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庭園에서 共存을 배우다[김선미의 시크릿가든]|東亞日報

庭園에서 共存을 배우다[김선미의 시크릿가든]

  • 東亞日報
  • 入力 2024年 5月 18日 01時 40分


코멘트

2024 서울國際庭園博覽會 ‘定員 旅行’


2024 서울國際庭園博覽會에 造成된 ‘回復의 時間’ 庭園. 서울市 提供

이제야 비로소 서울에서도 庭園博覽會가 市民의 삶 속으로 들어오는 것 같다. 16日 서울 뚝섬한강공원에서 開幕한 서울國際庭園博覽會(10月 8日까지)에서 男女老少가 즐거워하는 모습을 보고 그 希望을 보았다. 서울定員博覽會는 2015年부터 서울 麻浦區 월드컵公園과 永登浦區 汝矣島公園 等에서 열려왔지만 왠지 ‘그들만의 리그’인 느낌이 있었다. 한강공원에서 열리는 건 올해가 처음. 接近性과 水準이 歷代 最高라는 생각이 들었다.

서울國際庭園博覽會에서 便安한 時間을 보내고 있는 家族의 모습. 김선미 記者 kimsunmi@donga.com

서울市는 旣存 庭園博覽會를 이番에 國際 行事로 키우면서 歷代 最大 規模 터(藥 20萬 ㎡)에 76個 定員을 造成했다. 主題는 ‘서울, 그린 바이브(Seoul, Green Vibe)’. 地下鐵 7號線 紫陽驛 2番 出口로 나오면 시원한 漢江을 背景으로 ‘無料’ 庭園 旅行이 始作된다. 박람회장 가든센터에서 ‘植物 지름神(神)’李 내릴 確率이 높으니 튼튼한 팔과 場바구니를 準備하기를 勸한다. 博覽會가 끝나도 庭園들은 繼續 남아 있을 것이라고 하니 隣近 住民들 삶이 부러워진다.


●都市 定員의 回復力


물결처럼 구불구불한 動線으로 이뤄진 庭園이었다. 보자마자 핀란드 자작나무 냄비받침이 떠올라 혼자 웃었다. 作家의 庭園에 敢히 냄비받침이라니. 하긴 庭園을 느끼고 누리는 데에 正答이 어디 있나. 各自 經驗대로 狀況대로 즐기면 된다. ‘回復의 時間’이라는 이름의 그 庭園을 천천히 걸었다. 보라色 알리움과 하늘色 丁香풀 等이 바람결 따라 흔들렸다. 이곳은 뚝섬漢江公園인가, 아니면 未知의 湖水가인가. 呼吸이 便安해지고 자꾸만 植物과 눈 맞추고 싶다.

알리움과 정향초가 어우러진 ‘回復의 時間’ 庭園. 김선미 記者 kimsunmi@donga.com

國內外 作家들을 對象으로 公募한 作家 庭園은 ‘定員이 가진 回復力’과 ‘庭園과의 同行’이라는 키워드에 따라 만들어졌다. 이창엽 漢陽大 室內建築디자인과 敎授는 아내인 李瑱 庭園가와 함께 造成한 ‘回復의 時間’ 定員을 이렇게 說明한다.

“뚝섬漢江公園을 찾는 사람들이 情緖的 回復의 時間을 갖도록 自然과 穩全히 連結하고 싶었다. 周邊 人工物들에서 視覺的으로 解放되기 위해 地面보다 아래로 내려가는 立體的 地形을 만들었다. 또 마치 벌이 꽃들을 다니며 受粉(受粉)을 돕듯, 意圖的으로 좁게 만든 步行路를 통해 利用者들이 植物과 맞닿도록 했다. 우리 人間이 꽃씨를 묻혀 植物의 自然發火를 도울 수도 있지 않을까. 建築家로서 純粹 自然과 人間의 손길이 ‘밀당(밀고 당기기)’ 하는 奇妙한 그 사이 무언가를 만들고 싶었다.”

