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아新春文藝]






지난 當選作
2003
2002
2001
2000
1999
1998







사라진 아틀란티스, 또는 텍스트의 運命
- 최윤의『겨울, 아틀란티스』론-

변지연(34)

1. `世上의 모든 속삭임'에 귀 기울이는 小說

1988年 여름. 최윤의 處女作「저기 소리없이 한 點 꽃잎이 지고」가 世上에 나오던 때는 國外的으로는 東歐圈 社會主義가 한 世紀의 歷史를 채 끝내기도 前에 벌써 마감될 兆朕을 보이고 있었고, 나라 안에서는 `軍部政權 退陣'을 要求하는 汎國民的 抗議가 날로 거세어지던 時期였다. 그리하여 歷史的 變革期라면 누구나 겪음직한 極度의 不安과 설레임이 그 무렵의 日常에 배어 있었던 것을 우리는 記憶한다. 그리고는 머지않아 展開된 새로운 情勢 속에서, 우리의 '80年代와 '90年代 사이에는 一帶 精神史的 轉換의 표지라 할 만한 굵직한 境界線 하나가 불현듯 그어졌었다. `資本主義/社會主義'라는 二分法的인 理念의 對峙가 緩和된 자리에 理念과 巨大 敍事 自體에 對한 會議의 싹이 돋고 있었던 것이다. 勿論 그것은, 오랜 데카르트的 思惟傳統과 더불어 그토록 信賴해 마지않았던 `이성의 빛' 속에 숨겨진 馬脚을, 兩大 世界大戰의 쓰라린 經驗 속에서 自覺한 現代 西歐精神의 흐름과도 크게 無關하지 않은 것이었다.

'80年代의 특수한 政治的 情況 속에서 盛行했던 리얼리즘 系列이 退潮하면서 나타난 '90年代 文學의 새로운 徵候란, 이를테면 `近代 主體의 分裂 樣相에 對한 探究', `삶의 細部的 局面에 對한 感覺의 擴充', `섬세함을 追求하는 文體의 開發', 그리고 `가볍고도 才氣潑剌한 新世代的 感受性의 具現' 같은 것들이었다. 그리고 그 같은 '90年代的 特徵의 一部는 최윤의 첫 小說「저기 소리없이 한 點 꽃잎이 지고」와 같은 한 小說的 市道에서도 벌써 드러나고 있었다. 大體로 `現實 告發'과 `現實變革에의 熱望'이라는 文學的 모토 위에서 다루어지기 마련이었던 `光州民衆抗爭'이라는 歷史的 事件이 이 小說에서는, 사뭇 異色的이게도, 徹底히 背景으로 물러나 있는 것이다. 特히, 그 `巨大한' 事件으로부터 傷處받은 한 어린 靈魂의 아픈 狂氣가 小說의 렌즈에 依해 集中的으로 그리고 多分히 自虐的으로 비추어지고 있을 때, 이것이 하나의 작은 文學私的 含意를 지니는 事件임을 알아차리기란 그렇게 어렵지만은 않은 일이었다. 더욱이, 以後 최윤이 내놓은 여러 作品들( 예컨대「灰色 눈사람」,「워싱턴 廣場」,「聞慶새재」,「그의 沈默」,「속삭임 속삭임」等)이 한결같이 `드러난 巨大 歷史'와 `그 뒤안길에 숨겨진 個人의 內密한 삶의 情緖'를 作家 特有의 세련된 筆致로 椄木시키고 있다는 事實은, 최윤의 文學的 方向을 좀더 分明히 斟酌하게 한다. 말하자면 이미 종이 위에 씌어졌거나 아니면 앞으로 씌어질 歷史가 決코 담아내지 못할 삶의 微細한 주름들, 그 작은 틈새들을 그女의 小說들은 그 섬세한 文體의 살갗으로 만져보고자 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를 위해 그女가 採擇하는 敍事 戰略이란 자주 `記憶하기'와 `想像하기', 그리고 `속삭임'의 形式으로 나타난다. 왜냐하면 이 作家에게 있어 삶이란 於此彼 "無數히 變奏되는 記憶의 交通整理 作業"(「그의 沈默」)이고, `記憶하기'는 本質的으로 `現在'라는 虛構的인 時間線上에서 이루어지는 또 하나의 幻想이며, 그 點에서 그것은 充分히 `想像하기'의 다른 이름일 수 있는 까닭이다. 더욱이 "世上의 모든 場所가 숨은 얘기를 속삭이는 錯覺"(「집, 房, 門, 壁, 들, 腸, 몸, 길, 물」)속에 사는 그女가 그 숨은 얘기를 끄집어내기에 어울리는 方式이란 아무래도 `속삭임'의 形式일 수밖에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최윤 小說의 이러한 特徵들로부터 感知하게 되는 것 中의 하나는, 言語 또는 텍스트 自體의 意味를 묻는 作家의 敏感한 自意識이다. 作家가 글을 쓴다고 하는 것은 어떤 것인가. 그가 이러저러한 方法으로 動員하는 言語들의 正體, 그리고 그 言語들로 構成된 小說이라는 이름의 텍스트의 本質은 果然 무엇인가. 또, 한 讀者가 他人의 言語, 他人의 텍스트를 만난다고 하는 것은 어떤 事件인가. 텍스트를 向한 讀者의 좀처럼 節制할 수 없는 感情移入, 그리고 그가 텍스트에 對해 지니는 興味와 好奇心의 根源은 무엇인가. 特定 텍스트에 對해 왜 어떤 讀者는 熱烈히 反應하고 다른 讀者는 그렇지를 못하는가. 무슨 까닭으로 그 다른 讀者는 오히려 다른 텍스트에 더욱 共鳴하는 것인가.

