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言論情報學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커뮤니케이션學 ( communication studies ), 言論情報學 ( communication sciences )은 人間의 疏通 을 다루는 學問 이다. 세 種類의 커뮤니케이션이 있다: 口頭(메시지의 意味를 理解하기 위해 사람의 말을 듣는 것을 同伴), 記錄(메시지가 읽히는 것), 非口頭 疏通(사람을 觀察하고 意味를 推論하는 것) [1] 學問은 一連의 主題를 아우르는데, 얼굴을 맞대고 하는 對話에서부터 텔레비전 放送 等의 大衆 媒體 發散에 이른다. 커뮤니케이션에 關한 學問은 古代 그리스의 修辭學 (修辭學, rhetoric)李 그 始初이며, 以後 新聞 放送 이라는 媒體의 出現과 함께 新文學, 저널리즘學, 公示學 等의 分科學問으로 發展하였다. 오늘날 言論情報學은 이 모든 것을 包括한 커뮤니케이션 現象의 意味, 技術, 理論을 綜合的으로 다루는 學問으로서 個人 및 社會의 意思疏通, 新聞, 放送, 映畫 , 廣告 , 인터넷 等에 나타난 커뮤니케이션 樣相을 硏究의 對象으로 삼고 있다. 過去 新文學, 新聞放送學, 言論學 等의 名稱이 使用되던 때와는 달리, 言論情報學의 硏究 範圍는 特定 媒體에 限定되어 있지 않다. 最近 情報通信技術의 急激한 變化는 媒體 環境과 커뮤니케이션 方式에 큰 變化를 가져오고 있고, 이에 따라 言論情報學의 硏究 範圍 亦是 擴張되고 있다. 言論情報學科의 主要 進路 分野는 言論社, 放送局, 廣告會社, 出版社, 雜誌社, 寫眞, 映畫, 映像, 멀티미디어 關聯 分野, 企業體 弘報部署 或은 마케팅 部署 等이며, 具體的 職業은 普通 PD, 記者, 作家, 아나운서, 리포터, 카피라이터, 廣告 製作者, 映像 編輯者, 映像 關聯 엔지니어, 마케터 等이 있다

言論情報學의 名稱 編輯

各 大學에서 新聞放送學科로 부르며 學生들을 敎育해왔으나 지난 1997年 3月, 서울大學校 社會科學大學 新聞學科가 言論情報學科로 改稱(改稱)하면서 言論情報學科가 誕生했다. 以後 大學의 學科 및 關聯 學會에서 言論情報學이라는 名稱이 使用되기 始作했다. 하지만 如前히 新聞放送學科로 부르는 境遇가 많으며 學部制의 影響으로 一部 大學에서는 커뮤니케이션 學部, 言論學部 等으로 부르기도 한다. 美國 에서는 커뮤니케이션學, 저널리즘學 等의 名稱이 使用되고 있고, 獨逸 에서는 公示學(公示學)이라는 名稱이 使用되기도 한다.

言論情報學의 歷史 編輯

西洋 言論情報學의 歷史 編輯

커뮤니케이션에 關한 硏究의 뿌리는 古代 그리스 修辭學 이다. 以後 近代에 커뮤니케이션은 政治學 , 社會學 , 經濟學 等 隣接 學問 分野의 學者들에 依해 補助的으로 硏究되었다. 17世紀末부터 獨逸의 大學과 여러 貴族學校들( 獨逸語 : Ritter-Akademien )에서 新聞 잡지 에 對한 學問的 硏究가 이루어졌고, 이 時期 카스퍼( 獨逸語 : Kasper von Stieler )는 新聞 의 本質的 特性으로서 공시性(公示性)과 現實性(現實性), 普遍性(普遍性)을 定立하였다. [2] 1690年에는 神學 (神學) 分野에서 新聞 에 對한 硏究로 첫 番째의 博士學位論文이 나오기도 했다. [2] 그러나 오늘날 言論情報學의 主要 硏究 分野들이 分科 學問으로서 大學에 登場한 것은 20世紀부터이다.