英國에 살았던 經驗을 바탕으로 ‘回復의 時間’ 定員을 조성한 이창엽 漢陽大 室內建築디자인과 敎授(오른쪽)와 李瑱 庭園가. 김선미 記者 kimsunmi@donga.com

李 敎授는 10餘 年間 英國 헤더윅 스튜디오에서 일하면서 스타 建築家들과 作業했다. 그런데 英國 RHS 位즐里 가든을 訪問한 뒤 ‘人間이 만들어낸 名作은 自然의 偉大함을 凌駕할 수 없다’는 것을 깨달았다. 그의 家族이 살던 런던은 自然과 人間이 共存하는 都市였다. 都市 어디에 살든 10分 以內에 몸과 마음을 回復할 수 있는 綠地空間으로 進入할 수 있었다. 아이들은 런던의 定員이 키웠고, 職場 스트레스는 自轉車 出退勤길의 都市 庭園 風景이 날려줬다. 그는 말한다. “서울에도 누구나 費用을 내지 않고 自然을 經驗할 수 있는 公共定員이 늘어나면 韓國이 直面한 低出産, 嫌惡 犯罪, 自殺率 같은 社會問題를 解消할 수 있을 것이다.”

‘심심해지다, 冥想하다, 고마워하다’라는 이름의 庭園. 서울市 提供

방글라데시 作家 MD 亞슈라풀 아자드가 造成한 庭園 이름은 ‘심심해지다, 冥想하다, 고마워하다’였다. 作家는 디지털 機器에 사로잡혀 사는 現代人에게 ‘심심한 時間’이 가장 必要하다고 봤다. 原形의 띠를 둘러 視線을 庭園 外部와 遮斷하고 內部에는 多年生 植物인 수크렁 한 種類만 심었다. 雜多한 생각을 막고 고요하게 植物의 單純함과 아름다움을 바라보자는 것이다.

이 곳에 앉아 수크렁을 바라보면 심심한 時間이 될까, 지루한 時間이 될까. 김선미 記者 kimsunmi@donga.com


庭園은 觀照와 思索의 場所다. 김영민 서울市立大 造景學科 敎授와 김영찬 造景技術士事務所 바이런 所長이 만든 招請 庭園 이름은 ‘앉는 庭園’이다. 꽃과 풀은 지친 땅을 쉬게 하고 사람은 앉아서 꽃, 풀, 물, 바람을 보며 쉬어 가라고 한다. 金 所長은 “이 庭園에서는 史跡으로 아늑하게 앉을 수도 있고, 平牀에서 콩고물이라도 나눠 먹으며 둘러앉을 수도 있고, 漢江을 바라보며 나란히 앉을 수도 있다”고 說明한다. 庭園에서 앉는다는 行爲는 지친 몸과 마음을 내려놓는다는 뜻일 것이다.

지난해 서울市 兆經常을 받은 김영민 서울市立大 造景學科 敎授와 김영찬 造景技術事務所 바이런 所長이 만든 ‘앉는 庭園’. 서울市 提供

漢江을 바라보면서 冊을 읽거나 思索하고 싶어진다. 김선미 記者 kimsunmi@donga.com

市民들과 造景 專攻 學生들이 꾸민 작은 庭園들에도 內面을 探究하거나 家族愛를 보듬는 傾向이 나타났다. ‘삼삼한 魅力庭園’은 孫子들이 할아버지 할머니와 追憶을 남기기 위해 함께 풀과 나무를 심으며 만든 三代(三代)의 庭園이다. ‘언제나 나, 너 하늘을 봐요’라는 題目의 學生同行庭園은 庭園 안에 놓은 原形 거울 속으로 軟綠色 나뭇잎들이 살랑댔다.

三代가 꾸민 市民同行庭園. 할머니, 딸, 孫子가 各自 나무와 풀을 심고 하고 싶은 얘기를 담았다. 김선미 記者 kimsunmi@donga.com

庭園에 둔 동그란 거울을 통해 나무를 보는 經驗은 幸福感을 준다. 김선미 記者 kimsunmi@donga.com

‘記憶과 함께 同行’이라는 이름의 作家 庭園은 줄무늬 造形物 사이로 비치는 햇살이 바닥에 神祕한 빛줄기를 그려냈다. 나무줄기로 만든 植物 이름標, 階段 틈새에 심은 多肉植物들…. 各各의 庭園에 細心한 아름다움이 있었다.

