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아新春文藝]






지난 當選作
2003
2002
2001
2000
1999
1998







굴뚝에서 나온 무지개


整理胎(21)

노오란 初겨울 햇살이 외양間에 드러누운 누렁소 엉덩이 위에서 차츰 엷어지는 해질 무렵입니다. 곰보 지붕을 인 기와집 옆구리에 무뚝뚝하게 생긴 굴뚝 하나가 우뚝 서 있습니다. 웬일로 뒤란 대밭에 사는 굴뚝새가 포르르르 날아와 굴뚝 위에 앉았습니다. 오랜만에 찾아 든 손님이라서 굴뚝은 무척 반가웠습니다.

"안녕, 잘 있었니? 우리 一家새야."

"아니, 一家라뇨? 내가 왜 아저씨네 一家지요?"

"一家고 말고. 너희 父母님이 말씀해 주시지 않던?"

굴뚝새는 좁디좁은 이마를 찌푸리면서 고개를 갸웃거렸습니다.

"동박새가 우리 六寸이고, 콩새가 査頓의 八寸이라는 이야기는 들었어요. 그런데, 에이, 아저씨같이 움직일 줄도 모르고 날지도 못하는 굴뚝이 一家라는 말은 처음 듣네요."

"이거 원…."

굴뚝은 氣가 차서 쯧쯧 혀를 車니다. 굴뚝새는 굴뚝새대로 뭐가 抑鬱한지 꽁지를 발딱 세웠습니다.

"요즘 너희 父母들은 新世代 굴뚝새라더니, 다들 집안의 뿌리에 對해 알려고 하지 않아서 그런 模樣이다. 너희들 이름이 왜 굴뚝새인지는 아니?"

"글쎄요. 다른 고운 이름도 많은데 왜 何必이면 멋없는 아저씨네 이름을 갖다 붙였는지 그래 나도 궁금해요."

"멋없는 이름이라구? 오래 살다 보니 別 소리를 다 듣는구나. 그것도 집안 高孫子뻘 되는 새새끼한테서."

"새새끼라 하지 말고 어린 새라고 불러 줘요."

굴뚝새가 連거푸 꽁지를 발딱발딱 세우며 동동거렸습니다. 어린 굴뚝새하고 입씨름을 벌이다 저도 모르게 달아오른 굴뚝도 긴 숨을 한 番 吐해 냈습니다. 굴뚝은 모처럼 自己를 찾아와 준 이 손님이 토라져 날아가 버리면 어쩌나 싶기도 했습니다. 바르르 떠는 것을 보니 今方이라도 고개를 돌려 날개짓을 할 참이었습니다.

"그래그래, 내가 지나쳤다. 未安하구나. 그 代身 내 얘기나 끝까지 들어 다오."

어린 새들은 옛이야기를 좋아합니다. 굴뚝새는 언제 삐죽거렸냐는 듯 두 발을 모으고 앉아 굴뚝을 바라봅니다. 굴뚝은 외양間으로 눈길을 돌려 누렁소 엉덩이에서 슬며시 물러나는 햇살을 바라봅니다. 한참 記憶을 덥혀야 이야기가 흘러나올 模樣입니다.

"只今이야 이렇게 아무 쓸모도 없이 뒤란에 우두커니 서 있는 身世지만 말이다. 아득한 너희 祖上 새들이 날던 時節에는 나도 떵떵거리며 지냈던 몸이야."

"떠엉떠엉거리며? 아저씨가요?"

"그 때는 무엇이 되었든 끓이거나 삶으려면 반드시 아궁이에 불을 지펴야 했거든. 세 끼 밥 짓고 국 끓일 때는 勿論이고, 밤이면 군불이라는 것을 지펴서 溫突을 따뜻하게 달구어야 했으니까."

그 때는 그랬습니다. 아궁이에 불을 지필 때마다 演技는 모락모락 굴뚝을 기어올라 하늘로 날아가곤 했습니다. 잔치라도 있는 날이면 굴뚝은 온終日 演技를 흩뿌렸습니다. 이 집 저 집 할 것 없이 굴뚝들이 서로 뿌연 煙氣 숨을 내쉴 때면 목이 칼칼해지는 고소한 냄새가 온 마을을 감싸고 돌았습니다. 사람들은 幸여 굴뚝이 숨을 잘 쉬어 주지 않을까 싶어 한결같이 操心스레 모시고 所重히 다루었습니다.

"그 무렵 언제부턴가 싶구나. 유난스레 추위를 잘 타는 너희네가 나한테 와서 언 몸을 녹였다 가곤 했지. 아직 너희네는 마땅한 이름도 없을 때였다. 사람들은 굴뚝에 드나들며 福을 많이 받아 가는 새라고 해서 너희네를 `굴뚝새'라고 붙여 불렀지. 처음으로 이름을 갖게 된 너희 祖上들이 얼마나 좋아했는지 아니? 줄지어 굴뚝을 몇 바퀴씩 돌고, 참말 搖亂했다."

어느새 굴뚝새는 꽁지를 내리고 다소곳해졌습니다. 갈라진 굴뚝 甓돌 이음새에 가만가만 부리를 비벼 봅니다. 할아버지의 할아버지가 앉았을 지도 모르는 바로 거기입니다. 그 틈새에는 용케도 뿌리를 내리고 살다가 말라 버린 며느리 밥풀잎이 들러붙어 있었습니다.

