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萬福寺樗蒲記 - 위키文獻, 우리 모두의 圖書館 本文으로 移動

萬福寺樗蒲記

위키文獻 ― 우리 모두의 圖書館.

(全羅道) 南原에 養生이 살고 있었는데, 일찍이 어버이를 잃은 데다 아직 장가도 들지 못했으 므로 만복사(萬福寺)의 東쪽에서 혼자 살았다. 房 밖에는 배나무 한 그루가 있었는데, 마치 봄 이 되어 꽃이 활짝 피었다. 마치 玉으로 만든 나무에 銀조각이 쌓여 있는 것 같았다. 養生은 달이 뜬 밤마다 나무 아래를 거닐며 朗朗하게 詩를 읊었는데, 그 詩는 이렇다.

한 그루 배꽃이 외로움을 달래 주지만
휘영청 달 밝은 밤은 홀로 보내기 괴로워라.
젊은 이 몸 홀로 누운 호젓한 窓가로
어느 집 고운 님이 퉁소를 불어 주네.

외로운 저 물銃새는 제 홀로 날아가고
짝 잃은 鴛鴦새는 맑은 물에 노니는데,
바둑알 두드리며 因緣을 그리다가
燈불로 占치고는 窓가에서 시름하네.

詩를 다 읊고 나자 갑자기 空中에서 말소리가 들려 왔다.

"그대가 참으로 아름다운 짝을 얻고 싶다면 어찌 이뤄지지 않으리라고 걱정하느냐?"

養生은 마음속으로 기뻐하였다.

그 이튿날은 마침 三月 二十 사일이었다. 이 고을에서는 만복사에 燈불을 밝히고 福을 비는 風俗이 있었는데, 男女들이 모여들어 저마다 所願을 빌었다. 날이 저물고 法會度 끝나자 사람 들이 드물어졌다. 養生이 소매 속에서 紵布를 꺼내어 부처 앞에다 던지면서 (所願을 빌었다.)

"제가 오늘 부처님을 모시고 樗蒲놀이를 하여 볼까 합니다. 萬若 제가 지면 法然(法筵)을 차려 서 부처님께 갚아 드리겠습니다. 萬若 부처님이 指示面 아름다운 女人을 얻어서 제 所願을 이 루게 하여 주십시오."

빌기를 마치고 곧 紵布를 던지자, 養生이 果然 이겼다. 그래서 부처 앞에 무릎은 꿇고 앉아서 말하였다.

"因緣이 이미 定하여졌으니, 속이시면 안 됩니다."

그는 佛座(佛座) 뒤에 숨어서 그 約束에 이루어지기를 기다렸다. 얼마 뒤에 한 아름다운 아가 씨가 들어오는데, 나이는 熱帶 여섯쯤 되어 보였다. 머리를 두 갈래로 땋고 깨끗하게 차려 입 었는데, 아름다운 얼굴과 고운 몸가짐이 마치 하늘의 仙女 같았다. 바라볼수록 얌전하였다. 그 女人은 기름甁을 가지고 와서 燈盞에 기름을 따라 넣은 다음 香을 꽂았다. 세 番 절하고 꿇어앉아 슬피 歎息하였다.

"人生이 薄命하다지만, 어찌 이럴 수가 있으랴?"

그리고는 품속에서 祝願文을 꺼내어 佛卓 위에 바쳤다. 그 글은 이렇다.

아무 고을 아무 洞네에 사는 少女 아무개가 (猥濫 됨을 무릅쓰고 부처님께 아룁니다.) 지난番에 邊方의 防禦가 무너져 倭寇가 쳐들어오자, 싸움이 눈앞에 가득 벌어지고 烽火가 여러 해나 繼續되었습니다. 倭놈들이 집을 불살라 없애고 生民들을 擄掠하였으므로, 사람들이 東西로 달 아나고 左右로 逃亡하였습니다. 우리 親戚과 종들도 各其 서로 흩어졌었습니다. 저는 버들處 럼 가냘픈 少女의 몸이라 멀리 避難을 가지 못하고, 깊숙한 閨房에 들어 앉아 끝까지 貞節을 지켰습니다. 倫理에 벗어난 行實을 저지르지 않고서 亂離의 禍를 면하였습니다. 저의 어버이 께서도 女子로서 貞節을 지킨 것이 그르지 않았다고 하여, 외진 곳으로 옮겨 草野에 붙여 살 게 해주셨습니다. 그런지가 벌써 三 年이나 되었습니다.