職業敎育 中心의 言論學( 저널리즘 )은 20世紀 初盤에 유럽과 美國에서 이미 制度化되기 始作했다. [3] 美國의 境遇, 19世紀 末에 一部 大學이 印刷 新聞 에 關한 講座를 開設하였으며, 1903年에 캔자스大學에서 開設된 科目은 現在 存在하는 가장 오래된 저널리즘 科目으로 알려져 있다. [3] 以後 1908年에 월터 윌리엄스( Walter Williams ,1864年 6月 2日 ~ 1935年 6月 29日)가 미주리大學 에 世界 最初의 저널리즘 스쿨을 開設하고, 1905年에는 윌라드 블레이어( Willard G.Bleyer )가 위스콘신大學 에 1年 過程의 言論學專攻 課程을 開設하여 이것이 1912年에는 學科로 發展하고 1927年에는 저널리즘 스쿨로 擴大되었다. [3]

獨逸의 境遇, 新聞에 對한 硏究는 일찍부터 있었으나 新文學( 獨逸語 : Zeitungswissenschaft )이 大學에서 制度化되기 始作한 것은 1916年에 칼 뷔허( 獨逸語 : Karl Bucher ,1847年 2月 16日 ~ 1930年 11月 12日)가 라이프찌히大學 에 新聞硏究所를 創設한 것이 最初이다. [3] 이어 1919年에는 뮌스터大學 , 1924年에는 뮌헨대학 에 新聞硏究所가 創設되었다. [3]

그러나 20世紀 初盤에 美國과 유럽에서 制度化된 言論學은 主로 言論倫理나 哲學 을 다루면서 言論인 職業敎育에 置重하는 저널리즘 學問이었다. [3] 오늘날과 같이 言論學이 커뮤니케이션 現象을 探究하는 學問으로 制度化된 것은 20世紀 中盤이다. [3] 獨逸에서 新文學이 公示學( 獨逸語 : Publizistik )으로 發展한 것은 1930年代 以後였으며, 本格的인 成長은 第2次 世界大戰 以後에야 비로소 可能하게 되었으며 이는 美國도 마찬가지이다. [3] 卽 美國의 言論學, 特히 매스 커뮤니케이션 學問이 大學에서 學科나 硏究所로 制度化되기 始作한 것은 第2次 世界大戰 以後이다. [3] 이 過程에서 가장 重要한 役割을 한 사람은 윌버 슈람( Wilbur Schramm , 1907年 ~ 1987年)으로, 1943年에 아이오와대학 의 저널리즘 스쿨 學長이 되어 史上 最初의 매스 커뮤니케이션 博士課程을 新設했다. [3] 윌버 슈람은 以後 일리노이 大學校 어배너-섐페인 , 스탠퍼드 大學校 에서 커뮤니케이션 硏究所를 이끌며 美國의 커뮤니케이션 歷史에 큰 影響을 주었다. [3] 슈람의 活動을 起點으로 西歐 社會에서 言論學의 主流는 言論人 養成을 目標로 하는 저널리즘에서 커뮤니케이션을 硏究하는 社會科學 의 한 分野로 發展했다. [3] 오늘날 言論情報學은 人間 커뮤니케이션, 미디어 , 文化 現象 等을 對象으로 計量分析, 記號學 , 構造主義的 分析, 人文學的 方法을 網羅하여 硏究를 進行하고 있다. 代表的인 分野로는 對人커뮤니케이션, 저널리즘 , 廣告 , 미디어 效果, 政治커뮤니케이션, 디지털 미디어 , 文化硏究 等이 있다.

韓國 言論情報學의 歷史 編輯

1924年에는 金東聖(金東成, 1890年 4月 25日 ~ 1969年 8月 22日)이 韓國 最初의 言論學 敎材 《新文學》을 著述했다. 金東成은 오하이오 주립대에서 新聞放送學을 工夫했으며 歸國해서 最初의 東亞日報 週中 特派員, 駐美 特派員이 됐다. 1928年에는 獨逸 라이프치히 大學 에서 김현준이 韓國人 最初로 言論學 博士學位를 받았다. [3] 解放 以後 1947年에는 곽복산(郭福山, 1911年 ~ 1971年)이 서울에 ‘朝鮮新文學원’을 設立하여 近代的 言論學 敎育을 始作했다. [3] 韓國의 言論情報學은 美國의 커뮤니케이션學科 獨逸의 公示學의 影響을 받으며 社會科學 의 한 分野로서 制度化되었다.

