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올트먼-머스크에만 AI 運命 맡길순 없어”|동아일보

“올트먼-머스크에만 AI 運命 맡길순 없어”

  • 東亞日報
  • 入力 2024年 5月 27日 03時 00分


코멘트

政治經濟 碩學 애스모글루 인터뷰
“少數의 AI 獨占, 民主主義 毁損
사람中心 規制 마련 가장 時急”



“샘 올트먼이나 일론 머스크 같은 실리콘밸리 少數에게 人工知能(AI) 運命을 맡길 순 없다.”

世界的인 政治經濟 碩學 대런 애스모글루 美國 매사추세츠工大(MIT) 敎授(寫眞)는 21日(現地 時間) 東亞日報와의 인터뷰에서 “AI는 蒸氣機關이나 컴퓨터 發明에 버금가는 技術 革命”이라며 “少數 企業이 開發 方向을 定하는 AI는 不平等을 惹起하고 民主主義를 毁損할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産業革命, 情報化 革命만큼의 波及力을 가져올 AI 革命이 올트먼 오픈AI 最高經營者(CEO)나 머스크 테슬라 CEO, 마크 저커버그 페이스북 CEO 等 美國 테크 經營陣이 左右하는 狀況에 警告音을 낸 것이다.

애스모글루 敎授는 世界 指導者들의 必讀書로 꼽히는 著書 ‘國家는 왜 失敗하는가’로 有名하다. 尹錫悅 大統領도 大選候補 時節 ‘人生의 冊’으로 꼽은 바 있다. 最近에는 著書 ‘權力과 進步’에서 歷史的으로 少數 엘리트가 技術을 利用해 社會的 便益을 獨占하려 했던 歷史를 豐富한 事例를 통해 證明하며 AI 獨占을 警告했다.

애스모글루 敎授는 “실리콘밸리 少數 技術 리더들은 現在 AI를 (사람 水準의 知能을 갖춘) 人工一般知能(AGI)과 自動化로 이끌고 있다. 이것만으로 生産性 向上과 일자리 創出이라는 目標에 到達할 수 없다”고 主張했다. 그러면서 “가장 時急한 問題는 올바른 AI 規制와 政策을 採擇해 사람 中心의 AI를 具現하는 것”이라며 “韓國이 技術과 더불어 人的 資源을 活用해 成長한 것이 AI 時代에 敎訓이 될 수 있다”고 强調했다.

애스모글루 敎授는 30日 ‘AI 大革新의 時代와 韓國 金融의 未來’를 主題로 東亞日報와 채널A가 主催하는 ‘2024 東亞國際金融포럼’에서 ‘AI와 經濟 및 社會의 未來’에 對해 基調講演에 나선다.

“AI ‘사람 中心’ 開發을… 韓도 自動化보다 生産性 向上 나서야”


[2024 東亞國際金融포럼]
‘國家는 왜 失敗하는가’ 著者 대런 애스모글루 敎授 인터뷰
技術이 곧 繁榮을 의미하진 않아… 올바른 規制-政策이 뒷받침될때
새로운 일자리 創出 이루어질것… 韓 ‘包容的 市場’ 成功모델이지만
官治經濟-不淨腐敗 殘滓 남아있어…완전한 包容的 制度까지 갈길 멀어
대런 애스모글루 매사추세츠공대(MIT) 교수는 동아일보와의 인터뷰에서 “소수가 좌우하는 기술은 불평등을 심화시키고 민주주의를 
훼손할 것”이라며 “인공지능(AI)은 인간을 보완할 수 있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애스모글루 교수 제공
대런 애스모글루 매사추세츠공대(MIT) 敎授는 東亞日報와의 인터뷰에서 “少數가 左右하는 技術은 不平等을 심화시키고 民主主義를 毁損할 것”이라며 “人工知能(AI)은 人間을 補完할 수 있는 方向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强調했다. 애스모글루 敎授 提供
“人工知能(AI) 活用 傍點을 人件費 節減에 둘 것인가, 사람을 돕는 데 둘 것인가. 韓國도 選擇해야 한다.”

世界的인 政治經濟 碩學 대런 애스모글루 매사추세츠공대(MIT) 敎授는 21日 東亞日報와의 書面 인터뷰에서 “勞動을 核心 人的 資源으로 보고 이 資源의 力量과 生産性을 높이기 위해 新技術을 活用하는 것이 中期的 成果, 共同 繁榮, 民主主義 側面에서 훨씬 낫다”며 韓國이 ‘사람 中心 AI 技術’ 活用에 積極 나서야 한다고 助言했다.

