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人類學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人類學

生物로서의 人類와 그 文化를 硏究하는 學問

人類學 (人類學, 英語 : anthropology )은 人間에 關한 모든 것을 硏究하는 學問이다. 따라서 硏究의 對象과 範圍가 매우 廣範圍하다. 19世紀 以後 學問으로서 體系化되었으며 美國과 유럽에서 서로 다른 關心을 갖고 發展되어 왔다. 오늘날 人類學은 보다 專門的인 여러 下位 學問으로 나뉘어 있다. 下位 學問으로는 形質人類學 , 考古學 , 文化人類學 等이 있다. 形質人類學의 硏究分野로는 人間 의 起源과 鎭火 를 다루는 分野와 현대 人類의 多樣性을 硏究하는 分野가 있다. 考古學은 先史時代 와 같은 오래된 人類의 遺跡 等을 硏究하여 當時의 文化 等을 糾明하는 것을 主要 硏究分野로 삼고 있다. 文化人類學은 오늘날 다양하게 存在하는 여러 文化들에 對해 總體的으로 硏究하는 것이다. 如前히 石器를 使用하는 文化에서부터 現代 産業社會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文化에 對해서 家族, 親族關係, 經濟生活, 政治生活, 宗敎生活과 같은 여러 文化的 生活을 硏究하여 該當 社會의 內的 規則을 發見하고자 한다. [1]

人類學
學問名 人類學

이밖에도 民族學 (ethnology), 民俗學(folklore) 等을 人類學에 包含시키기도 한다. 오늘날 人類學이라고 하면 社會文化人類學을 指稱하는 境遇가 一般的이다. 人類學科 聯關된 社會나 文化를 中心으로韓 硏究分野는 많은 現代理論의 形成에 影響을 끼쳤으며 核心的 基礎科學 學問이다.

觀點 編輯

人類學의 觀點은 크게 세 가지로 나뉘는데, 文化相對主義 (cultural relativism)· 比較文化論 ·總體的 接近(holistic approach)이 그것이다. 文化相對主義는 自身만의 觀點으로(자신의 文化를 基準으로) 他文化를 評價하는 것을 警戒하며 특정한 價値를 絶對 基準으로 삼지 않아야 함을 뜻한다. 文化相對主義와 反對되는 用語로는 자민족中心主義 또는 자문화中心主義 (ethno-centrism)이다. 比較文化論 (또는 比較文化論적 接近)이란 硏究對象이 되는 文化를 다른 文化와 相互 比較하여 敍述하는 것을 말한다. 絶對的인 價値 基準이 없고, 있다 하더라도 文化라는 抽象的 對象을 '客觀的으로' 敍述할 方法은 없다. 오직 다른 文化와의 比較를 통해 敍述할 수밖에 없다. 그래야 人類의 共通的인 文化라는 것에 對하여 그 뿌리나 原理(the root and the nature)를 探究할 수 있기 때문이다. 總體的 接近이란 近代의 다른 學問들처럼 특정한 主題에 한하여 硏究를 試圖하는 것이 아니라, 分析的·機械的 觀點으로 人間과 社會를 보는 것을 意識的으로 避하는 것을 뜻한다. 이를 통하여 文化人類學者들은 複雜한 實態를 把握하는 것이다. 다시 말하여, 文化人類學은 總體論的 觀點에서 社會 文化 政治 · 宗敎 · 歷史 · 經濟 · · 制度 · 藝術 等等이 機械的으로 統合되어 있다고 보는 것이 아니라 "그 모든 것들이 하나의 總體"로서 宗敎가 곧 政治이고 政治가 經濟이며 經濟가 歷史라는 眼目을 强調한다. 卽 하나의 全體를 理解하기 위해 人間 個個人의 觀念과 行動에 焦點을 맞추어 그것이 어떻게 全體와 連結되는지에 關心을 기울이는 것이다.

分類 編輯

普通 形質人類學 , 文化人類學 , 考古學 , 言語人類學 으로 分類된다. 다양한 民族들에 關한 自然 그대로의 說明과 解釋이 人類學의 特徵이지만 그 主題나 硏究方法이 固有한 것은 아니다. 人類學은 一般的으로 알려져 있듯이 歷史와는 다르다. 이는 人類學이 民族·制度·宗敎 또는 慣習에 對한 歷史的인 硏究를 排除하기 때문이 아니라 文書資料를 통한 說明보다 人間, 人間의 活動, 人間의 生産物에 對해 可能한 限 直接 觀察을 重要視 한다. 또한 이런 모든 硏究 結果를 人間에 關한 總體的인 記錄의 一部로 볼 뿐 아니라, 人類의 生物學的·文化的인 發展과 關聯된 複合的인 過程을 더 깊이 理解하는 데 寄與하는 것으로 본다. 마찬가지로 人間의 身體·精神의 多樣性과 集團的인 差異를 硏究한다는 側面에서 人類學의 接近方法은 生理學 또는 心理學 과도 다르다. 人類學者들은 人類의 全歷史에서 時間과 空間의 側面에서 特定 集團과 活動이 갖는 固有한 特性을 硏究하고 解釋하려 한다.

