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음은 누구? 反復되는 ‘臺깨?’|주간동아

다음은 누구? 反復되는 ‘臺깨?’

[김수민의 直說] ‘支持層 鬱憤’ 搭乘하는 政治人, ‘墮落한 우리 便’ 솎아내자는 支持者

  • 김수민 時事評論家

    入力 2021-10-25 10:00:01

  • 글字크기 설정 닫기
    (왼쪽부터)문재인 대통령,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후보, 윤석열 전 검찰총장. [동아DB]

    (왼쪽부터)문재인 大統領, 더불어民主黨 李在明 大選候補, 尹錫悅 前 檢察總長. [東亞DB]

    “자 이게 火刑式이라는 거다.”

    10月 15日 한 누리꾼이 曺國 前 法務部 長官의 著書 ‘曺國의 時間’을 불태운 寫眞을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올렸다. 더불어民主黨(民主黨) 大選候補 競選 終了와 함께 조 前 長官이 “自身이 反對했던 候補에 對한 嘲弄, 辱說, 誹謗 글을 내리자”는 提案을 한 直後였다.

    “大統領도 門派에서 除名될 수 있다”

    민주당 이낙연 前 代表의 極盛 支持者이자 李在明 大選候補를 極烈하게 反對한 이들은 잇따라 書籍 毁損 寫眞을 올리며 조 前 長官을 聲討했다. “辯護士費 도움 되라고 冊도 50卷 샀단다. 나눠주고 남아 있는 것 다 찢어버린단다.” “曺國의 時間은 여기에서 멈췄다.” ‘曺國 反對’에 선 進步 陣營 人士들에게 쏟아졌던 非難 以上의 毒舌과 詛呪다.

    이는 李洛淵 支持層만의 일이 아니다. 民主黨 宋永吉 代表는 極盛 李洛淵 支持者들을 “거의 日베(日베貯藏所) 水準”이라고 非難했다 論難이 되자 謝過했다. 李在明 候補 極盛 支持者들 中에는 ‘日베’ 뺨치는 境遇가 없는가. 그들은 이番 競選 期間 李洛淵 前 代表에게 ‘수박’이라는 攻勢를 퍼부었다. 겉은 민주당 로고 色처럼 푸르지만 속은 國民의힘 로고 色처럼 붉다는 뜻이다. 黨員 사이에서 오갈 수 있는 單語로는 ‘辱說만 아닐 뿐 極言’이다.

    李 候補가 競技觀光公社 社長職에 內定했지만 候補職을 自進 辭退한 맛칼럼니스트 黃橋益 氏는 그들을 ‘極烈 文빠’라고 稱했다. 李 前 代表 極盛 支持層은 ‘門派’ ‘文꿀오소리’ ‘强性 親文’으로 일컬어졌다. 그러나 ‘極烈 文빠’는 李在明 支持層에도 많다. 民主黨의 이름난 論客 多數가 李在明 便에 섰고 國民의힘뿐 아니라 이 前 代表까지 거세게 攻擊했다. 여기서 ‘文빠’가 아닌 者 몇이나 되나.



    그럼 文在寅 大統領이라고 해서 ‘文빠 內戰’을 終熄할 수 있을까. 李洛淵 支持者이자 李在明 비토自認 한 누리꾼은 이런 글까지 올렸다. “그럴 理는 없겠지만 文在寅 大統領님이 李在明을 도와주는 瞬間 大統領님도 門派에서 제명당할 수 있다는 걸 自覺해야 한다.” ‘門派’도 ‘門(文)’을 波紋할 수 있다는 것이다.

    ‘~빠 現象’ 本質, 個人崇拜 아냐

    이재명 경기도지사(오른쪽에서 두번째)가 더불어민주당 20대
대선후보 선출 직후인 10월 10일 서울 송파구 올림픽공원 SK올림픽핸드볼경기장 밖에서 지지자들로부터 축하를 받고 있다. [뉴스1]

    李在明 京畿道知事(오른쪽에서 두番째)가 더불어민주당 20代 大選候補 選出 直後인 10月 10日 서울 송파구 올림픽公園 SK올림픽핸드볼競技場 밖에서 支持者들로부터 祝賀를 받고 있다. [뉴스1]

    李在明 支持層에서도 文 大統領 批判이 일고 있다. “文 大統領은 優柔不斷해서 敵을 制壓하지 못한다. 祖國을 지키지 못하고 尹錫悅을 키워줬다. 確實한 攻擊手 李在明이 必要하다”는 內容이 代表的이다. 가장 熱띠고 굳건한 政治人 팬덤人 줄 알았던 ‘대깨文’(머리가 깨져도 文在寅)李 事實은 하나로 뭉치지도 않았거니와, 문재인이라는 한 政治 리더에 對한 믿음마저 弱했다는 것이 드러난다.