가을 달밤과 꽃 피는 봄날을 아픈 마음으로 헛되이 보내고, 뜬구름 흐르는 물과 더불어 無料 하게 나날을 보냈습니다. 쓸쓸한 골짜기에 외로이 머물면서 제 박명한 平生을 歎息하였고, 아 름다운 밤을 혼자 지새우면서 (짝 잃은) 採卵(彩鸞)의 외로운 춤을 슬퍼하였습니다.

그런데 날이 가고 달이 가니 이제는 魂魄마저 사라지고 흩어졌습니다. (기나긴) 여름날과 겨울 밤에는 肝膽이 찢어지고 창자까지 찢어집니다. 오직 부처님께 비오니, 이 몸을 가엽게 여기視 어 各別히 돌보아 住所서. 人間의 生은 태어나기 前부터 定해져 있으며 善惡의 應報를 避할 수 없으니, 제가 타고난 運命에도 因緣이 있을 것입니다. 빨리 配匹을 얻게 해주시길 懇切히 비옵니다.

女人이 빌기를 마치고 나서 여러 番 흐느껴 울었다. 養生은 佛座 틈으로 女人의 얼굴을 보고 마음을 걷잡을 수가 없었으므로, 갑자기 뛰쳐나가 말하였다.

"조금 前에 글을 올린 것은 무슨 일 때문이신지요?"

그는 女人이 부처님께 올린 글을 보고 얼굴에 기쁨이 흘러 넘치며 말하였다.

"아가씨는 어떤 사람이기에 혼자서 여기까지 왔습니까?"

女人이 對答하였다.

"저도 또한 사람입니다. 大體 무슨 疑心이라도 나시는지요? 當身께서는 다만 좋은 배필만 얻 으면 되실 테니까, 반드시 이름을 묻거나 그렇게 唐慌하지 마십시오."

이때 만복사는 이미 頹落하여 스님들은 한쪽 구석진 房에 머물고 있었다. 法堂 앞에는 行廊만 이 쓸쓸하게 남아 있고, 行廊이 끝난 곳에 아주 좁은 板子房이 있었다.

養生이 女人의 손을 잡고 板子房으로 들어가자, 女人도 어려워하지 않고 들어왔다. 서로 즐거 움을 나누었는데, 普通 사람과 한 가지였다.

이윽고 밤이 깊어 달이 동산에 떠오르자 窓살에 그림자가 비쳤다. 문득 발자국 소리가 들리자 女人이 물었다.

"누구냐? 侍女가 찾아온 게 아니냐?"

侍女가 말하였다.

"예. 平素에는 아가씨가 門 밖에도 나가지 않으시고 서너 걸음도 걷지 않으셨는데, 어제 저녁 에는 偶然히 나가셨다가 어찌 이곳까지 오셨습니까?" 女人이 말하였다. "오늘의 일은 偶然이 아니다. 하느님이 屠牛시고 부처님이 돌보셔서, 고운 님을 맞이하여 百年 海路를 하게 되었다. 어버이께 여쭙지 못하고 시집가는 것은 비록 禮法에 어그러졌지만, 서로 즐거이 맞이하게 된 것은 또한 平生의 奇異한 因緣이다. 너는 집으로 가서 앉을 자리와 술안 株를 가지고 오너라."

侍女가 그 命令대로 가서 뜨락에 술자리를 베푸니, 時間은 벌써 死境(四更)이나 되었다. 侍女가 차려 놓은 方席과 술床은 무늬가 없이 깨끗하였으며, 술에서 풍기는 香내도 丁寧 人間 세 上의 솜씨는 아니었다.

養生은 비록 의심나고 怪異하였지만, 女人의 이야기와 웃음소리가 맑고 고우며 얼굴과 몸가짐 이 얌전하여, '틀림없이 貴한 집 아가씨가 (한때의 마음을 잡지 못하여) 담을 넘어 나왔구나' 생각하고는 더 以上 疑心하지 않았다.