줄무늬 造形物이 그려내는 그림자도 定員의 風景이 된다. 김선미 記者 kimsunmi@donga.com

나무를 깎아 만든 感性 넘치는 어느 植物 이름標. 김선미 記者 kimsunmi@donga.com


●非人間 生命體와 더불어 사는 庭園


中國 作家 許孃과 천훙量이 만든 ‘섹션 가든’은 사람, 動物, 植物이 共有하는 庭園이다. 이 庭園에서 만난 허양 作家는 中國美術學院(China Academy Of Art) 出身이었다. 어려서부터 故鄕인 항저우의 山에서 놀면서 昆蟲을 硏究하게 됐다고 한다. 그는 自身이 만든 庭園의 나무 둥치를 가리키며 “이건 애벌레의 食糧이다. 韓國의 딱정벌레들과 다른 작은 벌레들을 이 속에 넣었더니 한 달 後 成體가 되어 날아갔다. 이 庭園은 昆蟲들을 爲한 棲息地가 되었다”고 했다.

사람, 動物, 植物의 共生을 꾀하는 ‘섹션 가든’. 김선미 記者 kimsunmi@donga.com

昆蟲이 잘 자라는 土壤을 아크릴 箱子를 통해 보여주는 生態敎育의 機能을 한다. 김선미 記者 kimsunmi@donga.com


昆蟲이 어떤 土壤에서 잘 자라는지 흙의 斷面을 보여줌으로써 뚝섬漢江公園에 家族 逍風을 나오는 어린이들에게 재미와 情報를 同時에 傳할 것 같았다. 都市 속 딱정벌레 幼蟲이 먹는 發效 톱밥과 腐植質(腐植質) 黑土 等을 아크릴 箱子를 통해 보여주고 작은 터널을 뚫어 通過해보게 하는 式이다. 경사진 地形을 韓國의 産科 平原, 濕地로 자연스럽게 表現하고 그에 맞는 우리 植物을 심은 點도 눈길을 끌었다.

올해 서울國際庭園博覽會 作家庭園 公募에서 ‘金賞’을 받은 中國 作家 許孃이 自身이 만든 ‘섹션 가든’의 터널을 通過해 얼굴을 내밀고 있다. 김선미 記者 kimsunmi@donga.com

이番 博覽會에서 반가운 點은 나비, 벌, 昆蟲 같은 生命體들과의 共生을 追求하는 庭園을 여럿 선보인 것이다. 土壤에 炭素를 供給하는 粘菌類 構造를 形象化한 庭園, 나비 模樣 構造物을 통해 氣候危機의 나비效果를 상기시킨 庭園, 꽃가루를 媒介하는 昆蟲類를 위한 쉼터를 表現한 ‘昆蟲 호텔’도 눈에 띄었다. 國立生態院이 뚝섬漢江公園 水泳場을 濕地植物 展示에 活用한 것도 印象的이었다. 定員이 單純히 알록달록 꽃을 심는 場所가 아니라 人間과 人間 아닌 生命體가 더불어 사는 場所라는 걸 상기시킨다는 點에서 우리 社會의 庭園 水準이 한 段階 跳躍했음을 實感했다.

氣候危機의 ‘나비效果’를 表現한 作家庭園. 서울市 提供

서울 뚝섬漢江公園의 水泳場을 濕地植物 展示에 活用했다. 김선미 記者 kimsunmi@donga.com

都市의 庭園에서 다양한 새 소리를 듣고 生物 多樣性을 發見하는 것은 祝福이다. 서울市는 “漢江을 가장 넓은 面積의 炭素 貯藏庫로 造成하고 地球를 살리는 庭園의 힘을 느끼게 하겠다”고 한다. 어쩌면 博覽會가 끝난 後부터가 重要할지 모른다. 市民과 企業의 參與로 日常 속에 定員이 스며들어야 한다.

●‘바이오筆릭 서울’을 向한 꿈


이番 博覽會에는 企業 同行 定員이 17곳 造成됐다. 美國 월트디즈니社가 선보인 ‘인사이드 아웃’ 庭園은 企業 定員의 敎科書라고 할 만하다. 다음 달 映畫 ‘인사이드 아웃 2’ 國內 開封을 앞두고 映畫 캐릭터들 色相에 맞춰 庭園을 꾸몄다. 푸른色 ‘슬픔’ 캐릭터 區域에 엔드리스 水菊과 델피늄을, 朱黃色 ‘不安’ 캐릭터 區域엔 朱黃철쭉科 나리를 심었다.

