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只今은 돈이 市場 움직이는 流動性 場勢… 企業 實績 無關한 株價 흐름 나오기도”|주간동아

週刊東亞 1400

..

“只今은 돈이 市場 움직이는 流動性 場勢… 企業 實績 無關한 株價 흐름 나오기도”

염승환 이베스트투자증권 理事 “2次電池 烈風에 戰場 産業 調整, 買收 機會로 볼 만”

  • reporterImage

    최진렬 記者

    display@donga.com

    入力 2023-07-29 10:00:01

  • 글字크기 설정 닫기


    염승환 이베스트투자증권 이사. [동아DB]

    염승환 이베스트투자증권 理事. [東亞DB]

    2次電池 株式을 保有했느냐, 買收 時點이 언제였느냐에 따라 投資者의 喜悲가 交叉하고 있다. 株價가 큰 變動性을 보이는 탓이다. 2次電池 大將株 포스코홀딩스와 에코프로는 株價가 올해 各各 110%, 850% 가까이 上昇했다. 염승환 이베스트투자증권 理事는 7月 26日 인터뷰에서 “流動性 場勢가 펼쳐지면서 市場의 選擇을 받느냐 與否에 따라 株價 運命이 갈리고 있다”고 評價했다.

    廉 理事는 株價가 急激히 오른 企業에 性急하게 投資하는 것은 再考할 必要가 있다고 指摘했다. 그는 “最近 需給이 몰리면서 企業 實績과 無關하게 株價 흐름이 나타나는 傾向이 있다”며 “株價가 短期的으로 需給을 따라갈지 몰라도 長期的으로는 펀더멘털을 따라간다”고 强調했다. 廉 理事는 이날 “2次電池 産業에 꾸준히 關心을 가지는 同時에 ‘반드시 오는 未來’가 무엇일지 苦悶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廉 理事는 美國 中心의 ‘脫中國化’ 現象도 强調했다. 그는 “인플레이션 減縮法(IRA)에 따라 中國의 役割을 代替할 수 있는 企業들이 높은 評價를 받을 것”이라며 “포스코그룹은 오래前부터 이를 準備해온 德分에 올해 市場의 主人公으로 浮上했다”고 말했다. 以外에도 價格이 低廉한 리튬·因山·철(LFP) 배터리 市場이 世界的으로 커지는 狀況 亦是 포스코그룹에 肯定的으로 作用할 것이라고 展望했다. 廉 理事는 “리튬 需要가 커지고 있는 만큼 廢배터리 企業에도 꾸준히 關心을 가져야 한다”고 말했다.

    “리튬 産業, 景氣 사이클 論하기 일러”

    포스코그룹이 올해 個人投資者로부터 큰 關心을 받고 있는데.

    “2次電池 産業 企業들이 相對的으로 高(高)밸류에이션 狀況이라 接近이 쉽지 않다. 反面 포스코홀딩스는 올해 2次電池 大將株로 浮上했음에도 相對的으로 低評價받았다. 鐵鋼이 베이스인 企業이라 株價純資産比率(PBR)도 낮았다. 포스코그룹이 대단하다는 생각이 드는 部分이 10年 前부터 2次電池 事業을 準備해왔다는 것이다. 배터리 産業에서 第一 重要한 것이 兩極財와 陰極材이고, 이것을 만들려면 鑛物이 必要하다. 中國이 이 分野를 꽉 잡고 있는데, 美國이 이를 願치 않는다. IRA가 만들어진 背景이다.”



    原資材 企業은 景氣 사이클 影響을 많이 받는다. 리튬 分野 亦是 마찬가지 아닐까.

    “勿論 리튬 分野도 언젠가 사이클을 탈 것이다. 景氣 사이클을 안 타는 産業은 없다. 다만 리튬 産業은 아직 成長 段階라 사이클을 論하기 이르다. 애플도 아이폰이 처음 나왔을 때 몇 年 동안은 繼續 成長했다. 電氣車 産業에서 많이 쓰이는 니켈과 리튬 等은 사이클에 對한 憂慮보다 前方 産業이 成長하는 쪽에 무게 中心을 둬야 한다. 勿論 中國이라는 變數가 있다. 韓國 企業들이 脫中國 局面에서 受惠를 받고 있지만, 어쨌든 價格 決定에 가장 큰 影響力을 지닌 곳이 中國이다. 年初 中國에서 리튬 價格이 暴落해 關聯 産業이 어려운 時間을 보내기도 했다.”

    中國은 向後 리튬 市場에 어떤 影響을 미칠까.

    “世界的으로 電氣車 市場이 成長 中이라 當場은 中國 景氣의 影響을 덜 받고 있다. 다만 中國과 關聯된 리스크 中 하나가 過剩投資다. 中國에서 電氣車 市場이 엄청 成長하다 보니 投資가 지나치게 이뤄진 側面이 있다. 이는 供給 過剩으로 이어질 可能性이 있다. 이 때문에 市場 變動性이 커질 수 있지만 成長 自體는 疑心의 餘地가 없다.”