女人이 養生에게 술盞을 올리면서 侍女에게 命하여 '노래를 불러 興을 도우라' 하고는, 養生에게 말하였다.

"이 아이는 옛 曲調밖에 모릅니다. 저를 위하여 새 노래를 하나 지어 興을 도우면 어떻겠습니까?"

養生이 흔연히 許諾하고는 곧 「滿江紅(滿江紅)」 가락으로 歌詞를 하나 지어 侍女에게 부르게 하였다.

쌀쌀한 봄추위에 名酒 적삼은 아직도 얇아
몇 次例나 애태웠던가, 香爐불이 꺼졌는가 하고,
날 저문 山은 눈썹처럼 엉기고
저녁 구름은 一山처럼 퍼졌는데,
緋緞 帳幕 鴛鴦 이불에 짝지을 이가 없어서
金비녀 半만 꽂은 채 퉁소를 불어 보네.
아쉬워라, 저 歲月이 이다지도 빠르던가
마음 속 깊은 시름이 답답하여라.
낮은 屛風 속에서 燈불은 가물거리는데
나 홀로 눈물陣들 그 누가 돌아보랴.
기뻐라, 오늘밤에는
피리를 불어 봄이 왔으니,
겹겹이 쌓인 千古의 限이 스러지네
「金縷曲」 가락에 술盞을 기울二世.
한스런 옛時節을 이제 와 슬퍼하니
외로운 房에서 찌푸리며 잠이 들었었지.

노래가 끝나자 女人이 서글프게 말하였다.

"지난番에 奉導(蓬島)에서 만나기로 했던 約束은 어겼지만, 오늘 昭詳江(瀟湘江)에서 옛 郞君을 만나게 되었으니 어찌 天幸이 아니겠습니까? 郞君께서 저를 멀리 버리지 않으신다면 끝까지 시중을 들겠습니다. 그렇지만 萬若 제 所願을 들어주지 않으신다면 저는 永遠히 자취를 감추겠습니다."

養生이 이 말을 듣고 한便 놀라며 한便 고맙게 생각하여 對答하였다.

"어찌 當身의 말에 따르지 않겠소?"

그러면서도 女人의 態度가 凡常치 않았으므로, 養生은 有心히 行動을 살펴보았다. 이때 달이 西山에 걸리자 먼 마을에서는 닭이 울고 절의 鐘소리가 들려 왔다. 먼동이 트려 하자 女人이 말하였다.

"얘야. 술자리를 거두어 집으로 돌아가거라."

侍女는 對答하자마자 없어졌는데, 간 곳을 알 수 없었다. 女人이 말하였다.

"因緣이 이미 定해졌으니 郞君을 모시고 집으로 돌아가려 합니다."

養生이 女人의 손을 잡고 마을을 지나가는데, 개는 울타리에서 짖고 사람들이 길에 다녔다.

그러나 길가던 사람들은 그가 女人과 함께 가는 것을 알지 못하고, 다만

"量總角, 새벽부터 어디에 다녀오시오?"

하였다. 養生이 對答하였다.

"어젯밤 만복사에서 醉하여 누웠다가 이제 親舊가 사는 마을을 찾아가는 길입니다."

날이 새자 女人이 養生을 이끌고 깊은 숲을 헤치며 가는데, 이슬이 흠뻑 내려서 갈 길이 아득하였다. 養生이

"어찌 當時 居處하는 곳이 이렇소?"

하자 女人이 對答하였다.

"혼자 사는 女子의 居處가 元來 이렇답니다."

女人이 또(『詩經』에 나오는 옛詩 韓脩를 외워) 弄을 걸어왔다.

축축히 젖은 길이瑟
이른 아침과 늦은 밤엔 어찌 다니지 않나?
길에 이슬이 많기 때문이라네.

養生 또한 (『詩經』에 나오는 옛詩 한 數를)

여우가 어슬렁어슬렁
저 旗手 다릿목에 어정거리네,
魯나라 오가는 길 平坦하여
齊나라 아가씨 한가로이 노니네.