스스로를 ‘AI 懷疑論者’라고 밝힌 애스모글루 敎授는 “AI가 賃金 上昇을 돕고 더 意味 있는 일자리를 創出하며 더 나은 生産性 成果를 提供할 수 있는 올바른 規制와 政策 採擇이 時急하다”고 强調했다.

대런 애스모글루 교수가 “2024 동아국제금융포럼을 기대하고 있다”며 친필로 작성한 축하 메시지.
대런 애스모글루 敎授가 “2024 東亞國際金融포럼을 期待하고 있다”며 親筆로 作成한 祝賀 메시지.
包容的 政治와 經濟 制度가 國家 興亡盛衰의 열쇠라고 主張해 온 애스모글루 敎授는 韓國 經濟에 對해서도 “韓國이 北韓이나 다른 나라들보다 더 높은 水準의 ‘包容的 市場’을 形成할 수 있는 能力이 있었기에 놀라운 成功 事例가 될 수 있었다”고 評했다. 그가 定義한 ‘包容的 經濟 制度’는 搾取的 制度와 相對되는 槪念으로 私有財産 原則이 確固하고, 누구나 자유롭게 市場에 參與할 수 있고, 獨占을 防止하며 公正한 競爭이 保障된다. 다만 애스모글루 敎授는 “韓國은 아직 軍事獨裁 時節의 官治企業(goverment-supported companies), 不淨腐敗의 殘滓가 남아 있다”며 “特히 서비스 分野 競爭 體制를 비롯해 完全한 包容的 經濟 制度까지 갈 길이 아직 멀다”고 指摘했다.

―當身은 AI 懷疑論者인가 樂觀論者인가.

“AI 懷疑論者라고 생각한다. AI가 有望한 技術이라는 것에 懷疑的인 것이 아니라 AI가 開發되고 使用되는 方向에 對해 매우 걱정하고 있다. 美國의 技術 樂觀論者들은 AI가 어떻게 不平等을 심화시키고 民主主義를 毁損하며 人間의 自律性을 減少시킬 수 있는지에 對한 모든 憂慮를 無視하고 있다.

現在 AI 모델은 엄청난 量의 年産 能力을 基盤으로 訓鍊되고 있고 여기에 數兆 원이 든다. 根本的인 問題는 韓國이나 유럽, 또는 美國의 新生 企業들이 뛰어들어 구글, 마이크로소프트(오픈AI) 또는 페이스북과 競爭할 수 없는 水準에 이르렀다는 點이다.”

―AI 樂觀論者들은 ‘産業革命으로 더 많은 일자리가 創出됐다’고 主張한다.

“同意할 수 없다. 이들은 産業革命에 對해 完全히 잘못된 그림을 그리고, 技術이 自動的으로 繁榮을 가져온 것처럼 얘기하고 다닌다. 이는 事實과 全혀 다르다. 産業革命의 첫 90年은 (일자리 破壞로) 勞動者 階級에 끔찍한 時期였다.

1840年 또는 1850年 以後에 民主主義와 勞動組合의 認定이라는 制度的 變化와 더불어 技術 發展의 方向이 보다 親勞動者的인 軌道로 바뀌면서 새로운 일자리가 創出될 수 있었다. 美國에서도 1980∼2000年 自動化 技術 導入으로 어려움을 겪은 地域은 如前히 回復되지 않고 있다. AI 亦是 自動化를 優先視한다면 새로운 技術로 인한 일자리 創出은 저절로 이루어질 수 없다. AI 方向이 바뀌어야 할 理由다.”

―當身을 놀라게 한 AI 技術은 무엇인가.

“確實히 오픈AI의 챗GPT나 앤트로픽, 구글의 (言語) 모델은 사람처럼 들리고 때로는 洞察力 있는 答辯과 要約을 生成한다는 點에서 印象的이다. (체스 AI) 알파제로와 (蛋白質 構造 把握 AI) 알파폴드는 明確한 規則이 있는 狀況에서 AI가 어떻게 도움을 줄 수 있는지 보여준 매우 印象的인 事例다.

하지만 全般的으로 AI는 아직 ‘潛在力이 무엇인지’에 對한 情報만 提供할 뿐 生産 工程에 適用할 段階는 아니라고 본다. 美國 테크 業界와 미디어가 AI에 對해 過大 廣告를 하고 있다.”

