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JTBC -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본문(本文)으로 이동(移動)

JTBC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JTBC
JTBC 사옥
JTBC 사옥(社屋)
한국명(韓國名) 제이티비씨 주식회사(株式會社)
영문표기(英文表記) JTBC
형태(形態) 민영(民營) 방송(放送)
종합편성(綜合編成)채널
창립일(創立日) 2011년(年) 3월(月) 21일(日)
개국일(個國日) 2011년(年) 12월(月) 1일(日) (12년(年) 전(前)) ( 2011-12-01 )
자본금(資本金) 310,000,000,000원 (2014)
주요(主要) 주주(株主) 중앙(中央)홀딩스 유한회사(有限會社) : 25.00%
본사(本社)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大韓民國) 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 마포구(麻浦區) 상암산로 48-6
사장(社長) 홍정도 (CDXO 부회장(副會長))
이수영 (대표이사(代表理事) 사장(社長))
전진배 (보도담당(報道擔當) 대표이사(代表理事) 사장(社長))
모기업(某企業) 중앙(中央)그룹
자회사(子會社) JTBC미디어텍
계열사(系列社) JTBC미디어컴
SLL중앙(中央)
JTBC Plus
슬로건 다채로운 즐거움
웹사이트 JTBC 공식(公式) 홈페이지

JTBC (제이티비씨)는 유료(有料) 플랫폼으로 방송(放送)하는 대한민국(大韓民國)의 종합편성(綜合編成)채널 이다.

역사(歷史) [ 편집(編輯) ]

설립(設立) 초기(初期) [ 편집(編輯) ]

1980년(年) 말(末) 신군부(新軍部) 언론(言論) 통폐합(統廢合) 정책(政策) 으로 당시(當時) 중앙일보(中央日報) 와 같은 삼성(三星) 의 계열사(系列社)였던 동양방송(東洋放送) (TBC)이(李) 폐국(弊國)되어 자산(資産) 일체(一切)가 KBS 에 몰수당한 이후(以後), 중앙일보(中央日報)는 자회사(子會社)인 중앙방송 을 통해 유료(有料) 방송(放送) QTV (현(現) JTBC2 ), J골프(현(現) JTBC GOLF ) 등(等)을 운영(運營)하였고, 지면(紙面)을 통해 TBC에 대(對)한 기획(企劃) 기사(記事)를 수차례(數次例) 게재(揭載)하였다.

2009년(年) 7월(月) 22일(日) 에 여러 차례(次例) 논란(論難) 끝에 종합편성(綜合編成)채널에 법적(法的) 근거(根據)를 부여(附與)하는 방송법(放送法) 개정안(改正案)이 당시(當時) 여당(與黨)인 한나라당(한나라黨) 의 단독(單獨) 강행(强行) 처리(處理)로 국회(國會)를 통과(通過)했는데, 이는 야당(野黨)과 시민사회단체(市民社會團體)로부터 "날치기"라고 비판(批判) 받고, 일사부재의(一事不再議)의 원칙(原則) 위배(違背) 논란(論難)이 불거졌다. 이후(以後) 2010년(年) 11월(月) 30일(日) 에 종합편성(綜合編成)채널의 신청서(申請書) 접수(接受)가 시작(始作)되었을 때, 중앙일보(中央日報) 측(側)은 동양방송(東洋放送) 의 영문(英文) 약칭(略稱)이었던 "TBC"라는 이름으로 신청(申請)을 시도(試圖)하려 했으나, 해당(該當) 약칭(略稱)을 1990년대(年代)부터 대구경북(大邱慶北) 지역(地域)의 SBS 계열(系列) 지역민영방송사(地域民營放送社)인 TBC (Taegu Broadcasting Corporation, 대구방송(大邱放送))가 선점(先占)하여 jTBC(소문자(小文字) j)라는 이름으로 신청서(申請書)를 제출(提出)하였다. 이후(以後) 중앙(中央)그룹 측(側)은 j를 뺀 TBC 상표(商標)를 사용(使用)하고자 해당(該當) 상표(商標)를 보유(保有)한 TBC 와 여러번(番) 접촉(接觸)했으나, 결국(結局) TBC 측(側)의 거절(拒絶)로 실패(失敗) [1] 했다.

2010년(年) 12월(月) 31일(日)에 종합편성(綜合編成) 방송(放送)채널사업자(事業者)로 선정(選定)된 이후(以後), 2011년(年) 3월(月) 21일(日)에 법인(法人)이 설립(設立)되어 같은 해 개국(個國)을 앞두고 로마자(로마字) 표기(表記)를 고쳐 JTBC(대문자(大文字) J)로 12월(月) 1일(日)에 개국(開局)하였다.