둘이 읊고 한바탕 웃은 다음에 함께 개嶺東(開寧洞)으로 갔다. (한 곳이 이르자) 다북쑥이 들을 덮고 가시나무가 하늘에 치솟은 가운데 한 집이 있었는데, 작으면서도 아주 아름다웠다.

그는 女人이 이끄는 대로 따라 들어갔다. 房안에는 이부자리와 揮帳이 잘 整頓되어 있었다. (밥床을 올리는 것도) 어젯밤 (만복사에)차려온 것과 같았다. 養生은 그곳에 사흘을 머물렀는데, 즐거움이 平常時와 같았다.

侍女는 아름다우면서도 狡猾하지 않았고, 그릇은 깨끗하면서도 무늬가 없었다. 人間世上의 것이 아니라고 생각되었다. 그러나 女人의 慇懃한 情에 마음이 끌려, 다시는 그런 생각을 하지 않았다. 얼마 뒤에 女人이 養生에게 말하였다.

"이곳의 사흘은 人間世上의 三 年과 같습니다. 郞君은 이제 집으로 돌아가셔서 生業을 돌보십시오."

드디어 離別의 잔치를 베풀며 헤어지게 되자, 養生이 서글프게 말하였다.

"어찌 離別이 이다지도 빠르誤?"

女人이 말하였다.

"다시 만나 平生의 所願을 풀게 될 것입니다. 오늘 이 陋醜한 곳에 오시게 된 것도 반드시 묵은 因緣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이웃 親戚들을 만나 보시는 게 어떻습니까?"

養生이 '좋다'고 하자 곧 侍女에게 시켜, 四方의 이웃에게 알려 모이게 하였다.

첫째는 鄭氏이고 둘째는 吳氏이며, 셋째는 金氏이고 넷째는 류氏인데, 모두 門閥이 높은 貴族 집의 따님들이었다. 이 女人과는 한 마을에 사는 親戚 處女들이었다. 性品이 溫和하며 風雲이 普通 아니었고, 총명하고 글도 또한 많이 알아 詩를 잘 지었다.

이들이 모두 七言絶句 네 首씩을 지어 養生을 傳送하였다.

鄭氏는 態度와 風流가 갖추어진 女人인데, 구름같이 쪽紙 머리가 귀밑을 살짝 가리고 있었다. 鄭氏가 歎息하며 詩를 읊었다.

봄이라 꽃피는 밤 달빛마저 고운데
내 시름 그지없이 나이조차 모르겠네.
한스러워라, 이 몸이 比翼鳥(比翼鳥)나 된다면
푸른 하늘에서 雙雙이 춤추고 놀련만.

七等(漆燈)엔 불빛도 없으니 밤이 얼마나 깊었는지
北斗七星 가로 비끼고 달도 半쯤 기울었네.
서글퍼라. 무덤 속을 그 누가 찾아오랴
푸른 적삼은 구겨지고 쪽紙 머리도 헝클어졌네.

梅花 지니 정다운 約束도 속절없이 되어 버렸네.
봄바람 건듯 부니 모든 일이 지나갔네.
베갯머리 눈물 자국 몇 군데나 젖었던가.
山費도 무심하구나 배꽃이 뜰에 가득 떨어졌네.
 
꽃다운 靑春을 하염없이 지내려니
寂寞한 이 빈 山에서 잠 못 이룬 지 몇 밤이던가.
南郊(藍橋)에 지나는 나그네를 님인 줄 몰랐으니
어느 해나 倍港(裴航)처럼 雲橋(雲翹)婦人을 만나려나.

吳氏는 두 갈래로 땋은 머리에 가냘픈 몸매로 속에서 일어나는 停會를 걷잡지 못하며, 뒤를 이어 읊었다.

만복사에 香 올리고 돌아오던 길이던가
가만히 紵布를 던지니 그 所願을 누가 맺어 주었나.
꽃 피는 봄날 가을 달밤에 그지없는 이 怨恨을
임이 주신 한 盞 술로 樗根덧 녹여 보세.

복사꽃 붉은 뺨에 새벽 이슬이 젖건마는
깊은 골짜기라 한 봄 되어도 나비조차 아니 오네.
기뻐라. 이웃집에서 百年佳約을 맺었다고
새 曲調를 다시 부르며 黃金술盞이 오가네.

