(月) 17일(日) 넥센 히어로즈 두산 베어스 4회초(回初) 경기(競技)에서 김민성 이 스퀴즈 번트를 쳤는데 그게 3루(壘)에서 홈으로 쇄도(殺到)하는 주자(走者)를 미리 잡혔고, 이어 그 사이에 1루(壘)에서 3루(壘) 로 움직이는 주자(走者)까지 오히려 다 잡히는 더블 아웃이 발생(發生)했다 [25] .
  • 역대(歷代) 최다(最多) 점수(點數) 차(次) 역전(逆轉)
2013년(年) 5월(月) 8일(日), SK 와이번스 두산 베어스 를 상대(相對)로 1대(代) 11로 지고 있었으나 10점(點) 차(次)를 뒤집고 결국(結局) 13대(代) 12로 승리(勝利)했다.
  • KBO 리그 최초(最初) 세(歲) 이닝 연속(連續) 타자일순(打者一巡)
2014년(年) 5월(月) 6일(日) 사직(辭職) 에서 열린 두산 베어스와 롯데 자이언츠와의 경기(競技)에서, 롯데 자이언츠는 1회(回)부터 3회(回)까지 연속(連續)으로 타자일순(他者一巡)을 하였다. 타자일순(打者一巡)이란 이닝을 시작(始作)할 때 나온 첫 타자(打者)가 그 이닝에서 다시 한번(番) 나오는 것을 말한다. 경기(競技)는 10 대(代) 19로 롯데 자이언츠의 승리(勝利)로 끝났다.
  • 한 시즌 최다안타(最多安打)
2014년(年) 10월(月) 17일(日) 넥센 히어로즈의 서건창은 201안타(安打)를 달성(達成)하여 현재(現在)까지 유일(唯一)한 200안타(安打) 타자(打者)로 남아있다.
  • KBO 리그 사상(史上) 최초(最初) 경우(境遇)의 수(數)
2014년(年) 10월(月) 17일(日)에 SK 와이번스 LG 트윈스 의 최종(最終) 4위(位) 확정(確定)이 가려지지는 않았다. 이런 상태(狀態)에서 최종전(最終戰) 경기(景氣)를 SK 와이번스 LG 트윈스 를 제각각(제各各) 다른 팀하고 맞붙는데 이런 일은 프로야구(野球) 사상(史上) 처음 있는 일이었다. 여기서 경우(境遇)의 수(數) 조건(條件)은 SK 와이번스 가 무조건(無條件) 마지막 경기(競技)를 먼저 이긴 후(後), LG 트윈스 가 패(敗)하면 SK 와이번스 2014년(年) KBO 포스트시즌 에 진출(進出)하는 상황(狀況)으로 바뀌고, LG 트윈스 가 이기면 SK 와이번스 는 이겨도 탈락한다는 결과(結果)였다. 그런데 실제로(實際로) SK 와이번스 가 초반(初盤)부터 패(敗)하는 바람에 LG 트윈스 가 그대로 2014년(年) 한국(韓國)프로야구(野球) 포스트시즌 에 진출(進出)했다.
  • KBO 리그 최초(最初) 단일(單一) 시즌 40홈런 40도루(盜壘)
2015년(年) 10월(月) 2일(日) NC 다이노스의 에릭 테임즈 는 40번째(番째) 도루(盜壘)를 성공시키면서 40홈런 40도루(盜壘)를 모두 달성(達成)했다.
  • KBO 리그 최초(最初) 선발(先發) 전원(全員) 10선발승(先發勝)
2015년(年) 10월(月) 5일(日) 광주(光州)-기아 챔피언스 필드 에서 열린 삼성(三星) 라이온즈 KIA 타이거즈 와의 경기(競技)에서 선발(選拔) 장원삼 이 승리기록(勝利記錄)을 챙겨감에 따라 윤성환 17승(勝), 피가로 13승(勝), 차우찬 13승(勝), 클로이드 11승(勝), 장원삼 10승(勝)으로 달성(達成)하게 되었다
  • KBO 리그 최초(最初) 무사(無事)사구 완봉승
2016년(年) 5월(月) 27일(日) 수원(水原) kt 위즈 파크 에서 열린 KT 위즈 넥센 히어로즈 와의 경기(競技)에서 선발(選拔) 주권(主權) 이 무사(無事)사구 완봉승이라는 팀 창단(創團)과 KBO 리그 창설(創設) 최초(最初)의 무사(無事)사구 완봉승을 기록(記錄)하였다.