최윤의 長篇小說『겨울, 아틀란티스』(1997)는 바로 이러한 물음들에 對한 作家의 苦心의 痕跡이 歷歷히 드러나 있는 作品이다. 그女의 다른 小說들이 大體로 그러했듯이, 이 作品은 于先 作家 特有의 知的인 思惟構造가 限껏 節制된 形態로 沈着하게 녹아 있는 抒情的 文體의 아름다움을 讀者에게 膳賜해 준다. 그러나 讀者를 向한 이 小說의 가장 核心的인 유인소(誘引素)는 무엇보다도 小說 곳곳에 潛伏해 있는 수수께끼들, 곤혹스러움과 解讀의 欲望을 同時에 刺戟하는 `暗號'들일 것이다. 이 때, 가장 有力하게 推定되는 核心的인 解讀의 指標는 이 暗號들이 根本的으로 言語와 讀者, 그리고 글쓰기의 問題를 다루고 있다는 事實이다. 이 같은 判斷이 그르지 않다면, 이 作品이 含蓄하고 있는 최윤의 小說 쓰기는 斷然 `텍스트 理論의 小說化'라고 命名될 수 있으며, 同時에 作家 또는 讀者로서의 作家 自身과 言語를 探究하는 徹底히 自意識的인 作業으로 規定될 수 있을 것이다.

本考는『겨울, 아틀란티스』를 對象 삼아 최윤이 小說 形式을 통해 探究하고 있는 讀書와 글쓰기의 問題들을 集中 追跡해 보고자 한다. 이는 어쩌면, 우리 文學이 그 동안 看過해 왔거나 아니면 적어도 眞摯한 關心을 기울이지 못했던 `텍스트性'의 問題를 再考함은 勿論, 旣往의 그女의 中短篇 小說들이 보여준 高度의 美學的 品格과 그 깊이의 淵源을 透視해 보는 데에도 有用한 렌즈 하나를 제공받는 길이 될는지 모른다. 不可避하게도, 言語는 言語와, 그리고 텍스트는 텍스트와 이어질 수밖에 없는 運命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2.`낡은 집', 不在와 偶然의 空間

이 小說이 크게 세 個의 腸(章)으로 나뉘어져 있고, 그것들이 各各 <낡은 집="">과 <k산장>, 그리고 <푸른 방="">이라는 小題目을 달고 있다는 것은 相當히 注目해 볼 만한 事項이다. 戀人의 失踪에 傷處받고 `낡은 집'에서 居處하고 있던 主人公 `理學'李 奇異한 事件에 휘말려 `K山莊' 周邊을 맴돌게 되고, 終局에는 `푸른 房'을 꿈꾸게 된다는 式의 特異한 空間移動의 救助는, 그 自體가 이미 이 小說이 尋常치 않은 入社式談(入社式談)의 性格을 띠고 있음을 暗示한다. 그렇다면 話頭는 벌써 던져지고 있는 셈이다. 入社式의 起點에 놓여 있다 할 `낡은 집'李 表象하는 삶의 情況이란 어떤 것이며, `푸른 房'으로의 履行을 위한 通路로서의 `K山莊'에서 主人公 理學이 經驗하는 것은 무엇인가. 그리고 그女가 꿈꾸는 `푸른 房'이란 또 어떠한 含意를 지니는 空間인가.

大學院을 갓 卒業한 스물 여덟 살의 女性 理學이 暫時 居處하고 있던 `낡은 집'은 表現 그 대로 孤獨과 荒廢함으로 가득 찬 空間이다. 이 곳에서 그女는 豫期치 않게 어디론가 사라져 버린 愛人 Z의 部材를 그저 막막히 견뎌 나간다. 아니, 事實 그女는 그를 만나기 훨씬 以前부터 이미 수많은 것들이 不在하는 아픔을 겪어왔다고 할 수 있다. 交通事故로 인한 父母의 非命橫死, 아이러니칼하게도 그렇게 해서 얻어진 補償金으로 大學을 다니고, 한 때 雜誌社의 인터뷰 記者 生活을 했으나 大學院 卒業 後 失職 狀態에 놓인, 그리고는 마침내 愛人마저 잃어버리게 된 그女. 이것이 외로운 그女의 簡略한 프로필이다.

그렇다고 理學이 앓는 이 不在의 아픔이 어떤 주체할 길 없는 感情의 過剩으로 表出되는 것은 아니다. 그것은 오히려 그女가 渴望하는 것들, 疏通하려는 것들과의 `아득한 距離感'의 表出이라는 極히 節制된 形式으로 드러날 뿐이다. `모르스 符號 같은 雜音'이 이는 낡은 電話線, "거기 地球 맞습니까?"라고 아주 먼 距離에서 되묻는 듯한 對話 相對者들, 마지막 남은 財産의 一部를 털어 決然히 사들인 生疏한 이름의 熱帶植物 `자르기나타', 낯설고도 神祕한 中央아시아 大陸의 沙漠을 담은 寫眞에 對한 回想. 그리고 Z가 가버린 곳으로 推定되는 아프리카라는 이름의 머나먼 大陸. 이들은 저마다가 서로의 無緣性(無緣性)을 가장하듯 그렇게 泰然히 텍스트의 이곳저곳에 破片처럼 흩어져 있다. 그러나 隱然中에 그것들은 어떤 아득한 距離感을 理學에게, 그리고 讀者에게 感染시킨다. 언제나 無數한 種類의 거리 속에 놓이게 마련인 存在의 悲劇性을 詩的(詩的)으로 상기시키는 힘 같은 것이 이들 사이에는 存在하고 있는 것이다.