해마다 오는 제비는 봄바람에 춤을 추건만
내 마음 애가 끊어져 모든 일이 헛되어라.
부럽구나. 저 蓮꽃은 꼭지나마 나란히 하여
밤 깊어지면 한 蓮못에서 함께 沐浴하는구나.

푸른 山 속에 다락이 하나 높이 솟아
連理枝(連理枝)에 열린 꽃은 해마다 붉건마는
한스러워라. 우리 人生은 저 나무보다도 못하여
薄命한 이 靑春에 눈물만 高였구나.

金氏가 얼굴빛을 가다듬고 얌전한 態度로 붓을 잡더니, 앞에 읊은 詩들이 너무 淫蕩하다고 꾸짖으면서 말하였다.

"오늘 모임에서는 말을 많이 할 必要가 없고, 이 자리의 光景만 읊으면 됩니다. 어찌 自己들의 속마음을 베풀어 우리의 節操를 잃게 하고,(저 손님으로 하여금) 우리들의 마음을 人間 世上에 傳하도록 하겠습니까?"

그리고는 朗朗하게 詩를 읊었다.

밤 깊어 五經(五更)李 되니 소쩍새가 슬피 울고
稀微한 銀河水는 東쪽으로 기울었네.
애끊는 玉퉁소를 다시는 불지 마오
閑暇한 이 風情을 俗人이 알까 걱정스럽네.

五精酒(烏程酒)를 가득히 金술盞에 부으리다
醉하도록 잡으시고 술이 많다 辭讓 마오.
날이 밝아 저 東風이 사납게 불어오면
한 토막 봄날의 꿈을 내 어이하려나.

草綠빛 소맷자락 부드럽게 드리우고
風流 소리 들으면서 백잔 술을 드소서.
맑은 興趣 다하기 前엔 돌아가지 못하시리니
다시금 새로운 말로 새 노래를 지으소서.

구름같이 고운 머리가 티끌 된 지 몇 해던가
오늘에야 님을 만나 얼굴 한番 펴보았네.
古堂(高塘)의 神奇한 꿈을 자랑하지 마소서.
風流스런 그 이야기가 人間에 電解質까 두려워라.

류氏는 엷게 化粧하고 흰옷을 입어 아주 華麗하지는 않았지만, 法度가 있어 보였다. 말없이 가만있다가 (自己의 次例가 되자) 빙그레 웃으면서 詩를 지어 읊었다.

金石같이 굳세게 貞節을 지켜온 지 몇 해던가.
향그런 넋과 玉같은 얼굴이 九泉에 깊이 묻혔네.
그윽한 봄밤이면 달나라 姮娥(姮娥)와 벗을 삼아
桂樹나무 꽃그늘에 외로운 잠을 즐겼다오.
우습구나. 複寫와 오얏꽃은 봄바람에 못 이겨서
이리저리 나부끼다 남의 집에 떨어지네.
限平生 내 節槪에 쇠파리가 없을지니
곤山獄(崑山玉) 같은 내마음에 티가 될까 두려워라.


연지도 分도 싫은데다 머리는 다북 같고
鏡臺에는 먼지 쌓이고 거울에는 綠이 슬었네.
오늘 아침엔 多幸히도 이웃 잔치에 끼였으니
머리에 꽂은 붉은 꽃이 보기만 해도 부끄러워라.

아가씨는 이제야 白面 郞君을 만났으니
하늘이 定하신 因緣 限平生 꽃다워라.
月露가 이미 거문고와 琵琶 줄을 傳했으니
이제부터 두 분이 洋紅 맹광처럼 지내소서.

女人은 류氏가 읊은 詩의 마지막 張을 듣고 監査하여, 앞으로 나와서 말하였다.

"저도 또한 字劃은 大江 分別할 程度이니, 어찌 홀로 詩를 짓지 않겠습니까?"

그리고는 七言律詩 한 篇을 지어 읊었다.

