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原州 흥법사誌 眞空臺詞塔碑 - 위키文獻, 우리 모두의 圖書館 本文으로 移動

原州 흥법사誌 眞空臺詞塔碑

위키文獻 ― 우리 모두의 圖書館.

高麗國原州靈鳳山興法寺王師眞空之塔       臣崔光胤奉 敎集 太宗文

盖聞微言立敎始開             位至於馬鳴繼美垂妙法於三乘龍樹揚芳見其□□□□□

相離相非身是身降乃□□□□□□□□□□□□圓覺東入梁朝始見大弘北遊魏室於是師資所契□□□□

祖法相承心燈不絶所以□□□□□□□□□□□焉 大師法諱忠湛俗姓金氏其先鷄林冠族兎郡宗枝□□

島以分榮託桑津而別派遠祖多□□□□□□□□而不事王侯希賈?而寧求祿位所以考盤樂道早攻莊□

之書招隱攀吟常避市朝之譽母於□□□□□□□之子豈無修聖善之心感此靈奇求生法胤以咸通十年正□

一日誕生 大師生有殊相弱無戱言□□□□□□性靈超衆神悟絶倫槐市橫經杏園命筆二親?邀相者相□

云若至甘羅之歲鳳?難量終臻賈誼□□□□□□至失於?恃唯恨栖遑爰有長純禪師是導師修度世之緣□

亡父結空門之友 大師隨其長老得居□□□□□俗塵方登僧位尋令昇堂覩奧入室鉤深迅足??後發先至

覺枝??前開?成所以偃仰禪林優游□□□□□ 認印度重光終至相傳窺甁伽再闡?於龍紀元年受具戒

於武州靈神寺旣而習其相部精究毗尼捧□□□□宗論道謂學人曰淺溜穿石同心斷金鑽燧之勤寫甁之易皆

由積微不己?步?征俄成學海之功永就□□□□釋子天日禪僧此間觀曝骨之墟見?屍之處他山靜境豈無

避地之方此地危邦終絶居山之計□□□□□□□者同載而征達於彼岸此時徑登雲?禪宇虔禮淨圓大

大師是栖雲壑之居佩石霜之印知□大師遠離□□圖南逈奮垂雲之翼豫章向上高  日之枝大師謂曰汝

還認其到此階梯預呈□其□遷喬所以不離寶所□河東?禪門於 嶽故能初窺聖典久栖禹穴之旁始覽靈

?方到燕臺之畔?於天祐十五年六月得達於□學俱於問訊慶?交深數月論禪周年問法惟彌天發□□

離日搖脣量語路之端酌言之□□此日?於兩地心之光愁見甲兵之色所以便辭金海遙指玉京行道遲遲□

焉入境不唯摩勒重敷兼亦優雲一現奉迎內殿尋以仕遙屢吐象王之說重重避席恭披弟子之儀一一書紳結

以王師之禮翌日請移□□□□□□□淨精廬永□□ 大師遠從丹?再到京畿所以別飾玉堂令昇繩榻問

大師曰 寡人少尙威武未精學□不曉先王之典寧存亡之志所喜不勞漢夢仍覩秦星世宗之遇摩騰梁武之

逢寶誌無以加也生生世世永修香火之因子子孫孫吉 祥之地尙論往美更知延福之庭志有終焉心無悔矣然

則遂於此地高敞禪?來者如雲學如人□依舊瑠璃興 法之談不受 大師之誨者處處精舍其徒?之終日

了無語言一宵堅不留宿豈期大師□素無疾疹富有五年七月十八日詰旦告門人曰萬?皆空吾將去矣一心

爲本汝等勉?顔?如常寂然坐□俗年七十有二僧悲盈 四部天人增絶學之哀寧惟慟徹諸方士庶泣亡師之

賢 寡人忽聆遷化尤慟于懷追切洪德不能已已特萬壽之遐長乖群情之敬仰今則果雖核矣室可修焉然則先

?於水積魚歸後恨於林傾鳥散所冀早儀明禮正當□之塔惟 大師雪山成道煙洞證心傳十八代之祖宗統

三千年之禪敎則知浹洽浮世?其廣則誰曰黃輿周□忘機仍引狎鷗之興幾多??無限昭彰可謂闡揚身毒之

風敷演竺乾之法者矣門徒弟子五百□□□□□□成田陳情而特請龜文瀝懇而頻干鳳德所冀顯無爲之化留

在水雲期不朽之緣刻於金石□□□□□□□□□之心歸美栢臺旌國士追攀之志乃爲銘曰

蘇認已藏寶知印慈航沒浪慧炬?光銀燈石

高麗國(高麗國) 原州(原州) 靈峯山(靈鳳山) 흥법사(興法寺) 王사(王師) 眞空臺詞塔(眞空大師之塔) … 新(臣) 최광윤(崔光胤)李 王命(王命)을 받들어 唐太宗(唐太宗)이 짓고 王羲之(王羲之)가 쓴 《臺當三藏聖敎序(大唐三藏聖敎序)》 中에서 집者(集字)하여 새기다.