그런가 하면, 理學은 `偶然性'이라는 또 하나의 삶의 屬性을 이 世界로부터 感知해 낸다. 아무렇지 않게 `문득' 닥쳐오지만 決定的으로 많은 돌이킬 수 없는 運命들을 胚胎하곤 하는 그 不可解한 힘. 그女 自身 純全히 우연한 事故로 孤兒가 되어 버렸던 것이고, 그女의 세 親舊들 또한 團地 `어쩌다' 色깔 있는 城을 가지고 있을 뿐이다. 게다가 `저 낯모르는 초라한 女子가 汽車票 삯을 빌려주면 上京하고, 그렇지 않으면 남으리라' 式의 장난氣 어린 試驗으로 이루어진 Z와의 첫 만남, 그리고 `便紙封套를 물에 담가 보아 잉크가 물에 풀리지 않으면 읽으리라'는 理學의 心算은 또 얼마나 徹底히 偶然性에 기대고 있는 것인가. 하지만 바로 그러한 理由로 해서 理學은 戀人 Z의 潛跡에 對하여도 非現實的이리만큼 節制되고 乾燥한 態度를 보일 수 있게 된다. 그女에게 있어 그가 사라진 理由 따위는 길 가던 그女를 偶然히 가로막고 선 `障礙物 標識板' 程度로나 簡單히 解釋될 뿐이다. 偶然性이란 우리에게 자주 참을 수 없는 不幸을 가져다주지만, 그에 對한 믿음은 때로 실존적 苦痛을 견디게 하는 心理的 防禦機制로 作用하기도 하는 것이다.

삶 속에 깃들인 缺乏과 模糊性이란 그 自體가 우리에겐 하나의 커다란 生의 `疑問符號'로 다가오게 마련이다. 그리고 이 疑問符號야말로 이 小說이 수수께끼的인 構成을 取할 수밖에 없는 重要한 根據로 作用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말하자면, 지루하리만큼 反復되는 길걷기나 美로 이미지, 그리고 꼬리를 물고 이어지는 많은 `疑惑'들은 삶의 模糊性을 指示하는 象徵的 裝置들로 쓰이고 있는 셈이다. 特히 이 小說이 最初로 던지는 `Z'의 失踪에 對한 疑問은 敍事 全體에 潛伏해 있는 主要 수수께끼의 하나라 할 수 있다. 그런데 奇妙한 것은, 敍事의 어느 地點에서부터선가 이에 對한 讀者의 好奇心이 徐徐히 稀微해져 간다는 事實이다. 그래서 어쩌면 重要한 것은 Z가 사라진 理由나 場所 따위가 아닐지도 모른다는 漠然한 心證을 우리는 문득 지니기 始作한다. 그런 것들이 重要하기에는 너무나 먼 距離의 `迂廻'와 `한눈팔基'를 이 小說은 敢行해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3. 텍스트, `小說 큐피트'의 魔法(魔法)

이 小說이 採擇하고 있는 `迂廻'와 `한눈팔機'의 敍事戰略은, 理學이 저 `낡은 집'이라는 不幸한 空間을 견디기 위해 選擇하는 方式에서부터 벌써 感知된다. 끊임없는 `言語의 運用(運用)'―. 不幸한 느낌이 들 때 그女는 누군가의 詩를 空冊에 베껴 쓰고 이를 暗誦한다. 그러면 그女의 `個人的인 悲劇은 쉽게 사라져 버리'고 금세 `愉快해지'는 것이다. 甚至於는, 極限의 狀況마다 앓는 `高速肥滿症(高速肥滿症)'도 다름 아닌 探偵小說을 耽讀하면서 그리고 錄音器를 통해 藥장수의 社說을 들으면서 原狀復歸된다. 그다지 믿기지 않는 일이기는 하지만, 이것은 어떻든 흥미로운 일 아닌가. 이쯤에서 우리가 만나는 것은, `言語의 魔力'을 知覺하고 있는, 그리하여 마치 魔術을 부리듯 그것을 日常 속에서 自然스럽게 運用하는 限 `言語的 存在'이다. 徹底히 他人의 것이면서 한 사람의 不幸과 슬픔을 慰撫하는 힘을 發揮하는 言語. 그리하여 저마다의 슬픔과 슬픔, 저마다의 絶望과 絶望, 저마다의 孤獨과 孤獨 사이에 눈에 보이지 않는 다리를 놓아주는 神祕한 言語의 힘.

理學의 言語 運用은 또 求職便紙 形式의 `글을 쓰는' 方式으로 이루어지기도 한다. 하지만 그女가 쓰는 求職便紙는, 있는 그대로의 自身의 處地를 `反映'하고 同一한 內容을 反復的으로 記錄하는 程度의 常識的인 方式을 取하고 있지 않다. 그女가 試圖하는 것은 이를테면 다양한 얼굴의 受信者를 想像하고 그 얼굴에 따라 經歷을 조금씩 바꾸어 쓰는 일인 것이다. 누군가의 共感을 誘導해 내기 위하여 갖은 想像과 記憶을 動員하는 虛構化 作業이라니, 都大體 이것은 그 自體가 이미 `小說 쓰기'가 아니고 무엇인가.