個嶺東 골짜기에 봄시름을 안고서
꽃 지고 필 때마다 온갖 근심을 느꼈었네.
초狹(楚峽) 구름 속에서 고운 님을 여의고는
昭詳江 대숲에서 눈물을 뿌렸었네.
따뜻한 날 맑은 江에 鴛鴦은 짝을 찾고
푸른 하늘에 구름이 걷히자 翡翠새가 노니 누나.
님이여. 同心結(同心結)을 우리도 맺읍시다.
緋緞 부채처럼 맑은 가을을 怨望하지 말게 하오.

養生道 또한 文章에 能한 사람이어서, 그들의 詩法이 맑고도 韻致가 높으며 音韻이 맑게 울리는 것을 보고 稱讚하여 마지않았다. 그도 곧 卽席에서 古風(古風) 章短篇 한 張을 지어 和答하였다.

이 밤이 어인 밤이기에
이처럼 고운 仙女를 만났던가.
꽃 같은 얼굴은 어이 그리도 고운지
붉은 입술은 앵두 같아라.
게다가 詩마저 더욱 巧妙하니
易安도 마땅히 입을 다물리라.
織女 아씨가 北 던지고 人間世界로 내려왔는가
象牙가 約방아 버리고 달나라를 떠났는가.
代母(玳瑁)로 꾸민 團長이 자리를 빛내 주니
오가는 술盞 속에 잔치가 즐거워라.
雲雨의 즐거움이 익숙하진 못할망정
술 따르고 노래 부르며 서로들 즐겨하네.
봉래섬을 잘못 찾아든 게 도리어 기뻐라
神仙世界가 여기던가, 風流徒를 만났구나.
玉盞의 맑은 술은 향그런 술桶에 가득 차 있고
鉏腦(瑞腦)의 고운 香내가 金獅子 香爐에 서려 있네.
백옥상 놓은 앞에 매운 香내 흩날리고
푸른 緋緞 帳幕에는 실바람이 살랑이는데,
님을 만나 술盞을 合하며 잔치를 베풀게 되니
하늘에 五色 구름 더욱 燦爛하여라.
그대는 알지 못하는가. 門所(文蕭)와 採卵(彩鸞)李 만난 이야기와
長石(張碩)李 蘭香(蘭香) 만난 이야기를
人生이 서로 만나는 것도 반드시 因緣이니
모름지기 盞을 들어 실컷 醉해 보세나.
님이시여. 어찌 가벼이 말씀하시오?
가을 바람에 負債 버린다는 서운한 말씀을,

이승에서도 저승에서도 配匹이 되어
꽃 피고 달 밝은 아래에서 끊임없이 노닐려오.

술이 다하여 헤어지게 되자, 女人이 銀그릇 하나를 내어 養生에게 주면서 말하였다.

"來日 저희 父母님께서 저를 위하여 寶輦社에서 飮食을 베풀 것입니다. 當身이 저를 버리지 않으시겠다면, 寶輦社로 가는 길에서 기다리고 있다가 저와 함께 절로 가서 父母님을 뵙는 것이 어떻겠습니까?"

養生이 對答하였다.

"그러겠소."

(이튿날) 養生은 女人의 말대로 銀그릇 하나를 들고 寶輦社로 가는 길가에서 기다리고 있었는데, 正말 어떤 貴族의 집안에서 딸子息의 對象을 치르려고 수레와 말을 길에 늘어 세우고서 寶輦社로 올라가는 것이었다. 그러다가 길가에서 한 書生이 銀그릇을 들고 서 있는 것을 보고는, 下人이 主人에게 말하였다.

"아가씨 葬禮 때에 무덤 속에 묻은 그릇을 벌써 어떤 사람이 훔쳐 가졌습니다."

主人이 말하였다.

"그게 무슨 말이냐?"

下人이 말하였다.

"저 書生이 가지고 있는 銀그릇을 보고 한 말씀입니다."

主人이 마침내 탔던 말을 멈추고 (養生에게 그릇을 얻게 된 事緣을) 물었다. 養生이 前날 約束한 그대로 對答하였더니, (女人의) 父母가 놀라며 의아스럽게 여기다가 한참 뒤에 말하였다.