形質人類學 은 生物學的인 觀點에서 人間을 進化學的 틀에서 硏究한다. 人間이 어떻게 地球上에 넓게 퍼져 살게 되었는가가 關心分野이며 어떻게 地域的으로 人類가 다르게 살고 있는가에 對한 硏究等 種族으로서 人類를 硏究한다.

文化人類學 殷 文化와 社會를 硏究하는 學問이다. 民族誌 같은 現場에서 參與하며 觀察하는 것을 重要視 한다.

考古學 은 物質的 人間文化를 硏究하는 學問이다. 遺物을 통한 硏究가 主로 이루어진다.

言語人類學 或은 人類學的 言語學은 人間의 意思疏通過程을 理解하고자 하는 學問이다. 音聲이나 非陰性的인 다양한 言語를 時間과 空間, 社會的 言語의 使用 그리고 言語와 文化와의 關聯을 硏究한다.

歷史에 따른 區分 編輯

人類學은 英國 에 傳統을 둔 社會人類學 , 美國 에서 發展해 온 文化人類學 , 獨逸 , 오스트리아 , 네덜란드 等을 中心으로 形成된 民族學 等으로 區分할 수 있다.

현대 人類學은 수많은 갈래로 퍼져나가고 있으며, 그中 21世紀 初期에 活潑한 活動을 하고 있는 分野 學問 中 開發人類學 , 醫療人類學 等이 있다.

  • 1600年代 루소 로크 의 認識論的 接近法
  • 1800年代 進化論의 發想과 人種的 分類法 - 스펜서 , 타일러
  • 1900年代 初期 보아스
  • 英國 構造主義
  • 機能主義
  • 構造機能主義
  • 象徵主義
  • 脫近代論
  • 신근대

歷史 編輯

19世紀 以前 編輯

현대 人類學은 大陸發見時代에 始作되었다. 이 時期에 技術的으로 發展해 있던 유럽 文化는 다양한 土着文化와 폭넓게 接觸하게 되었는데, 유럽人들은 이 文化들을 一括的으로 '野蠻' 또는 ' 遠視 ' 文化로 規定했다.

19世紀 編輯

19世紀 中盤에 學問에 對한 宗敎的인 統制가 弱化됨에 따라 人間의 起源, 人種 分類, 比較解剖學, 言語와 같은 主題가 流行했고, 1859年 다윈 이 〈 種의 起源 〉 出版을 통해 公式的으로 鎭火 槪念을 言及함에 따라 人類發展과 時間의 흐름에 따른 社會·文化 發展에 對한 硏究가 크게 活性化되었다. 當代 流行하던 主題와 比較의 觀點, 進化論 · 優生學 等 學問의 知的 遺産에 影響을 받은 人類學은, 親族形態의 進化, 文明의 進化, 宗敎의 進化 等을 中心的으로 硏究하며 人種主義 帝國主義 의 發興에 寄與하기도 했다. 이 때 (19世紀 後半) 主流였던 人類學은 單線的인 歷史槪念을 土臺로, 모든 人間集團은 文化的인 進化의 特定 段階들, 卽 '野蠻' 또는 '未開' 狀態를 거쳐 '文明人'(例를 들면 西歐 유럽人) 段階로 發展하게 된다고 說明했다.

같은 時期에 마르크스 와 그 影響을 받은 思想家들은 그와는 다른 社會進化論 을 主張했다. 마르크스의 理論에 따르면 한 社會의 經濟的인 生産樣式 이 一連의 支配原理 를 決定한다. 이 支配原理는 生産樣式이 變한 後에도 한동안 遲滯되는 것이 特徵이며, 그結果 支配原理와 生産樣式 사이에 葛藤이 일어남으로써 새로운 社會秩序가 생긴다. 이러한 統一된 理論들은 旅行家·商人·宣敎師 들이 蒐集한 知識을 바탕으로 씌어진 프레이저 京義 〈 黃金가지 The Golden Bough〉(1890) 같은 大衆的인 著書와 달리 몇 年 안 되어 學問的으로 相當한 發展을 이루었다.