    “廢배터리 産業, 不良品 收去 能力 重要”

    포스코홀딩스가 지난해 12월 13일 아르헨티나 서북부 옴브레 무에르토 염호에 리튬 생산설비를 짓고 있다. [동이DB]

    포스코홀딩스가 지난해 12月 13日 아르헨티나 西北部 옴브레 무에르吐 鹽湖에 리튬 生産設備를 짓고 있다. [東夷DB]

    리튬 産業과 關聯해 ‘리벤트’라는 會社를 注目할 必要가 있다고 했는데.

    “里벤트는 美國 리튬 生産 企業으로 5月 濠洲의 같은 分野 會社 올켐과 引受合倂(M&A)을 했다. 포스코홀딩스 立場에서는 喜消息일 수 있다. 競爭社가 줄어드는 效果가 있기 때문이다. 리벤트와 올켐은 아르헨티나 鹽湖에 投資를 많이 했다. 그런데 아르헨티나는 美國과 自由貿易協定(FTA)을 締結한 國家가 아니다. 이곳에서 生産한 리튬은 (IRA에 따른) 補助金을 받지 못한다. 포스코그룹은 아르헨티나 리튬을 韓國으로 보내 加工한 後 다시 美國에 보내는 方式이라 이 問題에서 자유롭다. 다만 앨버말과 리벤트 等 美國 企業들이 아르헨티나 鹽湖에 많이 投資한 만큼 向後 아르헨티나에 對해서는 (IRA 規制를) 例外的으로 許容할 可能性이 있다.”

    포스코그룹 株主라면 앨버말과 리벤트 等 美國 리튬 生産 企業을 投資 準據集團으로 삼을 수 있을까.

    “그렇다. 앨버말 같은 企業은 지난해 電氣車가 注目받는 局面에서 相當한 時價總額을 認定받았다. 포스코홀딩스의 몇 倍에 達하는 水準이었다. 포스코그룹은 아직 리튬을 生産하지 않고 있지만 向後 本格的으로 리튬 生産에 突入하면 收益이 크게 增加할 수 있다. 勿論 只今은 該當 部分이 相當히 反映됐다.”

    2次電池 需要가 늘면서 廢배터리 産業도 큰 關心을 받고 있다. 韓國 企業 中 頭角을 나타내는 곳이 있나.

    “代表 企業으로 성일하이텍이 있다. 廢배터리 産業에서 重要한 部分 中 하나가 廢배터리 收去다. LG에너지솔루션 같은 배터리 企業이 製品을 生産할 때 收率 問題로 不良品이 나오기도 한다. 廢배터리 企業 立場에서는 不良品을 收去해 再活用하는 것이 重要하다. 성일하이텍의 境遇 배터리 3社 中 하나인 三星SDI가 持分投資를 했다. 不良品 收去에 有利한 環境을 갖춘 셈이다. 성일하이텍이 ‘廢배터리 大將株’로 待接받는 다른 理由는 유럽市場에 積極的으로 進出했기 때문이다. 유럽은 向後 배터리를 만들 때 廢배터리에서 收去한 原料를 一定 部分 義務的으로 使用해야 한다는 內容의 法案을 통과시켰다. 성일하이텍은 유럽에 工場이 많아 事業하는 데 유리하다.”

    向後 廢배터리 産業이 活性化되면 原資材 企業 立場에서는 惡材로 作用하지 않나.

    “勿論 原資材 價格에 影響을 미칠 수 있다. 다만 아직은 電氣車 浸透率이 높지 않아 廢배터리 自體가 적다. 廢배터리가 本格的으로 登場하려면 于先 電氣車가 많이 生産돼야 한다. 한동안 廢배터리 産業이 리튬 生産 企業들에 威脅이 되지는 않으리라 본다. 市場이 成長하는 段階인 만큼 供給 過剩을 憂慮할 時點은 아니다.”

    “유럽·美國·東南亞 進出 企業 찾아라”

    廢배터리 産業에 投資를 苦悶할 때 考慮해야 할 點은 무엇일까.

    “廢배터리 産業 亦是 徹底히 規模의 經濟를 따른다. 政府 政策도 매우 重要하다. 向後 모든 國家가 廢배터리 再活用 事業을 積極 推進할 것이다. 따라서 海外에 工場을 많이 둔 企業을 찾는 것이 重要하다. 韓國 배터리 3社는 유럽과 美國, 東南아시아에 投資하고 있다. 이곳에 現地 工場을 둔 企業을 찾아보자. 둘째로 ‘收去 네트워크’를 갖춘 企業이 유리하다. 建設社 아이에스東西의 子會社 中 人選이엔티라는 綜合廢棄物處理業體가 있다. 이 企業의 子會社가 廢車 事業을 하는데 向後 電氣車도 廢車하지 않을까. 人選이엔티가 廢배터리 收去에서 유리할 것이라고 展望하는 理由다. 마지막으로 環境 問題를 考慮해야 한다. 廢배터리度 公正 過程에서 環境 汚染物質이 생길 수 있다. 廢水나 廢棄物을 다뤄본 經驗이 있는 會社들이 그만큼 强點이 있다. 只今까지 말한 세 가지 要因이 모두 重要하다.”