뿐만 아니라, 그女가 눈에 띄게 자주 벌이는 갖가지의 `想像하기'와 `回想하기' 또한 言語 運用의 한 方式으로 採擇되고 있다는 點은 確實히 興味롭다. 조용하고 規則的인 職場 生活을 보내고, 다달이 받은 月給으로 旅行을 하며, 아프리카 旅行 案內書를 보면서 잠들 것을 `想像하기'. Z와 들른 적이 있는 모든 場所들을 探査하면서 그와 共有했던 過去의 瞬間들을 `記憶해 내기'. 意識 또는 思考 行爲 自體가 이미 不斷한 言語의 組織化 過程이며, 甚至於 無意識조차 言語的 構成物에 다름 아니라는 現代의 言語觀에 依據한다면, `想像하고 記憶하는' 理學을 통해서도 얼마든지 우리는 言語的 存在로서의 人間의 肖像을 確認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缺乏과 喪失, 그 아픈 不在의 空間을 `言語의 監獄' 속에서 無病(巫病) 치루듯 앓을 수밖에 없는 人間의 宿命 같은 것 말이다.

한진영의 小說 읽기도 例外는 아니다. 그女는 어떤 面에서 理學보다도 훨씬 强力하게 言語의 魔力에 사로잡혀 있는 女人이다. 한 有名作家 장기영이, `高進'이라는 小說家와 自身의 過去를 `훔쳐' 글을 쓰고 있다는 異常한 心證(心證) 속에서 떠도는 그女. 그女가 끝도 없이 들춰대는 `模倣'의 證據들을 對하다 보면, 讀者들은 누구나 조금쯤은 興奮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는 물을 것이다. ―大體 장기영의 `犯罪'는 어떻게 可能했는가. 그러나 이에 對해 理學이 提出하는 見解는 嚴正하기만 하다. 한진영은 小說을 現實 謀士의 産物로 錯覺하고 있는 `狂氣'의 所有者라는 것. 한진영이 處해 있는 實際的 情況에 對해서는 漠然히 暗示만 할 뿐 事實上 입을 다물고 있는 이 小說은, 그러나 바로 그러한 戰略 때문에 讀者로 하여금 여러 方式의 推定에 同參하게 한다. 그女는 戀人의 背反이 남긴 傷處로 深刻한 精神的 恐慌 狀態에 놓여 있는 것일까. 아니면, 某種의 事故로 特定 期間의 記憶을 喪失한 그女가 自身의 愛人을 곁에 두고도 그를 記憶하지 못하고 있는 狀況일까. 그도 저도 아니라면 차라리 한진영과 高進의 愛情行脚이란 처음부터 存在하지 않은 事件이었던 것은 아닐까. 어쩌면 그女는, 누구에게나 所重한 存立 根據로 기능하기 마련일 사랑의 經驗을 全혀 가져보지 못한 一種의 `缺乏症' 患者일 수 있다. 이학도 벌써 이렇게 말하고 있지 않은가.

그것은… <중략>… 空虛했다. 그렇지만 그렇게라도 짓지 않으면 안 되는 記憶의 性이라는 것이 있는 法이다. 그렇지 않으면 削除된 過去, 存在하지 않은 過去를 어떻게 存在케 할 것인가. (213-214)

하지만 이것이 緋緞 한진영의 境遇만은 아닐 것이다. 생각해 보면 모든 讀書란 本是 그런 것이 아닐까. 假令, 그女를 두고 狂氣에 사로잡혀 있다고 判斷하는 理學조차도 그女와 아주 恰似한 狀態를 經驗하게 되지 않는가 말이다. 장기영의 小說 속에서 엉뚱하게도 自身의 愛人 Z를 찾고 있는 理學의 모습이란, 어쩔 수 없이 한진영과 同一한 迷妄에 빠져든 者의 그것일 수밖에 없다. 이는 讀書 直後, 小說의 `바깥'을 대면하는 그女의 認識과 感覺이 小說 `內部'의 地平에 依해 크게 支配받게 되는 모습에서 더욱 確然히 드러난다.

… 나도 어느 새 한진영처럼, 종이로 된 宇宙 속으로 徐徐히 미끄러져 들어가는 것이나 아닌지(169-170)

…갑자기 `現實感이 꿈처럼' 나를 덮쳤다. 어느 새, 나는 方今 읽은 한 文章처럼 생각하고 있었다. (182)

장기영의 小說은 이렇게 스스로의 言語의 魔力을 두 女人에게 强力히 行使한다. 그런데 奇異한 것은, 그女들의 視線이 닿는 `小說 바깥'의 事物들이 다른 어떤 것에도 影響받지 않은 `純粹한' 모습 그대로를 드러내는 法이 없다는 事實이다. 그것들은 언제나 그女들이 앞서 `읽은 空間'에 依해 이미 얼마間은 汚染되어 있다. 그女들은 決코 自身들이 `方今 읽은 한 文章'으로부터 자유로울 수가 없다. 그도 그럴 것이, 事物들을 바라보는 그女들의 意識 世界는 이미 `小說 큐피트'가 쏜 화살의 `魔法'에 걸려 있는 狀態, 卽 장기영 小說의 `痕跡'李 묻어 있는 狀態이기 때문이다.