大槪 들으니 부처님은 美言(微言)으로 敎(敎)를 세워 비로소 鷲嶺(鷲嶺)에서 말씀을 열었으며, 迦葉은 墓地(妙旨)로 審인(心印)을 傳해 받고는 마침내 鷄足山(鷄足山)에서 滅盡定(滅盡定)에 들어갔다. 비록 末路는 敎理(敎理) 밖에 別途(別途)로 傳하였다고는 하나, 그윽이 생각건대 警율론(經律論) 三藏(三藏)을 함께 品數(?受)하였다. 아난[慶喜]은 迦葉의 弟子가 되었고, 商那和修(商那和修)가 아난(阿難)의 法을 傳해 받아 제3조(祖)가 되었다. 그로부터 第12條(祖)인 馬鳴(馬鳴)에 이르러 아름다운 자취를 繼承하면서 妙法(妙法)을 三乘(三乘)에 드리웠고, 第14條(祖)인 用水(龍樹)는 꽃다운 香氣를 드날리면서 … 보았다. … 그가 主唱한 法(法)은 卽上(卽相)이나 以上(離相)이며, 몸이 아니나 곧 몸인 것이다.

降級(降及) … 처음으로 圓覺大使(圓覺大師)가 中國의 釀造(梁朝) 때 들어왔고, 비로소 大紅(大弘)을 만났다. 達磨는 兩廡制를 만난 다음, 北쪽 위(魏)나라로 가서 驍名제(孝明帝)를 만났다. 그리하여 大棗(大祖)인 慧可(慧可)를 만나 스승과 弟子가 뜻을 맞추어 東風(同風)을 咐囑하였다. 그로부터 條法(祖法)을 上昇(相承)하되 心燈(心燈)이 代代로 이어져 斷絶되지 않았다.

그런 까닭에 達磨가 禪宗을 創立[一花?現]韓 以後로 陸葉(六葉) [解釋門 1] 이 茂盛하였다. 近來 도일[江西 : 馬祖道一]로부터 解凍 新羅[海裔]까지 흘러들어 왔다. 따라서 봉림가(鳳林家)의 弟子요, 藏經(章敬)의 曾孫 [解釋門 2] 人 우리의 眞空臺詞(眞空大師)가 다시 禪宗을 闡揚하였다.