  • 팀 최다(最多) 경기(競技) 연속(連續) 홈런
SK 와이번스는 2016년(年) 6월(月) 14일(日)부터 7월(月) 10일(日)까지 21경기(競技) 연속(連續) 홈런을 기록(記錄)했다.
  • KBO 리그 최초(最初) 한시즌 300출루(出壘)
2016년(年) 10월(月) 3일(日) 잠실(蠶室)에서 열린 한화 이글스 두산 베어스 의 경기(競技)에서 김태균 이 1회초(回初) 1사(死) 1,3루(壘)에서 선발(選拔) 안규영 의 3구(具)를 쳐서 좌전안타(左前安打)를 쳤다. 187개(個)의 안타(安打)와 104개(個)의 볼넷 9개(個)의 몸에 맞는 공을 더해 300출루(出壘)를 완성(完成)했다.
  • KBO 리그 최초(最初) 40홈런
1992년(年) 9월(月) 17일(日) 대전(大田)에서 열린 한화 이글스 해태 타이거즈 의 경기(競技)에서 장종훈 이 무사(無死)에서 선발(選拔) 신동수 의 공을 쳐 40홈런을 달성(達成)하였다. 그리고 다음날 선발(選拔) 이강철에 공을 때려 41개(個)의 홈런을 만들어냈다.
  • KBO 리그 사상(史上) 첫 한 이닝 두번(番)의 만루(滿壘)홈런
2018년(年) 3월(月) 31일(日) 수원(水原) kt 위즈 파크 에서 열린 두산 베어스와 KT 위즈와의 경기(競技)에서 8회말(回末), 두산 베어스 투수(投手) 최대성(最大性)이 KT 타자 멜 로하스 주니어 이해창 에게 각각(各各) 한번(番)씩 만루(滿壘)홈런을 허용(許容)하여 한 이닝에 두번(番)의 만루(滿壘)홈런 경기(景氣)가 발생(發生)하였다. 경기(景氣)는 이 두번(番)의 만루(滿壘)홈런의 영향(影響)으로 KT 위즈가 20-8 로 승리(勝利)하였다.
  • KBO 리그 사상(史上) 첫 3년연속(年連續) 대기록(大記錄)
2018년(年)에 두산베어스 타자 김재환 이 KBO 리그 사상(史上) 첫 3년연속(年連續) 30홈런, 100득점(得點), 100타점(打點), 3할(割)이라는 역대(歷代) 1번째(番째) 대기록(大記錄)을 세웠다. 이후(以後) 2019시즌에는 타율(打率) 0.283, 15홈런, 91타점(打點)에 그치며 아쉽게 실패(失敗)했다.
  • KBO 리그 사상(史上) 끝내기 낫아웃 폭투(暴投)
2019년(年) 6월(月) 12일(日) 롯데 자이언츠 LG 트윈스 잠실야구장(蠶室野球場) 10회말(回末) 때 1,3루(壘) 상황(狀況)에서 오지환 이 2스트라이크 상황(狀況)에서 헛스윙했는데 롯데 포수(捕手)가 공을 빠뜨리는 바람에 오지환은 재빨리 1루(壘)로 달려갔고 이에 따라 3루(壘) 주자(走者)도 홈으로 들어왔다. 롯데 포수(捕手)는 1루(累) 쪽으로 던져봤지만 너무 성급(性急)하게 던지는 바람에 1루수(窶籔)가 아닌 우익수(右翼手)에게 던져졌다. 이로써 LG 트윈스 아니 KBO 리그 사상(史上) 최초(最初)의 끝내기 낫아웃 폭투(暴投)가 나오는 희귀(稀貴)한 일이 벌어졌다. 그 바람에 롯데 자이언츠 는 오히려 6연패(連敗)에 빠지게 되었고, LG 트윈스 는 3연승(連勝)을 달리게 되었다.