호평(好評)과 막대(莫大)한 투자(投資) [ 편집(編輯) ]

2012년(年) 6월(月) 부터 2014년(年)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地域) 최종(最終) 예선(豫選) A조(組) 중계방송(中繼放送)을 시작(始作)으로 스포츠 중계방송(中繼放送)을 개시(開始)하였으며, 2013년(年) WBC 중계권(中繼權)도 맡으며, 스포츠중계도(中繼度) 본격적(本格的)으로 활성화(活性化)하였다. [2] 다만 독점(獨占) 중계(中繼)했다 경기(競技) 내용(內容)이나 성적(成績)이 저조(低調)해 광고(廣告) 수익(收益) 등(等)에서 손해(損害)를 보는 경우(境遇)가 나오자 2010년대(年代) 중후반(中後半) 들어선 스포츠 중계(中繼) 횟수(回數)를 과거(過去)보다 좀 줄이는 모양새(模樣새)도 보이고 있다. 대신(代身) JTBC 산하(傘下) 스포츠 전문(專門) 케이블 [3] 에서 스포츠 관련(關聯) 중계(中繼)를 하고 있다.

2013년(年) 11월(月) 15일(日) , 방송통신위원회(放送通信委員會) 전체회의(全體會議)에서 의결(議決)된 2012년도(年度) 방송평가(放送評價)에 따르면 JTBC는 SBS MBC 를 제치고 지상파(地上波) 포함(包含) 3위(位)를 기록(記錄)하였으며, [4] 2013년(年) 말(末) 조사(調査)한 여론조사(輿論調査)에서도 방송(放送) 신뢰도(信賴度)가 지상파(地上波)채널인(人) MBC SBS 를 추월(追越)했다. [5] 그러나 이러한 지상파급(地上波及) 막대(莫大)한 투자(投資)를 하다보니 과유불급(過猶不及)인지 2012년(年) 영업손실(營業損失)은 1397억(億)원으로 종합편성(綜合編成)채널과 보도전문편성(報道專門編成) 사업자(事業者)들 중(中) 가장 높은 것으로 집계(集計)되었다. [6] 그럼에도 제작비(製作費)가 비교적(比較的) 적게 드는 시사(示唆), 교양(敎養) 프로에 치중(置重)하는 다른 종편사(綜編社)들에 비(比)해 예능(藝能), 드라마, 스포츠 등(等) 다양한 장르에 꾸준히 투자(投資)하는 모양새(模樣새). [7] [8] 종합편성(綜合編成)채널이란 원래(元來) 취지(趣旨)엔 가장 부합(符合)하는 포지션을 취(取)하고 있다.

2013년(年) 5월(月), 손석희(孫石熙) 앵커를 보도부문사장(報道部門社長)으로 영입(迎入)하고, [9] 그를 JTBC 뉴스룸 의 전신(前身)이었던 저녁 종합(綜合) 뉴스 프로그램 JTBC 뉴스 9 의 진행자(進行者)로 내세워 [10] 보도부문(報道部門)에서도 호평(好評)을 받기 시작(始作)했다. 특히(特히) 2014년(年) 세월호(歲月號) 침몰(沈沒) 사고(事故) 관련(關聯) 보도(報道)와 2016년(年) 박근혜(朴槿惠)-최순실 게이트 관련(關聯) 보도(報道)를 기점(起點)으로 JTBC는 KBS 조차 제치고 각종(各種) 여론조사(輿論調査)의 방송사(放送社) 뉴스 신뢰도(信賴度)/영향력(影響力) 평가(評價)에서 압도적(壓倒的) 수치(數値)로 1위(位)를 차지하였다. 홍정도 사장(社長)의 2018년(年) 신년사(新年辭)에 의(依)하면 JTBC는 2017년(年) 첫 순이익(純利益)을 냈다고 한다. [11]

논란(論難) [ 편집(編輯) ]

올림픽 독점(獨占) 중계(中繼) [ 편집(編輯) ]