大使(大師)의 法휘는 沖澹(忠湛)이요, 屬性은 金氏이며, 그의 先祖(先祖)는 鷄林(鷄林)의 管足(冠族)이고, 土軍(兎郡)의 종지(宗枝) [解釋門 3] 로서 分派(分派)되어 榮光을 누렸으며, 尙震(桑津)에 依해 別派(別派)로 갈라졌다. 元祖(遠祖)는… 벼슬에 얽매어 王后(王侯)를 섬기지 않았고, 駕後(賈?)와 같은 功을 세우기를 希望하였으나, 이것이 어찌 祿位(祿位)를 貴函이겠는가. 그러므로 古班(考盤)과 같이 道(道)를 즐겼다. 일찍부터 『莊子(莊子)』와 『列子(列子)』 等의 書籍을 專攻하였고, 草野에 살면서 恩師(隱士)를 불러 같이 노래를 읊으며 是正(市井)과 調整(朝廷)의 名譽를 避하였다. … 어진 아들이니 어찌 어머니[聖善]의 마음을 닦음이 없었으랴! 이러한 靈氣(靈寄)로운 胎夢을 感得하고는 훌륭한 아들을 낳기를 希望하던 中 함통(咸通) 10年(景文王 9, 869) 1月 1日에 誕生하였다. 大使는 나면서부터 남다른 특수한 모습을 가졌고, 어려서부터 弄談은 全혀 하지 않았다. … 超人的(超人的)인 英特한 性品(性品)을 가졌으며 神祕한 智慧는 따를 者가 없었다. 괴시(槐市)에서 黥을 배웠고, 行員(杏園)에서 科擧(科擧)에 合格하였다. 일찍이 父母가 觀相 보는 사람을 불러 觀相을 보였더니 “12歲[甘羅] 入社(入仕)하는 나이에 이르면 이름을 떨침이 헤아리기 어렵다”라고 하였다. 20歲[賈誼]되던 나이에 … 父母가 모두 死亡하여 臺詞는 依支할 곳이 없는 孤兒(孤兒)가 되었다. 이를 불쌍히 여긴 장순선社(長純禪師)가 절로 데리고 가서 上佐를 삼고 沙彌戒를 받게 하였다. 以前부터 장순선社는 臺詞의 아버지와 切親한 親舊였다. 大使는 將順長老(長純長老)를 따라 居處를 얻어 … 俗塵(俗塵)을 여의고 公文(空門) [解釋門 4] 에 들어가 바야흐로 僧位(僧位)에 올라 부지런히 精進 修道하여 僧堂도오(昇堂覩奧)하므로 入室件當(入室建幢)하게 하여 戰法弟子를 삼았으니, 以心傳心한 獅子(師資)의 情이 마치 고리처럼 連結되어 敦篤하였다. 빠른 걸음으로 거침없이 뒤에 出發하였으나 먼저 到着하였으며 깨달음의 支派가 繼續 이어지면서 먼저 始作하여 늦게 이룩하기도 하였다. 그러므로 禪林(禪林)에서 지내면서 … 牛乳(優遊)하였다. 印度에서 發想한 佛敎를 거듭 中興하여 마침내 繼繼承承의 法脈(法脈)을 이었다. 凌駕(楞伽)인 禪宗이 再興(再興)할 機會를 엿보면서 發源하여 오다가 勇氣(龍紀) 元年(진성여왕 3, 889)에 茂朱(武州) 영신사(靈神寺)에서 比丘戒를 받고, 이어 法相宗(法相宗)과 律藏(律藏)을 硏究하였다.

… 종지(宗旨)를 들어 道를 討論하면서 學人(學人)들에게 이르되, “처마에서 떨어지는 작은 물방울도 繼續 떨어지면 능히 돌을 뚫으며, 두 사람의 마음이 굳게 합쳐지면 능히 쇠도 끊을 수 있다”라 하였다. 이와 같이 불을 붙이려고 나무와 나무끼리 摩擦하는 것과 같이 繼續的인 努力과 甁에 물을 쏟아 붓는 것과 같은 達通(達通)을 얻게 된 그 原因은 모두 적미(積微)와 같은 작은 일도 쉬지 아니하며, 비록 班걸음[?步]이라도 繼續 前進(前進)韓 탓으로 마침내 학해(學海)의 공을 이룩하고, 길이 빛나는 … 成就하였다. … 佛弟子[釋子]인 千日(天日)禪師가 當時 戰後 現實인 凶年과 戰爭으로 죽은 屍體가 山野(山野) 곳곳에 말라 흩어져 있는 幅骨(曝骨)과 아직 썩지 아니한 屍身이 狼藉한 光景을 보고 생각하되 “다른 山中(山中)들은 조용한 곳이 많으니 어찌 避難할 곳이 없겠는가. 이곳은 危險한 곳이므로 오랫동안 居住(居住)할 생각을 끊었다” … 배를 타고 가서 中國[彼岸]에 到着하였다.

이 때 그 길로 곧바로 韻個社(雲蓋寺)를 찾아가서 庭園大使(淨圓大師)를 親見하였다. 大使는 구름 덮인 山골에 살면서 石像(石霜)의 法人(法印)을 傳해 받고 學人을 指導하고 있었다. … 臺詞가 멀리 떨어져 … 陶南(圖南)의 雄志를 품고, 盆地를 發하여 구름을 덮을 수 있는 날개를 펼치며 見性成佛하여 광도中生(廣度衆生)하려는 誓願이 날로 向上하여 太陽을 흔드는 藝場나무 가지처럼 높이 흔들 것을 알았다. 어느 날 庭園臺詞가 이르되 “네가 이곳에 와서 遊學(遊學)하는 것은 마치 天佑喬木(遷于喬木)과 같이 다시 精進할 原力을 세워야 할 것이다”라고 하였다. 그러므로 그 곳인 보소(寶所)를 떠나지 아니하고 … 그 後 河東(河東)으로 가서 … 者惡船員(紫嶽禪院)에 立方하여 처음부터 聖戰(聖典)을 硏究하고 다시 右穴(禹穴)地方을 탐방하고, 그로부터 靈的(靈跡)을 踏査하는 行脚을 始作하고서야 비로소 連帶(燕臺)에 到着하였다.

