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웃는 기와 - 國立慶州博物館에서|동아신춘문예

동아신춘문예

웃는 기와 - 國立慶州博物館에서

by   이동찬

  • 作品專門
  • 審査評
  • 當選所感
  • 옛 新羅 사람들은
    웃는 기와로 집을 짓고
    웃는 집에서 살았나봅니다.

    기와 하나가
    처마 밑으로 떨어져
    얼굴 한 쪽이
    금가고 깨졌지만
    웃음은 깨지지 않고

    나뭇잎 뒤에 숨은
    初生달처럼 웃고 있습니다.
    나도 누군가에게
    한番 웃어주면

    千年을 가는
    그런 웃음을 남기고 싶어
    웃는 기와 흉내를 內봅니다
    이동찬

    이동찬

    本名 이봉직

    1965年 忠北 報恩 出生

    1999年 한국방송통신대학 중어中文學科 卒業

    1992年 同時部門 新人賞

    1992年 대전일보 新春文藝 同時 當選

    1993年 大邱每日新聞 新春文藝 同時 當選

    1993年 第1回 눈높이 兒童文學像 受賞

    2000年 童詩集 '어머니의 꽃밭' 出刊(12月15日)

    現在 한국방송통신대학 國語國文學科 4學年 在學中

  • <웃는 기와>를 뽑고나서
    노원호(同時作家)


    新春文藝 當選作을 뽑는데 가장 큰 基準을 둔다면 斬新함과 獨創性을 들 수 있겠다. 그런데 應募된 作品을 다 읽고도 그런 作品이 쉽게 發見되지 않으면 뽑는 사람으로서는 正말 곤혹스러울 때가 있다.

    올해 境遇도 例外는 아니었다. 이미 旣存의 詩人들이 다루었던 素材나 表現 技法, 그리고 그에 담긴 이미지까지 비슷한 것이 많았다. 童詩는 童心의 世界를 다루는 것이기 때문에 常套的인 表現이나 空虛한 생각을 담아서는 感動을 주지 못한다. 따라서 應募者들은 새로운 것을 찾고, 그것을 獨特하게 나타내기 위해서 渾身의 힘을 쏟아부어야 할 것이다.

    應募된 作品 가운데 9篇이 豫審을 通過해 關心이 對象이 되었고, 이中 最終 審査 對象은 李亮壽氏의 '하늘을 그리다가', 이선향氏의 '夜光別', 이동찬氏의 '웃는 기와'로 壓縮되었다. 모두 各各 長, 短點을 지니고 있어 優劣을 가리기가 무척 힘들었다.

    '하늘을 그리다가'는 한 幅의 그림을 보는 것처럼 狀況 展開를 섬세하게 描寫하였으나, 생각의 깊이가 얕아 무게를 실어주지 못했다. 또 '夜光別'은 돌아가신 엄마를 그리워하며 詩的 狀況을 象徵的으로 나타낸 것이 좋았으나, 飛躍이 甚해 마지막鳶의 이미지가 분명하지 못했다.

    結局 詩的 完成度가 相對的으로 높은 '웃는 기와'를 當選作으로 올렸다. 깨어진 기와 한 조각을 통해 祖上의 웃음을 發見하고, 그것을 自己 것으로 만들어가는 過程을 詩的으로 그린 作品이다. 또 많이 다뤄지지 않은 素材를 鮮明한 이미지로 나타낸 것도 이 詩를 돋보이게 했다. 함께 보내온 다른 네 篇의 作品도 當選作에 버금갈 만큼 고른 水準을 지니고 있어서 그의 力量을 믿게 되었다.
  • 이동찬

    이동찬

    本名 이봉직

    1965年 忠北 報恩 出生

    1999年 한국방송통신대학 중어中文學科 卒業

    1992年 同時部門 新人賞

    1992年 대전일보 新春文藝 同時 當選

    1993年 大邱每日新聞 新春文藝 同時 當選

    1993年 第1回 눈높이 兒童文學像 受賞

    2000年 童詩集 '어머니의 꽃밭' 出刊(12月15日)

    現在 한국방송통신대학 國語國文學科 4學年 在學中

    詩를 쓰려면, 네가 正말 詩 한便 써보려면, 천천히, 천천히 길을 걸어야하지. 터벅터벅, 어깨에 힘빼고, 온 몸에 힘빼고 걸어야하지. 그러나 눈빛은 반짝반짝 빛내면서. 그렇게 길을 걷다가, 날마다 들르던 娛樂室이나, 매콤달콤한 떡볶기집을, 約束時間 늦은 것처럼 지나쳐가고. 그러다 문득, 시멘트 담牆 틈에 핀 작은 꽃을 보면, 그 앞에 쪼그리고 앉아, 한番쯤 國語 宿題를 잊어버리기도 하고, 나무에 앉아 깃털 다듬는 새를 만나면, 하루 終日 쫓아다녀도 報告. 꽃하고 무슨 얘기를 나누었는지, 새는 무슨 열매를 따먹었는지, 마음 속 노트에 적어 두면서, 천천히, 正말 천천히 걸어야하지. 그러나 마음은 반짝반짝 빛내야하지.
    이미 登壇 節次를 밟은 제가 다시 新春文藝의 門을 두드렸다고 남들이 뭐랄지 모르겠습니다. 最近에 童詩集을 내려고 몇몇 出版社에 原稿를 보내보았지만 番番이 拒絶 當하고나니 내가 쓴 詩들이 형편없는 것인가, 하는 疑心이 일기 始作했고 다시 한番 確認해 보고 싶었습니다.

    童詩 쓰는 일, 힘들고 고통스러워도 抛棄하지 말라는 어느 先生님의 激勵를 잊지 않고 늘 新人이라는 생각으로 放心하지 않겠습니다. 뽑아주신 先生님께 感謝드리고 다른 분들이 누려야 할 기쁨을 제가 빼앗은 것 같아 죄스럽습니다. 그代身 熱心히 쓰겠습니다.
  • 作品專門
  • 審査評
  • 當選所感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