  • KBO 리그 사상(史上) 첫 20연속(連續) 도루(盜壘) 성공(成功)
2020년(年) 9월(月) 24일(日) 키움 히어로즈 타자 김하성 고척 스카이돔 에서 SK 와의 경기(競技)에서 4회말(回末), 도루(盜壘) 성공(成功)으로 KBO 리그 사상(史上) 첫 20연속(連續) 도루(盜壘) 성공(成功)이라는 대기록(大記錄)을 세웠다. 이날 김하성은 이 도루(盜壘)로 KBO 리그 역대(歷代) 51번째(番째), 개인(個人) 2번째(番째) 20-20 달성(達成) 및 키움 구단(球團) 내 최초(最初)로 2번(番) 20-20 클럽을 달성(達成)한 선수(選手)가 되었다.
  • KBO 리그 단독(單獨) 선두(先頭) 경우(境遇)의 수(數)
2021년(年) 10월(月) 30일(日) KT 위즈 , 삼성(三星) 라이온즈 , LG 트윈스 의 2021년(年) 최종(最終) 경기(競技) 리그 우승(優勝)이 결정(決定)되지는 않았다. 마침 최종전(最終戰)의 붙는 팀도 제각각(제各各) 서로 별개(別個) 팀이었기 때문에 선두(先頭) 결정(決定)도 경우(境遇)의 수(數)를 따져야 하는 상태(狀態)였다. KT 위즈 의 경우(境遇)는 최종전(最終戰)에서 무조건(無條件) 이긴 후(後), 삼성(三星) 라이온즈 가 져야 하는 상황(狀況)이고, 반대(反對)로 삼성(三星) 라이온즈 의 경우(境遇)도 최종전(最終戰)에서 무조건(無條件) 이기고, KT 위즈 가 져야 하는 상태(狀態)였다. 두 팀 다 최종전(最終戰)을 이기거나 지면 최종(最終) 단독(單獨) 1위(位)가 가려지지는 않는다. LG 트윈스 는 약간(若干) 더 복잡(複雜)한데 최종전(最終戰)에서 무조건(無條件) 이기는 가정하(假定下)에, KT 위즈 삼성(三星) 라이온즈 가 모두 져야만 어부지리(漁夫之利)로 단독(單獨) 1위(位)가 될 수 있다. LG 트윈스 가 최종전(最終戰)에서 이기고 KT 위즈 삼성(三星) 라이온즈 중(中) 한 팀만 지면 2위(位)가 된다. LG 트윈스 가 이겨도 두 팀이 이기면 그대로 3위(位)가 된다. 물론(勿論) LG 트윈스 가 이기지 못하면 다른 경기(競技) 상관(相關)없이 3위(位)가 된다. 실제로(實際로) KT 위즈 삼성(三星) 라이온즈 는 최종전(最終戰)에서 모두 승리(勝利)하는 바람에 단독(單獨) 선두(先頭)가 가려지지는 못했다. LG 트윈스 는 최종전(最終戰)에서 지는 바람에 3위(位)를 그대로 유지(維持)했다.
  • KBO 리그 두 번째(番째) 경우(境遇)의 수(數) 발생(發生)
2021년(年) 10월(月) 30일(日) 키움 히어로즈 SSG 랜더스 의 5,6위(位) 순위(順位)가 결정(決定)되지 않았다. 5위(位)는 와일드카드 제도(制度)가 생겨서 바로 탈락하는 순위(順位)가 아니기 때문에 아주 중요(重要)한 최종(最終) 경기(競技)였다. 단(但), 여기서 키움 히어로즈 가 최종전(最終戰)을 무조건(無條件) 이겨놓고 SSG 랜더스 가 무조건(無條件) 져야 하는 경우(境遇)의 수(數)였다. 키움 히어로즈 는 초반(初盤)부터 KIA 타이거즈 를 밀어붙이고 끝내 6:1로 승리(勝利)를 거두었다. 마침 같은 시간(時間) 문학야구장(文學野球場) 에서는 KT 위즈 SSG 랜더스 를 8:3으로 크게 이겨서 키움 히어로즈 는 5위(位)가 되었고 SSG 랜더스 는 탈락하고 말았다.