    흔히 ‘팬덤’ ‘~빠’로 불리는 現象의 本質은 個人崇拜가 아니다. 박근혜와 文在寅 두 前現職 大統領을 比較해보자. 둘은 各各 悲劇的 最後를 맞이한 두 前任者(朴正熙와 盧武鉉)의 後光을 입었으나, 곧바로 遺産을 相續받은 것은 아니다. 朴槿惠 前 大統領은 2002年 한때 한나라당을 脫黨해 獨自路線을 걸었지만 大衆의 外面을 받았다. 文 大統領도 盧武鉉 前 大統領 死亡 以後 大選走者로 뜨는 데 2年 남짓한 時間이 걸렸다.

    그들은 카리스마로 支持層을 集結한 게 아니라, 이미 結集된 支持 熱氣 위에 올라탔다. 어느 누구 하나 리더십을 構築하지 못한 局面에서 ‘朴正熙의 딸’이라는 것보다, ‘盧武鉉의 親舊’라는 것보다 確實한 保證은 없었다. 이들의 내리막度 이를 證明한다. 최순실 게이트로 朴槿惠 政權은 힘없이 무너졌다. 未來權力에 對한 支持나 비토는 ‘文在寅 單一 隊伍’를 흐트러뜨렸다. 박근혜와 文在寅은 崇拜 對象이 아니라 마스코트에 지나지 않았다.

    歡呼와 陶醉보다 憎惡와 怨恨이 먼저였다. 리더 出現 以前에 群衆은 이미 모여 있었다. ‘朴正熙가 일으킨 나라를 金大中·노무현에게 넘겨줬다’는 恥辱은 ‘나라를 팔아먹어도 박근혜’로 表出됐고, ‘韓國史 最初의 改革政府가 무너져 노무현을 지키지 못했다’는 絶望이 ‘大××가 깨져도 文在寅’으로 發散됐다. 敵愾心은 쉽게 리더를 세우는 한便, 리더의 短點을 못 보게 한다. 敵을 制壓하기 前까지는 말이다.

    이렇듯 强해지는 二分法은 ‘50 對 50’으로 끝나지 않는다. “왜 우리 쪽 50은 저쪽 50을 이기지 못하는가”라는 鬱憤은 “우리 쪽 50 內部에 問題가 있다”는 診斷으로 이어진다. ‘우리 쪽 50’에 ‘不純하게 섞인 25’를 물리치고, ‘眞正한 우리 便 25’ 中 ‘墮落한 12.5’를 솎아내는 것으로 點綴되는 것이다.

    윤석열 전 검찰총장(가운데)이
10월 4일 부산 동래부 동헌 외대문 앞에서 지지자들에게 인사하고 있다. [사진 제공 · 윤석열 캠프]

    尹錫悅 前 檢察總長(가운데)李 10月 4日 釜山 東來府 東軒 外大門 앞에서 支持者들에게 人事하고 있다. [寫眞 提供 · 尹錫悅 캠프]

    “왜 우리는 저들을 못 이기지?”

    ‘대깨文’은 그 길을 그대로 걸어갔다. 朴槿惠 彈劾에 함께한 다른 黨들과 그 候補들을 지난 大選 期間 敵으로 取扱하고 自由韓國當보다 더 미워했다. 進步的 社會團體나 言論이 政權에 이런저런 注文 또는 批判을 하면 곧바로 “새누리당 政權 9年 동안 뭐 하고”라고 揶揄했다. 어떤 民主黨員보다 加熱 차게 反政權 鬪爭을 벌인 그들의 歷史를 歪曲하는 地境에 이르렀다. 進步 및 中道層 內 批判者들을 國民의힘과 같은 便으로 몰았다. 그 歸結이 前職 黨代表까지 ‘수박’이라고 찍어 攻擊하는 오늘이다.

    ‘臺깨’ 現象은 민주당 쪽만의 일이 아니다. 요즘 尹錫悅 前 檢察總長 支持層은 10年 前 ‘文빠’나 ‘나는 꼼수다’와 크게 닮았다. 極盛 支持層 사이에선 “政權의 惡에 對抗해야 한다”가 다른 모든 論議를 壓倒한다. ‘告發 使嗾 疑惑’에 對한 端緖를 公開한 提報者나 言論을 文在寅 政權과 한牌거리로 取扱하기도 한다. ‘우리는 政權에 逼迫받는 弱者’라는 自意識이 省察을 무너뜨린 것이다. 온라인에서는 이미 ‘臺깨尹’이라는 單語가 낯설지 않다.

    ‘臺깨尹’과 內戰을 치르는 國民의힘 홍준표 議員의 熱誠 支持層 ‘戊夜洪’은 다른가. 兩側 葛藤은 ‘明洛大戰’의 軌道를 따라가고 있다. 尹 前 總長이 最高責任者였던 ‘曺國 搜査’를 두고 홍 議員이 ‘全 家族 屠戮’ ‘過剩 搜査’라고 評價하자, 一部 支持者는 이에 同意하기까지 했다. 올가을 各各 ‘曺國數洪’ 論難에 빠진 이들과 ‘曺國의 時間’을 불사른 이들은 2年 前엔 各各 ‘兆로남불’에 憤慨했으며 ‘曺國守護’를 부르짖었다. 거듭된 內戰과 돌고 도는 憤怒가 ‘主要 打擊 方向’까지 바꾸고 말았다.



    댓글 0
    닫기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