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밸류 負擔에 무너진 2次電池株, 솟아날 種目은 있다

밸류 負擔에 무너진 2次電池株, 솟아날 種目은 있다

電氣車 販賣 鈍化에 政策 리스크 겹치며 下方 壓力
테마 大將株부터 不振…2次電池 指數 올들어 24%↓
電氣車 成長 레벨 縮小 중이나 新成長 可能 種目 注目
  • 登錄 2024-06-18 午前 12:00:45

    修正 2024-06-18 午前 12:00:45

[이데일리 李貞鉉 記者] 2次電池 테마株가 電氣車 販賣 鈍化와 政策 리스크가 겹치며 二重苦를 겪고 있다. 株價 不振에 否定的인 實績 展望値가 나오면서 下方 壓迫이 加重되는 模樣새다. 證券街에서는 한때 證市를 主導하던 배터리 關聯株가 밸류에이션 陷穽에 빠진 만큼 當分間 新技術 等을 통한 利益 改善이 期待되는 種目을 찾아 投資 포트폴리오를 再構成해야 한다고 助言하고 있다.

17日 마켓포인트에 따르면 兩極財 大將主人 에코프로비엠(247540) 은 이날 前去來日 對備 0.80%(1600원) 내린 19萬 8900원에 場을 마감하며 다시 20萬원臺가 무너졌다. 에코프로(086520) 는 2.31%(2300원) 내린 9萬7100원에 마감하며 10萬원臺에서 다시 한발 물러났다. 完成셀 製造社인 LG에너지솔루션(373220) 은 3.58% 下落했으며 LG電子(066570) 는 1.66%, 三星SDI(006400) 는 0.65% 내리며 弱勢 마감했다.

(그래픽=김일환 記者)
지난해 主導株였던 2次電池 테마株의 弱勢는 올들어 繼續되는 模樣새다. 韓國去來所가 배터리 關聯 主要種目을 追從해 集計하는 KRX 2次電池 TOP 10 指數는 올들어 24.86% 下落했다. 에코프로비엠이 30%臺, LG에너지솔루션이 21%臺 下落하는 等 兩極財와 셀製造 等 主要種目들이 모두 뒷걸음질쳤기 때문이다. 에코프로머티(450080) 는 最近 2大株主인 블루言벤처스(BRV)가 持分 2500億원어치를 大量 賣却했다는 消息에 株價가 急落하기도 했다.

2次電池 테마株의 不振에 對해 市場에서는 電氣車 烈風이 鎭靜되면서 배터리 關聯 種目을 中心으로 밸류에이션 再評價가 이뤄지고 있다고 보고 있다. 北美와 유럽 主要國이 電氣車 補助金을 縮小하거나 廢止하는 等 支援 政策이 後退하고 있어 電氣車 消費量 鈍化가 持續될 것으로 豫想되는 만큼 배터리 섹터의 業況 不振 및 實績 下向은 不可避하다는 것이다.

한병화 有進投資證券 硏究員은 “電氣車의 成長 레벨이 縮小되는 經路로 進入했다”며 “前方産業의 展望이 後退함에도 不拘하고 韓國의 兩極財와 一部 所在業體들은 世上에 없는 밸류에이션을 받고 있다”고 指摘했다.

證券街에서는 2次電池 섹터와 關聯해 選別的인 投資가 必要하다고 보고 있다. 最近 株價 下落이 이어졌음에도 實績 展望値가 持續 下向되고 있어 밸류에이션이 낮아지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그동안 섹터를 主導해온 兩極財 或은 셀 業體 代身 新技術을 통한 利益 改善이 期待되는 企業에 注目해야 한다고 助言이 나온다. 最近 三星證券은 대주電子材料(078600) , 하나증권은 케이엔에스(432470) 等을 2次電池 섹터 內 成長可能性이 높은 種目으로 推薦했다.

最近의 株價 下落으로 2次電池 섹터가 바닥을 다져가고 있는 만큼 먼저 反騰할 種目에 注目해야 한다는 分析도 나온다. 電氣車 販賣量과는 別個로 國內 배터리 企業의 供給이 擴大되고 있다는 게 背景이다. 이안나 유안타증권 硏究員은 “셀 除朝辭의 境遇 三星SDI에 注目할 必要가 있으며 兩極財 種目은 2分期 實績 回復을 期待하기 어려우나 엘앤에프(066970) 는 本格 外形成長이 始作될 것으로 보인다”며 “長期的으로는 炭素나노튜브(CNT) 關聯株인 제이오(418550) 나노新素材(121600) 는 繼續 注目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데일리
推薦 뉴스 by Taboola

當身을 위한
맞춤 뉴스 by Dable

소셜 댓글

많이 본 뉴스

바이오 投資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왼쪽 오른쪽

스무살의 설레임 스냅타임

왼쪽 오른쪽

재미에 知識을 더하다 映像+

왼쪽 오른쪽

두근두근 핫포토

  • '57세' 김희애, 우아美
  • '쾅' 배터리 공장 불
  • 엄마 나 좀 보세요~
  • 우승 사냥
왼쪽 오른쪽

04517 서울市 中區 統一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代表電話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 I 事業者番號 107-81-75795

登錄番號 서울 아 00090 I 登錄日子 2005.10.25 I 會長 곽재선 I 發行·編輯人 이익원 I 靑少年保護責任者 高규대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