韓國 言論學의 制度化 段階 [3]
時期 學科 및 大學院 過程 設立 學會, 學術誌, 硏究所 等
豫備機(~1953) 서울大 文理大 新文學 講座(1949), 延世大 新文學 講座(1952) 朝鮮新文學원(1947)
草創期(1954~1974) 弘益大 (1954), 中央大 (1958), 梨花女大 (1960), 漢陽大 (1963), 高麗大 , 慶熙大 (1965), 成均館大 (1967), 西江大 (1968), 延世大 (1972) 韓國新聞學會(1959), 《新聞 硏究》(現 寬勳저널 )(1959), 《新聞學報》(1960), 서울大 新聞硏究所(1963), 《新聞硏究所學報》(1964), 韓國新聞硏究所(1964), 中央大新聞放送硏究所(1969), 한양대 新聞硏究所(1971), 慶熙大 커뮤니케이션 調査硏究所(1974)
跳躍期(1975~1990) 서울大 (1975), 韓國外大 (1978), 淸州大 (1978), 全南大 , 啓明大 , 圓光大 , 又石大 (1981), 光州大 , 建國大 ( 忠州 ), 慶北大 , 水原大 , 경남대 (1984), 東亞大 (1987), 全北大 (1988), 江原大 , 경성대 , 釜山大 , 忠南大 (1989), 광운대 (1990) 《放送硏究》(1982), 韓國新聞學會 韓國言論學會로 名稱 變更(1985), 韓國放送學會(1988), 한국사회언론연구회(1988), 韓國廣告學會(1989)
全盛期(1991~現在) 한세대 (1992), 경주대 , 대전대 , 順天鄕大 , 朝鮮大 , 湖南大 (1994), 東國大 , 동신대 , 동衣襨 , 牧園大 , 세명대 , 선문대 , 淑明女大 , 협성대 (1995), 동명정보대 , 聖公會大 , 仁濟大 (1996), 광주여대 , 동서대 , 翰林大 (1997), 仁荷大 , 國民大 , 檀國大 , 서울여대 等 12個 大學(1998). 2004年 現在 102個 大學 126個 學科(學部, 系列). 사이버커뮤니케이션學會(1996), 韓國弘報學會(1997), 韓國言論情報學會(1998), 韓國廣告弘報學會(1998), 浮輕言論學會(1991) 等 地方 言論學會 創設