    最近 個人投資者 買收勢가 外國人과 機關 賣渡勢를 이기는 모습이 나타나고 있는데.

    “元來 코스닥은 個人投資者 去來 比重이 85% 程度다. 外國人과 機關보다 個人이 훨씬 重要한 市場이다. 特異한 點은 最近 들어 코스피에서도 個人投資者들이 (外國人과 機關을) 이기는 模樣새가 나타나고 있다는 點이다. 매우 드문 現象이다. 코스피는 그間 外國人이 場勢를 決定해왔다. 지난해 上半期만 해도 個人投資者들이 아무리 株式을 買收해도 外國人이 팔면 株價가 秋風落葉처럼 떨어지지 않았나.”

    왜 逆轉 現象이 나타났을까.

    “두 가지 側面이 作用한 것 같다. 過去에는 個人投資者들이 코스피를 사도 (需給이) 分散돼 힘이 없었다. 한 業種에 集中 投資하는 것이 아니라, 많이 빠지는 會社들을 나눠 샀기 때문이다. 反面 外國人은 集中的으로 投資하는 傾向이 있다. 그런데 最近 이 같은 움직임이 個人投資者 사이에서 나타나고 있다. 特定 業種을 많게는 하루 1兆 원씩 買收하는 것이다. 둘째로는 個人投資者의 資金力이 커진 狀況도 影響을 미쳤을 것이다. 投資者 預託金이 54兆 원까지 늘어났다. 韓國銀行에 따르면 超過 貯蓄도 100兆 원을 넘었다고 한다. 이 待機資金이 언제 爆發할지 모르는 狀況이다.”

    “實績 좋은 企業도 株價 暴落 許多해”

    最近 場勢를 어떻게 活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보나.

    “市場마다 色깔이 있다. 只今은 流動性 場勢로 보인다. 돈이 市場을 움직이는 狀況이다. 3年 前에도 BBIG라 해서 배터리(B), 바이오(B), 인터넷(I), 게임(G) 等 4個 섹터 企業만 株價가 올랐다. 當時 三星電子나 SK하이닉스 같은 半導體 企業은 몇 달間 遲遲不進했고 新豊製藥 等이 올랐다. 只今도 비슷한 狀況이다. 實績 좋은 企業도 株價가 暴落하는 境遇가 許多하다. 資金이 限定되다 보니 個人이 어느 種目을 選擇하느냐에 따라 株價 騰落이 決定되고 있다. 오히려 實績이 좋게 나타나면 ‘피크아웃(頂點 通過)한 것 아니냐’며 株式을 던져버리고, 大勢 섹터 企業에 投資하기도 한다. 다만 ‘市場은 短期的으로는 投票場이지만 長期的으로는 저울이다’라는 말이 있다. 中長期的으로는 企業價値에 따라 株價가 움직일 것이다.”

    印象 깊게 본 리포트를 하나 紹介한다면.

    “‘반드시 오는 未來’를 恒常 좋게 본다. 그리고 最近 關心 있게 본 것은 이베스트투자증권의 ‘戰場에 들어선 電氣電子’라는 報告書다. 自動車에 自律走行 機能이 들어가면서 電子製品이 宏壯히 많이 搭載되고 있다. 이를 全長이라고 한다. 向後 自動車 市場에서 戰場 部門이 宏壯히 커질 것이다. 關聯 市場은 2025年부터 本格的으로 成長할 것으로 보인다. 積層세라믹콘덴서(MLCC)나 전장용 半導體 基板(FC-BGA) 等 關聯 産業을 工夫해보자. 현대자동차그룹의 現代오토에버가 소프트웨어 部門을 擔當하고 있다. LG電子 亦是 戰場 部門 事業을 하고 있다. 最近 2次電池 氣勢에 눌려 該當 企業들의 株價가 빠졌는데 오히려 機會다. 來年 或은 來後年을 바라본다면 좋은 結果가 있지 않을까.”

    *유튜브와 포털에서 各各 ‘매거진東亞’와 ‘투벤저스’를 檢索해 팔로剩하시면 記事 外에도 動映像 等 多彩로운 投資 情報를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최진렬 기자

    최진렬 記者

    安寧하세요. 週刊東亞 최진렬 記者입니다. 産業界 이슈를 取材하고 있습니다.

    불붙은 AI 半導體 戰爭… 엔비디아- TSMC·SK하이닉스·三星電子 合從連橫

    外國人, SK하이닉스 事故 三星電子 팔았다

    댓글 0
    닫기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