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텅 빈 洋동이 속 외로움, 꿈, 그리고 希望[令監 한 스푼]|東亞日報

텅 빈 洋동이 속 외로움, 꿈, 그리고 希望[令監 한 스푼]

  • 東亞日報
  • 入力 2024年 2月 12日 23時 36分


코멘트

注目받는 作家 장언리의 作品世界

장언리, ‘멀리서 온 손님(A Guest from Afar)’, 2023년, 캔버스에 유채, 200×400cm. ⓒ 장언리 Zhang Enli, 하우저 앤드 워스 제공
장언리, ‘멀리서 온 손님(A Guest from Afar)’, 2023年, 캔버스에 油彩, 200×400cm. ⓒ 장언리 Zhang Enli, 하우저 앤드 워스 提供
김민 문화부 기자
김민 文化部 記者
누군가를 마주할 때보다 그 사람이 남기고 간 빈자리에서 眞實이 드러날 때가 있습니다.

저에겐 外三寸이 갑자기 世上을 떠났을 때가 그랬습니다. 愉快한 멋쟁이였던 그가 두고 간 집을 整理할 때 쏟아져 나오던 온갖 雜동사니들. 낡은 낚시 母子, 지포 라이터, 짝이 맞지 않는 그릇 더미, 베란다에 쓸쓸히 놓인 花盆들은 온 家族을 슬픔에 잠기게 만들었죠.

中國의 注目받는 現代美術家 장언리(張恩利·59)의 빈 洋동이 시리즈를 보면 저는 그것을 스쳐 간 사람들의 외로움과 絶望, 꿈과 希望이 떠오릅니다. 最近 하우저 앤드 워스 홍콩 갤러리에서 個人展 ‘얼굴들’을 통해 新作을 公開한 그의 作品 世界를 共有합니다.

빈 洋동이, 箱子와 고무호스
英國 테이트 美術館이 所藏하고 있는 장언리의 ‘洋동이’ 聯作은 차가운 콘크리트 바닥에 놓인 듯한 洋동이를 여러 角度에서 그리고 있습니다. 걸레를 빨거나, 더러워진 물을 나르거나, 必要하면 언제든 쓸 수 있게 아무렇게나 놓인 洋동이입니다.

장언리는 2000年代에 이렇게 日常 속 보잘것없는 事物을 前面에 내세운 作品들을 그렸습니다. 洋동이뿐 아니라 텅 빈 浴槽, 바닥에 멈춰 있는 공, 뚜껑을 쩍 벌린 箱子, 리드미컬하게 엉킨 고무호스 等이 素材가 되었습니다. 왜 이런 그림을 그렸을까?

日常 聯作들은 캔버스에 油畫 물감으로 그렸지만, 마치 水彩畫처럼 아주 얕게 彩色된 것이 特徵입니다. 그래서 그 物件의 幾何學的 形態보다 表面의 느낌이 더 强烈하게 다가옵니다. 그러면서 텅 빈 內部가 마치 깊은 구덩이처럼 視線을 빨아들이는 效果가 극대화되는데요. 이렇게 그림을 곱씹어 보면 結局 重要한 건 物件 自體가 아니라 그것을 보는 사람의 ‘눈길’임을 느끼게 됩니다. 洋동이가 아니라 바닥에 無心코 놓여 있는 그 洋동이를 가만히, 물끄러미 바라보는 눈을 認識하게 됩니다.

그 視線과 함께 우리는 洋동이의 깊은 구멍이 열어 주는 門을 열고 想像의 世界로 빠져듭니다. 잿빛 물이 가득 찼다 비워지기를 反復하며 洋동이가 지나왔을 日常의 많은 時間들. 그 時間을 奔走히 살아가며 삶의 希望을 다져 나갔을 어느 이름 모를 사람의 모습을….

제 살을 깎아 먹는 푸주漢
장언리, 정육점(2)(Meat Market(2)), 1997년, 캔버스에 유채, 169.7×149.7cm. ⓒ 장언리 Zhang Enli, 작가 제공
장언리, 精肉店(2)(Meat Market(2)), 1997年, 캔버스에 油彩, 169.7×149.7cm. ⓒ 장언리 Zhang Enli, 作家 提供
장언리의 日常 事物 聯作에는 脈絡이 있습니다. 이 聯作이 나오기 前 1990年代에 그는 都市의 劣惡한 環境 속에서 사는 사람들의 모습을 그렸습니다. 가장 有名한 것은 ‘푸주漢(Butcher)’ 시리즈죠.

