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三星電子 寺院을 달리기로 뽑으면 어떨까|주간동아

週刊東亞 1399

..

三星電子 寺院을 달리기로 뽑으면 어떨까

[김재준의 다빈치스쿨] 英美 名門學校, 例外 없이 體育 重視… 藝體能 敎育이 創意性 增進과 成功 決定

  • 김재준 國民大 國際通商學科 敎授

    入力 2023-07-24 10:00:01

  • 글字크기 설정 닫기
    필자는 인생에서 익스트림 스포츠가 필요하다는 사실을 깨닫고 북한산 인수봉과 설악산 공룡능선 등을 연이어 등반했다. 사진은 설악산 공룡능선을 오르는 모습. [원종민 제공]

    筆者는 人生에서 익스트림 스포츠가 必要하다는 事實을 깨닫고 北韓産 仁壽峯과 雪嶽山 恐龍稜線 等을 연이어 登攀했다. 寫眞은 雪嶽山 恐龍稜線을 오르는 모습. [원종민 提供]

    筆者가 꿈꾸는 理想的 敎育機關인 ‘다빈치스쿨’은 世上 모든 것을 배우는 場所다. 이 學校의 敎訓은 ‘Just do everything’. 눈치 챘겠지만 나이키 슬로건 ‘Just do it’의 變形이다. 아직 存在하지 않는 다빈치스쿨은 唯一한 學校, 唯一한 大學을 꿈꾼다. “그 많은 分野가 다 必要한가” “어떻게 그 많은 것을 다 배우나” 같은 質問에는 “그냥 해보라”고 答하고 싶다.

    論文 잘 쓰는 몸이 있다

    ‘知的 對話를 위한 넓고 얕은 知識’이라는 冊이 있다. 冊의 意圖를 尊重하지만 아쉬운 地點도 있다. 모든 것을 배우는 일 못지않게, 겉만 스치듯 다루지 않고 中級 水準까지 배우는 일 亦是 重要하기 때문이다. 高級 水準까지 익히는 것은 어렵지만 中級 水準까지는 豫想外로 쉽다. 發音과 基礎 文法만 배우면 8個 國語도 可能하다. 運動도 마찬가지다. 더 나아가 蹴球를 잘하려면 蹴球만 해서는 안 된다. 數學을 잘하는 아이가 偉大한 蹴球 選手가 될 수 있다.

    21世紀 敎育은 몸의 重要性을 理解하는 데서 出發해야 한다. 人工知能(AI) 時代 專門職이 사라지더라도 머리와 몸을 함께 쓰는 헬스 트레이너와 療養保護士 等은 살아남을 것이다. 體育 敎育이 重要한 理由다. 韓國 藝體能 敎育은 피아노 學院과 跆拳道 道場을 다니는 初等學生 때 끝난다. 中高校 體育授業은 공을 던져준 뒤 運動場에서 蹴球를 하라는 有名無實한 方法으로 進行되기도 한다. 體育敎師들의 問題가 아니다. 入試 爲主 敎育이 韓國 社會에 끼친 影響이다. “運動場도 敎室이다”라는 생각의 轉換이 必要하다. 體育, 音樂, 美術을 高校 3學年까지 배워야 한다. 大學에서도 音樂과 美術, 演劇, 舞踊, 體育을 ‘綜合藝術體驗’이라는 必須 敎養科目으로 배워야 한다.

    筆者는 어린 時節 工夫는 잘했으나 所謂 몸치였다. 體育을 等閑視했고 音樂과 美術에도 關心이 없었다. 그 結果는 나중에 뼈아프게 다가왔다. 英國 留學 時節 大學院에서 論文을 쓸 때 어려움을 겪은 것이다. 讀者들은 이 問題가 理解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圖書館에서 살아도 博士課程 論文이 잘 안 써지던데, 英國 學生들은 요트 競技에 나간다고 終日 練習한 뒤 밤에 圖書館에서 工夫하고 論文도 쓰더라”는 말을 한 番쯤 들어봤을 것이다. 筆者 亦是 이때 論文을 잘 쓰는 創意的인 몸이 있다는 事實을 어렴풋이 느꼈다. 키와 몸무게가 重要한 것이 아니다. 몸통이 굵어야 한다. 가슴둘레가 큰 것과는 조금 意味가 다르다. 가슴 두께가 두툼해야 좋다. 蹴球選手 디에고 마라도나를 떠올리면 된다. 그는 비록 키가 작았지만 몸집이 큰 選手와 부딪쳐도 밀리지 않았다. 몸싸움에서 功을 지켜내는 李康仁도 그렇다. ‘풀 오버’라는 運動을 하면 도움이 된다.

    이런 몸을 가지면 心肺能力과 持久力이 向上되고, 呼吸 數字는 줄어들며, 集中力이 必要한 일을 잘하게 된다. 어려운 數學, 科學 問題를 푸는 일에도 도움이 된다. 運動을 하면 數學 成績이 좋아진다는 英國의 硏究 結果도 있다. 藝體能 敎育은 創意性 增進 外에도 人生의 成功을 결정짓는 核心 主題다. 正말 그럴까. 筆者는 그렇다고 믿는다.