국제(國際)올림픽위원회(委員會) 에서 2026년(年) 동계(冬季) 올림픽 부터 2032년(年) 하계(夏季) 올림픽 까지 4개(個) 동(棟)·하계(夏季) 올림픽의 중계권(中繼權) 협약(協約)을 맺었기 때문에, 지상파(地上波) 방송국(放送局)들은 시청자(視聽者)들의 '보편적(普遍的) 시청권(視聽權)'이 침해(侵害)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올림픽 단독(單獨) 중계(中繼)가 매너리즘 에 빠졌지만 갑작스러운 올림픽 중계권(中繼權) 독점(獨占) 발표(發表)는 지상파(地上波) 방송국(放送局)뿐 아니라, 시청자(視聽者)들에게도 적지 않은 혼란(混亂)을 줄 수도 있고, 무엇보다 중요(重要)한 것은 방송사(放送社) 간(間)의 경쟁(競爭)으로 인해 케이블 TV IPTV 가입(加入) 서비스에 가입(加入)하지 않은 사람들은 올림픽 을 즐길 권리(權利)를 침해(侵害)하는 일은 없어야 우려(憂慮)한다. 아울러 지상파(地上波)의 올림픽과 같은 국제(國際) 경기(競技) 중계권(中繼權)은 종합편성(綜合編成)채널 단독(單獨)으로 공개(公開) 입찰(入札)에 참여(參與)한 JTBC가 코리아풀(지상파(地上波) 3사(社) 컨소시엄) 보다 높은 가격(價格)을 불러 중계권(中繼權)을 획득(獲得)하기 전(前)까지 말이다. [12] [13] [14]

직원(職員) [ 편집(編輯) ]

프로그램 [ 편집(編輯) ]

방영(放映) 프로그램 [ 편집(編輯) ]

드라마 [ 편집(編輯) ]

예능(藝能) [ 편집(編輯) ]

교양(敎養) [ 편집(編輯) ]

뉴스 [ 편집(編輯) ]

종영(終映) 프로그램 [ 편집(編輯) ]

드라마 [ 편집(編輯) ]

예능(藝能) [ 편집(編輯) ]

교양(敎養) [ 편집(編輯) ]

뉴스 [ 편집(編輯) ]

특징(特徵) [ 편집(編輯) ]

  • 본방송인(本放送人) 경우(境遇) 화면(畵面) 상단(上段) 왼쪽에 드라마는 으로 써있고, 교양(敎養) · 예능(藝能) 프로그램은 본방송(本放送) 으로 표시(標示)한다. [15]
  • 보도(報道) · 시사(示唆) · 토론(討論) · 실황(實況) 중계(中繼) 프로그램은 화면(畵面) 오른쪽 상단(上段)에 LIVE 로 표시(標示)된다. [16]
  • 스페셜 다큐멘터리 에서 해외(海外) 걸작선(傑作選) 영상(映像)이 자주 방송(放送)되고 있으나, 과거(過去)의 인기(人氣) 프로그램이 많음과 동시(同時)에 OTT, 온에어 저작권(著作權)의 문제(問題)로 인해 방송(放送)이 불가능(不可能)한 경우(境遇)가 있다.

CI [ 편집(編輯) ]

2011년(年) 12월(月) 1일(日) 부터 슬로건과 함께 CI를 공개(公開)했다. CI는 무지개의 다채로운 색상(色相)을 모티브로 했다. 이는 특정한 색(色), 편협(偏狹)한 시각(視角)에 얽매이지 않는 창조성(創造性)과 다양성(多樣性)을 상징(象徵)한다고 밝혔다. 영문(英文) 사명(社名)을 기존(旣存)에 쓰였던 JTBC 대신(代身) 모두 대문자인(大門自認) JTBC로 사용(使用)한다고도 밝혔다. [17] 다만 로고는 소문자(小文字)를 사용(使用)한다.

현황(現況) [ 편집(編輯) ]

JTBC의 주주현황(株主現況)
주주(株主) 소유(所有) 지분(持分)
중앙(中央)홀딩스 25.01%
디와이홀딩스 [18] 6.52%
중앙일보(中央日報) 4.99%
텔레비아사히 3.08%
터너아시아퍼시픽벤처 2.63%
S&T중공업(重工業) 2.37%
성우(聲優)하이텍 2.37%
성보문화재단(聖寶文化財團) 1.18%
대한제강(大寒製鋼) 1.18%
에이스침대 1.18%
한샘 1.18%
  • 중앙(中央)그룹 이 최대주주(最大株主)로 25%의 지분(持分)을 소유(所有)하고 있으며, 중앙일보(中央日報) 가 주요주주(主要株主)로 4.99%를 소유(所有)하고 있다. 여기에 홍석현 의 사돈(査頓)이 운영(運營)하고 있는 사실(事實)상의 특수관계(特殊關係)인 성보문화재단(聖寶文化財團) 의 1.18%를 합(合)하면 31.17%가 된다. 때문에 방송법(放送法)이 정(定)한 종편(從便)의 1인(人) 소유(所有) 규제(規制) 상한선(上限線) 30%를 넘어선 것으로 보는 견해(見解)도 있다. [19] [20]