드디어 天佑(天祐) 15年(경명왕 2, 918) 6月에 … 이르러 歸國하게 되었다. … 學人들이 함께 와서 親見하고 歡喜에 가득한 기쁨을 이기지 못하여 손뼉을 치면서 仰慕하였다. 그리하여 數個月 동안 선(禪)을 論하고 數年間 法文을 물어 왔다. 마치 도안法師[彌天]가 입을 벌리고 이曰(離曰)李 입술을 놀리는 것과 같아서 漁撈(語路)의 發端을 헤아리며, 言語(言語)의 端緖를 잘 斟酌하였다. 이 때 陽地(兩地)에서 지난날의 자취를 생각해 보니, 마음이 …

戰爭의 幾微가 나타남을 걱정하다가 忽然히 金海를 떠나 開京[玉京]을 向해 여러 날 만에 境內에 들어가게 되었으니, 마치 가장 아름다운 金[摩勒]李 다시 퍼진 것과 같을 뿐 아니라, 또한 우담바라가 한 番 나타난 것과 같았다. 太祖는 공손히 內戰(內殿)으로 맞이하여 모시고 … 모든 重臣과 宮內人(宮內人)들이 法文을 淸艦에 大使는 法上에 올라앉아 上王(象王)의 설(說)을 土(吐)하니, 거듭 敬意를 표하며, 弟子(弟子)의 禮儀를 펴고, 들은 法語(法語)를 낱낱이 記錄한 다음, 王사(王師)로 推戴하였다. 그리고 다음 날 … 淸淨한 靜慮(精廬)로 옮겨 모셨다. … 어느 날 다시 단겸(丹慊)을 떠나 競技(京畿)에 到着하였으므로 王은 別途로 玉堂(玉堂)을 꾸며서 僧塔(繩榻)에 오르시게 하고 臺詞에게 묻되, “果人(寡人)이 어려서부터 慰撫(威武)는 崇尙하였으나, 學問에는 힘을 쓰지 아니한 탓으로 先王(先王)의 法度를 알지 못함이니, 어찌 … 存亡(存亡)의 뜻을… 分別하겠습니까? 기쁘게 여기는 바는 命題(明帝)가 꿈을 꾸고 努力한 것과 같이 努力하지 않고도 우리나라에서 佛敎를 信奉하게 되었으니, 이것은 마치 한(漢)나라 命題인 世宗(世宗)李 마等과 法難을 만난 것과 또 量(梁)나라 無題(武帝)가 步地空(寶誌公)을 만난 것도 이와 比較할 수 없습니다. 世世生生에 永遠히 香火(香火)의 因緣을 맺고 子子孫孫(子子孫孫)李 길이 부처님을 받들어 모시는 至極한 信心(信心)을 표하고자 합니다”

그리하여 興法船員(興法禪院)을 重建하고 大使를 여기에 주지(住持)토록 하였다. 이와 같은 길상地(吉祥地)가 오히려 지난날의 美德(美德)을 論하게 되니, 福을 맞이하는 名當(明堂)임을 알게 되었다. 大使는 이곳을 世上 마치는 終身支持(終身之地)로 決定하고 나니 마음이 한결 便安하였다. 그리하여 이곳에 船員을 크게 擴張한 後에는 찾아오는 사람이 구름과 같고, 배우는 사람들이 날로 進取됨이 마치 안개와 같았다. 옛 戒律을 따르자 … 모두가 不法 中興主라는 말하였다. 直接 大使로부터 가르침을 받지 못한 사람은 어느 절에 가도 拒絶되고 더불어 말조차 하려 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하룻밤의 留宿도 許諾받지 아니 하였으니, 어찌 臺詞가 平素에 이러한 편벽된 생각이 있었겠는가. 德의 浮遊(富有)함은 … 座品(座品)의 … 과 달랐다.