  • KBO 리그 희생(犧牲)플라이 때 주자(走者) 두 명(名) 홈인
2023년(年) 4월(月) 19일(日) 한화 이글스 노수광 이 8회말(回末) 때에 외야(外野) 플라이 때에 정수빈이 잡았지만 주자(走者)가 1명(名)이 아닌 2명(名)이 홈에 들어왔다. 희생타(犧牲打)가 나오는 경우(境遇)는 흔하지만 외야(外野) 희생(犧牲) 플라이 때에 주자(走者) 2명(名)이 홈에 들어오는 경우(境遇)는 처음이다 [26] . 그리고 이 결정적(決定的)인 득점(得點)으로 인(因)해 한화 이글스 두산 베어스 를 이기는 결정적(決定的) 득점(得點)이 되었다.
  • 번트 더블 아웃
2023년(年) 6월(月) 11일(日) KIA 타이거즈 두산 베어스 와의 6회말(回末) 경기(競技)에서 3루(壘) 주자(走者)가 허경민 이 번트를 시도(試圖)했지만 3루(壘)에서 홈으로 쇄도(殺到)하는 주자(走者)를 아웃시키고, 그 사이에 1루(壘)로 간(間) 허경민 이 2루(壘)로 도달(到達)하기 전(前)에 2루(壘)에 이미 공(功)이 도착(到着)하는 바람에 더블 플레이 가 나오고 말았다. 이는 2011년(年) 7월(月) 17일(日) 에 터졌던 일과 비슷했다 [27] .
  • 인사이드 더 파크 홈런
2023년(年) 6월(月) 18일(日) 두산 베어스 LG 트윈스 경기(競技) 중(中) 오스틴 딘 인사이드 더 파크 홈런 을 쳤다.
  • 두 번째(番째) 인사이드 더 파크 홈런
2023년(年) 8월(月) 26일(日) SSG 랜더스 두산 베어스 8회초(回初) 경기(競技) 중(中) SSG 랜더스 하재훈 인사이드 더 파크 홈런 을 쳤다. 잠실야구장(蠶室野球場) 에서 두 번째(番째)로 나온 인사이드 더 파크 홈런 이었다.

20득점(得點) 이상(以上) 난 경기(京畿) [ 편집(編輯) ]

현재(現在)까지는 삼성(三星) 라이온즈 LG 트윈스 를 27:5로 꺾은 기록(記錄)이 가장 최고(最高) 득점(得點)이다. 가장 최근(最近) 기록(記錄)은 2022년(年) 7월(月) 24일(日) 사직야구장 에서의 KIA 타이거즈 롯데 자이언츠 이다.

대상(對象) 팀 맞대결(맞對決) 팀 스코어 장소(場所) 일자
LG 트윈스 삼성(三星) 라이온즈 20:1 대구시민운동장 야구장(野球場) 2008년(年) 6월(月) 26일(日)
넥센 히어로즈 22:17 목동야구장 2009년(年) 5월(月) 15일(日)
롯데 자이언츠 20:8 사직야구장 2012년(年) 4월(月) 27일(日)
20:12 사직야구장 2015년(年) 5월(月) 22일(日)
KIA 타이거즈 20:4 서울종합운동장(綜合運動場) 야구장(野球場) 2010년(年) 5월(月) 26일(日)
20:3 서울종합운동장(綜合運動場) 야구장(野球場) 2014년(年) 6월(月) 8일(日)
SK 와이번스 24:7 인천(仁川)SK행복드림구장 2020년(年) 7월(月) 28일(日)
NC 다이노스 넥센 히어로즈 24:5 목동야구장 (6회초(回初) 콜드게임) 2014년(年) 5월(月) 7일(日)
20:3 마산종합운동장(馬山綜合運動場) 야구장(野球場) 2014년(年) 6월(月) 4일(日)
한화 이글스 23:9 한밭종합운동장(綜合運動場) 야구장(野球場) 2014년(年) 7월(月) 24일(日)
SK 와이번스 LG 트윈스 21:3 문학야구장(文學野球場) 2010년(年) 5월(月) 1일(日)
롯데 자이언츠 21:10 사직야구장 2010년(年) 5월(月) 11일(日)
KT 위즈 20:6 수원(水原)케이티위즈파크 2015년(年) 6월(月) 2일(日)
한화 이글스 26:6 인천(仁川)SK행복드림구장 2020년(年) 8월(月) 19일(日)