4.밑줄 긋기, 言語와 欲望의 接點

그렇다면, 텍스트에 그토록 가벼이 미끄러져 들어가는 한진영과 理學의 心理 底邊에는 무엇이 있는 것일까. 그 곳에는 다름 아닌 그女들의 `欲望'이 있다. 그 어떤 具體的인 來歷을 지니고 있든 한진영의 迷妄에는, 張基榮과 그의 小說에 對한 非難이나 憤怒가 아니라 오히려 그女 自身의 隱密한 欲望이 깔려 있는 것이다. 지난 時節 戀人과 나누었다는 사랑의 經驗을 오늘에 와서 再生하고픈 欲望, 또는 極甚한 精神的 缺乏을 徹底히 假想敵인 現實에 기대어 메꿔 보려는 欲望. 特히, 無心코 選擇되는 한진영의 散策路들로부터(90-97), 그리고 장기영의 小說 속 逃亡者의 無意味한 逃走路로부터(197-199) 애써 某種의 記號나 法則 따위를 導出해 내려는 理學의 試圖는, 決코 簡單히 要約될 수 없는 삶의 微細한 幾微들을 어떤 式으로든 圖式化해 보려는 총체성 志向의 눈멂 같은 것을 聯想케 한다. 그러나 讀者는 언제나 各自가 지닌 欲望과 記憶과 經驗의 `痕跡' 위에 서 있을 뿐이다. 이 境遇, 이 小說은 讀書 行爲를 結局 이렇게 定義하고 있는 셈이다."한때 存在했으되 只今은 사라져 버린 것, 또는 애初에 不在했던 것을 想像하기를 통해 存在化하는 欲望 充足의 作業."

앞서 筆者는 言語 또는 小說을 선뜻 `큐피트'라 했다. 하지만 그것은 어디까지나 그리스 神話에 나오는 짓궂은 사랑의 神과는 相異한 屬性을 보인다. 神話 속의 큐피트는 相對方의 欲望 따위는 아랑곳없이 自身이 願하는 目標物을 向해 겨냥할 뿐이다. 그러나 小說 큐피트는 讀者 個個人의 固有한 欲望과 充分히 물밑 交涉하고 對話함을 통해서만 화살을 쏜다. 그런 意味에서 누가 누구에게 화살을 쏜다고 하는 것은 根本的으로 不適切한 表現일 것이다. 화살을 쏘는 主體는 實際로는 어디에도 없으며, 오직 어딘가로부터 날아와 空中을 가로질러가는, 그리하여 어쩌다 서로 부딪혀 絢爛한 춤을 추기도 하는 화살들, 그 `痕跡'들의 不斷한 影響關係만 重疊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여기서 重要한 것은 小說에 새겨진 言語의 화살과 讀者의 欲望이 맞부딪히는 바로 그 地點에만 오직 `밑줄'李 그어진다는 事實이다. 同一한 장기영의 小說을 읽는 데도 不拘하고 한진영의 밑줄과 理學의 그것이 全的으로 同一할 수 없는 것은 바로 이 때문이다. 讀者에 依해 `그어진 밑줄', 다른 종이에 `베껴 씌어진 文字'는, 그러므로 서로 다른 欲望과 經驗과 記憶의 總和들인 作家와 讀者, 그리고 텍스트와 讀者의 精神的 만남이 이루어지는 다양한 地點들을 指示하는 記票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한진영은, 모든 讀書란 얼마間은 나르시시즘的인 欲望과 얽혀 있게 마련이며 그렇기 때문에 特定 小說로부터 느끼게 되는 생생한 乏盡性이나 共感(共感)이라는 것은 많은 部分 讀者 自身의 숨겨진 欲望에 起因한다는 點을 의식하지 못하고 있다. 實際 現實을 그토록 감쪽같이 模寫했다고 믿어지는 小說이라는 것도 其實은 現實을 構成하는 無數한 破片들 中 몇 가지를 選擇하고 組合해 낸 巧妙한 `造作'의 所産이며, 그리하여 作家가 빚어낸 幻想이 讀者 自身의 欲望과 만나는 地點에만 그 神祕한 울림이 생겨나는 것임을 그女는 알지 못하는 것이다. 그러나 看過되어서 안 될 것은, 이 小說이 이 같은 盲點을 안고 遂行되는 한진영의 讀書 方式을 單純히 `狂氣'와 `錯誤'가 介入된 讀書 態度로만 몰아 부치지는 않는다는 事實이다. 그女의 讀書 方式은 오히려 `모든 熱烈한 讀書의 一般的인 本質'임을 이 小說은 隱密히 속삭인다. 그女의 讀書經驗이 "한 作家의 作品이 한 個人에게 해줄 수 있는 가장 偉大한 일이 베풀어진 것"(227)이라는 理學의 診斷이 可能한 것은 바로 이 때문이다.

