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影島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影島

釜山廣域市의 섬
( 絶影島 에서 넘어옴)

影島 (影島)는 釜山廣域市 中區 · 東區 · 西區 와 함께 釜山廣域市 의 原都心(原都心)을 이루는 으로, 섬 全體가 釜山廣域市 影島區 를 構成한다. 絶影島 (絶影島)라고도 불린다.

影島
地圖

지리
位置 東海
座標 北緯 35° 04′ 11″ 東京 129° 04′ 06″ ? / ? 北緯 35.06972° 東京 129.06833° ? / 35.06972; 129.06833

最高點 蓬萊山?395m
行政 區域
대한민국의 기 大韓民國
廣域市 釜山廣域市
影島區

人口 統計
人口 約 11萬名

섬의 面積은 14.12 km 2 [1] 이고, 海岸線의 길이는 20.5km이고, 最高點(蓬萊山)의 높이는 395m이다. [2] 섬의 北東쪽은 釜山 北港 과, 섬의 南西쪽은 釜山 南港 과 接한다. 北西쪽 은 比較的 緩慢하여 住居가 密集해 있고, 海岸 에는 造船所를 비롯하여 陶瓷器 工場, 大韓中企 等 많은 工場 과 水産試驗場이 있다. 1934年 에 假設된 跳開橋(跳開橋) [3] 영도大橋 로도 有名하다.

歷史 編輯

救命 由來 編輯

영도는 元來 絶影島 로 불렸다. 絶影島가 歷史 記錄으로 처음 登場한 것은 ' 三國史記 '이다. 여기서는 絶影島가 아닌 節靈山으로 나온다. 節靈山이란 그림자가 끊어진 섬이란 意味이다. 여기서 節靈山이 只今의 '蓬萊山'이다.

'高麗史'에는 '絶影島 驄馬'로 나타나며, 節靈山이 있는 섬이라는 뜻으로 絶影島라고 불렸고 以後 公式的으로 絶影島로 불렸다. 1601年 設置된 絶影島倭館, 1881年 設置된 絶影島眞 等 絶影島가 나타난다.

日帝强占期에는 '목도'를 公式 名稱으로 썼지만 絶影島라는 地名은 持續的으로 使用했다. 一般的으로 세 글字의 指名을 줄일 때는 앞글字를 따는 것이 普遍的이다. 그러나 絶影島는 竊盜라 부르지 않고 領導라고 부른다. 節度는 도둑을 聯想하기 때문인 것으로 推定된다. [4]

日帝强占期 編輯

1910年 日本 帝國主義 의 收奪이 極甚할 때, 港口를 낀 영도는 當時 日本에게 黃金의 땅이었다. 朝鮮의 物資는 배를 통해 日本으로 빠져나갔고 오가는 배들의 交叉路였던 영도는 造船所를 짓기에 最高의 要衝地였다.

1937年 國內 最初 鐵鋼 造船所인 朝鮮 重工業이 領導에 세워져 영도는 朝鮮事業의 始作點이자 中心地였다.

우리나라가 解放되면서 日本사람들이 모두 물러나고 그 施設들이 우리에게 돌아와 大韓民國이 直接 배를 建造할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日帝가 만든 영도의 造船所는 木船에서 鐵線을 만드는 造船所로 바뀌고, 이 造船所를 우리나라 사람이 引受하여 大韓造船公社, 나중에는 한진중공업 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5]

랜드마크 編輯

" 영도다리 아래서 만나자:

韓國戰爭 當時 釜山으로 내려온 避難民들은 連絡할 方道가 없어 영도다리를 據點으로 서로 만나기를 期約했다. 當時 家族들과 헤어진 사람들이 家族을 기다리던 一種의 랜드마크 였던 것이다. [6]

같이 보기 編輯

各州 編輯

  1. “120417(朝刊)_2012年度_地籍統計年報_發刊(指摘企劃과1)” (HWP) . 2012年 4月 16日.  [ 깨진 링크 ( 過去 內容 찾기 )]
  2. “영도” . 2021年 6月 5日에 確認함 .  
  3. 跳開橋(跳開橋): 큰 배가 밑으로 지나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위로 열리는 構造로 만든 다리.
  4. “영도는 언제부터 影島였을까?” . 2000年 5月 27日 . 2023年 4月 11日에 確認함 .  
  5. 심은정 (2020年 9月 8日). “영도 알쓸神雜” . 한국해양대학교 言論市 . 2023年 4月 11日에 確認함 .  
  6. 김형진 (2022年 12月 16日). “한때 避亂民들의 아픔과 希望이 서렸던 그곳...이제는 '地域感情'에 아리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