한화 이글스 삼성(三星) 라이온즈 22:5 대구시민운동장 야구장(野球場) 1992년(年) 6월(月) 5일(日)
태평양(太平洋) 돌핀스 삼성(三星) 라이온즈 23:4 대구시민운동장 야구장(野球場) 1989년(年) 7월(月) 10일(日)
쌍방울 레이더스 20:6 숭의야구장(崇義野球場) 1994년(年) 4월(月) 19일(日)
현대 유니콘스 한화 이글스 20:2 한밭종합운동장(綜合運動場) 야구장(野球場) 2000년(年) 5월(月) 19일(日)
롯데 자이언츠 삼성(三星) 라이온즈 24:14 대구시민운동장 야구장(野球場) 1995년(年) 6월(月) 28일(日)
KIA 타이거즈 20:8 광주(光州)기아챔피언스필드 2014년(年) 4월(月) 11일(日)
두산 베어스 23:1 서울종합운동장(綜合運動場) 야구장(野球場) 2014년(年) 5월(月) 31일(日)
한화 이글스 20:2 사직야구장 2011년(年) 10월(月) 4일(日)
20:12 사직야구장 2016년(年) 3월(月) 19일(日)
삼성(三星) 라이온즈 삼미 슈퍼스타즈 20:1 구덕야구장(野球場) 1982년(年) 6월(月) 12일(日)
20:6 대구시민운동장 야구장(野球場) 1982년(年) 7월(月) 10일(日)
MBC 청룡(靑龍) 21:4 대구시민운동장 야구장(野球場) 1989년(年) 4월(月) 15일(日)
LG 트윈스 27:5 대구시민운동장 야구장(野球場) 1997년(年) 5월(月) 4일(日)
쌍방울 레이더스 21:3 대구시민운동장 야구장(野球場) 1997년(年) 8월(月) 24일(日)
한화 이글스 22:1 한밭종합운동장(綜合運動場) 야구장(野球場) 2014년(年) 10월(月) 13일(日)
두산 베어스 20:3 대구시민운동장 야구장(野球場) 1987년(年) 9월(月) 29일(日)
20:3 대구시민운동장 야구장(野球場) 1990년(年) 5월(月) 31일(日)
24:5 대구시민운동장 야구장(野球場) 1999년(年) 8월(月) 7일(日)
25:6 서울종합운동장(綜合運動場) 야구장(野球場) 2015년(年) 5월(月) 20일(日)
KIA 타이거즈 20:5 대구(大邱)삼성라이온즈파크 2018년(年) 10월(月) 3일(日)
롯데 자이언츠 23:4 사직야구장 2019년(年) 3월(月) 27일(日)
KIA 타이거즈 삼성(三星) 라이온즈 20:7 대구시민운동장 야구장(野球場) 1989년(年) 4월(月) 20일(日)
쌍방울 레이더스 22:6 전주종합경기장 야구장(野球場) 1992년(年) 6월(月) 28일(日)
SK 와이번스 20:2 광주(光州)기아챔피언스필드 2014년(年) 5월(月) 1일(日)
두산 베어스 20:8 광주(光州)기아챔피언스필드 2017년(年) 6월(月) 21일(日)
삼성(三星) 라이온즈 22:1 광주(光州)기아챔피언스필드 2017년(年) 6월(月) 29일(日)
KT 위즈 20:8 수원(水原)케이티위즈파크 2017년(年) 7월(月) 8일(日)
SK 와이번스 21:8 인천(仁川)SK행복드림구장 2018년(年) 8월(月) 12일(日)
롯데 자이언츠 23:0 사직야구장 2022년(年) 7월(月) 24일(日)
두산 베어스 쌍방울 레이더스 20:5 전주종합경기장 야구장(野球場) 1995년(年) 5월(月) 26일(日)
한화 이글스 20:3 한밭종합운동장(綜合運動場) 야구장(野球場) 2004년(年) 4월(月) 27일(日)
24:3 대전한화생명이글스파크 2022년(年) 5월(月) 26일(日)
삼성(三星) 라이온즈 20:4 대구시민운동장 야구장(野球場) 1996년(年) 6월(月) 13일(日)
21:8 대구(大邱)삼성라이온즈파크 2017년(年) 9월(月) 17일(日)