"내 膝下에 오직 딸子息 하나가 있었는데, 倭寇의 亂離를 만나 싸움판에서 죽었다네. 미처 葬禮도 치르지 못하고 改令社 곁에 臨時로 묻어 두고는 이래저래 미루어 오다가 오늘까지 이르게 되었다네. 오늘이 벌써 對象 날이라, (어버이된 心境에) 재나 올려 冥福을 빌어 줄까 한다네. 자네가 正말 그 約束대로 하려거든, 내 딸子息을 기다리고 있다가 같이 오게나. 놀라지는 말게나."

그 貴族은 말을 마치고 먼저 (改令社로) 떠났다. 養生은 우두커니 서서 (女人이 오기를) 기다렸다. 約束하였던 時間이 되자 果然 한 女人이 계집종을 데리고 허리를 간들거리며 오는데, 바로 그 女人이었다. 그들은 서로 기뻐하면서 손을 잡고 절로 向하였다.

女人은 절 門에 들어서자 먼저 부처에게 禮를 드리고 곧 흰 揮帳 안으로 들어갔다. 그의 親戚과 절의 스님들은 모두 그 말을 믿지 못하고, 오직 養生만이 혼자서 보았다. 그 女人이 養生에게 말하였다.

"함께 저녁이나 드시지요."

養生이 그 말을 女人의 父母에게 알리자, 女人의 父母가 試驗해 보려고 같이 밥을 먹게 하였다. 그랬더니 (그 女人의 얼굴은 보이지 않으면서) 오직 수저 놀리는 소리만 들렸는데, 人間이 食事하는 것과 한가지였다. 그제야 女人의 父母가 놀라 歎息하면서, 養生에게 勸하여 揮帳 옆에서 같이 잠자게 하였다. 한밤中에 말소리가 朗朗하게 들렸는데, 사람들이 가만히 엿들으려 하면 갑자기 그 말이 끊어졌다.

女人이 養生에게 말하였다.

"제가 法度를 어겼다는 것은 저도 잘 알고 있습니다. 저도 어렸을 때에 『詩經』과『서경』을 읽었으므로, 禮義를 조금이나마 알고 있습니다. 『詩經』에서 말한 「乾象( 裳)」이얼마나 부끄럽고 「上書(相鼠)」가 얼마나 얼굴 붉힐 만한 詩인지 모르는 것도 아닙니다. 그렇지만 하도 오래 다북쑥 우거진 속에 묻혀서 들판에 버림받았다가 사랑하는 마음이 한番 일어나고 보니, 끝내 걷잡을 수가 없게 되었던 것입니다. 지난番 절에 가서 福을 빌고 부처님 앞에서 香불을 사르며 薄命했던 한平生을 혼자서 歎息하다가 뜻밖에도 三稅(三世)의 因緣을 만나게 되었으므로, 素朴한 아내가 되어 百年의 높은 節槪를 바치려고 하였습니다. 술을 빚고 옷을 기워 平生 지어미의 길을 닦으려 했었습니다만, 애닮게도 業報(業報)를 避할 수가 없어서 저승길을 떠나야 하게 되었습니다. 즐거움을 미처 다하지도 못하였는데, 슬픈 離別이 닥쳐왔습니다.

이제는 제가 떠날 時間이 되었습니다. 雲雨(雲雨)는 兩大(陽臺)에 개고 오작(烏鵲)은 銀河에 흩어질 것입니다. 이제 한番 헤어지면 뒷날을 期約하기가 어렵습니다. 헤어지려고 하니 아득하기만 해서 무어라 말해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사람들이 女人의 靈魂을 電送하자 울음소리가 그치지 않았다. 魂이 門 밖에까지 나가자 소리만 殷殷하게 들려 왔다.

저승길도 期限 있으니
슬프지만 離別이라오.
우리 님께 비오니
저버리진 마옵소서.
애닯아라 우리 父母
나의 配匹을 못 지었네.
아득한 舊怨(九原)에서
마음에 恨이 맺히겠네.

남은 소리가 차츰 가늘어지더니 목메어 우는 소리와 分別할 수 없게 되었다.

女人의 父母는 그제야 그 동안 있었던 일이 事實인 것을 알게 되어 더 以上 疑心하지 않았다.

養生道 또한 그 女人이 鬼神인 것을 알고는 더욱 슬픔을 느끼게 되어, 女人의 父母와 함께 머리를 맞대고 울었다.