映畫 ‘인사이드 아웃’의 캐릭터 色相에 맞춰 꾸민 美國 월트디즈니社의 ‘인사이드 아웃’ 庭園. 김선미 記者 kimsunmi@donga.com
朱黃色 ‘不安’ 캐릭터 區域에 朱黃철쭉科 나리를 심었다. 김선미 記者 kimsunmi@donga.com


企業 庭園은 브랜드 戰略이자 主要한 마케팅 手段이다. HDC현대산업개발이 造成한 ‘都心 속의 寶石’ 庭園은 有利 블록으로 된 造形物 안에 이끼가 낀 커다란 돌을 놓고 周邊에 蓮꽃을 심었다. 그저 멋으로 만든 庭園이 아니다. 이 會社가 推進하는 서울 광운대 驛勢圈 開發事業 ‘히든 네이처(숨겨진 自然)’ 콘셉트를 表現한 것이다.

HDC현대산업개발이 造成한 ‘都心 속의 寶石’ 企業洞行政院. @ch.green_official

이끼 낀 바위와 蓮꽃, 캄파눌라 원예종이 어우러져 신비로운 自然을 表現한다. 김선미 記者 kimsunmi@donga.com

三星物産 造景브랜드 ‘에버스케이프’는 붉은色 展望臺 構造物로 視線을 壓倒한다. 헨켈코리아는 再活用 플래스틱 花盆에 어린 나무를 심어 未來의 숲을 表現했다. KB證券 ‘깨비庭園’은 企業 브랜드 아이덴티티(BI)에 맞춰 植物과 構造物을 노란色으로 맞췄다.

三星物産 造景브랜드 ‘에버스케이프’의 붉은色 展望臺 構造物. 김선미 記者 kimsunmi@donga.com

再活用 플래스틱 花盆을 活用한 헨켈코리아의 企業洞行政院. 김선미 記者 kimsunmi@donga.com

世界 各國이 바이오筆릭 시티(Biophilic City·自然과 人間이 共存하는 都市)를 내세운다. 人間이 都市 속 自然과 함께하면 創意性이 높아지는 것은 勿論이고 다른 사람을 더 잘 돌보고 配慮한다는 硏究 結果가 여럿 있다. 市民庭園師와 學生들의 精誠과 參與, 車輛으로 全國을 다니며 植物 管理를 案內해주는 이동형 伴侶植物 클리닉같이 우리 社會에 퍼지는 庭園 文化가 값진 理由다.

서울國際庭園博覽會 行事場에 마련된 서울市民庭園師 마을. 김선미 記者 kimsunmi@donga.com

17日 博覽會 現場에서 進行된 庭園 토크쇼도 定員의 意味를 일깨웠다. 職場 同僚(國立世宗樹木園 朴元淳 전시원室長과 盧會은 庭園事業센터長), 共同代表(造景스튜디오 ‘超新星’의 신영재·최지은 所長), 夫婦 造景가(‘바이런’ 김영찬 所長과 ‘千變萬化’ 이양희 代表)가 ‘따로 또 같이 庭園魅力探究’라는 主題로 이야기를 풀어냈다. 그 中 特히 印象的인 대목은 ‘庭園은 더 다양한 生命을 품을 수 있는 基盤’이라는 點이었다. 우리가 조금만 配慮하면 다른 生命體들과 더불어 살 수 있다는 것, 5月의 庭園에서는 파랑새를 만날 수 있다는 것도 알게 되었다.

‘따로 또 같이 庭園魅力探究’라는 主題로 進行된 庭園 토크쇼. 김선미 記者 kimsunmi@donga.com

뚝섬漢江公園 庭園들의 植物은 四季節 다른 모습을 보여주면서 자라날 것이다. 直接 庭園을 만든 건 아닐지라도 定員을 자주 드나들며 그 속의 生命體들과 交感한다면 ‘내 定員’과 크게 다를 바 없다. 그것이 바이오筆릭 시티에서 公共庭園이 갖는 回復力과 同行의 힘이다. 이番에 造成된 庭園들이 市民, 企業과 함께하는 持續 可能한 庭園이 되기를 바란다. 그래야 서울도 世界의 바이오筆릭 시티들과 어깨를 겨루는 날이 온다.




글·寫眞 김선미 記者 kimsunmi@donga.com


#2024 서울國際庭園博覽會 #庭園 旅行 #共存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