國內 有料 放送 加入者가 關聯 統計를 集計한 以後 처음으로 減少했다. 넷플릭스, 쿠팡플레이 等 온라인動映像서비스(OTT) 利用이 늘면서 有料 放送을 解止하는 ‘코드 커팅’ 現象이 나타났다는 分析이 나온다. 늘어나는 1人 家口 需要에 힘입어 成長하던 인터넷TV(IPTV) 서비스 市場이 限界에 逢着한 게 아니냐는 憂慮가 커지고 있다.
"韓도 코드 커팅"…유료방송 가입자 첫 감소
科學技術情報通信部는 2023年度 下半期 有料 放送 加入者 數와 市場占有率을 16日 發表했다. 調査 結果에 따르면 昨年 下半期 有料 放送 加入者는 3631萬106名으로 電氣 對比 3萬7389名(0.1%) 減少했다. 有料 放送 加入者가 줄어든 것은 이 調査가 이뤄진 2015年 下半期 以後 처음이다.

IPTV 加入者는 2092萬5902名으로 全體의 57.63%에 達했다. 다른 有料 放送과 달리 增加勢를 維持했지만 增加幅이 漸次 줄어드는 趨勢다. 2020年 下半期 IPTV 加入者의 電氣 對比 增加率은 4.38%에 達했지만 2022年 下半期에는 1.79%, 昨年 下半期에는 0.54%로 낮아졌다. 케이블TV(SO) 加入者는 1254萬1500名으로 昨年 上半期보다 0.71% 줄었다. 衛星放送 加入者도 2.04% 減少한 284萬2704名에 그쳤다.

事業者別로는 KT가 882萬7392名(24.31%)으로 가장 많았다. SK브로드밴드(IPTV)가 668萬4857名(18.41%), LG유플러스_ 541萬3653名(14.91%)으로 2位와 3位에 올랐다.

市場調査業體 컨슈머인사이트가 國內 19歲 以上 有料 放送 利用者 2萬餘 名을 對象으로 調査해 올해 初 發表한 資料에 따르면 有料 放送 利用者의 37%가 有料 放送을 解止하고 OTT를 利用하는 코드 커팅을 考慮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드 커팅을 考慮하는 理由로는 ‘TV를 보는 일이 줄어서’(31%)와 ‘TV에 볼 만한 것이 別로 없어서’(30%)라는 答辯이 가장 많았다. ‘OTT로 充分해서’(27%)와 ‘料金이 부담돼서’(26%)란 答辯 比重도 높았다. 實際 調査에서 TV 視聽 時間은 하루 平均 2時間으로 스마트폰(4.8時間)의 折半 以下였다. TV 視聽 時間의 28%는 OTT를 보는 데 割愛하고 있었다. 30代의 OTT 視聽 比率은 39%에 達했다. 컨슈머인사이트 關係者는 “인터넷만 連結하면 OTT 視聽이 可能한 스마트TV가 普遍化하면서 OTT 爲主의 視聽者가 每달 料金을 納付하며 有料 放送을 維持할 理由가 줄었다”고 分析했다.

有料 放送業界는 實績 惡化와 OTT 利用者 增加에 따른 不安感이 擴散하는 趨勢다. 特히 最近 몇 年 동안 加入者가 持續해서 줄고 있는 케이블TV業界의 不安感이 크다. 韓國케이블TV放送協會에 따르면 主要 케이블TV 業體의 放送 部門 營業利益率은 2018年 12.6%에서 2022年 1.2%로 下落했다.

協會는 지난달 非常經營對策會議體를 構成하기도 했다. 協會 關係者는 “케이블TV는 地域 單位 許可事業者로 IPTV나 OTT 같은 競爭 事業者보다 다양한 規制를 適用받고 있다”며 “30餘 年 前 附與받은 地域 채널 運用 義務로 인해 投資費가 늘고 있어 存廢 危機에 對한 憂慮까지 나온다”고 말했다.

李承雨 記者 leesw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