KT 위즈 KIA 타이거즈 20:2 수원(水原)케이티위즈파크 2017년(年) 10월(月) 1일(日)
두산 베어스 20:8 수원(水原)케이티위즈파크 2018년(年) 3월(月) 31일(日)
키움 히어로즈 한화 이글스 22:8 대전한화생명이글스파크 2018년(年) 7월(月) 11일(日)
KT 위즈 20:2 수원(水原)케이티위즈파크 2018년(年) 8월(月) 5일(日)
삼성(三星) 라이온즈 21:8 대구(大邱)삼성라이온즈파크 2019년(年) 8월(月) 25일(日)
22:7 대구(大邱)삼성라이온즈파크 2020년(年) 8월(月) 1일(日)

방송(放送) 중계권(中繼權) [ 편집(編輯) ]

현재(現在) [ 편집(編輯) ]

지명권(指名權) [ 편집(編輯) ]

  • 1982 / 2024 ~  : KBS 2TV KBS 1TV (일부(一部)) 1982년(年) ~ 2010년(年) : [29]
  • 1982년(年) ~ 2000, 2005 / 2024 ~ : MBC TV (일부(一部))
  • 1992년(年) / 2024 ~ : SBS TV (일부(一部))
  • 2011년(年) / 2024 ~ : SPOTV
  • 2012년(年) / 2024 ~ : SPOTV2
  • 2002년(年) / 2024 ~ : KBS N 스포츠 (구(舊)) SKY KBS (구(舊)) KBS SKY 스포츠 1997년(年) ~ 2001 : KBS 위성방송(衛星放送)
  • 2005년(年) / 2024 ~ : MBC스포츠플러스 (구(舊)) MBC ESPN (구(舊)) MBC스포츠 2016년(年) ~ 2019 : MBC 퀸 MBC 스포츠플러스 2
  • 1995년(年) / 2024 ~ : SBS 스포츠 (구(舊)) 한국(韓國)스포츠30 (구(舊)) SBS스포츠 (구(舊)) SBS ESPN

종료(終了) [ 편집(編輯) ]

같이 보기 [ 편집(編輯) ]

각주(各州) [ 편집(編輯) ]

  1. 프로야구(野球) 당국지원(當局支援)으로 화려(華麗)한 출범(出帆) 한겨레 1993년(年) 3월(月) 22일(日)
  2. 정희준, 《스포츠 코리아 환타지》 개마고원(蓋馬高原)
  3. 많은 원로(元老)들의 노력(努力)이 프로야구(野球) 탄생(誕生)을 가능(可能)하게 했다 [ 깨진 링크 ( 과거(過去) 내용(內容) 찾기 )] 《엑스포츠뉴스》, 2009년(年) 1월(月) 28일(日)
  4. 문화(文化) 행사시(行事時) 최대(最大) 25,000명(名) 수용(收容) 가능(可能)
  5. OSEN - 2009년(年) 3월(月) 기사(記事) "SK, 문학(文學) 구장(球場) 좌석수(座席數) 줄여 테마 존 설치(設置)" [ 깨진 링크 ( 과거(過去) 내용(內容) 찾기 )]
  6. 마이 데일리 - 2010년(年) 5월(月) 기사(記事) "3만(萬) 관중(觀衆)은 없다, 그러나 꾸준한 야구팬(野球팬)은 있다"
  7. 이데일리 - 2010년(年) 5월(月) 기사(記事) "석가탄신일(釋迦誕辰日) 프로 야구(野球), 역대(歷代) 통산(通算) 7번째(番째) 전(全) 구장(球場) 매진(邁進)"
  8. 한국(韓國) 야구(野球) 위원회(委員會) - 2010년(年) 5월(月) 30일(日), 문학(文學) 구장(球場) 매진(賣盡) 기록(記錄)
  9. 데일리안(데일리안) - 2006년(年) 8월(月) 기사(記事) "야구(野球) 불모지(不毛地)에 피어나는 희망(希望)"
  10. “cyber_tour” . 2012년(年) 3월(月) 6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21년(年) 6월(月) 4일(日)에 확인(確認)함 .  
