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詩가 밥 먹여주지 않지만…|주간동아

週刊東亞 852

..

詩가 밥 먹여주지 않지만…

  • 入力 2012-08-27 10:48:00

  • 글字크기 설정 닫기
    시가 밥 먹여주지 않지만…
    죽지 않는 詩人들의 社會

    그들은 둘러앉아 雜談을 했다

    담배를 피울 때나 뒤통수를 긁을 때도 그들은 詩的이었고

    拍手를 칠 때도 拍子를 맞췄다

    受賞作에 對한 論難은 애初부터 없었고



    술자리에서 事故 치지 않았으며

    夭折한 詩人들을 따라가지 않는 理由들이 분명했다

    더 以上 믿을 수 없는 戀愛 事件도 벌어지지 않았다

    나는 죽어버릴 테다

    이 文章을 愛用하던 그는

    外國으로 나다니더니

    旅行冊子를 出刊해 한턱 쏘았다 난 안 醉할 만큼 마셨다

    重要한 건 그 자리에 빠진 이들

    그 詩人들은 제 밥그릇 앞에서 祈禱를 하고 있는지

    신촌의 作業室에서 애들이 기어다니는 房구석에서

    날이 밝아올 때까지 하찮아지고 있는지

    뭔가 놀라운 한 줄이 흘러나오고 손끝에서

    줄기와 꽃봉오리가 환해지는지

    重要한 건 그런 게 없다는 것

    아무도 안 죽고 난 哀悼의 詩도 쓸 수 없고

    手術을 받으며 우리들은 오래 살 것이다

    戀愛는 없고 사랑만 있다

    重要한 건 아무것도 없다

    조용히 그리고 매우 빠르게

    詩는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게 했다

    ―金이듬 ‘죽지 않는 詩人들의 社會’(‘말할 수 없는 愛人’ 文學과知性社, 2011 中에서)

    詩가 밥 먹여주지 않지만…

    詩가 밥 먹여주니? 가끔 故鄕에 내려가 마감한답시고 밤늦게까지 끙끙대는 나를 보면 어머니는 혀를 끌끌 차신다. 아들 몸이 축나는 걸 보기 싫으신 것이다. 詩가 밥 먹여주지 않으므로, 어머니는 졸린 눈을 비벼가며 間食을 가져다주신다. 時 代身 밥 먹여주기 위해. 나는 不得不 그것을 입에 넣는다. 맛있다. 글 쓸 맛이 난다. 눈에 힘이 들어간다. 열 個 손가락이 춤추기 始作한다. 밤이 깊어간다. 그 殊常함이 나를 다음 文章으로 데려간다.

    다음 날, 上京해서 詩人들이 모인 술자리에 갔다. 한 詩人의 文學賞 受賞을 祝賀하는 자리였다. 놀랍게도, 或은 當然하게도 다들 詩人처럼 생겼다. 나는 좀 부끄럽다. 아직도 사람들은 내가 詩를 쓴다고 하면 ‘네가 무슨 詩를 써?’ 하는 눈빛으로 나를 바라본다. 그럴 때마다 “뒤통수를 긁을” 수밖에 없었다. “줄기”가 시들고 “꽃봉오리”가 닫히는 것 같다.

    우리는 生麥酒와 치킨을 注文하고 걸어 들어오는 受賞者를 반가이 맞이했다. 嫉妬와 시새움은 “애初부터 없었”다. 아직까지 사람들은 詩人이 무슨 奇人인 줄 안다. 혼자 漢江에 가서 독한 술을 甁째 마시는 줄 안다. “믿을 수 없는 戀愛 事件”에 連累되어 온몸으로 드라마를 쓰는 줄 안다. 아니다. 우리는 그저 “拍手를 칠 때도 拍子를 맞”출 程度의 센스를 갖춘 者들이다. 가끔 만나서 懷抱를 풀고 다음 날부터는 또다시 自己만의 詩를 쓰며 외로워지는 者들이다. “제 밥그릇 앞에서” 고개를 숙인 채 “날이 밝아올 때까지 하찮아”지는 者들이다. 이것을 謙虛히, 기꺼이 하는 者들이다.

    한밤中에 原稿를 쓰다 말고 문득 想念에 잠긴다. 詩가 大體 무슨 일을 할 수 있을까. 目的이 없다는 點에서, 밥을 먹여주지 않는다는 點에서 詩는 빛을 發한다. 그것은 애初 무엇을 바라고 始作된 것이 아니었으므로 스스로 바람 하나, 바람 한 點으로 完成되었다 사라지는 것이므로. 詩人은 “戀愛는 없고 사랑만 있”다는 걸 쓰면서 깨닫는다. 우리는 거의 언제나 보이지 않는 것, 잡을 수 없는 것을 찾아 헤맨다. 바보같이, 그러나 바보라는 事實에 이따금 感動하기도 하면서.

    “뭔가 놀라운 한 줄이 흘러나오고 손끝”을 想像한다. 손끝이 銳敏해지는 바로 그 瞬間을 잊지 말아야 한다. 그 瞬間만큼은 어떻게든 품어야 한다.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게” 하는 詩, 밥을 먹여주지는 못해도 밥풀이 되어 우리 소매 끝에 딱 달라붙는 時, 쓸모없어서 더 아름다운 詩, “조용히 그리고 매우 빠르게” 사람들 가슴에 劃을 긋는 詩, 그 가슴속에서 팝콘처럼 튀어 오르는 詩. 世上에 하나밖에 없는 姿勢로 어룽지는 詩. “우리들은 오래 살 것이다”. 우리 詩는 더 오래 살 것이다. 부디 그랬으면 좋겠다.



    댓글 0
    닫기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