女人의 父母가 養生에게 말하였다.

"銀그릇은 자네가 쓰고 싶은 대로 맡기겠네. 또 내 딸子息 몫으로 밭 몇 마지기와 奴婢 몇 사람이 있으니, 자네는 이것을 信標로 하여 내 딸子息을 잊지 말게나."

이튿날 養生이 고기와 술을 마련하여 개嶺東 옛자취를 찾아갔더니, 果然 屍體를 臨時로 묻어 둔 곳이 있었다. 養生은 祭物을 차려 놓고 슬피 울면서 그 앞에서 紙錢(紙錢)을 불사르고 正式 으로 葬禮를 치러 준 뒤에, 祭物을 지어 慰勞하였다.

아아. 靈異시여. 當身은 어릴 때부터 天稟이 溫順하였고, 자라면서 얼굴이 말끔하였소. 姿態는 序詩(西施) 같았고, 文章은 宿陣(淑眞)보다도 나았소. 閨門(閨門) 밖에는 나가지 않으면서 家庭 敎育을 늘 받아 왔었소. 亂離를 겪으면서 貞操를 지켰지만, 倭寇를 만나 목숨을 잃었구려. 다북쑥 속에 몸을 내맡기고 홀로 지내면서, 꽃 피고 달 밝은 밤에는 마음이 아팠겠구려. 봄바람에 애가 끊어지면 杜鵑새의 피울음 소리가 슬프고, 가을 서리에 쓸개가 찢어지면 버림받는 非 單負債를 보며 歎息했겠구려. 지난番에 하룻밤 當身을 만나 기쁨을 얻었으니, 비록 저승과 이승이 서로 다르다는 것은 알면서도 물 만난 고기처럼 즐거움을 다하였소. 張差 百年을 함께 지내려하였으니, 하루 저녁에 슬피 헤어질 줄이야 어찌 알았겠소?

임이여. 그대는 달나라에서 鸞새를 타는 仙女가 되고, 霧散에 비 내리는 아가씨가 되리다. 땅이 어두워서 돌아오기도 어렵고, 하늘이 寞寞해서 바라보기도 어렵구려. 나는 집에 들어가도 어이없어 말도 못하고, 밖에 나간대도 아득해서 갈 곳이 없다오. 靈魂을 모신 揮帳을 볼 때마다 흐느껴 울고, 술을 따를 때에는 마음이 더욱 슬퍼진다오. 아리따운 그 모습이 눈에 보이는 듯, 朗朗한 그 목소리가 귀에 들리는 듯하오.

아아. 슬프구려. 그대의 性品은 총명하였고, 그대의 氣象은 말쑥했었소. 몸은 비록 흩어졌다지만 魂靈이야 어찌 없어지겠소? 應當 降臨하여 뜰에 오르시고, 옆에 와서 슬픔을 돌보소서. 비 록 寫生(死生)李 다르다지만 當身이 이 글에 느낌이 있으리라 믿소.

葬禮를 치른 뒤에도 養生은 슬픔을 이기지 못하였다. 밭과 집을 모두 팔아 사흘 저녁이나 잇따라 齋를 올렸더니, 女人이 空中에서 養生에게 말하였다.

"저는 當身의 恩惠를 입어 이미 다른 나라에서 男子의 몸으로 태어나게 되었습니다. 비록 저승과 이승이 멀리 떨어져 있지만, 當身의 恩惠에 깊이 感謝드립니다. 當身도 이제 다시 淨業을 닦아 저와 함께 輪廻를 벗어나십시오."

養生은 그 뒤에 다시 장가들지 않았다. 智異山에 들어가 藥草를 캐었는데, 언제 죽었는지는 알지 못한다.

이 著作物은 著者가 死亡한 지 70年이 넘었으므로, 著者가 死亡한 後 70年(또는 그 以下)이 지나면 著作權이 消滅하는 國家에서 퍼블릭 도메인 입니다.


주의
注意
1923年에서 1977年 사이에 出版되었다면 美國에서 퍼블릭 도메인이 아닐 수 있습니다. 美國에서 퍼블릭 도메인인 著作物에는 {{ PD-1996 }}를 使用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