    創意性 敎育에 對한 關心은 뒤늦게 筆者를 美術로 이끌었고, 이윽고 몸을 잘 쓰는 것이 正말 重要하다는 事實을 體驗했다. 40代 初盤 코오롱 登山學校에 入校해 한 달 동안 理論授業과 實技敎育을 들으면서다. 나이 든 受講生이 많았는데 놀랍게도 4週 後 이들과 北韓産 仁壽峯에 올랐다. 巖壁登攀을 한 것이다. 두려운 瞬間도 있었지만 그렇게 危險하지는 않았다. 손가락 하나하나를 花崗巖 바위에 密着할 때면 손끝이 아팠지만 떨어질 수 있다는 恐怖에 아픔은 사라졌다. 바위틈에 팔을 통째로 넣고 비틀면 팔 全體가 몸을 支撐하는 느낌이 드는데 이 느낌이 좋았다. 巖壁에서 발가락 하나하나가 디딜 곳을 찾아 헤매다가 작은 安息의 場所를 찾아 몸을 支撐해낼 때 느껴지는 安堵感도 좋았다.

    北漢山 救助隊를 이끌던 登山學校 원종민 講師는 讀圖法을 배운 後 여러 名이 組를 짜 交代로 리더를 맡으며 낯선 山을 登攀하는 것이 좋은 工夫가 된다고 한다. 리더로 팀員들을 이끌며 낯선 山길을 헤치고 가는 體驗이 리더십과 팀워크, 創意力에 좋다는 것이다. 授業이나 勤務를 마친 後 인스타그램 또는 유튜브를 보며 時間을 보내는 것이 워라밸(일과 삶의 均衡)은 아니다.

    스포츠는 그저 便安해서는 안 된다. 極限에 挑戰하는 體驗이 重要하다. 히말라야와 엘 캐피턴에 挑戰하는 登攀家의 經驗을 10分의 1이라도 體驗해보면 人生이 質的으로 다르게 바뀐다. 2019年 아카데미 다큐멘터리 受賞作 ‘프리 솔로’에는 極限 世界의 아름다움이 間接的으로 나타난다. 巖壁登攀과 山岳自轉車, 마라톤 같은 익스트림 스포츠는 人生에 꼭 必要하다.

    韓國, 世界에서 가장 體育 無視하는 나라

    中國과 韓國은 무(武)보다 門(文)을 崇尙하는 文化를 가졌다. 無人은 때로 賤視의 對象이었고, 結局 高麗時代 武臣의 亂까지 일어났다. 韓國은 世界에서 가장 體育을 無視하는 나라라는 느낌마저 든다. 같은 東아시아지만 日本 中學校에서는 柔道와 劍道를 가르친다. 댄스도 많은 學校에서 배울 수 있다.

    英國 王族이나 貴族은 戰爭을 業으로 하던 技士, 卽 無人이면서 王으로부터 받은 封土가 富의 基盤이 되는 地主였다. 유럽에서 貴族은 中世의 戰死 階級이었다. 그들은 세련되고 優雅하기보다 매우 好戰的이었다.

    영미의 名文 보딩스쿨들을 보면 例外 없이 體育을 重要視한다. 全體 授業時間의 30%가 스포츠다. 프랑스에서는 午前에 工夫하고 午後에 運動하는 學校도 많다. 室外에서 蹴球와 長距離 달리기를 하고, 室內 體育館에서 體操와 다양한 球技 運動을 하는 式이다. 이튼칼리지의 月게임(壁을 利用해 몸싸움을 하며 공을 던지는 게임)에서 보듯이 진흙탕에서 뒹굴며 鬪志와 協同心도 배운다. 옥스퍼드大와 케임브리지大 出身은 戰爭이 나면 가장 앞에서 싸운다고 한다.

    다시 韓國으로 돌아와보자. 學校든, 職場이든 우리는 成績順으로 사람을 뽑는다. 드라마 ‘나의 아저씨’에서 主人公 지안이 달리기를 잘한다는 理由로 社員이 됐다는 設定은 그래서 新鮮한 衝擊을 줬다. 三星電子 寺院을 달리기로 뽑으면 어떨까. 高等法院 部長判事 昇進을 하프 마라톤으로 하면 어떨까. 只今보다 더 나빠지지는 않을 것이다. 이것만큼은 確信한다. 다빈치스쿨은 運動場에서 始作한다.

    김재준 敎授는… 
    서울대 經濟學科를 卒業하고 美國 프린스턴대에서 經濟學 博士學位를 받았다. 國民大 경상대學長, 國民大 圖書館長과 博物館長, 韓國藝術經營學會 會長을 歷任했으며 現在 國民對 國際通商學科 敎授를 지내고 있다.



    댓글 0
    닫기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