形質人類學 編輯

文化人類學 이 獨自的으로 하나의 成熟한 社會科學 分課로 發展하는 동안 形質人類學 은 自然現象에서 차지하는 人間의 位置를 規定하고, 人間과 다른 靈長類 사이의 差異를 알아내고, 다양한 人種의 身體的인 差異를 分類하는 일에 繼續 關心을 두었다. 19世紀 後半 다윈의 進化論 이 一般的으로 널리 받아들여진 가운데, 形質人類學者들은 古代人類를 追跡하는 데 考古學者들과 古生物學者들의 發掘 成果를 利用하기 始作했다.

20世紀 編輯

20世紀가 始作되면서 西歐 유럽과 北아메리카 初期 人類學者들이 갖고 있던 强한 文化的인 偏見이 漸漸 사라지고, 社會와 文化의 폭넓은 多樣性에 對한 多元論的이고 相對主義的인 見解가 優勢하게 되었다. 文化的 相對主義에 바탕을 둔 이 立場은 모든 文化를 物理的인 環境, 文化的인 接觸, 그밖의 다른 여러 가지 要素들의 獨特한 産物로 把握했다. 이러한 見解에 뒤이어 經驗的인 資料, 現地調査, 일정한 文化的·自然的 環境 안에서 일어나는 人間의 行動에 關한 具體的인 證據를 强調하는 傾向이 생겼다. 이러한 接近方法을 行한 가장 主要한 本보기가 된 사람은 文化史學派의 始祖로 알려진 獨逸 胎生 美國의 人類學者 보아스 였다. 1900年 初期에 그는 컬럼비아 大學校 에서 進化論을 否定하고 古典的 人類學의 根幹이 되는 네 가지 接近法 ( 言語學 , 考古學 , 文化人類學 그리고 體質人類學 )의 基礎를 닦았다. 보아스와 베네딕트 , 美드 , 사피어 等 그의 弟子들은 20世紀 全般을 통해 美國 人類學의 主流를 形成했다. 文化史學파는 文化的인 資料에 機能主義的인 方法으로 接近하여 한 文化에 屬한 여러 다양한 樣式·特徵·慣習을 조화시켜 表現하려 했다. 한便 프랑스의 境遇 파리大學校의 民族學硏究所 設立者인 모스 는 人間社會를 自己調節 할 뿐 아니라, 文化統合體系를 保存하기 위해 여러 가지 方法으로 變化하는 環境에 適應하는 總體的인 體系로 보는 立場에서 硏究를 進行시켰다.

모스는 프랑스의 레비스트로스 , 英國의 말리노프스키 래드클리프브라운 과 같이 異質的인 接近方法을 꾀한 이들에게 相當한 影響을 미쳤다. 말리노프스키는 繼續 嚴格한 機能主義的인 接近方法을 追求했으며, 래드클리프브라운과 레비스트로스는 構造主義 原理를 발전시켰다. 두 學派는 社會史를 社會理論의 土臺로 보지 않는 點을 除外하고는 別個의 方向으로 發展했다. 機能主義者들의 主張에 따르면 社會現象을 分析하는 單 하나의 妥當한 方法은 그 現象이 社會에서 遂行하는 機能을 規定하는 것이었다. 反面 構造主義者들은 社會構成員들이 神話와 象徵을 통해서만 認識하는 폭넓은 現象의 構造的 性格 및 對象을 알아내려 했다.

1930年代에 베네딕트가 行한 美國 南西部 인디언에 關한 硏究를 통해 文化心理學 이라는 文化人類學의 派生分野가 생겨났다. 베네딕트의 主張에 따르면 文化는 천천히 發展하면서 構成員들에게 獨特한 '心理的인 性向'을 갖게 하는데, 構成員들은 環境的인 要素에 相關없이 文化를 통해 定해진 方向을 따라 現實을 解釋하게 된다는 것이다. 이른바 傳統社會는 勿論, 現代社會의 文化的인 '統合' 또는 價値體系에서 그 例를 볼 수 있는 것처럼 文化와 人性(人性)의 相互關係는 폭넓은 硏究主題로서 자리잡게 되었다.

形質人類學 編輯

20世紀가 始作되면서 確實한 證據를 바탕으로 人種이 分類되었으며, 高等 靈長類 사이의 差異點에 關한 槪括이 이루어졌다. 1900年 멘델 一般遺傳法則 이 再發見되고, ABO式 血液型 契가 처음 發見되면서 種(種)의 進化的인 變化 槪念은 새로운 意味를 갖게 되었다. 20世紀 後半 形質人類學者들은 頭蓋骨 化石에서 나타난 證據를 바탕으로 約 50萬 年 동안의 人類進化過程을 圖表로 만들 수 있게 되었다.