이 같은 觀點은 흥미롭게도 이 小說이 熱烈한 讀書 體驗을 사랑의 問題와 連結시키고 있다는 點에서도 確認된다. 高度의 沒入 속에서 이루어지는 讀書 經驗의 底邊에는 무엇보다도 `高進'이라는 記票로 表象되는 戀人에 對한 사랑의 渴望이 潛伏해 있다. 게다가, 他人의 作品이 스스로의 삶을 模倣한 것이라 믿을 만큼의 徹底한 沒入을 敢行하고 있는 한진영의 心理的 狀況은, 무엇인가에 사로잡힌 듯 執拗하게 愛人을 追跡하는 사랑의 熱情과 무엇이 다른가. Z가 남긴 暗號투성이의 메모에 對해 한때 理學이 發揮했던 저 `解讀의 忍耐力'(108) 이라는 것도 사랑이라는 이름의 그 盲目的인 執着과 好奇心이 아니라면 또 어떻게 얻어질 것인가. 極度의 나르시시즘的인 沒入과 救濟할 길 없이 빠져드는 感情移入으로서의 熱烈한 讀書行爲는 사랑의 感情과 매우 類似한 屬性을 지니는 셈이다.

그런 點에서 理學이 한진영에게 `自身이 꾸며낸' 한진영과 高進의 `이야기'를 해 주는 場面은 매우 `象徵的'인 대목이라 할 수 있다.(213-226) 結局 그것은 文學의 本質에 對한 理學 自身의 自覺의 反映이며 實踐을 의미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 동안 한진영의 散策길과 讀書 履歷을 不斷히 좇아왔던, 그리하여 다만 `보는 者', `읽는 者'로만 存在해 왔던 理學이 이제 몸소 `이야기하는 者', 卽 `小說家'로 變貌해 있는 것이다. 장기영 小說의 素材들을 자유로이 `組合'해 가면서, 그리고 必要하다면 슬쩍 얘기의 方向을 旋回하기도 하면서…. 只今 그女가 하고 있는 일은, 小說이란 現實의 模寫물이 아니라 한판의 記號 놀이임을, 그리고 讀者란 無意識的으로 또는 이를 充分히 의식하면서도 놀이를 또 하나의 現實로 기꺼이 받아들이는 `眞摯한 놀이子'임을 한진영에게 인식시키는 일이다.



5. 텍스트, 痕跡과 猶豫의 삶

`낡은 집'에서 `푸른 房'으로 가는 길목의 `K山莊'李 理學에게 附與한 깨달음은 그女로 하여금 마침내 本格的인 讀書에 着手하게 한다. 하지만 그女의 새로운 讀書는 한진영의 그것과는 다른 方式으로 遂行된다. 他人의 밑줄이 아니라 그女 自身의 밑줄을 그어가며 읽는, 그리고 텍스트에의 感情移入이 아니라 글쓰기 作業 自體에 對한 冷靜한 分析과 透視가 介入되는 讀書人 것이다. 이는 理學이, 言語와 文學에 對한 한層 深度 있는 理解와 그女 自身의 글쓰기를 向하여 이제 막 새로운 段階로 進入했음을 의미한다. 그리하여 이 小說의 後半部는 장기영 글쓰기의 `祕密'을 파헤치는 理學의 觀察과 分析 過程에 穩全히 바쳐지고 있다.

理學이 장기영 小說에서 發見하는 것은 놀랍게도 `分列'과 `斷絶'의 徵候 그리고 `이미 存在한 文章들의 變造'이다. 그리하여 그女는 唐慌한다. 同一 作家가 쓴 同一 小說 內部의 文章들에 나타나는 斷絶이라니, 그토록 많은 사람들의 共感을 자아낸 그의 小說이라는 것이 기껏 模倣과 剽竊의 産物이었단 말인가. 그러나 理學은 그것들이 `글의 文脈에 하도 自然스럽게 미끄러져 들어가 있어 全혀 다른 雰圍氣와 意味를 發한'(229) 다는 事實을 看過하지 않는다. 그리고 바로 이 地點에서 理學은 글쓰기라는 것이 어쩔 수 없이 `影響'의 所産임을, 卽 글쓰기란 언제나 이미 存在했던 다른 누군가의 認識이나 文章의 `痕跡' 위에 自身의 무엇인가를 덧漆하는 `創造的 베껴쓰기'임을 自覺한다. 한 作家의 小說은 어떤 式으로든 純全한 作家 自身만의 獨自的이고 自己同一敵인 言語構成體가 되지 못한다. 小說 `바깥'에 對한 讀者의 認識 內容이 늘 小說 `內部'의 言語에 依해 앞서 汚染되어 있듯이, 作家의 言語 亦是 이미 `다른' 作家의 言語에 汚染되어 있는 것이다.