  11. 스포츠 서울 - 2010년(年) 5월(月) 기사(記事) "만원(滿員)! 만(萬)원! 만(萬)원! 황금(黃金) 연휴(連休) 꽉찬 관중석(觀衆席)" Archived 2011년(年) 7월(月) 21일(日) - 웨이백 머신
  12. 한국(韓國) 야구(野球) 위원회(委員會) - 2010년(年) 6월(月) 2일(日), 사직 구장(球場) 매진(賣盡) 기록(記錄)
  13. 인조(仁祖) 잔디 구장(球場)이었으나 2013년(年) 천연(天然) 잔디 구장(球場)으로 보수(保守).
  14. “한화이글스(韓華이글스) - A” . 2010년(年) 1월(月) 4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10년(年) 5월(月) 24일(日)에 확인(確認)함 .  
  15. 한국야구위원회(韓國野球委員會)
  16. 한국(韓國) 야구(野球) 위원회(委員會) - 2010년(年) 6월(月) 6일(日), 대전(大田) 구장(球場) 매진(賣盡) 기록(記錄)
  17. 천연(天然) 잔디 구장(球場)이었으나 2013년(年) 인조(仁祖) 잔디 구장(球場)으로 보수(保守).
  18. 경향신문(京鄕新聞) - 2009년(年) 8월(月) 기사(記事) "프로 야구(野球) 한화의 ‘제(第)2구장(球場)’ 청주(淸州) 구장(球場)"
  19. 뉴시스 - 2010년(年) 4월(月) 기사(記事) "한화(韓貨) 청주(淸州) 홈 개막전(開幕展) 매진(邁進)" Archived 2021년(年) 5월(月) 7일(日) - 웨이백 머신
  20. 시설개선(施設改善)으로 다시 태어난 청주야구장(淸州野球場) :: 네이버 뉴스
  21. 한국(韓國) 야구(野球) 위원회(委員會) - 2010년(年) 5월(月) 12일(日), 청주(淸州) 구장(球場) 매진(賣盡) 기록(記錄)
  22. 역대(歷代) 관중현황(觀衆現況) Archived 2014년(年) 10월(月) 9일(日) - 웨이백 머신 , KBO 공식(公式) 홈페이지.
  23. 관중(觀衆) 1000만돌파(萬突破) "본격(本格)프로" 이제부터 [ 깨진 링크 ( 과거(過去) 내용(內容) 찾기 )] (경향신문, 1987년(年) 5월(月) 20일(日))
  24. 당시(當時) 삼미 슈퍼스타즈 의 홈구장인 숭의야구장(崇義野球場) 은 보수(補修) 공사(工事) 관계(關係)로 삼미 슈퍼스타즈 가 전국(全國)을 돌며 특별(特別) 홈경기를 개최(開催)
  25. 4초(秒) 넥센 연속(連續) 주루사 2011.7.17
  26. 한화(韓華), 1타점(打點)이 아닌 무려(無慮) 2타점(打點) 희생(犧牲)플라이 2023.4.19
  27. 번트 실패(失敗)로 허무(虛無)하게 이닝이 끝나는 두산 2023.6.11
  28. “프로야구(野球) 유무선(有無線) 중계권(中繼權) 사업권(事業權), CJ ENM이 따냈다” . 2024년(年) 1월(月) 10일(日) . 2024년(年) 3월(月) 25일(日)에 확인(確認)함 .  
  29. 1994년(年) 10월(月) 이후(以後) 무광고(無廣告)

외부(外部) 링크 [ 편집(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