現在 編輯

현대人類學의 關心과 技法은 物理學·生物學·行動科學·社會科學 等 폭넓은 專門分野에 걸쳐 있다. 例를 들면 原子物理學 德分에 考古學的인 發掘物의 相對的인 連帶를 測定하기 위한, 放射性 炭素를 利用한 年代測定法과 같은 技術이 發展했다. 여러 民族의 地理的인 起源을 알아내기 위한 硏究에는 人間의 遺傳을 硏究하는 生物學者들이 開發한 方法이 利用되고 있다. 유럽 집시 들이 元來 印度 胎生이었다는 推測을 立證할 수 있었던 것은 遺傳學 技術을 應用해 血液型을 調査함으로써 밝혀진 事實이다. 여러 民族들의 家族關係, 近親相姦 禁忌와 같은 宗敎的·法的인 慣習을 理解하는 데에는 精神分析理論 에 主로 바탕을 둔 心理學의 原則이 採擇되고 있다.

硏究方法 編輯

人類學者는 現地調査(fieldwork, 現地硏究, 現場硏究, 現場調査 等으로 飜譯됨)를 통해 硏究對象에게 다가간다. 이러한 方法論은 文獻硏究의 虛構性을 痛烈히 反駁하며 "발로 뛰는" 學問으로서 人類學의 實踐的 性格을 形成하여왔기 때문이다. 例를 들어 無文字社會 를 硏究하는 境遇 1年 以上 現場 硏究하는 것이 基本인데, 1年이란 期間은 地球上 大部分의 社會에서 基本的인 生活의 週期를 形成하기 때문이다. 現地에서 人類學者는 먼저 該當 社會의 言語를 習得하고 라포르 (rapport), 卽 現地人들과의 信賴關係를 몇 個 月을 걸쳐서 먼저 確立하고, 實質的인 調査는 그 다음에 試圖하는 것이 一般的이다.

參考로 文化人類學이라고 하면 無文字社會 또는 "未開社會"를 硏究하는 것이라는 偏見도 있다. 그러나 이때 無文字社會라는 것도 반드시 文明과 동떨어진 社會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文字가 있더라도 文字로 記錄되지 않는 部分에 對한 硏究를 遂行함을 意味한다. 이처럼 '無文字社會'의 槪念이 擴張된 理由는 20世紀 들어 國民敎育이 全 世界的으로 普遍化하면서 無文字社會가 漸次 사라지고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文字가 있는 社會나 甚至於는 예컨대 西歐와 같은 "文明社會"에 對한 調査를 할 境遇도 있다. 그러한 境遇, 現地調査 以前에 文獻調査를 하는 것이 勸奬된다.

現地調査는 內實的으로 參與觀察, 인터뷰, 設問調査法 等이 包含되는데, 그밖에 指導 그리기, 物質文化 蒐集, 映像撮影 및 錄音 等等의 다양한 方法이 動員된다. 또 現地調査를 할 境遇에는 自身의 立場이 內部者的 立場인지 外部者的 立場인지에 따라 現地調査의 結果物인 民族誌 (ethnography, 文化技術地/民族誌)의 敍述 戰略이 달라지므로 스스로의 立場에 對한 苦悶과 反芻가 要求된다.

社會 寄與 編輯

모든 學問은 當代의 觀念을 反映하며, 特히 人類學처럼 '人間'을 硏究하는 學問은 社會와 各種 影響關係가 폭넓고도 깊다. 帝國主義 時代를 거치면서 人類學은 人種主義 와 西歐 中心主義(優越主義)의 根據를 提供하기도 하였으나, 그것은 人類學의 잘못이라기보다는 帝國主義·植民主義 自體의 特性이며, 國民國家 形成期에 벌어진 他者化의 過程 속에서 다른 學問들 모두가 함께 저지른 過誤이다. 그러나 人類學은 여느 學問과 달리 相對論的 世界觀을 재빨리 確立하였고, 이어서 硏究對象들에 對한 人間的인 關係 맺음을 통해 그들의 立場을 代辯하기 始作하였다. 卽 進化主義의 誤謬를 克服하고, 文化를 現象的으로 把握하지 않고서는 보이지 않는 人間 內面의 各種 論理와 思考의 硏究에 集中하면서 오늘날에는 地球村 次元에서 모든 人間들이 서로 平等함을 認識케 하는데 큰 寄與를 했다. 特히 少數民族 硏究는 現代 都市 內에서의 打者로 轉落한 수많은 마이너리티들에 對한 友好的인 態度의 基盤이 되었으며, 오늘날 人類學은 社會의 肯定的인 變化에 앞장서서 各種 議題를 던지고 旣存의 巨大談論이 갖는 暴力性을 告發하고 있다.

各州 編輯

  1. 김주희, 文化人類學의 理解, 誠信女子大學校出版部, 1991, ISBN  89-86090-08-2 , 13-20쪽

參考 資料 編輯

같이 보기 編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