天福(天福) 5年(太祖 23, 940) 7月 18日 이른 아침, 文人들에게 이르되 “萬法(萬法)은 모두 공(空)韓 것이다. 나는 곧 世上을 떠나려하니 너희들은 一心(一心)을 根本 삼아 부지런히 精進하라”하고, 的然(寂然)히 앉아서 入寂하였다. 얼굴빛은 生前(生前)과 다름이 없었다. 世俗 나이는 72歲요, 僧臘은 … 이었다. 땅은 振動하고 山은 무너지며, 구름은 水深에 잠기고 해는 悽慘하였다. … 그리하여 山谷(山谷)에는 哀悼와 슬픔이 가득하였고, 四部大衆(四部大衆)과 賤人(天人)들은 모두 絶學(絶學)의 슬픔을 더하였으니, 어찌 뼈에 사무치게 哀痛하지 아니하랴! 堤防(諸方)의 사서(士庶)들은 모두 스님의 涅槃에 對해 울면서 痛哭하였다. 따라서 寡人도 갑자기 涅槃 消息을 듣고 애통한 마음을 禁치 못하고, 懇切히 大使의 크신 德을 追慕하여 마지못했다. 特히 종림(宗林)의 宣白(禪伯)이고, 末世(末世)의 苦況(古皇)으로 … 긴 壽命을 누리지 못하시고 뭇 衆生의 우러름을 어겼도다. 只今 비록 大使의 肉體는 사라졌지만, 그 眞實인 法體(法體)는 길이 남아 있다. 그러므로 먼저 물이 고이니, 고기가 찾아옴을 기꺼워했고, 뒤에는 숲이 없어지니 새가 날아가는 것을 슬퍼하도다. 바라는 바는 早速히 名體(明禮)를 갖추어야 할 때가 다가왔다 하고, 諡號를 眞空臺詞, 塔號를 … 支塔(之塔)이라고 追贈하였다. 大使는 雪山(雪山)에서 聖徒하고, 聯動(煙洞)에서 마음을 證得하여 18代(代)의 操縱(祖宗)을 傳하였고, 3千年의 宣敎(禪敎)를 統括하였으니, 末世의 衆生을 크게 敎化하였음을 알 수 있다. 그가 廣範하게 敎化한 功績을 列擧한다면 비록 地球[黃輿]라고는 하나, … 모든 香氣는 사라지고, 문득 胡蝶(胡蝶)의 마음을 끌어 일으키니, … 生前에 大使와 寡人은 마치 갈매기[狎鷗]처럼 親했던 感懷를 일으키니, 헤아릴 수 없이 많은 敎化(敎化)와 道德이 無限(無限)함을 나타내고자 하니, 참으로 人道[身毒]의 風速을 드날리고, 軸件(竺乾)의 法을 敷衍한 사람이라고 이를 만하다. 門도 弟子 5百餘 名이 … 높고 푸른 山이 깊은 골짜기로 變하고, 넓은 渤海 바다가 … 田畓(田畓)으로 變할까 念慮되어 나에게 鎭靜(陳情)하여 碑石을 세우려고 鼻紋(碑文)을 奏請하였다. 이어 여러 次例 上疏하여 마침내 나는 允許(允許)를 받았으니, 바라는 바는 大使의 無위덕화(無爲德化)를 나타내어 마치 물과 구름처럼 永遠히 썩지 않게 하려고 金石(金石)에 새기는 것이다. 애통한 마음으로 可能한 데로 祭具(?臼)를 지어 文人(門人)을 慰勞하고, … 아름다움을 百大(栢臺) [解釋門 5] 로 돌리고, 局社(國士)들이 臺詞를 追慕하는 뜻을 드러내고자 한다. 이에 名(銘)을 짓는다.

… 옷소매를 모은 賢明한 臣下, 치마를 與民 …
… 보배를 감추고 法人을 알았네.
慈悲의 그 배는 風浪(風浪)에 빠졌고
智慧의 燈불은 그 빛을 잃었네.
銀빛 난 石燈(石燈) 불 永遠히 비추리.

解釋註
  1. 達磨(達磨), 慧可(慧可), 승찬(僧璨), 道臣(道信), 紅燐(弘忍), 慧能(慧能) 等 6代 調査를 말한다.
  2. 장경회휘(章敬懷暉, 755~816)의 曾孫(曾孫)이란 뜻이니, 藏經章敬은 마調(馬祖)의 弟子이다. 백암사(百巖寺)에 註釋하였다고 하여 白巖(百巖)이라고도 일컫는다. 沖澹大使(忠湛大師) 眞空(眞空)은 봉림(鳳林) 현욱(玄昱)의 弟子이며, 藏經(章敬)의 曾孫(曾孫)이라는 말이니, 藏經(章敬)→현욱심희(玄昱審希)→沖澹(忠湛)으로 이어진다.
  3. 宗旨(宗支)라고도 하며, 分家(分家) 또는 一族(一族)이라는 뜻이다.
  4. 不問(佛門)을 指稱한다.
  5. 御史臺(御史臺)의 別稱이다. 한 臺(漢代)에 어사부중(御史府中)이 잣나무를 심었으므로 百部(栢府) 또는 百大(栢臺)라고 한다.


라이선스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