主要 學者 編輯

  • 존 밀튼 英國의 思想家이며 著述家. 그는 1643年 英國의 出版 檢閱制度에 反對하여 아레오파지티카 ( 英語 : Areopagitica )라는 小冊子를 펴냈다. 그 冊에서 그는 國家權力이 자유로운 思想을 檢閱하는 것을 反對한다는 뜻을 밝힌다.
  • 커뮤니케이션學의 4悲調 - 현대 커뮤니케이션學의 制度化를 이끈 윌버 슈람( Wilbur Schramm , 1907年 ~ 1987年)李 言及한 커뮤니케이션學의 4代 學者를 뜻한다.
    • 해럴드 라스웰 ( Harold Laswell , 1902年 ~ 1978年): 美國의 政治學者이자 커뮤니케이션에 關한 硏究로도 有名한 學者이다. 그가 發表한 SMCRE 모델 은 오늘날에도 커뮤니케이션 過程을 說明하는 重要한 理論으로 여겨진다. S는 Source, M은 Message, C는 Channel, R은 Receiver, E는 Effect를 뜻하며 이는 醫師疏通自家 메시지를 채널을 통해 受信者에게 傳達하면 그 結果가 나타난다는 것을 뜻한다.
    • 폴 라자스펠드 ( Paul F.Lazasfeld , 1901年 ~ 1976年): 오스트리아 出身의 美國 社會學者이다. 1948年 美國 大統領 選擧의 當落에 라디오가 미친 影響을 硏究한 것으로 有名하다. 硏究 結果, 大衆이 支持 候補를 바꾸는 것에는 周邊의 影響力 있는 사람의 意見이 決定的인 役割을 했던 것으로 밝혀졌다. 이를 바탕으로 매스미디어는 오피니언 리더 에게 影響을 미치고, 오피니언 리더 가 大衆에게 影響을 미친다는 2段階 흐름 模型이 誕生했다.
    • 칼 好블랜드 ( Karl Hovland , 1912年 ~ 1961年): 美國의 社會心理學者로, 態度變化硏究를 통해 制限效果理論의 發展에 寄與했다. 制限效果理論은 매스미디어 의 效果는 强力한 것이 아니라, 旣存의 態度나 價値, 信念을 强化시키는 制限的인 效果가 있을 뿐이라는 觀點이다. [4] 그는 이 硏究를 통해 커뮤니케이션 메시지의 效果는 메시지의 構成 方式, 需用者의 個人的 特性, 公信力과 같은 情報院의 屬性 等에 따라 얼마든지 다를 수 있음을 實證的으로 밝혀냈다. [4]
    • 커트 레윈 ( 獨逸語 : Curt Lewin , 1890年 ~ 1947年): 獨逸 出身의 心理學者로, 第2次 世界大戰 中 食品 輸送 流通 關聯 硏究를 하며 最初로 게이트키핑 (gate keeping)이라는 用語를 使用했다. 게이트키핑 이란 수많은 뉴스 가 大衆에게 傳해지기 前에, 뉴스 決定權者가 大衆에게 傳達하고자 하는 것만 選擇하여 傳達하는 것으로서 客觀的 報道의 可能性과 關聯한 論議에서 자주 登場한다. 레윈의 아이디어는 그의 弟子 데이빗 매닝 화이트 David Manning White에 依해 뉴스選擇過程에서 編輯者의 役割이 實證的으로 證明됐다.

主要 패러다임 編輯

  • 綠色 챙(Green-shade)

‘Green-shade'란 言論人을 比喩하는 말로서, 言論人 養成을 위한 저널리즘 敎育을 뜻한다. 言論活動에 對한 職業 倫理的 性格을 가지며 言論인 集團의 文化와 取材 方法 等의 敎育을 重視한다. 1950年代까지 美國言論學會 (AEJ)를 支配해 온 패러다임 이다.

  • 카이-스퀘어

社會科學 으로서의 커뮤니케이션學을 志向한 立場으로서, 客觀的인 資料의 檢證과 分析을 통한 經驗主義 敵 硏究를 志向한다. 슈람 以後 現代 言論情報學의 主流 패러다임 으로 인정받고 있으며, 社會科學者 育成을 目的으로 한다.

  • 政治經濟學 硏究

物質的 下部構造가 制度的 上部構造를 形成한다는 社會主義 敵 視角을 바탕으로 미디어 硏究를 進行했다.

人類學 , 言語學 에 土臺를 두고 메시지 分析에 重點을 두었다. 프랑스에서 始作되어 포스트 모더니즘 의 理論的 基盤을 이루었다.

代表的인 批判理論 으로서 文化産業, 이념적 支配裝置에 注目한다.

  • 文化主義 硏究

政治經濟學 硏究에 批判的이며, 些少한 日常的 要素를 硏究 對象으로 삼는다. 1980年代 以後 커뮤니케이션 硏究에서 큰 比重을 차지하게 되었으며 收容者 硏究에 積極的이다.

外部 링크 編輯

大韓民國 內 關聯 學會 [5] 編輯

關聯 機關 [5] 編輯

같이 보기 編輯

各州 編輯

  1. “Different Types of Communication and Channels” . 《New Charter University》. 2016年 9月 6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6年 2月 10日에 確認함 .  
  2. 이정춘, 〈新聞放送學科 40年의 回顧〉, 인터넷 住所 http://www.jcrhie.pe.kr Archived 2007年 12月 1日 - 웨이백 머신
  3. 양승목, 〈主流 言論學의 制度化와 패러다임 變化〉(1999), 言論과 情報 第5號, pp.67~103
  4. 〈制限效果理論〉, 네이버百科事典
  5. “關聯 學會” . 韓國言論學會. 2015年 9月 23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2年 2月 18日에 確認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