`숨은 作家'에 對한 理學의 追跡과 이본(異本)說은 그러므로, 모든 글쓰기가 運命的으로 內包하는 `影響과 痕跡의 歷史'에 對한 은유적인 命題들로 읽혀진다. 이 主題는 特히 장기영 小說들의 짤막한 줄거리 속에 다양하게 變奏, 反復되고 있어 注目된다. 主人公이 自身의 分身이라 할 만한 어떤 그림자 같은 存在에 依해 徐徐히 먹혀버린다는 이야기, 無名畫家人 親舊의 그림에서 얻은 靈感으로 成功한 한 畫家 이야기, 또, 어느 三男妹의 生活에 暫時 闖入하여 이들의 삶에 痕跡을 남기고 떠난 한 男子 이야기 等. 이 이야기들은 모두 相互同一한 性格의 二項對立雙을 안고 있다. `드러난 作家/숨은 作家', `主人公/그림자', `成功한 畫家/無名畫家', `男妹/韓 男子'. 이 때 前者는 `드러난 것, 現存하는 것, 中心的인 것, 自己同一敵 自我 또는 主體라고 믿어지는 것'을, 後者는 이에 對應되는 `숨은 것, 不在하는 것, 周邊的인 것, 主體의 外郭에 存在하는 타자'를 代辯한다. 이 때 注目되는 바는 다른 쪽에 絶對的인 影響力을 行使하는 根源的인 힘으로 作用하는 것이 後者라는 事實이다. 말없이 숨어 있거나 不在한 듯하면서도 相對方에게 지울 수 없는 痕跡을 남기고 마침내 무서운 힘으로 그것을 支配하는 것, 그것은 斷然 `숨은 타자', 또는 時間의 물결 속에 거품처럼 사라져 `只今 여기에 不在하는 打者'이다. 結局 장기영의 小說들은 이 `타자'의 비의的인 힘을 主要 테마로 삼고 있는 셈이다. 이쯤 되면 우리는, 理學이 自覺하고 있는 텍스트의 本質과 讀書의 意味가 어느 새 `데리다'의 思惟方式에 近接해 있음을 느끼지 않을 수 없다. 좀 無理하기는 하지만 `車聯의 論理' 程度로 最大限 要約될 수 있을 그의 世界觀은, 한진영과의 만남을 통해 그리고 장기영의 小說을 읽으면서 進行되는 理學의 思惟過程에 쉽게 지워지지 않는 `痕跡'으로 作用하고 있는 것이다. 周知하다시피 자끄 데리다는, 巨大한 宇宙 空間의 한가운데에 뿌리박고 있는 唯一한 `中心'과 個體들의 `現存'을 可能케 하는 窮極的인 `起源'이라는 것을 根本的으로 否定한다. 이들에 對한 믿음은 그에게는 플라톤 以來 西歐 哲學이 온갖 다양한 形態로 變奏, 溫存시켜 온 한갓 幻想에 不過하다. 世界는 오직 個體들의 不斷한 相互作用이 빚어내는 每瞬間의 새로운 關係들로 가득차 있다는 것이다. 每瞬間의 새로운 影響 關係만 있을 뿐이므로 勿論 現存하는 것은 아무 것도 없다. `著者'와 `元本'에 對해 그가 내리는 死刑言渡 또한 徹底히 이 같은 認識에 依據하고 있음은 勿論이다.

이처럼 起源과 中心이 不在하는 世界 속에서 장기영의 `祕密'을 캐어 보려는 理學의 試圖가 挫折되는 것은 不可避한 일이다. 그리하여 小說은 `장기영의 죽음', 그리고 `異本과 마지막 小說의 失踪'이라는 形態의 劇畫를 통해 `起源과 中心의 不在' 또는 `숨은 他者의 힘'을 드러낸다. 하지만 設令 그렇다 하더라도, 한때 白紙에 뚜렷이 存在했을 푸른 文字들의 사라짐, 그리고 푸른 沐浴물에 몸을 담그고 徐徐히 죽어가는 장기영의 모습이란 얼마나 섬뜩한 것인가. 그것은 그대로, 저 古代 어느 時期에 華麗한 은성(殷盛)을 누렸으나 이내 자취도 없이 海底에 가라앉아 버렸다는 幻想의 섬 아틀란티스가 아닌가. 이 虛妄하고도 섬뜩한 아름다움 앞에서 우리는 어쩔 수 없이 모든 텍스트의 避할 수 없는 運命을 본다. 무슨 本能과도 같이 根源으로서의 著者, 이본 따위를 不斷히 찾아 나서는 우리들. 그러나 자꾸만 重疊되는 痕跡과 猶豫의 삶.



6.不在 위에 씌어지는 글쓰기

그런데 한 가지 注目되는 것은 이 小說이 不在의 詩學을 `祕密 隱蔽하기'라는 敍事 戰略을 통해 稼動시키고 있다는 事實이다. 勿論 이것은 이 小說이 수수께끼 規約을 敍事의 中心軸으로 삼고 있음에도 不拘하고 推理小說 一般의 範疇에는 包含될 수 없는 重要한 根據라 할 수 있다. 하지만 假令 우리는 묻지 않을 수 없다. Z는 왜 사라졌는가. 한진영과 崔某는 어떤 關係인가. 그들은 똑같은 노크소리를 내는, 말하자면 서로 習慣이 같았던 戀人들인가. 그리하여 한진영이 말하는 高進이란 崔某를 일컬음인가. 崔某는 한진영에게 傷處 입힌 罪意識 때문에 理學을 雇用하여 그女를 돌보게 한 것인가. 그렇다면 崔某와 장기영의 關係는 어떤 것인가. 崔某야말로 장기영에게 小說의 素材를 提供해 준 張本人인가. 그러나 이 小說이 明白히 解明하고 있는 것은 아무 것도 없다는 事實에 우리는 저으기 놀란다.