"하지만 只今은 텔레비젼 안테나 버팀대 노릇도 못하는데요. 아저씨는 이제 아무 것도 아니지 않은가요?"

굴뚝새는 머뭇머뭇 혼잣말처럼 중얼거렸습니다.

"勿論이지. 그냥 비나 들치고 할 뿐이야."

"굴뚝 아저씨를 다시 찾을 날이 올까요? 아저씨가 여기 있다는 걸 잊은 건 아닐까요?"

"決코 찾지 않겠지. 便한 맛을 보았거든. 저기 저 神奇한 電氣며, 가스며, 기름이며 좀 보렴. 다시는 날 올려다보지 않을게다."

굴뚝은 굴뚝새의 초롱한 눈망울을 물끄러미 바라보며 對答했습니다. 굴뚝새의 눈망울에 반짝 물氣가 어렸습니다.

"便한 것은 그렇게도 좋은 것인가요?"

"저만 便하게 숨쉬려다가는 마침내 나무, 꽃, 江물, 그 아무도 숨쉬지 못하게 될 指導 모르지. 便한 게 毒이 될 수도 있어. 하지만 사람들이야 그런 것을 거들떠보기나 한다니? 조금이라도 더 便해지려고만 안달인 걸."

"굴뚝 아저씨가 사람들 일을 어떻게 다 알아요? 밤낮으로 여기만 서 있는데."

굴뚝새는 또 한番 바짝 대들어 봅니다. 굴뚝도 질세라 대뜸 목소리를 높입니다.

"다 아는 수가 있다. 큰 키는 두었다가 무엇에 쓴다니? 아직 허리는 別로 안 굽었단다."

煙氣 숨을 멈춘 뒤부터 굴뚝은 새 길을 내다보는 것을 樂으로 삼았습니다. 아직도 洞네에서 키가 큰 축에 屬하는 굴뚝은 亭子나무 아래로 난 새 길까지도 훤히 바라다볼 수 있었습니다.

"처음에 흙길이었을 때만 해도 사람들이 생긋 웃음을 나누며 오가더구나. 그런데 길이 넓어지고, 까만 아스팔트를 발라 다진 뒤로는 통 밝은 낯을 못 봤어. 그저 쌩쌩 소리만 들리지. 뿐인줄 아니? 무너져라 우는 소리도 여러 番 들었다. 하얀 救急車가 들이닥치고, 어휴, 如干 끔찍한 게 아니던 걸."

"사람들은 그걸 `發展'이라고 말하던데요. `發展'이 重要하대요."

굴뚝새는 엊그제 감나무에 앉아 엿들은 이야기를 꺼냅니다. 그날 洞네 사람들은 벌건 이마에 굵은 줄을 그리며 `發展, 發展'이라는 낱말을 되풀이하였습니다.

"숨도 제대로 못 쉬게 된 마당에 發展이라…. 글쎄다."

외양間에서 누렁소가 `음매애'하고 울었습니다. 어느새 해는 멀리 땅 끝으로 주저앉고 누렁소의 커다란 눈망울에는 검붉은 노을이 머물러 있습니다. 굴뚝새는 날개를 접고 투박한 굴뚝 어깨에 몸을 기대었습니다. 異常하게도 몸이 따뜻해졌습니다.

"굴뚝 아저씨, 드릴 말씀이 있어요."

"말해 보려무나. 어린 굴뚝새야."

"오늘 제가 놀러 온 것은 말이죠. 마지막 人事를 드리러 온 것이에요."

"마지막 人事? 너희네가 어디로 移徙라도 갈 模樣이구나."

굴뚝새는 침을 꿀꺽 삼키며 對答했습니다.

"네. 鄕校 대밭으로 갈려구요."

"여기는 어때서? 只今 사는 대밭도 南向인데다 굼벵이도 많고, 또, 뭐냐, 外, 외양間 草家 지붕에서 놀기도 하니 썩 나무랄 데는 없어 보인다만…."

굴뚝은 여느 때 같지 않게 말을 더듬었습니다. 더 보탤 말이 있을 법한데, 떠오르지 않았습니다.

"여기도 좋지요. 할아버지, 할머니 두 분만 사셔서 한가롭구요. 그런데요, 굴뚝 아저씨, 이 집이 헐린다는가봐요. 山너머 公團까지 가로질러 큰 道路를 낸 대요.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집터랑 대밭 위로 지나간다나요."

"그렇다면, 그렇다면, 나도…."

굴뚝새가 기대어 있는 굴뚝 너머로 불그스름한 저녁놀이 물들어 내렸습니다. 굴뚝새는 굴뚝이 今方이라도 와르르 무너져 내릴 것 같아서 숨을 멈추고 가만히 날개를 떼어 냈습니다. 살금살금 굴뚝을 기어 내려와 담牆 위에서 비로소 호르르 날았습니다. 한참을 날아오른 굴뚝새가 되돌아보니 굴뚝은 노을 속에 떠 있었습니다. 술래잡기를 하는 아이들이 왁자하게 떠들며 뱅뱅 돌고 있는 굴뚝 위에서는 무지개 煙氣가 뭉게뭉게 솟아 나오고 있었습니다.



 

Copyright 2002 donga.com. E-mail. sinchoon@donga.com
Privacy policy.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