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論理로 쌓아 올린 哲學者의 悼亡詩(悼亡詩)|여성동아

CULTURE

review

論理로 쌓아 올린 哲學者의 悼亡詩(悼亡詩)

오홍석 記者

2022. 07. 12

女性의 從屬
존 스튜어트 밀 지음, 정미화 옮김, 이消奴미아, 1萬5000원

“‘自由論’은 밀이 혼자 쓴 뒷部分보다 해리엇과 함께 執筆한 앞部分이 더 좋습니다.”

‘女性의 從屬’을 읽으며, 大學校 授業에서 존 스튜어트 밀의 ‘自由論’을 읽을 當時 敎授가 던진 弄談이 자꾸 떠올랐다. 밀의 代表 著作인 ‘自由論’은 1859年 出刊됐는데, 그의 夫人 해리엇 테일러 밀은 1858年 死亡했다. 最近 學界에서 ‘自由論’은 밀과 해리엇의 共同 咀嚼이라는 見解가 大勢로 자리 잡고 있다.

밀의 다른 著作인 ‘女性의 從屬’ 곳곳에서도 해리엇의 痕跡이 묻어난다. 冊에서 밀은 歷史에 登場하는 女性들을 例示로 提示하며 女性에게 男性과 同等한 機會를 提供해야 한다고 主張한다. 公吏主義者답게 女性이 解放되면 增加할 社會的 效用에 對해 力說하기도 한다. 또 한便으로는 女性에 對한 支配를 當然視하는 男性을 奴隸主에 빗대 羞恥心을 주는 戰略을 펼치기도 한다. 專門家들은 밀의 論旨가 1851年 해리엇이 쓴 ‘女性의 解放(Enfranchisement of Women)’과 類似하다고 말한다.

冊 속에는 밀이 살던 同時代 女性의 삶이 詳細하게 담겨 있다. 當時 英國 社會에서 女性은 本質的으로 男性보다 劣等하다고 認識됐다. 結婚한 女性은 男便의 所有物로 여겨졌으며 男便의 許諾 없이는 財産도 所有할 수 없었다. 敎育의 機會는 少數의 女性에게만 주어졌고, 그나마 글을 배운 女性 中에는 女性의 從屬을 正當化하는 글을 쓰는 境遇가 자주 있었다. 그렇기에 女性의 平等을 主張한 밀의 見解는 急進的인 主張으로 받아들여졌다. 그가 通念을 뒤엎고 이토록 女性 人權에 關心을 갖게 된 理由는 무엇일까.



正確히 알려진 바 없지만 밀의 生涯를 들여다보면 해리엇과의 만남이 影響을 끼쳤을 것이라고 推測해볼 수 있다. 밀의 아버지 제임스 밀과 親舊 제러미 벤담은 밀을 天才로 育成하기 위해 虐待에 가까운 方式으로 그를 敎育했다. 밀은 바깥世上으로부터 遮斷된 채 세 살 때부터 아버지에게 酷毒한 敎育을 받았다. 그 結果 成人이 되기도 前에 當代 最高 知識人이던 아버지와 어깨를 나란히 하는 知性을 갖추게 됐지만, 그 副作用으로 스무 살에 極甚한 神經衰弱 症勢를 보이며 社會生活이 不可能할 程度로 悽慘히 무너진다.

그런 밀을 救援한 이가 해리엇이다. 밀은 해리엇의 知性에 반해 有夫女인 그女를 18年間 곁에서 지켜봤다. 해리엇의 男便이 死亡하고 둘은 結婚했지만 幸福은 오래가지 못한다. 해리엇이 結婚한 지 7年 만에 世上을 떠났기 때문이다.

밀은 여러 著作에 해리엇이 自身에게 끼친 至大한 影響을 記錄해두었다. 밀의 急進的 女性觀이 ‘卓越한 知性의 女性을 만나 깊게 交感한 個人的 經驗에 따른 結果物일 수 있다’는 疑心이 가는 理由다. ‘女性의 從屬’은 해리엇이 죽은 지 딱 10年이 지나던 해에 出刊됐다. 그래서일까. 理性으로 點綴돼 있는 이 에세이는 論說的 隨筆이라기보다 浪漫的인 愛妻家의 論理로 쌓아 올린 ‘悼亡詩(悼亡詩?·?아내의 죽음을 슬퍼하며 지은 詩)’처럼 읽힌다.

#女性醫從屬 #존스튜어트밀 #해리엇테일러 #여성동아

寫眞提供 이消奴미아



  • 推薦 0
  • 댓글 0
  • 目次
  • 共有
댓글 0
닫기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