―AI 投資 붐이 景氣 沈滯를 막고 成長에 寄與하고 있다는 指摘도 있다.

“現在의 AI 技術이 景氣 沈滯를 緩和할 수 있는 潛在力은 없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主張은 AI가 地球 溫暖化 危機를 解決할 것이라고 말하는 것과 같은 希望的 思考 範疇에 屬한다.”

―現在 AI 開發에 있어 가장 時急한 問題는 무엇인가.

“AI의 方向이 (사람 知能 水準의) 人工一般知能(AGI)과 自動化에 執着하는 少數의 技術 리더와 그들의 企業에 依해 決定되고 있다. 나는 (AI 技術 加速을 主張하는) 샘 올트먼의 비전이 옳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올트먼과 일론 머스크 테슬라 最高經營者(CEO), 마크 저커버그 페이스북 CEO 같은 사람들에게만 依存해서는 올바른 비전을 찾을 수 없다.

少數가 左右하는 技術은 不平等을 심화시키고 民主主義를 毁損할 것이며, 技術 리더들이 約束하는 生産性 向上도 達成할 수 없을 것이다. 나는 AI가 人間을 補完할 수 있는 다른 方向, 卽 賃金 上昇을 돕고 더 意味 있는 일자리를 創出하며 더 나은 生産性 成果를 提供할 수 있는 方向을 主張한다. 이를 위해 올바른 規制와 政策을 採擇하고 올바른 規範의 開發을 奬勵해 現在 技術 리더들이 追求하는 反人間的인 AI가 아닌 보다 親人間的인 AI를 具現해야 한다.”

―美國 大統領 選擧에 AI가 미칠 影響을 어떻게 보는가.

“(選擧 介入이라는) 나쁜 目的에 아주 進步된 技術이 必要하진 않다. 딥페이크도 現在로서는 眞情으로 誤解를 불러일으킬 만큼 發展하지 않았다. 오히려 2016年 選擧에서도 問題였던 (政治) 兩極化, 國內外 ‘나쁜 煽動家’들의 虛僞 情報 等이 問題가 될 可能性이 높다.”

―AI가 韓國 經濟에 어떤 影響을 미칠 것으로 보는가.

“韓國은 世界에서 가장 빠른 高齡化 國家가 됐다. 이로 인해 發生한 勞動力 不足 現象을 막기 爲해 많은 韓國 企業들이 로봇 自動化에 投資하고 있지만 同時에 勞動力도 잘 活用해 왔다. 이는 AI에도 適用돼야 할 敎訓이다.

새로운 技術을 導入할 때마다 經濟人들은 人件費 節減을 優先 順位에 놓을 수 있다. 그렇지만 勞動力을 核心 人的 資源으로 看做하고 이 資源의 力量과 生産性을 높이기 위해 새로운 技術을 活用하는 매우 다른 戰略을 採擇할 수도 있다. 나는 後者가 中期的 成果는 勿論 共同 繁榮, 民主主義, 社會 平和와 같은 社會的 目標를 위해서도 恒常 더 낫다고 생각한다.”

―‘國家는 왜 失敗하는가’에서 包容的 政治·經濟 制度가 國家의 興亡盛衰를 가른다고 밝혔다. 韓國은 어느 程度 水準에 와 있나.

“韓國은 北韓보다 더 包容的인 經濟 制度를 가지고 出發했다. 不平等을 줄이고 成長을 늘리려는 李承晩과 朴正熙 政權의 努力은 다른 아시아 國家들보다 韓國을 더 發展할 수 있도록 했다. 이런 韓國의 成功이 權威主義的 成長 德分은 아니다. 民主化 以後 經濟 成長率과 經濟 成長의 質 모두 改善됐다.

그렇지만 軍事政權 時節의 殘滓인 官治企業(經濟)이나 不淨腐敗의 痕跡이 如前히 남아 있다. 特히 서비스 分野의 競爭(低下)을 비롯해 完全히 包容的인 制度를 構築하기 위해선 갈 길이 멀다.”

2024 東亞國際金融포럼 30日 午前 9時 서울 中區 롯데호텔 2層 크리스털볼룸
(登錄 및 案內: 東亞인사이트 홈페이지 www.dongainsight.com )

뉴욕=김현수 特派員 kimhs@donga.com
#人工知能 #실리콘밸리 #ai 革命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