게다가, 어떤 讀者들은 끝내 祕密을 파헤치지 못하는 苦痛과 갖가지 推定들을 生産하는 즐거움의 交叉 속에서 某種의 不安을 經驗할 수도 있다. 이 境遇의 不安이란 많은 部分 이 小說이 採擇하고 있는 敍事 技法上의 問題로부터 起因하는 것이 틀림없다. 例컨대, 까다로운 讀者라면 누구나 主人公 理學이 보이는 不誠實하고 模糊한 態度를 견디기 어려울 것이다. 그女는 왜 韓에게 崔와의 關係를 正面으로 묻지 않는가. 왜 그女는 그토록 쉽사리 궁금한 것들을 `묻지 않기'로 決心하는가. 한진영의 讀書에 關한 至極히 私的인 情報를 그女는 果然 어떻게 알아낼 수 있었는가. 勿論 이것은 作家가 <k산장> 部分을 굳이 1人稱 時點으로 전환시킨 事情과 關聯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1人稱 話者는 3人稱 時點의 境遇와는 달리 `祕密을 말하지 않을 權利'를 누릴 수 있다. 하지만 있을 수 있는 일을 團地 `告白하지 않는' 것과 絶對的으로 不可能한 일을 `아무튼 可能했다'고 `시치미 떼는' 것은 다르지 않겠는가. 리얼리티 側面에서 볼 때 理學의 이런 態度는 이런 式으로나마 祕密을 維持해 가려는 作家의 그리 세련되지 못한 戰略으로 보이기도 한다. 어떤 面에서 이것은 `理論 또는 觀念의 敍事化 作業'이라는 것이 얼마나 精巧한 作業을 要求하는가를 反證하는 一例라고 생각된다. 그러나, 수수께끼를 던져 놓고 이를 풀어내려는 讀者의 努力에 充分한 補償을 하지 않는 것 自體가 이 小說이 起用하고 있는 意圖的 敍事 戰略의 하나라는 事實만큼은 自明한 것으로 받아들여진다. 어떻든 이 小說은 `祕密 隱蔽하기'의 敍事戰略을 통해 正體 把握이 끝없이 遲延되는 삶의 本質, 또는 저 `車聯의 論理'를 온몸으로 具現해 보이고 있는 것이다.

周知하다시피, 記號와 指示對象 사이, 記標와 記意 사이엔 언제나 그들의 一致를 가로막는 `障壁'이 存在한다는 소쉬르의 命題는 `現實 模寫'로서의 글쓰기라는 한진영의 믿음을 깨뜨린 最初의 理論的 契機였다. 또, 言語란 事物의 `죽음'을 딛고 그 위에 `代身' 들어서는 것이라는 라깡의 言述 亦是 現實과 小說의 關係를 再正立시켜주는 重大한 理論的 根據로 作用해 왔다. `言語의 監獄'을 벗어나오지 못하는 우리에게 現實은 좀처럼 그 全貌를 드러내지 않는다. 現實을 言語의 그물로 捕獲했다고 우리가 기뻐하는 瞬間, 그것은 어느 새 그물들의 틈새를 빠져나가 있는 것이다. 우리는 어떤 式으로도 言語와 事物 사이, 言語와 現實 사이, 存在와 存在 사이에 비집고 들어서 있는 `거리'를, 그 아득한 `不在'의 深淵을 征服할 수가 없다. 實로 言語란, 現實이라고 믿어지는 것들의 죽음 바로 곁에서만 피어나는 苛酷한 아름다움인 것인가. 그러나 이에 對한 쓸쓸한 自覺이야말로 理學으로 하여금 글을 쓰게 하는 原動力이 되고 있다는 事實은 至極히 逆說的이다. 누군가 이미 뱉어낸 言語들의 痕跡 위를 덧漆하여 씌어지지만, 다음 瞬間에는 다른 누군가의 덧漆 속에 사라지고 말 言語들. 그리하여 스스로의 죽음을 向해 한 발짝씩 나아가는, `毒藥'으로 쓰는 글쓰기, 오로지 不在 위에만 씌어지는 글쓰기의 異常한 逆說을 우리는 目擊한다.

그리하여 마침내 우리는 存在의 根源으로서의 不在가 지니는 비밀스런 힘을 自覺한다. 우리로 하여금 끊임없이 記憶하게 하고 想像하게 하며 마침내 글을 쓰게 하는 것, 그것은 다름 아닌 `不在'의 深淵이다. 아틀란티스의 저 巨大한 不在, 存在 證明의 그 永遠한 不可能性이야말로 아틀란티스를 存在케 하는 根源的인 힘인 것이다. 일찍이 理學이 空冊에 베꼈던 時「울므로 가는 길」(10-11)李 노래한 것도 바로 그런 것이 아니었던가. `蔚므'에 가보고 싶은 自家 `카페 蔚므'에 들러야 하는 까닭은 그 곳이 이 地上에 存在하지 않기 때문이다. `카페 蔚므'로 `命名된' 空間, 그 虛構的인 텍스트의 空間을 創出하는 것은 蔚므의 `存在'가 아니라 오히려 `不在'인 것이다. `어떠한 境界도 없이 視野를 無限히 擴張시키'는 `푸른 房'이라는 想像的 空間이 創出될 수밖에 없는 것은 그것이 `안개', `琉璃壁' 따위의 境界들 투성이인 現實에는 不在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마침내 우리에게 남는 것은 不在 위에 痕跡들로 새로이 짜여져 가는 言語의 그물들이 되는 셈이다. 그리하여 우리는 이제 理學의 글쓰기가 어떤 것이 될 것인가를 可히 斟酌할 수 있다. 적어도 그것은 `모든 텍스트의 運命을 分明히 의식하면서 行해지는 글쓰기'임이 틀림없다. 글쓰기란 `不在 속의 꿈꾸기'이며, 不斷히 미끄러지면서 자유로이 組合되는 記號들의 潑剌한 움직임 속에 스스로의 `痕跡'을 남기는 일이기 때문이다.



 

Copyright 2002 donga.com. E-mail. sinchoon@donga.com
Privacy policy.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