1993年에 그린 ‘쇠고기 두 斤(Two Jin of Beef)’처럼 거칠고 赤裸裸한 表現이 두드러집니다. 쇠처럼 굳은 얼굴을 한 푸주漢의 앞에 놓인 고깃덩어리와 그의 팔이 마치 같은 고기인 듯 비슷한 質感으로 그려져 있습니다. 거기에 어깨에서는 피가 뿜어져 나오고 있고요. 이 무렵 作家는 엄청난 變化를 겪고 있던 都市 상하이에서 大學 講師로 일했습니다. 그때의 經驗을 이렇게 말했죠.

“캠퍼스의 작은 寄宿舍에 살며 한 달에 100위안(藥 2萬 원)을 벌었고 時間은 남아돌았다. 그림 그리는 것밖에는 할 수 있는 게 없었던 나날이었고, 憂鬱感이 자주 찾아왔다. … 집 맞은便 큰 市場을 午後마다 들렀고, 내가 고기를 좋아했기에 精肉店을 늘 구경했다. … 90年代 初盤 난 이런 文章을 썼다: ‘우리 모두는 도마 위에 놓인 고기다. 어쩌다 한 番씩 푸주漢 노릇을 할 뿐….”(2017年 이숙경 큐레이터와의 이메일 對話에서 拔萃)

빽빽한 빌딩 숲에서 서로 먹고, 먹히며 살아가는 사람들의 모습을 그는 이 무렵 表現하고 있습니다. 그러다 갑자기 그림에서 사람이 사라졌고, 그 代身 그들의 痕跡이 남은 事物들이 캔버스를 代身 채웠죠.

사라진 테두리, 痕跡의 地圖
하우저 앤드 워스 홍콩 個人展 ‘얼굴들’에서는 最近作을 만날 수 있습니다. 이들 作品에서는 畵面 위에 線과 色들이 서로 리듬을 맞추듯 둥둥 떠다닙니다. 장언리는 “보이지 않는 것들도 時間이 지나면 痕跡을 남긴다”며 “壁이나 하늘을 보면 痕跡이 가득하다. 이 痕跡들에 사람의 이름을 붙이면 보이면서 보이지 않는 것이 된다”고 說明합니다.

實際로 展示場 속 作品은 抽象化처럼 形態가 없지만, 題目은 具體的입니다. ‘멀리서 온 손님’, ‘美術館長’, ‘멜론 農夫’ 等의 題目이죠. 그리고 展示의 題目은 ‘얼굴들’. 마치 얼굴 없는 表情만으로 特定 人物에 對한 感覺을 드러내려는 듯합니다. 그가 “누군가의 뒷모습도 肖像이 될 수 있다”고 말한 것처럼 말이죠.

밝고 輕快한 色彩가 돋보이는 作品들은 이제 다시 사람들의 마음속으로 들어가려는 것처럼 보입니다. 쓸쓸하고 絶望스러웠던 都市의 群像에서, 텅 빈 空白으로 向한 다음, 이제는 마음에 들어 있는 各自의 꿈이나 欲望, 그로 인한 希望과 若干의 挫折을 指導처럼 펼쳐 놓습니다.

흥미로운 건 1990年代부터 只今까지 繼續해서 다양한 樣相으로 펼쳐지는 作業들입니다. 그리고 이 모든 것은 ‘痕跡’과 ‘저 너머’의 무언가를 통해 世上을 理解해 보려는 作家의 視線을 證明하고 있습니다.

“50年 동안 發展해 온 내 생각은, 내가 보는 視角과 그에 얽힌 나의 經驗이 重要하다는 事實이다. 나는 世界가 重要한 事件이나 하나의 특별한 이벤트로 만들어진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世上은 오히려 重要하지 않아 보이는 수많은 것들로 만들어진다.”




※뉴스레터 ‘令監 한 스푼’은 每週 金曜日 午前 7時 發送됩니다. QR코드를 통해 購讀 申請하시면 이메일로 먼저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김민 文化部 記者 kimmin@donga.com


#장언리 #作品世界 #외로움 #꿈 #希望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