공영(共營) 외주(外注) [ 편집(編輯) ]

민영(民營) 외주(外注) [ 편집(編輯) ]

  • 미국 Warner Bros Discovery
  • 영국 Channel 5
  • 프랑스 Canal+

같이 보기 [ 편집(編輯) ]

각주(各州) [ 편집(編輯) ]

  1. 종편(綜編) 특명(特命) ‘채널 인지도(認知度)’ 높여라
  2. *언론풍향계(言論風向計)* 월드컵 최종예선(最終豫選) 중계(中繼), JTBC가 왜 《경남도민일보(慶南道民一步)》 2012년(年) 6월(月) 14일(日) 작성(作成).
  3. JTBC GOLF , JTBC 골프&스포츠
  4. 강태화·봉지(封止)욱 (2013년(年) 11월(月) 16일(日)). “JTBC 방송평가(放送評價) 지상파(地上波) 포함(包含) 3위(位)” . 중앙일보(中央日報) . 2013년(年) 11월(月) 16일(日)에 확인(確認)함 .  
  5. 라효진 (2014년(年) 1월(月) 2일(日)). “JTBC, 신뢰도(信賴度) 면(面)에서 MBC·SBS 추월(追越)했다” . 스타뉴스 . 2014년(年) 1월(月) 2일(日)에 확인(確認)함 .  
  6. 김경환, "종편(綜編) 작년(昨年) 영업손실(營業損失) 3097억(億), JTBC 1397억(億) 1위(位)" , 머니투데이, 2013년(年) 10월(月) 15일(日)
  7. 오상도, 지상파(地上波) 시사(時事)프로그램 부활(復活), 아직 멀었다 , 서울신문(서울新聞), 2013년(年) 1월(月) 29일(日)
  8. 홍현진·고정미, '종편(綜編) 시청률(視聽率) 톱100', 조선(朝鮮)·동아는 어디 갔니? , 오마이뉴스, 2013년(年) 4월(月) 30일(日)
  9. 정철운, 손석희(孫石熙), JTBC 보도부문(報道部門) 사장(社長) 전격(電擊) 영입(迎入)… 배경(背景)은? ,미디어오늘, 2013년(年) 5월(月) 9일(日)
  10. 윤상근, 손석희발(孫石熙發)(發) JTBC 보도개편(報道改編), 성공(成功) 가능성(可能性)은? , 스타뉴스, 2013년(年) 9월(月) 19일(日)
  11. NEWSIS. “홍정도 사장(社長) "중앙(中央)그룹으로 새 출발(出發)...삶과 문화(文化) 선도(先導) 의지(意志) " . 2018년(年) 1월(月) 12일(日)에 확인(確認)함 .  
  12. 이데일리 기사(記事)
  13. 오마이뉴스 기사(記事)
  14. 방송기술(放送技術)저널 기사(記事)
  15. 본방송(本放送) 이후(以後)부터 프로그램 재방송(再放送), IPTV, VOD 서비스 등(等)의 표시(表示)하지 않는다.
  16. 인터넷 다시 보기는 LIVE 표시(標示)가 나오지 않음.
  17. 김성후, 중앙일보(中央日報) 종편(終篇) JTBC, CI 공개(公開) , 기자협회보, 2011년(年) 11월(月) 9일(日)
  18. 경영(經營)컨설팅 회사(會社)로, 삼성전자(三星電子) 엘시디사업부(事業富)의 핵심(核心) 협력사(協力社) SFA의 최대주주(最大株主). 부회장(副會長)이 이재용과 고등학교(高等學校) 선후배관계(先後輩關係)라며 전망(展望)이 안정적(安定的)이라고 주목(注目)받았다.
  19. 권순택, 검증(檢證)TF, 방통위(放通委) 종편(綜編) 심사(審査)에 “규제공백(規制空白)이 있다” , 미디어스, 2013년(年) 7월(月) 30일(日)
  20. 김세옥, “종편(綜編) 신문(新聞), 사돈(査頓) 등(等) 편법(便法)으로 최대지분(最大持分) 초과(超過)” , PD저널, 2013년(年) 7월(月) 29일(日)

외부(外部) 링크 [ 편집(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